KR200483922Y1 -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 Google Patents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22Y1
KR200483922Y1 KR2020150003074U KR20150003074U KR200483922Y1 KR 200483922 Y1 KR200483922 Y1 KR 200483922Y1 KR 2020150003074 U KR2020150003074 U KR 2020150003074U KR 20150003074 U KR20150003074 U KR 20150003074U KR 200483922 Y1 KR200483922 Y1 KR 200483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ot water
water heater
electric hot
hea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044U (ko
Inventor
이풍근
김유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와트인스트루먼트
이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7081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8392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와트인스트루먼트, 이풍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와트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2020150003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2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는, 온도 조절기를 수용하는 케이싱부; 상기 온도 조절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팅 코일; 상기 케이싱부에 장착되며 상기 히팅 코일을 수용하는 히팅 파이프; 및 상기 히팅 파이프의 일부분만을 가리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에 의해 가려진 상기 히팅 파이프의 일부분 내에 상기 히팅 코일이 수용된다.

Description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Portable Electric Hot Water Heater}
본 고안은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형태의 보호 커버를 가지며 온도 조절기의 케이싱부의 밀봉 구조가 개선된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에 관한 것이다.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는 보일러와 같은 온수 시설이 없는 장소에서 비교적 적은 양의 온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가정에서는 물론 캠핑장이나 공사장 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1)는 온도 조절기(미도시)를 수용하는 케이싱부(2), 온도 조절기에 연결된 히팅 파이프(3), 및 히팅 파이프(3)를 둘러싸는 보호 커버(4)를 포함한다.
히팅 파이프(3)의 하측 영역(3a)에는 히팅 코일(미도시)이 배치되어 있다. 히팅 코일의 열이 하측 영역(3a)을 통해 가열 대상의 물에 전달됨으로써 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보호 커버(4)는 히팅 파이프(3)를 전체적으로 가림으로써 고온의 히팅 파이프(2)와의 접촉으로 사람이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커버(4)는 히팅 파이프(3)의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 즉 히팅 파이프(3)에서 고온의 하측 영역(3a)뿐만 아니라 화상의 위험이 없는 나머지 상측 영역(3b)까지도 감싸는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호 커버(4)가 금속 물질로 제조되는 특성 상,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1)의 전체 중량을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보호 커버(4)는 케이싱부(2)에 장착되므로, 케이싱부(2)에는 보호 커버(4)의 장착 구조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는 케이싱부(2)의 설계를 복잡해지게 하는 한 가지 요인이 된다.
또한 보호 커버(4)가 가열 중인 물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케이싱부(2) 안으로 유입시키는 통로로 작용함으로써 케이싱부(2) 내의 전기 배선에 합선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한편, 화재 예방 측면에서 온도 조절기를 내장한 케이싱부(2)는 방수 구조를 가질 필요성이 있으며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1)가 습기 있는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이에 종래에는 케이싱부(2)의 하부 케이싱(2a)과 상부 케이싱(2b) 사이에 접착제 또는 오링(o-ring)과 같은 방수 수단을 부가하여 해결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러한 별도의 방수 수단 없이 케이싱부(2)의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면 제조 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 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방수 수단을 채택하지 않는 방수 구조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의 보호 커버(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보호 커버(4)의 상부까지 물을 채워 가열하거나 물의 온도를 비교적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가열 중인 물의 열이 보호 커버(4)를 통해 케이싱부(2)에까지 전달됨으로써 케이싱부(2)로부터 보호 커버(4)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부(2)에 장착된 보호 커버(4)를 쉽게 분리할 수 없으므로 히팅 파이프(3)에 달라붙은 석회 성분 등의 이물질들을 청소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호 커버의 중량 및 장착 구조를 최소화하는 한편 보호 커버가 수증기 유입 통로가 되어 케이싱부 내의 전기 배선에 합선 등의 전기적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방수 수단 없이 케이싱부의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 간의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열 중에 있는 물의 열이 컨트롤 박스(케이싱부)에 전달되어 보호 커버가 컨트롤 박스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 및 전기 온수 히터로부터 보호 커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히팅 파이프를 청소하기 곤란했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또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온도 조절기를 수용하는 케이싱부; 상기 온도 조절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팅 코일; 상기 케이싱부에 장착되며 상기 히팅 코일을 수용하는 히팅 파이프; 및 상기 히팅 파이프의 하측 일부분만을 가리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에 가려진 상기 히팅 파이프의 일부분 내에 상기 히팅 코일이 수용되는,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를 제공한다.
상기 히팅 파이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에 의해 가려지며 상기 히팅 코일이 수용된 가림 영역; 상기 가림 영역의 일단과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 연장된 제1 연장 영역; 및 상기 가림 영역의 타단과 상기 케이싱부 사이에 연장된 제2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림 영역은 2개씩 포개지게 배치된 4개의 일직선부들, 및 상기 4개의 일직선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180° 벤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는, 상기 케이싱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연장 영역과 상기 제2 연장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기에 연결되며, 상기 히팅 코일이 수용된 상기 가림 영역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커버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보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보호 커버 사이에 상기 히팅 파이프의 상기 가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호 커버는 상기 가림 영역을 사이에 두고 볼트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히팅 파이프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부는, 상기 온도 조절기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싱;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싱 중 어느 하나는 테두리를 따라 결합 리브를 가지며,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싱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리브가 삽입되는 결합 홈을 가지며, 상기 결합 리브가 상기 결합 홈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리브가 압축 변형되도록, 상기 결합 홈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홈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히팅 파이프의 전체 영역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 히팅 파이프의 발열부에 해당하는 고온 영역 만을 가리는 보호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안전성은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보호 커버의 중량과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보다 가벼우면서도 무게는 가벼워진 전기 온수 히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팅 파이프의 하측 고온 영역 만을 가리는 형태의 보호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온도 조절기가 내장된 케이싱부에 장착된 종래의 보호 커버의 사용으로 인해 케이싱부 내부에서 합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는 온도 조절기를 내장한 케이싱부에 장착되지 않고 상호 결합을 통해 히팅 파이프에 장착되므로, 케이싱부에 보호 커버가 장착되는 종래의 전기 온수 히터에 비해 보호 커버의 장착 구조 및 그 장착 공정이 보다 간단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온수 히터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케이싱부에 적용된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케이싱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에 적용된 추가적인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의 케이싱부에 적용된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케이싱부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에 적용된 추가적인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10)는 보일러와 같은 온수 시설이 없는 장소에서 용기에 수용된 비교적 소량의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가정에서는 물론 캠핑장이나 야외 공사장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10)는 케이싱부(20), 히팅 코일(30), 히팅 파이프(40), 온도 센서(50), 가이드 파이프(60), 및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를 포함한다.
케이싱부(20)는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는 히팅 코일(30)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25)가 수용된다.
케이싱부(20)는 온도 조절기(25)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싱(21)과, 하부 케이싱(21)과 결합됨으로써 하부 케이싱(21)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22)을 포함한다. 상부 케이싱(22)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때 사용되는 온도 설정 노브(22a)가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22)에는 저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 리브(2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싱(21)에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결합 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리브(23)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상하로 균일한 두께(d)를 갖는다. 결합 홈(24)은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폭을 갖는다. 따라서, 결합 홈(24)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이며, 결합 홈(24)의 측벽(24a)은 경사져 있다. 예로써, 그 측벽(24a)의 경사각은 대략 3°로 설계될 수 있다. 결합 홈(24)의 최상단의 폭은 결합 리브(23)의 두께(d)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조금 크게 설계될 수 있다.
결합 리브(23)가 균일한 두께(d)을 갖는 반면 결합 홈(24)의 측벽(24a)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22)이 하부 케이싱(21)에 결합될 때 결합 리브(23)는 결합 홈(24)의 측벽(24a)이 가하는 압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그 결과 결합 리브(23)가 결합 홈(24)의 측벽(24a)에 밀착됨으로써 결합 리브(23)와 결합 홈(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가 완전히 밀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방수용 접착제나 방수용 오링(O-ring)과 같은 별도의 방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결합 리브(23)와 결합 홈(24)의 설계적 변경을 통해 케이싱부(20)의 방수 구조를 구현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케이싱(22)에 결합 리브(23)가 구비되고 하부 케이싱(21)에 결합 홈(24)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그와 반대로 상부 케이싱(22)에 결합 홈(24)이 구비되고 하부 케이싱(21)에 결합 리브(23)가 구비될 수도 있다.
히팅 코일(30)은 한 쌍의 전선(31, 32)을 통해 온도 조절기(25)에 연결되며, 온도 조절기(25)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온수 생성에 필요한 열을 제공한다.
히팅 파이프(40)는 전술한 히팅 코일(30) 및 한 쌍의 전선(31, 32)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싱부(20)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파이프(40)는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에 의해 가려지는 가림 영역(41)과, 가림 영역(41)의 일단과 케이싱부(20) 사이에 연장된 제1 연장 영역(42)과, 가림 영역(41)의 타단과 케이싱부(20) 사이에 연장된 제2 연장 영역(43)을 포함한다.
여기서, 히팅 파이프(40)의 가림 영역(41) 내에는 전술한 히팅 코일(30)이 수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림 영역(41)은 히팅 파이프(40)에서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발열부로서 작용한다. 이에 반해, 제1 및 제2 연장 영역(42, 43)은 그 내부에 히팅 코일(30)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히팅 코일(3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31, 32)이 단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없는 정도의 낮은 온도를 나타낼 뿐이다.
그리고, 히팅 파이프(40)의 가림 영역(41)은 180°벤딩된 3개의 벤딩부를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대략 'W'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가림 영역(41) 내에 수용되는 발열 코일(30)의 길이가 증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히팅 파이프(40)의 단위 면적당 발열량이 증대될 수 있다.
온도 센서(50)는 가열 중인 물의 온도 또는 전술한 가림 영역(발열부)(4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온도 센서(50)는 그 가림 영역(41)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온도 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온도는 가이드 파이프(60) 내에 수용된 금속선(51)을 통해 온도 조절기(25)에 전송된다. 온도 조절기(25)는 온도 센서(50)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온도 설정 노브(22a)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히팅 코일(30)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한다.
여기서, 가이드 파이프(60)는 온도 센서(50)와 온도 조절기(25)를 연결하는 전도성 재질의 금속선(51)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팅 파이프(40)의 제1 및 제2 연장 영역(42, 43)과 마찬가지로 케이싱부(20)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60)는 하부 케이싱(21)의 저면에 구비된 파이프 장착 보스(21a) 내에 장착된다. 그리고, 가이드 파이프(60)의 상측 개구에는 방수 부재(91)가 삽입되며, 그 방수 부재(91)는 접착제(92)를 통해 하부 케이싱(21)의 내측면에 접착된다. 예로써 방수 부재(91)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방수 부재(91)는 가이드 파이프(60)로부터 케이싱부(20) 안으로 수증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좀 더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60)의 하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가열 중인 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가이드 파이프(60) 안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가이드 파이프(60)의 상단에 장착된 방수 부재(91)에 의해 그 수증기가 케이싱부(2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가열 중인 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로 인해 케이싱부(20) 내의 전기 배선에 합선 등의 전기적인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는 히팅 파이프(40)에서 발열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발열 코일(30)이 배치되어 있는 가림 영역(41)이 히팅 파이프(40)의 발열부에 해당한다.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는 각각 금속재(예로써, SUS)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구비된다. 각 보호 커버(70, 80)의 재질 및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는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호 커버(70, 80)가 상호 분리된 별개의 부품으로 예시되었으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이들 보호 커버(70, 80)는 측면에서 상호 연결된 단일 부품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에 의해 히팅 파이프(40)의 가림 영역(41)은 가려지는 반면 히팅 파이프(40)의 제1 및 제2 연장 영역(42, 43)은 가려지고 있지 않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팅 파이프(40)의 가림 영역(41)은 고온의 발열부에 해당하는 반면 히팅 파이프(40)의 제1 및 제2 연장 영역(42, 43)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저온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처럼 발열부에 해당하는 가림 영역(41) 만을 커버해주더라도 충분히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팅 파이프(40)의 발열부(가림 영역) 만을 커버하는 형태의 보호 커버(70, 80)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보호 커버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10)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제조 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70, 80)는 온도 조절기(25)를 내장한 케이싱부(20)에 장착되지 않고 상호 결합을 통해 히팅 파이프(40)에 장착되므로, 케이싱부(20)에 보호 커버가 장착되는 종래의 전기 온수 히터에 비해 보호 커버(70, 80)의 장착 구조 및 그 장착 공정이 보다 간단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온수 히터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히팅 파이프(40)의 하측에 위치하는 발열부(가림 영역) 만을 커버하는 형태의 보호 커버(70, 8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싱부로부터 연장된 종래의 보호 커버를 사용할 경우 그 보호 커버를 통해 수증기가 케이싱부 안으로 유입되어 케이싱부 내부의 전기 배선에 합선 등의 전기적 고장이 발생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태의 보호 커버(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호 커버(4)의 상부까지 물을 채워 가열하거나 물의 온도를 비교적 높은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가열 중인 물의 열이 보호 커버(4)를 통해 케이싱부(2)에까지 전달됨으로써 케이싱부(2)로부터 보호 커버(4)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보호 커버(70, 80)는 케이싱부(20)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그와 같은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온수 히터(10)로부터 보호 커버(4)를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석회 성분 등의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많이 달라붙는 히팅 파이프(40)의 발열부(가림 영역)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10 :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20 : 케이싱부
25 : 온도 조절기
30 : 발열 코일
40 : 히팅 파이프
41 : 가림 영역
42 : 제1 연장 영역
43 : 제2 연장 영역
50 : 온도 센서
60 : 가이드 파이프
70, 80 : 보호 커버

Claims (10)

  1. 온도 조절기(25)를 수용하는 케이싱부(20);
    상기 온도 조절기(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팅 코일(30);
    상기 케이싱부(20)에 장착되며 상기 히팅 코일(30)을 수용하는 히팅 파이프(40); 및
    상기 히팅 파이프(40)에 장착되는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를 포함하며,
    상기 히팅 파이프(40)는,
    상기 케이싱부(20)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히팅 코일(30)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에 의해 가려진 가림 영역(41), 및
    상기 가림 영역(41)과 상기 케이싱부(20) 사이에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 영역(42, 43)을 포함하며,
    상기 가림 영역(41)은,
    2개씩 포개지게 배치된 4개의 일직선부들, 및
    상기 4개의 일직선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180° 벤딩부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보호 커버(70, 80)는
    평판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가림 영역(41)을 사이에 두고 볼트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히팅 파이프(40)에 장착되는,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20)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연장 영역(42)과 상기 제2 연장 영역(43)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파이프(60); 및
    상기 가이드 파이프(60)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기(25)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 영역(41)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온도 센서(50);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60)의 상측 개구에는 상기 가이드 파이프(60)를 통해 상기 케이싱부(20) 안으로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부재(91)가 장착되는,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91)는 접착제(92)를 통해 상기 케이싱부(20)의 내측면에 접착되는,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20)는,
    상기 온도 조절기(25)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싱(21); 및
    상기 하부 케이싱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2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싱 중 어느 하나는 테두리를 따라 결합 리브(23)를 가지며,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싱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리브(23)가 삽입되는 결합 홈(24)을 가지며,
    상기 결합 리브(23)가 상기 결합 홈(24)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 리브(23)가 압축 변형되도록, 상기 결합 홈(24)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두께를 갖는,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24)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인,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10. 삭제
KR2020150003074U 2015-05-13 2015-05-13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KR200483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74U KR200483922Y1 (ko) 2015-05-13 2015-05-13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074U KR200483922Y1 (ko) 2015-05-13 2015-05-13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44U KR20160004044U (ko) 2016-11-24
KR200483922Y1 true KR200483922Y1 (ko) 2017-07-11

Family

ID=5770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074U KR200483922Y1 (ko) 2015-05-13 2015-05-13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336B1 (ko) 2021-08-26 2022-05-04 (주)와이스테이지 개선된 물 감지회로와 단자구조를 가진 이동형 수중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5118A (zh) * 2017-08-24 2019-03-05 江苏威能电气有限公司 一种防漏电结构
KR102082984B1 (ko) 2019-05-22 2020-02-28 (주)와이스테이지 이동형 전기온수기
KR20200135146A (ko) 2020-02-19 2020-12-02 (주)와이스테이지 이동형 전기온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89B1 (ko) * 2013-04-11 2014-08-11 박춘택 온수 히터
KR101483538B1 (ko) * 2013-09-17 2015-01-21 박춘택 온수 히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3171A (ko) * 2012-02-18 2012-03-12 용 준 권 급탕용 온수히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89B1 (ko) * 2013-04-11 2014-08-11 박춘택 온수 히터
KR101483538B1 (ko) * 2013-09-17 2015-01-21 박춘택 온수 히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336B1 (ko) 2021-08-26 2022-05-04 (주)와이스테이지 개선된 물 감지회로와 단자구조를 가진 이동형 수중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44U (ko)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922Y1 (ko) 이동형 전기 온수 히터
US20070181561A1 (en) Bottle heater
EP3004760B1 (en) A household appliance with an improved fire safety
JP6616975B2 (ja) ガスフライヤー
JP6638532B2 (ja) 貯湯式給湯機
ITMI990230A1 (it) Caffetteria elettrica
KR200478963Y1 (ko) 온도 감지 센서
CN209763318U (zh) 一种加热组件、电加热装置和天花机
JP2017101993A (ja) 温度検出装置
CN110248578A (zh) 小型家用电器
KR20130010983A (ko) 전기 목재 온돌 패널
JPH09121717A (ja) 水槽用ヒータ及び加熱防止用取付具
JP2008054718A5 (ko)
JP7062263B2 (ja) 加熱調理器
EP2886024A1 (en) Improved detection assembly for electric appliances
JP2017053497A (ja) こんろ
JP2007147111A (ja) 電池ボックス及びテーブルコンロ
JP6530623B2 (ja) 調理器
KR200467198Y1 (ko) 온열매트의 배관 밀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열매트
JP2001116262A (ja) クッキングヒータ装置
KR102082984B1 (ko) 이동형 전기온수기
KR102622228B1 (ko) 온도 제어 스위치와 퓨즈가 스텐튜브 내부에 장착된 온수히터
WO2015149829A1 (en) Gas cooking appliance with improved heat protection
JP5930296B2 (ja) 温度感知部材の固定構造、並びに、熱源機
KR200444948Y1 (ko) 작동패널부가 뚜껑부에 구비된 전기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153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421

Effective date: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