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514Y1 -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514Y1
KR200481514Y1 KR2020110008206U KR20110008206U KR200481514Y1 KR 200481514 Y1 KR200481514 Y1 KR 200481514Y1 KR 2020110008206 U KR2020110008206 U KR 2020110008206U KR 20110008206 U KR20110008206 U KR 20110008206U KR 200481514 Y1 KR200481514 Y1 KR 200481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overhead crane
lifting device
fasten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841U (ko
Inventor
신지욱
김종명
김동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8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14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 크레인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의 분리, 조립 및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는, 천정 크레인에 구비된 훅과 연결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와 근접하게 연결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의 양측에는 상기 장비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작업장의 환경 즉, 작업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장비를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좁은 공간 즉, 천정이 낮거나 장비의 키가 큰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장비를 운반할 수 있어서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for overhead travelling crane}
본 고안은 천정 크레인에 구비되는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의 분리, 조립 및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Crane)이란, 하물(荷物)을 들어 올려서 상하, 좌우, 전후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상기 크레인은 분류방식 및 사업분야의 용도에 따라 천정 크레인(overhead travelling crane), 지브 크레인(Jib crane),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크레인 중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천정 크레인은,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빔(beam)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레일(100)에 걸쳐 있는 교량형 빔(200)(beam) 위에 구비되는 대차 즉, 트롤리(300)(trolley)는 상기 교량형 빔(200) 상에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트롤리(300)와 연결되는 훅(500)(hook)이 구비된 체인블럭(400)(chain block)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천정 크레인은 통상적으로 들어 올려 이동시키고자 하는 장비(E)를 상기 장비(E)의 상면에 구비된 아이볼트(e)(eyebolt)에 상기 훅(500)을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아이볼트(e)는 상기 장비(E)의 중량에 맞게 규격화 되어 있는데 장비(E)의 무게가 중량체인 선박의 기관실에 구비되는 펌프장비의 모터를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아이볼트(e)를 상기 모터의 양측 상부에 각각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각각의 아이볼트(e)와 상기 훅(500)을 연결시키는 연결도구 즉, 리프팅 툴(lifting tool)이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와이어로프(600)(wire rope)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로프(600)는 강선을 여러 가닥으로 꼬아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강선의 일측단은 상기 모터 등의 장비(E)의 일측에 구비된 아이볼트(e)와 연결하고 타측단은 상기 모터 등의 장비(E)의 타측에 구비된 아이볼트(e)에 연결한 후, 상기 와이어로프(600)의 길이 중간부분에 상기 훅(500)을 걸어서 상기 모터 등의 장비(E)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와이어로프(600)를 이용하여 중량체인 모터 등의 장비(E)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와이어로프(600)를 이용하려면 상기 모터 등의 장비(E)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프(600) 즉,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상기 모터 등의 장비(E)의 상부와 간섭이 없도록 연결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훅(500)과 상기 모터 등의 장비(E)와의 충분한 연결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공간이 충분치 못한 경우 즉, 천정이 낮거나 모터 등의 장비(E)의 높이가 큰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로프(600)를 이용한 상기 모터 등의 장비(E)의 운반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장의 환경 즉, 작업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장비를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는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장비와 체결하여 운반할 수 있는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천정 크레인에 구비된 훅과 연결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와 근접하게 연결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연결수단의 양측에는 상기 장비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가로지지봉과, 상기 각 가로지지봉의 중간에 구비되는 보강구와, 상기 훅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각 보강구를 연결하는 걸림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가로지지봉의 양 끝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부는 연결되고 하부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나사선과 체결되도록 스터드볼트와 체결 고정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장의 환경 즉, 작업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장비를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좁은 공간 즉, 천정이 낮거나 장비의 키가 큰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장비를 운반할 수 있어서 작업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장비의 폭에 대응되게 체결이 가능한 체결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장비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연결도구 즉, 와이어로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 요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도.
도 4은 종래 고안에 따른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 요부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공간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천정 크레인에 구비되는 훅(500)과 연결되어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E)와 근접하게 연결할 수 있는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 구성은, 천정 크레인에 구비된 훅(500)과 연결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E)와 근접하게 연결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연결수단(10)과, 상기 연결수단(10)의 양측에는 상기 장비(E)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수단(10)은, 한 쌍의 가로지지봉(11)과, 상기 각 가로지지봉(11)의 중간에 구비되는 보강구(12)와, 상기 훅(500)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각 보강구(12)를 연결하는 걸림봉(13)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10)은,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E)와 근접하게 연결되어 연결공간을 최대한 작게 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직선형상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가로지지봉(11)은, 선박의 기관실에 설치되는 규격화 된 모터 등의 장비(E)의 폭에 대응되게 길이를 가지며 중량체를 지지할 수 있는 강관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구(12)는, 상기 가로지지봉(11)을 보강하는 것으로서, 그 중간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구(12)는 상기 가로지지봉(11)의 양 끝단부위에 구비하여 한번 더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봉(13)은, 상기 훅(500)이 걸려 고정되는 연결부위로서, 상기 각 가로지지봉(11)의 중간에 구비된 보강구(12)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중량체인 상기 장비(E)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각 보강구(12)에 걸림봉(13)을 고정함에 있어 용접각장을 최대로 하여 용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20)은, 상기 한 쌍의 가로지지봉(11)의 양 끝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21)과, 상기 회전중심축(2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부는 연결되고 하부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구(22)와, 상기 나사선과 체결되도록 스터드볼트(24)와 체결 고정된 체결구(23)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20)은,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E)의 크기 즉, 폭에 맞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회전중심축(21)은, 상기 한 쌍으로 구성된 가로지지봉(11)의 양 끝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각 가로지지봉(11)을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가로지지봉(11)과 회전중심축(21)을 고정함에 있어 상기 걸림봉(13)을 고정할 때와 같이, 용접각장을 최대로 하여 용접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2)는, 상기 회전중심축(21)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는 상기 회전중심축(2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공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하부는 원통형상으로 그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23)는, 상기 스터드볼트(24)와 체결한 후, 스터드용접작업을 하여 반영구적으로 고정되어지는 판형상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23)의 하부에는 상기 장비(E)의 양측에 구비된 아이볼트(e)의 고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 너트 및 와셔로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터드볼트(24)는, 상기 체결구(23)의 상, 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 하부는 상기 체결구(23)와 체결되어 반영구적으로 고정되고, 그 상부는 상기 나사선과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으로 된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의 실시예를 도3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E)의 폭에 맞게 상기 회전중심축(21)을 중심으로 상기 체결수단(2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비(E)의 양측으로 구비된 아이볼트(e)의 고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정위치 되도록 상기 스터드볼트(24)를 정, 역회전하여 상기 체결구(23)의 위치를 정위치 시켜 상기 아이볼트(e)와 체결구(23)를 볼트, 너트 및 와셔로 체결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와 근접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를 구비함으로서, 작업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상기 장비를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우수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비의 크기에 맞게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구를 구비함으로서, 장비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연결도구 즉, 와이어로프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연결수단
11 : 가로지지봉
12 : 보강구
13 : 걸림봉
20 : 체결수단
21 : 회전중심축
22 : 연결구
23 : 체결구
24 : 스터드볼트
E : 장비 e : 아이볼트
100 : 레일 200 : 빔 300 : 트롤리
400 : 체인블럭 500 : 훅 600 : 와이어로프

Claims (3)

  1. 천정 크레인에 구비된 훅(500)과 연결되고, 운반하고자 하는 장비(E)와 근접하게 연결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연결수단(10);
    상기 연결수단(10)의 양측에는 상기 장비(E)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결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10)은 한 쌍의 가로지지봉(11), 상기 각 가로지지봉(11)의 중간에 구비되는 보강구(12) 및 상기 훅(500)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각 보강구(12)를 연결하는 걸림봉(13)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수단(20)은 상기 한 쌍의 가로지지봉(11)의 양 끝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중심축(21), 상기 회전중심축(2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부는 연결되고 하부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연결구(22) 및 상기 나사선과 체결되도록 스터드볼트(24)와 체결 고정된 체결구(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8206U 2011-09-08 2011-09-08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KR200481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206U KR200481514Y1 (ko) 2011-09-08 2011-09-08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206U KR200481514Y1 (ko) 2011-09-08 2011-09-08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41U KR20130001841U (ko) 2013-03-18
KR200481514Y1 true KR200481514Y1 (ko) 2016-10-13

Family

ID=5242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206U KR200481514Y1 (ko) 2011-09-08 2011-09-08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14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187A (ja) * 2002-09-25 2004-04-15 Kenzo Sugimoto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吊り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155Y2 (ja) * 1988-04-01 1997-05-07 正行 竹内 コンクリート成型体の横吊り治具
JPH045471U (ko) * 1990-04-24 1992-01-20
JPH0636987U (ja) * 1992-10-20 1994-05-17 市光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ミラーの節度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5187A (ja) * 2002-09-25 2004-04-15 Kenzo Sugimoto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吊り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41U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7535B2 (ja) シャトル式門型クレーン
JP2017077961A (ja) 橋形クレーン
KR200481514Y1 (ko) 천정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JP2007269425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KR101585858B1 (ko) 크레인
KR100723643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터닝장치
JP4221341B2 (ja) リフティングマグネット式吊具および搬送クレーン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CN210973587U (zh) 一种小型移动吊装机
JP2007119156A (ja) 複数のクレーン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吊り上げ用治具
JP2007182270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ユニットの吊り治具
KR20090009824U (ko) 호이스트 크레인
CN206511798U (zh) 大型构件运输架的专用吊具
JP2009242081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台車を用いた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CN112777484A (zh) 一种货架的吊装方法
KR20140003936U (ko) H빔 운반용 지그
JP2009242082A (ja) コンテナクレーン
CN210594932U (zh) 一种t梁模板吊具
KR20130075175A (ko) 트롤리
CN219044805U (zh) 抬吊工装
CN208394568U (zh) 电梯专用紧缆装置
CN109650263B (zh) 用于大跨度厂房的并轨式起重设备
JP2011068441A (ja) 岸壁用橋形クレーン、及びその輸送方法
CN214935543U (zh) 一种船用垃圾吊运装置
CN217437493U (zh) 撬装框架及撬装集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