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35Y1 - 회전식 문턱 - Google Patents

회전식 문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35Y1
KR200481835Y1 KR2020150004919U KR20150004919U KR200481835Y1 KR 200481835 Y1 KR200481835 Y1 KR 200481835Y1 KR 2020150004919 U KR2020150004919 U KR 2020150004919U KR 20150004919 U KR20150004919 U KR 20150004919U KR 200481835 Y1 KR200481835 Y1 KR 200481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hreshold
rotating
rotary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학석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어의 하단과 밀착 지지되고, 도어를 개방시에는 문턱이 회전되어 출입이나 운반수단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문턱이 설치된 상기 바닥면의 사면이 절단되어 형성되는 회전 바닥면; 상기 회전 바닥면의 양 측단과 그와 대응되는 바닥면에 상기 문턱이 하부 공간으로 회전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 바닥면의 전후단에 그 회전 바닥면을 회전 또는 지지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식 문턱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도어를 통하여 출입과 통행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운반수단의 통행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회전식 문턱{Rotary threshold}
본 고안은 회전식 문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어의 하단과 밀착 지지되고, 도어를 개방시에는 문턱이 회전되어 출입이나 운반수단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 회전식 문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수단의 일환인 도어는 크게 미닫이식과 여닫이식으로 구분된다.
미닫이식은 레일 상에서 하나 이상의 도어가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되는 방식을 말하며, 여닫이식은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개폐되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여닫이식은 기밀이 요구되는 냉동고 도어나 가스 등과 같은 위험지역에 설치되는 도어는 물론 화재 발생 시 연기 등의 전달을 차단하거나 소음 전달 등을 방지하는 장소에 많이 사용된다.
이렇게, 기밀이 요구되는 장소에 사용되는 도어의 하단에는 기밀을 위해 그 도어의 하단과 맞닿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 또는 데크 상에 문턱이 마련된다.
본원에서는 선박에 마련되는 도어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선박의 데크에 마련되는 도어와 맞닿도록 설치되는 통상적인 문턱은 선박의 규정(Rule & Requirement)에 따라 일정한 높이로 규정되어 있으며,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마련된 문턱으로 인해 도어를 통하여 출입하는 과정에서 통행자의 발에 걸려 간섭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손수레 등과 같은 운반수단을 사용하여 운반시에 문턱으로 인해 원활한 운반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8696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문틀의 하단 문턱을 없애고 방문이나 방화문, 강화문 등에 문턱을 설치하여 문을 닫을 때 자동으로 문턱이 하향으로 이동되어 문의 하단부 틈새를 자동으로 막아주는 문에 설치하는 문턱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065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문턱용 경사받침대에 의하면,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문을 출입할 때에 문턱에 걸려 넘어져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557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서 도어의 하단에 설치된 문턱이 도어와 연동으로 승강하도록 구성하여 폐쇄시 기밀 기능을 유지하고 개방시 통행 편의성을 향상하는 선박의 승선자 편의를 위한 문턱기구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8696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0653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55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복잡한 구조를 가짐은 물론 잦은 작동에 따른 그리 큰 실효성이 없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2는 문턱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출입시나 운반수단의 통행에 여전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3 또한 구조적인 측면에서 승강에 따른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우려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어의 하단과 밀착 지지되고, 도어를 개방시에는 문턱이 회전되어 출입이나 운반수단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한 회전식 문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회전과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출입이나 통행을 위해 마련된 도어의 하단이 맞닿아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바닥면(데크)으로 구비되는 회전식 문턱으로서, 상기 회전식 문턱은 그 문턱이 설치된 상기 바닥면의 사면이 절단되어 형성되는 회전 바닥면; 상기 회전 바닥면의 양 측단과 그와 대응되는 바닥면에 상기 문턱이 하부 공간으로 회전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 바닥면의 전후단에 그 회전 바닥면을 회전 또는 지지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 바닥면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대응되는 바닥면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바닥면의 밑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 바닥면의 밑면 또는 회전된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 바닥면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구이다.
상기 고정구는 바닥면의 밑면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 바닥면을 받쳐주는 지지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 바닥면에 구비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바닥면에 마련되는 왕복부재이다.
상기 회전식 문턱의 도어와 접하는 부분에는 도어의 표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갖도록 결합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기밀부재는 도어와 접촉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챔버에 의해 도어와 맞닿는 부분으로 복수의 요철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기밀부재는 도어외 접촉시 그 도어의 표면과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밀 리이브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어의 하단과 밀착 지지되고, 도어를 개방시에는 문턱이 회전되어 출입이나 운반수단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통하여 출입과 통행이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운반수단의 통행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회전과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과정없이 출입이나 통행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부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기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기밀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부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이나 통행을 위해 마련된 도어(110)의 하단이 맞닿아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바닥면(선박의 경우 데크, 100)으로 구비되는 회전식 문턱(1)을 제시한다.
본 고안은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어의 하단과 밀착 지지되고, 도어를 개방시에는 문턱이 회전되어 출입이나 운반수단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회전식 문턱(1)은 그 문턱(1)이 설치된 상기 바닥면(100)의 사면이 절단되어 형성되는 회전 바닥면(10)과; 상기 회전 바닥면(10)의 양 측단과 그와 대응되는 바닥면(100)에 상기 문턱(1)이 하부 공간으로 회전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20); 및 상기 회전 바닥면(10)의 전후단에 그 회전 바닥면(10)을 회전 또는 지지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문턱(1)의 도어(110)와 접하는 부분에는 도어(110)의 표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갖도록 결합되는 기밀부재(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는 통상의 합성수지인 고무나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과 같이 도어와 밀착되어 높은 기밀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회전식 문턱()에는 상기 기밀부재(40)가 결합되는 걸합홈(1a)을 포함한다.
회전 바닥면(10)의 절단은 문턱(1)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는 물론 회전시 바닥면과 간섭되지 않는 전후 폭을 갖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에 따라 평상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의 하단과 회전 바닥면 상에 구비된 문턱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에 의해 회전 바닥면의 밑면이 받쳐져 지지된 상태이다.
그리고 출입이나 통행이 요구될 경우 도어를 개방함과 동시에 고정부재를 회전 바닥면으로부터 해제시킴에 따라 자중에 의하여 회전부재를 통하여 회전 바닥면은 회전되면서 문턱은 하부 공간 측으로 위치한다. 이렇게, 문턱이 하부 공간 측으로 위치하게 되면 다시 고정부재가 회전된 회전 바닥면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회전된 회전 바닥면은 바닥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됨으로써, 문턱으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출입이나 통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운반수단을 사용하여 통행시에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출입이나 통행이 완료되어 다시 도어를 폐쇄 시키고자 할 때에는 회전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던 고정부재를 해제시켜 문턱이 다시 상부로 위치하도록 회전시킨 후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지지함으로써, 도어을 폐쇄시 그 도어의 하단이 문턱과 맞닿아 기밀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문턱에 구비되는 기밀부재는 도어의 표면과 밀착됨에 따라 높은 기밀성도 가진다.
이로써, 본 고안은 평상시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어의 하단이 문턱과 맞닿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출입이나 통행 시에는 문턱이 회전되어 하부로 위치함으로써, 출입이나 통행시 문턱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운반수단을 이용한 통행시에도 불편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원활하게 통행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회전부재(20)는 회전 바닥면(10)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22)과 대응되는 바닥면(100)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22)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 고정부(24)를 포함한다.
회전축(22)은 회전 바닥면(10)에 직접 혹은 플랜지 등을 형성하여 용접이나 혹은 통상의 브래킷 등에 의해 형성된다.
삽입 고정부(24)는 바닥면(100)에 일체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되는 홈이나 브래킷 또는 통상적인 홀더 등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회전력을 더욱더 원활하게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축과 삽입 고정부 사이에 통상적인 베어링을 마련함으로써, 회전 바닥면이 회전시 더욱덩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고정부재(30)는 바닥면(100)의 밑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 바닥면(10)의 밑면 또는 회전된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 바닥면(1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구(32)이다. 이때, 상기 고정구(32)는 바닥면(100)의 밑면에 공지된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는 브래킷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회전 바닥면(10)을 받쳐주는 지지축(34)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회전 바닥면의 밑면 또는 회전된 상면을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축을 브래킷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받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전 바닥면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에 따라 회전 바닥면을 회전시나 회전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출입이나 통행이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는 전술한 형태가 아니라 공지된 기술적 구성에 의해 더욱더 간편하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재(30)는 회전 바닥면(10)에 구비되는 삽입홀(36), 상기 삽입홀(36)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바닥면에 마련되는 왕복부재(38)이다.
삽입홀(36)은 회전 바닥면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플랜지에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홀이 형성된 브래킷을 회전 바닥면에 장착시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왕복부재(38)는 공지된 것으로 실린더나 솔레노이드밸브 등과 같은 로드가 상기 삽입홀로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는 어떠한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왕복부재는 공지된 스위치 등과 같이 연결되어 출입자 또는 통행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 바닥면을 회전 후 고정시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한편, 회전식 문턱에 마련된 기밀부재(40)에는 더욱더 높은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도어(110)와 접촉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챔버(42)에 의해 도어와 맞닿는 부분으로 복수의 요철부(44)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기밀부재는 도어의 표면과 복수의 요철부가 서로 선접촉됨으로써, 도어와 문턱 사이의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기밀부재(40)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부재(40)는 도어(110)와 접촉시 그 도어(110)의 표면과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밀 리이브(46)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도어의 표면과 기밀부재의 복수의 기밀 리이브가 밀착됨으로써, 이 또한 높은 기밀성을 가진다.
1 : 회전식 문턱
10 : 회전 바닥면 20 : 회전부재
22 : 회전축 24 : 삽입 고정부
30 : 고정부재 32 : 고정구
34 : 지지축 36 : 삽입홀
38 : 왕복부재 40 : 기밀부재
42 : 챔버 44 : 요철부
46 : 기밀 리이브
100 : 바닥면 110 : 도어

Claims (8)

  1. 출입이나 통행을 위해 마련된 도어의 하단이 맞닿아 기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부에 공간이 형성된 바닥면(데크)으로 구비되는 회전식 문턱으로서,
    상기 회전식 문턱은 그 문턱이 설치된 상기 바닥면의 사면이 절단되어 형성되는 회전 바닥면;
    상기 회전 바닥면의 양 측단과 그와 대응되는 바닥면에 상기 문턱이 하부 공간으로 회전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 바닥면의 전후단에 그 회전 바닥면을 회전 또는 지지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 바닥면의 양 측단에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대응되는 바닥면의 양측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바닥면의 밑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 바닥면의 밑면 또는 회전된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 바닥면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바닥면의 밑면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회전 바닥면을 받쳐주는 지지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 바닥면에 구비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바닥면에 마련되는 왕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문턱의 도어와 접하는 부분에는 도어의 표면과 밀착되어 기밀성을 갖도록 결합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도어와 접촉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챔버에 의해 도어와 맞닿는 부분으로 복수의 요철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도어외 접촉시 그 도어의 표면과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밀 리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문턱.
KR2020150004919U 2015-07-21 2015-07-21 회전식 문턱 KR200481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919U KR200481835Y1 (ko) 2015-07-21 2015-07-21 회전식 문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919U KR200481835Y1 (ko) 2015-07-21 2015-07-21 회전식 문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35Y1 true KR200481835Y1 (ko) 2016-11-16

Family

ID=5770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919U KR200481835Y1 (ko) 2015-07-21 2015-07-21 회전식 문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35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493U (ko) * 1985-05-01 1986-11-12
JPH0673963A (ja) * 1992-06-30 1994-03-15 Misawa Homes Co Ltd サッシ枠と窓枠との水密パッキン
KR20010086961A (ko) 2000-03-06 2001-09-15 허상은 문의 문턱장치
JP2002339668A (ja) * 2001-05-14 2002-11-27 Akira Ohata 敷居構造
KR20130002514A (ko) * 2011-06-29 2013-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개폐 가능한 문지방을 갖춘 풍우밀 도어 장치
KR101340653B1 (ko) 2012-04-05 2013-12-10 한종윤 문턱용 경사받침대
KR20150000557U (ko) 2013-07-26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승선자 편의를 위한 문턱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1493U (ko) * 1985-05-01 1986-11-12
JPH0673963A (ja) * 1992-06-30 1994-03-15 Misawa Homes Co Ltd サッシ枠と窓枠との水密パッキン
KR20010086961A (ko) 2000-03-06 2001-09-15 허상은 문의 문턱장치
JP2002339668A (ja) * 2001-05-14 2002-11-27 Akira Ohata 敷居構造
KR20130002514A (ko) * 2011-06-29 2013-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개폐 가능한 문지방을 갖춘 풍우밀 도어 장치
KR101340653B1 (ko) 2012-04-05 2013-12-10 한종윤 문턱용 경사받침대
KR20150000557U (ko) 2013-07-26 2015-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승선자 편의를 위한 문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77157U1 (ru) Дверь с уплотнением под давлением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7305558A (ja) 車両用摺動式の窓
KR200481835Y1 (ko) 회전식 문턱
JP2003335136A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KR101734034B1 (ko) 폴딩 도어용 하부 레일
KR200466668Y1 (ko) 출입문 열림상태 유지구
US1425954A (en) Canopied automobile door
US4198785A (en) Movable threshold door seal
KR101585485B1 (ko) 차량의 사이드리드 구조
KR20120106024A (ko)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KR20190138988A (ko) 3중 슬라이딩 연동 도어의 하부롤러 어셈블리
KR100808649B1 (ko)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비상도어
US4073501A (en) Vehicle entry way elevator step
KR20130040314A (ko) 대피공간 전용 창호
KR200394870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KR200488965Y1 (ko) 내장형 보호 장치를 가진 도어
US2477888A (en) Wind deflecting wing for window openings
CN204236482U (zh) 适用于列车的倾斜窗
KR200275857Y1 (ko) 행거식 미닫이문
KR20150018189A (ko) 차량용 도어 체커
JP2008174916A (ja) 床面開口スライド開閉装置
KR101475401B1 (ko) 선박용 블라인드 셔터
ATE196522T1 (de) Kipptor
JPH08254008A (ja) 天井点検口
CN209988931U (zh) 一种滑动打开的安全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