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22B1 - 소방용 방화문 구조 - Google Patents

소방용 방화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322B1
KR102360322B1 KR1020210065143A KR20210065143A KR102360322B1 KR 102360322 B1 KR102360322 B1 KR 102360322B1 KR 1020210065143 A KR1020210065143 A KR 1020210065143A KR 20210065143 A KR20210065143 A KR 20210065143A KR 102360322 B1 KR102360322 B1 KR 10236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stallation groove
bracket
hole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일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일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일씨엠
Priority to KR1020210065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방화문 주위로 대피를 이룬 사람이 방화막과 바닥보호수단을 통하여 화재의 열기로부터 임시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전면에 열림 가능하게 힌지를 통하여 방화문이 설치되고, 상기 방화문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은 상기 방화문의 상측에 형성되며 양측 단부와 인접한 전면에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상부설치홈과, 상기 상부설치홈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하단 전면에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하부설치홈으로 이루어진 설치프레임과, 상기 상부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며 전면에는 밸크로가 구비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밸크로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하부설치홈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으로 구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전면으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방화막과, 상기 방화막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화막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방화막, 유동브라켓이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될 시, 상기 설치홈의 전면을 가리도록 끼움 결합되고, 전면에는 복수개의 접힘홈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소방용 방화문 구조{FIRE DOOR IN BUILDING}
본 발명은 소방용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방화문 주위로 대피를 이룬 사람이 방화막과 바닥보호수단을 통하여 화재의 열기로부터 임시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소방용 방화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이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건축물 내의 화염과 열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조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화문은 건축물의 현관이나 출입구와 같이 사람이 이동을 이룰 수 있는 건축물의 통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사람이 이동을 이룰 수 있는 통로로 사용이 이루어지다가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화재와 열기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예컨대, 위와 같은 종래의 방화문 구조들은 문헌(1)에서와 같이, 방화문이 설치된 위치로 화재와 열기가 전달되는 경우에도 방화문의 구조를 통하여 화재의 열기와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방화문은 대개, 화재에 강하며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단열재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 적인 것이다.
그러나 문헌(1)과 같은 종래의 방화문 구조들은 건축물에 발생 된 화재의 열기와 연기를 차단하고자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방화문의 방향으로 대피를 이루고자 하는 사람들이 몰리는 경우에는 대피공간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러한 경우에는 되려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605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 되는 경우에도 방화문의 주위로 몰린 사람들이 대피를 이룰 수 있는 대피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평상시에는 설치프레임의 설치홈에 위치된 방화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화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설치홈에서 방화막을 손쉽게 인출하여 사람이 대피를 이룰 수 있는 대피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설치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닥보호수단의 구성을 통하여 방화막이 펼쳐진 바닥면의 열기로 방화막의 내측에 위치된 사람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화막의 주위로 몰린 사람들이 더욱 안정적인 대피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고정브라켓과 유동브라켓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프레임의 설치홈에 위치된 방화막이 방화문의 전면으로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하여,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열림 가능하게 힌지를 통하여 방화문이 설치되고, 상기 방화문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설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은 상기 방화문의 상측에 형성되며 양측 단부와 인접한 전면에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상부설치홈과, 상기 상부설치홈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하단 전면에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하부설치홈으로 이루어진 설치프레임과, 상기 상부설치홈에 삽입 설치되며 전면에는 밸크로가 구비된 상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 및 제2결합공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밸크로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하부설치홈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으로 구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전면으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대피공간을 형성하는 방화막과, 상기 방화막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화막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공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하여 상기 고정공을 중심으로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 방화막, 유동브라켓이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설치될 시, 상기 설치홈의 전면을 가리도록 끼움 결합되고, 전면에는 복수개의 접힘홈이 형성된 덮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브라켓은 일측에 작동고리와 작동줄로 구성된 작동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판은 전면에 당김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당김수단은 상기 덮개판의 상측 전면에 구비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와 이격되게 덮개판의 하측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고리에 감기는 당김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기 방화문과 인접한 하단 전면으로 양측 단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끼움돌기가 양측 단부에 구비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의 외측에 감겨 일단이 상기 삽입홈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화깔판과, 상기 삽입홈의 전면에 끼움 결합되며 전면에는 접힘홈을 갖는 하부덮개로 구성된 바닥보호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건축물에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방화문의 주위로 몰린 사람들이 대피를 이룰 수 있는 대피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평상시에는 설치프레임의 설치홈에 위치된 방화막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화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는 설치홈에서 방화막을 손쉽게 인출하여 사람이 대피를 이룰 수 있는 대피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설치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닥보호수단의 구성을 통하여 방화막이 펼쳐진 바닥면의 열기로 방화막의 내측에 위치된 사람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화막의 주위로 몰린 사람들이 더욱 안정적인 대피를 이룰 수 있다.
넷째, 고정브라켓과 유동브라켓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프레임의 설치홈에 위치된 방화막이 방화문의 전면으로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하여,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에서도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가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의 덮개판이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의 바닥보호수단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소방용 방화문 구조의 방화막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에 열림 가능하게 힌지(h)를 통하여 방화문(1)이 설치되고, 상기 방화문(1)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설치홈(11)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11)은 상기 방화문(1)의 상측에 형성되며 양측 단부와 인접한 전면에는 제1결합공(11a-1)이 형성된 상부설치홈(11a)과, 상기 상부설치홈(11a)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는 고정공(11b-1)이 형성되고 하단 전면에는 제2결합공(11b-2)이 형성된 하부설치홈(11b)으로 이루어진 설치프레임(10)과, 상기 상부설치홈(11a)에 삽입 설치되며 전면에는 밸크로(23)가 구비된 상부브라켓(21)과, 상기 상부브라켓(21)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11a-1) 및 제2결합공(11b-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연결공(22a)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밸크로(23)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22)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하부설치홈(11b)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22)으로 구성된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11)에 설치된 고정브라켓(20)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전면으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대피공간(31)을 형성하는 방화막(30)과, 상기 방화막(3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화막(30)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공(11b-1)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4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고정공(11b-1)을 중심으로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브라켓(40)과, 상기 고정브라켓(20), 방화막(30), 유동브라켓(40)이 상기 설치홈(11)의 내측에 설치될 시, 상기 설치홈(11)의 전면을 가리도록 끼움 결합되고, 전면에는 복수개의 접힘홈(51)이 형성된 덮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프레임(10)은 방화문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 중심 부위에는 힌지(h)를 통하여 방화문이 계폐 가능하게 설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10)은 상기 방화문(1)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홈(11)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설치홈(11)은 상부설치홈(11a)과 하부설치홈(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설치홈(11a)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화문(1)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며, 양측 단부와 인접한 전면에는 제1결합공(11a-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설치홈(11b)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설치홈(11a)의 양측 단부에서 설치프레임(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는 고정공(11b-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하단 전면에는 제2결합공(11b-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즉, 상기 상부설치홈(11a)과 하부설치홈(11b)이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된 방화문(1)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고정브라켓(20), 방화막(30), 유동브라켓(40)이 설치홈(1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홈(11)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설치홈(11a)에 삽입 설치되는 상부브라켓(21)과, 상기 상부브라켓(21)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설치홈(11b)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2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브라켓(21)과 하부브라켓(22)은 상기 하부브라켓(22)에 형성된 복수개의 연결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설치홈(11)의 내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화막(3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0)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전면 방향으로 펼침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방화막(30)의 후면이 상기 상부브라켓(21)과 하부브라켓(22)에 구비된 복수개의 밸크로(23)를 통하여 고정브라켓(20)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을 이루는 것이며,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화막(30)이 설치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쳐지는 경우에는 내측에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대피공간(3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방화막(30)은 화재의 열기로부터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난연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주름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서, 접거나 펼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화막(30)은 상기 고정브라켓(2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밸크로(23)와 부착되는 복수개의 부착밸크로(미도시)가 상기 밸크로(23)와 대응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이 이루어진 방화막(30)을 교체하거나, 노후가 된 방화막(30)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손쉬운 교체와 사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브라켓(40)은 상기 방화막(30)의 전면에 후면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유동브라켓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동브라켓(40)의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방화막(30)이 설치프레임(10)의 전면으로 펼쳐지며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브라켓(40)은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41)에 체결되는 볼트(P)가 상기 하부설치홈(11b)의 고정공(11b-1)에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동브라켓(40)의 하단이 상기 고정공(11b-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동브라켓(40)의 하단이 하부설치홈(11b)의 고정공(11b-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을 이룸으로써, 상기 상부설치홈(11a)에 삽입되게 설치된 유동브라켓(40)의 상부가 상기 고정공(11b-1)을 중심으로 회전을 이루며 상부설치홈(11b)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브라켓(40)은 일측에 작동고리(42a)와 작동줄(42b)로 구성된 작동수단(42)이 더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줄(42b)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설치프레임(10)의 전면 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부설치홈(11a)에 위치된 유동브라켓(40)의 상부가 상부설치홈(11a)에서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유동브라켓(40)의 후면에 결합을 이룬 방화막(30)이 상부설치홈(11a)에서 인출되며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50)은 상기 고정브라켓(20), 방화막(30), 유동브라켓(40)이 상기 설치홈(1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설치홈(11)의 전면에 끼움 결합되어 설치홈(11)의 내측에 위치된 고정브라켓(20), 방화막(30), 유동브라켓(4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전면에 복수개의 접힘홈(5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판(50)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전면에 당김수단(52)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당김수단(52)은 상기 덮개판(50)의 상측 전면에 구비되는 연결고리(52a)와, 상기 연결고리(52a)와 이격되게 덮개판(50)의 하측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고리(52b)와, 상기 연결고리(52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고리(52b)에 감기는 당김줄(52c)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 되는 경우, 사용자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고리(52b)에 감겨있는 당김줄(52c)을 분리시킨 후, 당김줄(52c)을 설치프레임(10)의 전면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설치홈(11)에 끼움 결합 된 덮개판(50)이 접힘홈(51)을 따라 접혀지며 설치홈(11)에서 분리되게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화재와 같은 긴급상황 시에도 사용자가 상기 설치홈(11)에서 덮개판(50)을 용이하게 분리시킨 후, 상기 유동브라켓(40)에 구비된 작동수단(42)의 작동줄(42b)을 당겨, 설치프레임(10)의 전면으로 방화막(30)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10)은 상기 방화문(1)과 인접한 하단 전면으로 양측 단부에 삽입공(13a)이 형성된 삽입홈(13)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13)에는 상기 삽입공(13a)에 삽입되는 끼움돌기(61a)가 양측 단부에 구비된 회전롤러(61)와, 상기 회전롤러(61)의 외측에 감겨 일단이 상기 삽입홈(13)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화깔판(62)과, 상기 삽입홈(13)의 전면에 끼움 결합되며 전면에는 접힘홈(63a)을 갖는 하부덮개(63)로 구성된 바닥보호수단(6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42)의 작동줄(42b)을 사용자가 당겨, 설치프레임(10)의 전면으로 방화막(30)이 펼쳐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기 삽입홈(13)의 내측에 위치된 방화깔판(62)이 삽입홈(13)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당겨 펼침으로써, 방화막(30)이 펼쳐진 바닥면에도 방화깔판(62)이 펼쳐져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삽입홈(13)에 끼움 결합 된 하부덮개(63)의 접힘홈(63a)을 사용자가 발로 차거나 충격을 가하여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13)과 하부덮개(63)가 분리되도록 한 후에, 상기 방화깔판(62)이 삽입홈(13)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당겨 바닥면에 펼쳐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방화막(30)이 펼쳐진 바닥면에 대피를 이루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화재로 인한 바닥면의 열기에 의해 방화막(30)의 대피공간(31)에 위치한 사람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대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방화문 10: 설치프레임
11: 설치홈 11a: 상부설치홈
11a-1: 제1결합공 11b: 하부설치홈
11b-1: 고정공 11b-2: 제2결합공
13: 삽입홈 13a: 삽입공
20: 고정브라켓 21: 상부브라켓
22: 측면브라켓 22a: 연결공
23: 밸크로 30: 방화막
31: 대피공간 40: 유동브라켓
41: 관통공 42: 작동수단
42a: 작동고리 42b: 작동줄
50: 덮개판 51,63a: 접힘홈
52: 당김수단 52a: 연결고리
52b: 고정고리 52c: 당김줄
60: 바닥보호수단 61: 회전롤러
61a: 끼움돌기 62: 방화깔판
63: 하부덮개 P: 볼트

Claims (3)

  1. 전면에 열림 가능하게 힌지(h)를 통하여 방화문(1)이 설치되고, 상기 방화문(1)의 상측과 양측을 감싸도록 설치홈(11)이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11)은 상기 방화문(1)의 상측에 형성되며 양측 단부와 인접한 전면에는 제1결합공(11a-1)이 형성된 상부설치홈(11a)과, 상기 상부설치홈(11a)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단과 인접한 측면에는 고정공(11b-1)이 형성되고 하단 전면에는 제2결합공(11b-2)이 형성된 하부설치홈(11b)으로 이루어진 설치프레임(10)과,
    상기 상부설치홈(11a)에 삽입 설치되며 전면에는 밸크로(23)가 구비된 상부브라켓(21)과, 상기 상부브라켓(21)의 양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공(11a-1) 및 제2결합공(11b-2)과 대응되는 부위에는 복수개의 연결공(22a)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밸크로(23)가 구비된 한 쌍의 측면브라켓(22)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공(22a)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하부설치홈(11b)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브라켓(22)으로 구성된 고정브라켓(20)과,
    상기 고정브라켓(2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11)에 설치된 고정브라켓(20)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전면으로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대피공간(31)을 형성하는 방화막(30)과,
    상기 방화막(30)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화막(30)의 전면에 후면이 부착되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공(11b-1)과 대응되는 하단에는 볼트(P)가 결합되는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41)에 체결되는 볼트(P)를 통하여 상기 고정공(11b-1)을 중심으로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브라켓(40)과,
    상기 고정브라켓(20), 방화막(30), 유동브라켓(40)이 상기 설치홈(11)의 내측에 설치될 시, 상기 설치홈(11)의 전면을 가리도록 끼움 결합되고, 전면에는 복수개의 접힘홈(51)이 형성된 덮개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동브라켓(40)은 일측에 작동고리(42a)와 작동줄(42b)로 구성된 작동수단(4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판(50)은 전면에 당김수단(5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당김수단(52)은
    상기 덮개판(50)의 상측 전면에 구비되는 연결고리(52a)와, 상기 연결고리(52a)와 이격되게 덮개판(50)의 하측 전면에 구비되는 고정고리(52b)와, 상기 연결고리(52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고리(52b)에 감기는 당김줄(52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방화문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0)은
    상기 방화문(1)과 인접한 하단 전면으로 양측 단부에 삽입공(13a)이 형성된 삽입홈(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에는 상기 삽입공(13a)에 삽입되는 끼움돌기(61a)가 양측 단부에 구비된 회전롤러(61)와, 상기 회전롤러(61)의 외측에 감겨 일단이 상기 삽입홈(13)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방화깔판(62)과, 상기 삽입홈(13)의 전면에 끼움 결합되며 전면에는 접힘홈(63a)을 갖는 하부덮개(63)로 구성된 바닥보호수단(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방화문 구조.
KR1020210065143A 2021-05-21 2021-05-21 소방용 방화문 구조 KR10236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43A KR102360322B1 (ko) 2021-05-21 2021-05-21 소방용 방화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43A KR102360322B1 (ko) 2021-05-21 2021-05-21 소방용 방화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322B1 true KR102360322B1 (ko) 2022-02-09

Family

ID=8026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143A KR102360322B1 (ko) 2021-05-21 2021-05-21 소방용 방화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3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725A (ko) 2022-03-28 2023-10-05 합자회사 원진설비 화재로 인한 연기흡입 기능을 갖는 소방용 방화문구조
KR102593689B1 (ko) * 2023-01-10 2023-10-25 (주)중앙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68Y1 (ko) 2004-06-12 2004-08-30 이명현 방화문의 구조
KR101950172B1 (ko) * 2018-08-27 2019-02-21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KR102084984B1 (ko) * 2018-09-10 2020-03-05 대한민국 추락방지 건축물용 비상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568Y1 (ko) 2004-06-12 2004-08-30 이명현 방화문의 구조
KR101950172B1 (ko) * 2018-08-27 2019-02-21 (주)한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KR102084984B1 (ko) * 2018-09-10 2020-03-05 대한민국 추락방지 건축물용 비상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725A (ko) 2022-03-28 2023-10-05 합자회사 원진설비 화재로 인한 연기흡입 기능을 갖는 소방용 방화문구조
KR102593689B1 (ko) * 2023-01-10 2023-10-25 (주)중앙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재 대응형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322B1 (ko) 소방용 방화문 구조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2026629B1 (ko) 건축물의 층간 화재 확산 차단장치
US11828070B2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101962656B1 (ko) 출입문이 구비된 고층 건물에서의 재난피난시설
KR101684335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036763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TW201700834A (zh) 防洪閘門
KR102150060B1 (ko) 건축물용 방화문
WO2019071963A1 (zh) 一种安全逃生系统
WO2018199495A1 (ko) 건물 대피용 복도식 안전난간
KR101892255B1 (ko) 화재 대피장치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CN110124221A (zh) 逃生组件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2320355B1 (ko) 소방용 방화문 구조
GB2444499A (en) Escape ladder unit
GB2449903A (en) Emergency escape ladder
KR102224323B1 (ko) 고층 건물에서의 화재 피난 장치
EP3488067B1 (en) Concertina smoke or fire barrier
CN216406607U (zh) 抗爆消防救援门
KR10118814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GB2176831A (en) Extendable lad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