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22Y1 - 소방담요 포장체 - Google Patents

소방담요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22Y1
KR200465622Y1 KR2020100011697U KR20100011697U KR200465622Y1 KR 200465622 Y1 KR200465622 Y1 KR 200465622Y1 KR 2020100011697 U KR2020100011697 U KR 2020100011697U KR 20100011697 U KR20100011697 U KR 20100011697U KR 200465622 Y1 KR200465622 Y1 KR 200465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blanket
blanket
openabl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50U (ko
Inventor
이윤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큐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6126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562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큐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큐에스
Priority to KR202010001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62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65D75/56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hook-and-loop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ackag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담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벽면에 돌출되어 삽입되는 못 등의 걸림 구조체에 걸기 위한 걸림홈(13)을 외면에 구비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외면 중 적어도 일면(15)은 외력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부(10) 및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개방 가능한 일면(15)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끈(21, 22)을 구비하는 소방담요(20)를 포함하는 소방담요 포장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소방담요 포장체{PACKAGE FOR FIRE BLANKET}
본 고안은 소방담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로 노출되고 화재시 신속하고도 손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소방담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초기 진압의 중요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소방담요는 화재 발생시 초기에 화재 현장을 덮어 산소 공급을 중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불연성 소재로 형성된 천 조각이다. 주방에서 가스렌지를 사용하다가 불이 발생한 경우 소방담요로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진화하거나, 사람의 옷에 불이 옮겨 붙은 경우 몸에 소방담요를 둘러 옷에 옮겨 붙은 불을 끄거나, 화재시 복도 등의 비상구로 대피할 필요가 있을 경우 소방담요를 감싼 상태에서 대피하면 화재로 인한 피부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활 소방담요는 둥근 형태, 직사각 형태 또는 정사각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통상 지하철 역 등의 캐비넷 내에 포개어진 상태로 놓여져서 보관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캐비넷 내에 포개어진 상태로 보관하는 소방담요는 화재 발생시 초기 대응에 따라 신속하게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지하철역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소방담요가 보관되어 있는 캐비넷을 찾은 후, 캐비넷의 뚜껑을 연 후에 포개어진 소방담요를 펼친 후 화재 진압에 사용하여야 한다. 캐비넷 내에 소방담요를 보관할 경우 외부에서 손쉽게 노출되지 못하므로 화재 발생시 당황한 사용자들이 용이하게 이를 인지할 수가 없게 된다. 당황한 사람들은 논리적인 사고력이 약해지는 경향이 잇어 캐비넷 내에 소방담요가 있다는 사실조차도 파악하기 어려워 초기에 적절히 대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캐비넷 외부에 부착하고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노출끈을 구비하는 소방담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벽면에 돌출되어 삽입되는 못 등의 걸림 구조체에 걸기 위한 걸림홈을 외면에 구비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은 외력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장체;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개방 가능한 일면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끈을 구비하는 소방담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담요 포장체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하우징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플라스틱 재로 형성하고 개방 가능한 일 면은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는 뚜껑에 의해 형성하거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연성의 PVC 재질로 형성하고 개방 가능한 일면은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우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방담요 또는 인출끈의 재질로는 불연재 또는 난연재로 널리 알려진 유리섬유 또는 실리카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하우징부 전면에는 정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로 소방담요가 배치되어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식자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소방담요 포장체는 외부 벽면에 삽입된 못 등에 용이하게 걸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노출이 쉽고 또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인출끈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이용하여 손쉽게 소방담요를 꺼낼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어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소방담요 포장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소방담요 포장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펼친 상태의 소방담요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소방담요 포장체의 사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소방담요 포장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사시도이다. 내부에 빈 공간으로 구비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박스형의 하우징부(10)가 구비되고, 하우징부(10)의 후면에는 건축물의 벽면 등에 삽입되는 못 등에 걸기 위한 걸림홈(13)이 구비되고, 전면에는 정전 중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로 표시된 표식자(11)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도 1에서는 표식자로 "소방포"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박스형 하우징부(10)의 밑면(15)은 외력에 의해 손쉽게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하였는데 도 1의 예에서는 밑면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는 뚜껑(17)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개방 가능한 면은 반드시 하우징부(10)의 밑면(15)일 필요는 없으며 박스형 하우징부(10)의 좌측면, 우측면, 또는 상면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지지력을 제공하는 걸림홈(13)의 위치를 고려할 때 밑면(15)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개방 가능한 일면으로 밑면(15)을 사용하였다. 하우징부(10)의 내부 빈 공간에는 소방담요(20)가 포개어진 상태로 삽입된다. 삽입되는 소방담요(20)의 일면에는 인출끈(21, 22)이 설치되며, 설치된 인출끈(21, 22)은 개방 가능한 일면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도록 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박스형 하우징부(10)는 딱딱한 PVC 재질로 형성하였다. 바람직하게는 화재에도 잘 타지 않은 내열성 플라스틱 또는 난연성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방담요(2)는 유리섬유 또는 실리카 재질로 형성하며, 펼쳤을 때 직사각형, 원형 또는 정사각형 등의 여러 가지 형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펼친 상태의 소방담요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담요(20)의 일측 변 부근에는 박음질로 인출끈(21, 22)을 설치하였다. 인출끈(21, 22)은 상면에 소방담요(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모두 박음질하거나 하나의 인출끈(21)은 상면에 박음질하고, 나머지 하나의 인출끈(22)은 하면에 박음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출끈(21, 22)의 재질도 난연재인 유리섬유 또는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방담요 포장체를 설치하는 순서는 먼저 밑면 뚜껑(17)을 개방한 후, 잘 포개어진 소방담요(20)를 하우징부(10)의 빈 공간에 삽입한다. 삽입 후, 인출끈(21, 22)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밑면 뚜껑(17)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닫는다. 이후, 조립된 소방담요 포장체를 벽면에 설치된 못 등에 걸면 설치가 완료된다.
도 2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화재를 진압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된 인출끈(21, 22)을 힘을 주면서 아랫 방향으로 당기면 밑면 뚜껑(17)이 하우징부(10)로부터 이탈되면서 내부에 있는 소방담요(20)를 꺼내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소방담요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소방담요 포장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연성의 비닐재 또는 연성의 PVC재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연성의 하우징부(30)를 갖는 소방담요 포장체는 개방 가능한 일면에 똑딱이 단추(19), 벨크로우를 설치하여 약한 외부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도 쉽게 개방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고안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을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 30: 하우징부 11: 표식자
13: 걸림홈 15: 개방 가능한 일 면
17: 뚜껑 19: 똑딱이 단추
20: 소방담요 21, 22: 인출끈

Claims (6)

  1. 벽면에 돌출되는 못을 포함한 걸림 구조체에 걸기 위한 걸림홈(13)을 외면에 구비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외면 중 적어도 일면(15)은 외력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부(10);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개방 가능한 일면(15)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끈(21, 22)을 구비하는 소방담요(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담요 포장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 가능한 일 면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 뚜껑(1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담요 포장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가능한 일면에는 똑딱이 단추(19) 또는 벨크로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담요 포장체.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담요(20)는 유리섬유 또는 실리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담요 포장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가능한 일 면(15)은 상기 하우징부의 밑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담요 포장체.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 전면에는 정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형광물질로 표시된 표식자(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담요 포장체.
KR2020100011697U 2010-11-12 2010-11-12 소방담요 포장체 KR200465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97U KR200465622Y1 (ko) 2010-11-12 2010-11-12 소방담요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97U KR200465622Y1 (ko) 2010-11-12 2010-11-12 소방담요 포장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50U KR20120003550U (ko) 2012-05-22
KR200465622Y1 true KR200465622Y1 (ko) 2013-03-04

Family

ID=4661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97U KR200465622Y1 (ko) 2010-11-12 2010-11-12 소방담요 포장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2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11Y1 (ko) 2015-06-01 2016-12-08 권준구 소방포 포장체
KR20220153352A (ko) 2021-05-11 2022-11-18 이용권 소방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20230008500A (ko) * 2021-07-07 2023-01-16 강원식 시인성이 향상된 재난대비용 포대자루
KR102551591B1 (ko) 2022-07-27 2023-07-04 이용권 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20240032390A (ko) 2022-09-02 2024-03-12 이용권 고체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872A (ja) * 1993-08-30 1995-03-07 Kuramoto Sangyo:Kk 非常用器具携行鞄
JPH09276429A (ja) * 1996-04-09 1997-10-28 Tsutomu Yuasa 瞬間消火用具
JP2005323811A (ja) 2004-05-14 2005-11-24 Hochiki Corp 消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872A (ja) * 1993-08-30 1995-03-07 Kuramoto Sangyo:Kk 非常用器具携行鞄
JPH09276429A (ja) * 1996-04-09 1997-10-28 Tsutomu Yuasa 瞬間消火用具
JP2005323811A (ja) 2004-05-14 2005-11-24 Hochiki Corp 消火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11Y1 (ko) 2015-06-01 2016-12-08 권준구 소방포 포장체
KR20220153352A (ko) 2021-05-11 2022-11-18 이용권 소방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20230008500A (ko) * 2021-07-07 2023-01-16 강원식 시인성이 향상된 재난대비용 포대자루
KR102633037B1 (ko) * 2021-07-07 2024-02-02 강원식 시인성이 향상된 재난대비용 포대자루
KR102551591B1 (ko) 2022-07-27 2023-07-04 이용권 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KR20240032390A (ko) 2022-09-02 2024-03-12 이용권 고체에어로졸 소화포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50U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622Y1 (ko) 소방담요 포장체
US20140202721A1 (en) Fire retardant and smoke-guard door barrier
CN102728012B (zh) 多功能高层建筑地震和火灾避险救生舱系统
JP2012235910A (ja) 消火栓装置
JP2005323811A (ja) 消火装置
CN203264095U (zh) 一种火灾应急包
KR200482011Y1 (ko) 소방포 포장체
KR20200003668A (ko) 화재 및 재난용 안전키트 케이스
KR101872258B1 (ko) 마스크 보관함
JP2011206087A (ja) 自動落下式消火弾
CN211230116U (zh) 一种阻燃防火门装置
KR20130058290A (ko) 대피용 간이 방화복
CN209828023U (zh) 一种火灾应急救生衣
CN201603314U (zh) 火灾逃生服套装
CN212090591U (zh) 一种建筑用消防柜
CN205323054U (zh) 一种固定式挡烟垂壁
KR200454319Y1 (ko) 원터치식 방염 및 방연 아라미드 텐트
CN209075895U (zh) 一种防火逃生毯
KR20200026530A (ko) 지진대비용 보호판이 저면에 장착된 책상 및 걸상
CN203196179U (zh) 灭火器的结构改良
KR101368739B1 (ko) 방호용품이 수납된 상비용 쿠션
CN216536609U (zh) 一种消防工程用耐高温防护服
CN216536608U (zh) 一种具有可拆内胆防护层的阻燃服
CN213698613U (zh) 一种火灾逃生智能校服
CN207980200U (zh) 高层楼房多功能逃生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23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125

Effective date: 2016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