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11Y1 - 소방포 포장체 - Google Patents

소방포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11Y1
KR200482011Y1 KR2020150003500U KR20150003500U KR200482011Y1 KR 200482011 Y1 KR200482011 Y1 KR 200482011Y1 KR 2020150003500 U KR2020150003500 U KR 2020150003500U KR 20150003500 U KR20150003500 U KR 20150003500U KR 200482011 Y1 KR200482011 Y1 KR 200482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pening
velcro tape
fighting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구
Original Assignee
권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준구 filed Critical 권준구
Priority to KR202015000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포 포장체가 개시되는 것으로, 화재발생시에 대피자가 덮거나 또는 화재현장을 덮는 소방포와 이 소방포를 수용 보관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소방포 포장체에 있어서, 케이스(10)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개폐면(111)과 상기 개폐면(111)의 하단에 당김끈(112)이 구비되는 후면부(11)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지되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을 덮지 않도록 포개어지며 하단에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부(121)가 구비되는 전면부(12)와; 상기 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부(13)와; 상기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면(111)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개방부(14)와; 상기 후면부(11)의 가장자리와 이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진 상기 전면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덮어 포설하고 재봉작업에 의해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에 연결되는 가장자리마감부(15)와; 상기 후면부(11)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가장자리마감부(15)에 의해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부(16) 및 상기 연결부(16)의 상단에 끼움 구비되는 연결고리(17)와; 상기 전면부(12)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18)과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탈부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부착될 때 상기 개방부(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분리될 때 개방부(14)를 개방하는 제2벨크로테잎(19)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소방포(20)는, 상기 케이스(10)의 후면부(11)와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부(13)에 넣어져 수용되되, 표면에 실리콘코팅층(21)이 더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방포 포장체{package for fire blanket}
본 고안은 소방포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넣어진 소방포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방포의 외면에 코팅부를 더 구비하여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소방포가 피부에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소방포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면 초기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초기 화재진압 실패시에는 화재현장을 신속하게 탈출하여야 하는 바,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발생된 화재의 초기진압을 위해 천정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거나 또는 소화기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면 스프링클러가 작동되어 소화액을 천정으로부터 분사하여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발생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고 있다.
그러나,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거나 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작동이 불능 상태인 경우나 또는 소화기가 배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소화기가 없을 경우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방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방포는 대개 지하철역이나 백화점과 같이 이용객이 많은 장소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소방포의 경우 대개 캐비넷의 내부에 포개어진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에 소방포를 캐비넷으로부터 꺼낸 후 화재가 발생된 현장에 소방포를 덮어야 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에 초기 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포가 보관된 캐비넷을 찾아 이동한 후 캐비넷의 뚜껑을 열고 포개어진 소방포를 펼쳐야 하기 때문에 보관된 소방포를 캐비넷으로부터 꺼내는 시간과 포개어진 소방포를 펼쳐 화재 현장을 덮어야 하는 시간에 의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시간이 지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등록실용 20-0465622호인 소방담요 포장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벽면에 돌출되는 못을 포함한 걸림 구조체에 걸기 위한 걸림홈을 외면에 구비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은 외력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개방 가능한 일면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끈을 구비하는 소방담요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화재 발생시에 노출된 인출끈을 잡아 당겨 하우징에 수용된 소방담요(소방포)를 꺼내어 사용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하우징부의 개방된 부분을 뚜껑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뚜껑에 의해 인출끈을 잡아 당기더라도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소방담요가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은 하우징부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는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 외력(타인에 의해 부딪히는 힘)에 의해 하우징부가 깨지거나 훼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소방포(소방담요)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도록 하기 위해 화재현장을 덮어 화재를 진압함은 물론, 대피자가 화재 현장을 피할 때 화염이 대피자의 옷이나 신체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대피자가 소방포를 덮어 화재 현장을 빠져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방포를 덮은 상태에서 화재 현장을 빠져나갈 때 소방포의 재질 즉, 유리섬유가 대피자의 옷이나 신체에 묻게 되어 유리섬유에 의한 2차적인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65622호(2013.02.22.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8-0033251호(2008.04.16. 공개)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소방포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의 보관 시에 외력에 의해 케이스의 파손이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피자가 덮어 화재현장을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유리섬유가 대피자의 옷이나 신체에 묻어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방포 포장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는, 화재발생시에 대피자가 덮거나 또는 화재현장을 덮는 소방포와 이 소방포를 수용 보관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소방포 포장체에 있어서, 케이스(10)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개폐면(111)과 상기 개폐면(111)의 하단에 당김끈(112)이 구비되는 후면부(11)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지되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을 덮지 않도록 포개어지며 하단에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부(121)가 구비되는 전면부(12)와; 상기 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부(13)와; 상기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면(111)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개방부(14)와; 상기 후면부(11)의 테두리 전체와, 이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진 상기 전면부(12)의 찢어짐방지부를 제외한 테두리 전체가 서로 동일 단부를 갖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이들 양 테두리를 디귿자 형상으로 감싸 덮어 재봉작업에 의해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가장자리마감부(15)와; 상기 후면부(11)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상단 테두리와 겹쳐진 상태에서 이들 단부를 상기 가장자리마감부(15)가 감싸 덮어 재봉작업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16) 및 상기 연결부(16)의 타단부에 끼움 구비되는 연결고리(17)와; 상기 전면부(12)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18)과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탈부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부착될 때 상기 개방부(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분리될 때 개방부(14)를 개방하는 제2벨크로테잎(19)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소방포(20)는, 상기 케이스(10)의 후면부(11)와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부(13)에 넣어져 수용되되, 표면에 실리콘코팅층(21)이 더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소방포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인출끈이 더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인출끈이 상기 개폐면의 외측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2개의 인출끈 중 어느 하나의 인출끈을 상기 개폐면의 하부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면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테잎이 상기 전면부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에 수용된 소방포가 상기 개방부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수용공간부가 위치되는 전면부와 후면부의 재질을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직물원단으로 구비하여 보관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케이스가 깨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개폐면을 개방할 때 개폐면의 하단에 구비되는 당김끈 또는 소방포의 인출끈을 당기는 동작에 의해 개폐면이 개방되어 소방포가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화재발생시의 신속한 소방포의 사용이 가능하며 소방포를 덮어 대피할 때 소방포의 재질은 유리섬유가 대피자의 옷이나 피부에 묻어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지지면이 펼쳐진 상태의 전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지지면이 펼쳐진 상태의 후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지지면이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소방포 인출끈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의 소방포 구성을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포 포장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는, 화재발생시에 대피자가 덮거나 또는 화재현장을 덮는 소방포와 이 소방포를 수용 보관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소방포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소방포 포장체는, 소방포와 이 소방포가 수용 보관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소방포가 수용 보관되는 케이스를 구체화하여 소방포의 인출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케이스가 외력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케이스(10)는, 후면부(11)와, 전면부(12), 수용공간부(13), 개방부(14), 가장자리마감부(15), 연결부(16), 연결고리(17), 제1벨크로테잎(18) 및 제2벨크로테잎(19)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케이스(10)를 구비하는 후면부(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직사각형의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개폐면(111)과 상기 개폐면(111)의 하단에 당김끈(112)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면(111)은, 상기 수용공간부(13)에 수용되어 보관되는 소방포(20)가 수용공간부(13)로부터 빠져나올 때 수용공간부(13)의 하부를 개방시키거나 또는 소방포(20)가 수용공간부(13)에 수용 보관될 때 수용공간부(13)의 하부를 차단하는 수단으로, 상기 후면부(11)의 상부측방향으로 접어질 때 수용공간부(13)의 하부를 차단하고 후면부(11)의 하부측으로 펼쳐질 때 수용공간부(13)의 하부를 개방하며 이와 같이 수용공간부(13)의 하부를 개방할 때 상기 당김끈(112)의 당겨짐 동작에 의해 개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부(12)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후면부(11)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지되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을 덮지 않도록 포개어지며 하단에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부(121)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전면부(12)의 하단은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을 덮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개폐면(111)의 개폐동작시에 전면부(12)의 하단에 의해 개폐면(111)이 후면부(11)의 상부측방향으로 접어지는 동작을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찢어짐방지부(121)는, 상기 전면부(12)의 하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면부(12)의 하단 가로방향으로 찢어짐방지부(121)를 덮은 후 재봉작업에 의해 찢어짐방지부(121)를 전면부(12)의 하단에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전면부(12)의 하단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전면부(12)의 하단을 포설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용공간부(13)는, 상기 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 수용공간부(13)에는 소방포(20)가 수용 보관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14)는, 상기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면(111)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개방부(14)가 상기 개폐면(111)에 의해 덮어져 차단되거나 또는 개폐면(111)에 의해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는 후면부(11)와 전면부(12) 사이에 상기 수용공간부(13)가 구비되되 상기 전면부(12)의 하단이 개폐면(111)을 덮지 않은 상태에서 전면부(12)의 하단이 후면부(11)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개방부(14)는 개폐면(111)에 의해 덮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개폐면(111)이 전면부(12)측으로 덮어진 상태에서는 개방부(14)가 차단됨에 따라 수용공간부(13)에 넣어져 수용 보관되는 소방포(20)가 개폐면(111)이 덮어진 상태에서는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다.
상기 가장자리마감부(15)는, 상기 후면부(11)의 가장자리와 이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진 상기 전면부(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덮어 포설하고 재봉작업에 의해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 때, 상기 가장자리마감부(15)가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가장자리만을 연결하여 고정하고 전면부(12)의 하부측은 연결하지 않기 때문에 전면부(12)의 하부측은 후면부(11)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전면부(12)와 후면부(11) 사이에 구비되는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에 구비된 개방부(14)는 자연스럽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개폐면(111)이 덮어지는 것에 의해 개방부(14)에 대한 차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6) 및 연결고리(17)는, 상기 케이스(10)를 예를 들어 벽면에 걸어 보관하거나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16)는, 상기 후면부(11)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가장자리마감부(15)에 의해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고리(17)는 상기 연결부(16)의 상단에 끼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부(16) 및 연결고리(17)는, 상기 연결고리(17)에 의해 예컨대 벽면에 고정된 못이나 걸이구에 상기 케이스(10)를 걸어 보관하거나 또는 대형 보관함체의 내부에 걸이구를 설치한 후 설치된 걸이구에 상기 연결고리(17)를 끼움으로써 케이스(10)를 걸어 보관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연결고리(17)가 연결부(16)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16)가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가장자리마감부(15)에 의해 하단이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16) 및 연결고리(17)가 상기 케이스(10)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벨크로테잎(18)은 상기 전면부(12)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벨크로테잎(19)은,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탈부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부착될 때 상기 개방부(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분리될 때 개방부(14)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벨크로테잎(18)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2)의 전면 하단에 전면부(12)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길게 구비하고 상기 제2벨트로테잎(19)을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길게 구비한 이유는, 소방포(20)가 케이스(10)의 수용공간부(13)에 넣어져 수용 보관될 때 소방포(20)가 빠져나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단추를 사용하지 않고 제1벨크로테잎(18)과 제2벨크로테잎(19)을 사용하는 이유는, 화재발생에서의 긴급상황시에 개폐면(111)을 신속하게 펼치도록 하기 위함이며, 예를 들어 단추를 사용할 경우 단추를 풀거나 또는 똑딱이 단추와 같은 암수결합단추를 사용할 경우 암수결합된 단추가 서로 분리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신속하게 개폐면(111)을 펼쳐 수용공간부(13)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방부(14)를 개방시켜 소방포(20)를 수용공간부(13)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화재발생과 같은 긴급상황시에는 당황하게 됨은 당연한 것이며, 이와 같이 당황된 상태에서 소방포(20)를 신속하게 꺼내도록 하기 위해 제1벨크로테잎(18)과 제2벨크로테잎(19)만으로 개폐면(111)이 탈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케이스(10)의 후면부(11)와 전면부(12) 사이에 구비되는 수용공간부(13)에 소방포(20)를 넣어 수용 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면(111)을 전면부(12)측으로 접어 덮은 후, 개폐면(111)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테잎(19)과 전면부(12)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18)이 서로 부착되도록 하여 소방포(20)를 수용 보관한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개폐면(111)의 하단에 구비된 당김끈(112)을 케이스(10)의 하부측 방향으로 당겨 개폐면(111)을 전면부(12)로부터 때어내어 펼치면 상기 수용공간부(13)의 하부에 구비되는 개방부(14)를 통해 수용공간부(13)에 수용 보관된 소방포(20)가 개방부(14)를 통해 신속하게 인출되며, 이와 같이 인출된 소방포(20)를 펼쳐 화재현장을 덮거나 또는 화재현장으로부터 대피할 때 대피자 자신의 신체를 덮은 후 화재현장으로부터 대피하면 된다.
본 고안은 대피자가 소방포를 덮은 상태로 화재현장으로부터 대피하는 과정에서 덮어진 소방포의 유리섬유가 대피자의 피부나 의복에 묻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소방포(20)는, 상기 케이스(10)의 후면부(11)와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부(13)에 넣어져 수용되되, 표면에 실리콘코팅층(21)이 더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소방포(20)는 물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방포(소방담요)는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거나 또는 화염이 대피자의 신체에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섬유로 소방포를 제조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소방포를 그대로 대피자가 덮을 경우 유리섬유가 대피자의 신체나 또는 대피자의 의복에 묻어나게 됨은 당연한 것이며, 화재현장을 빠져나온 후에도 유리섬유는 대피자의 신체나 의복에 그대로 묻어진 상태로 잔류하기 때문에 유리섬유에 의한 2차 피해를 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의 소방포(20)는 소방포(20)의 표면에 실리콘코팅층(21)을 더 도포하여 줌으로써 실리콘코팅층(21)에 의해 유리섬유가 대피자의 신체나 의복에 묻어나게 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소방포(20)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인출끈(22)이 더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인출끈이 상기 개폐면(111)의 외측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2개의 인출끈(22) 중 어느 하나의 인출끈을 상기 개폐면(111)의 하부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면(111)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테잎(19)이 상기 전면부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18)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3)에 수용된 소방포가 상기 개방부(14)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개폐면(111)의 바깥측으로 당김끈(112)은 물론 소방포(20)에 구비되는 2개의 인출끈(22)이 더 노출되기 때문에 대피자는 당김끈(112)이나 소방포(20)의 2개의 인출끈(22) 중 어느 하나의 인출끈을 잡아 당겨 소방포(20)를 케이스(10)로부터 빼내어 사용함이 용이하다.
또한, 예를 들어 당김끈(112)이 훼손되어 있더라도 상기 2개의 인출끈(22)을 이용하여 소방포(20)를 케이스(10)의 수용공간부(13)로부터 빼낼 수 있어 화재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후면부
12 : 전면부 13 : 수용공간부
14 : 개방부 15 : 가장자리마감부
16 : 연결부 17 : 연결고리
18 : 제1벨크로테잎 19 : 제2벨트로테잎
20 : 소방포 21 : 실리콘코팅층
22 : 인출끈 111 : 개폐면
112 : 당김끈 121 : 찢어짐방지부

Claims (2)


  1. 화재발생시에 대피자가 덮거나 또는 화재현장을 덮는 소방포와 이 소방포를 수용 보관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소방포 포장체에 있어서,
    케이스(10)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개폐면(111)과 상기 개폐면(111)의 하단에 당김끈(112)이 구비되는 후면부(11)와;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깨짐이 방지되도록 직물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지되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을 덮지 않도록 포개어지며 하단에 찢어짐을 방지하는 찢어짐방지부(121)가 구비되는 전면부(12)와;
    상기 후면부(11)와 상기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부(13)와;
    상기 수용공간부(13)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폐면(111)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개방부(14)와;
    상기 후면부(11)의 테두리 전체와, 이 후면부(11)의 전면에 포개어진 상기 전면부(12)의 찢어짐방지부를 제외한 테두리 전체가 서로 동일 단부를 갖도록 겹쳐진 상태에서 이들 양 테두리를 디귿자 형상으로 감싸 덮어 재봉작업에 의해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테두리를 연결하는 가장자리마감부(15)와;
    상기 후면부(11)의 상단에 구비되되 상기 후면부(11)와 전면부(12)의 상단 테두리와 겹쳐진 상태에서 이들 단부를 상기 가장자리마감부(15)가 감싸 덮어 재봉작업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16) 및 상기 연결부(16)의 타단부에 끼움 구비되는 연결고리(17)와;
    상기 전면부(12)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18)과 상기 후면부(11)의 개폐면(1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탈부착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부착될 때 상기 개방부(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벨크로테잎(18)과 분리될 때 개방부(14)를 개방하는 제2벨크로테잎(19)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소방포(20)는,
    상기 케이스(10)의 후면부(11)와 전면부(12) 사이에 위치되는 수용공간부(13)에 넣어져 수용되되, 표면에 실리콘코팅층(21)이 더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포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포(20)에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인출끈(22)이 더 연결되되,
    상기 2개의 인출끈이 상기 개폐면(111)의 외측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2개의 인출끈(22) 중 어느 하나의 인출끈을 상기 개폐면(111)의 하부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면(111)에 구비되는 제2벨크로테잎(19)이 상기 전면부의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제1벨크로테잎(18)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부(13)에 수용된 소방포가 상기 개방부(14)로부터 빠져나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포 포장체.
KR2020150003500U 2015-06-01 2015-06-01 소방포 포장체 KR200482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00U KR200482011Y1 (ko) 2015-06-01 2015-06-01 소방포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500U KR200482011Y1 (ko) 2015-06-01 2015-06-01 소방포 포장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11Y1 true KR200482011Y1 (ko) 2016-12-08

Family

ID=5757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500U KR200482011Y1 (ko) 2015-06-01 2015-06-01 소방포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352A (ko) 2021-05-11 2022-11-18 이용권 소방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102551591B1 (ko) 2022-07-27 2023-07-04 이용권 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20240032390A (ko) 2022-09-02 2024-03-12 이용권 고체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772A (ja) * 1989-07-11 1991-02-27 Toray Ind Inc 縫製品のアタリ解消方法およびアタリ解消用具
JPH0629830U (ja) * 1992-09-30 1994-04-19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防炎シート
JPH0759872A (ja) * 1993-08-30 1995-03-07 Kuramoto Sangyo:Kk 非常用器具携行鞄
KR20080033251A (ko) 2005-06-09 2008-04-16 골드샤이더 리카르도 그로스만 화재로부터 인명, 가구 및 재산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내화 담요
KR200465622Y1 (ko) 2010-11-12 2013-03-04 (주)에이큐에스 소방담요 포장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772A (ja) * 1989-07-11 1991-02-27 Toray Ind Inc 縫製品のアタリ解消方法およびアタリ解消用具
JPH0629830U (ja) * 1992-09-30 1994-04-19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防炎シート
JPH0759872A (ja) * 1993-08-30 1995-03-07 Kuramoto Sangyo:Kk 非常用器具携行鞄
KR20080033251A (ko) 2005-06-09 2008-04-16 골드샤이더 리카르도 그로스만 화재로부터 인명, 가구 및 재산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내화 담요
KR200465622Y1 (ko) 2010-11-12 2013-03-04 (주)에이큐에스 소방담요 포장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352A (ko) 2021-05-11 2022-11-18 이용권 소방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102551591B1 (ko) 2022-07-27 2023-07-04 이용권 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20240032390A (ko) 2022-09-02 2024-03-12 이용권 고체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011Y1 (ko) 소방포 포장체
KR20170048809A (ko) 산소공급이 가능한 휴대용 방연 및 단열, 두건형태의 마스크
KR200465622Y1 (ko) 소방담요 포장체
KR20170104261A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KR102360322B1 (ko) 소방용 방화문 구조
KR200388729Y1 (ko)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US20170120834A1 (en) Fire Truck Hose Bed Cover and Personnel Safety Barrier
JP5744565B2 (ja) 消火栓装置
CN114667170B (zh) 灭火器具、灭火设备以及灭火方法
KR101446544B1 (ko) 구조효율성을 높인 소방복
KR102084984B1 (ko) 추락방지 건축물용 비상구
KR20200003668A (ko) 화재 및 재난용 안전키트 케이스
JP3215058U (ja) 消火器運搬用リュックサック
KR20220014249A (ko) 투척식 소화기
KR20170001849U (ko) 후드가 부착된 커버형 소방담요
KR102231927B1 (ko) 투입식 식용유 화재용 소화장치
KR20180000441A (ko) 소방복
JP2018143685A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CN207605249U (zh) 一种高层建筑火灾救援装置
KR20200026530A (ko) 지진대비용 보호판이 저면에 장착된 책상 및 걸상
CN107812330A (zh) 一种高层建筑火灾救援装置
CN212090591U (zh) 一种建筑用消防柜
KR200401577Y1 (ko) 방화 텐트
US7251841B2 (en) Integrated facemask firefighting hood packing system
JP2022107080A (ja) 消火器具及び消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