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20Y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20Y1
KR200481420Y1 KR2020150000128U KR20150000128U KR200481420Y1 KR 200481420 Y1 KR200481420 Y1 KR 200481420Y1 KR 2020150000128 U KR2020150000128 U KR 2020150000128U KR 20150000128 U KR20150000128 U KR 20150000128U KR 200481420 Y1 KR200481420 Y1 KR 200481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evaporation dish
auxiliary
di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500U (ko
Inventor
백종일
Original Assignee
백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일 filed Critical 백종일
Priority to KR2020150000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2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23Burning methods involving melting, fusion or sof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실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는 점토를 성형 후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열하여 제작된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 만을 이용하여 제작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주변의 습도에 따라 절절히 물이 증발되도록 하여, 습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는 점토를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열하여 제작됨으로, 둘레면에 다수개의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공에 의해 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모세관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접시(10)나 보조증발접시(2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의 면을 따라 상측으로 넓게 펼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물이 주변의 환경에 따라 더욱 쉽게 증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모세관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의 용기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효과적으로 물이 증발되며, 이에 따라, 실내 습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고안은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실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가습기는 등록실용신안 20-0341088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을 전기히터로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습도를 조절하는 가열방식과, 공개실용신안 10-2012-0065887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음파진동기를 이용하여 미세한 물방울을 발생시키는 초음파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습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세척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히터 또는 초음파진동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지 않은 에너지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방식의 가습기에서 발생되는 증기나 물방울의 크기가 커서 먼 곳까지 전달되기 어렵고, 이에 따라, 가습기 주변의 습도만 과도하게 상승되고, 가습기에서 먼 곳의 습도는 효과적으로 상승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실내의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가습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을 담는 증발접시와, 상기 증발접시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의 보조증발접시 및, 상기 보조증발접시의 최상부에 구비된 증발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접시와 보조증발접시는 내표면을 따라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증발접시는 둘레면에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물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아래쪽으로 배출됨으로써 수위가 그 배수공 이하로 유지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증발막대는 점토 또는 점토를 원료로 하여 바형태로 성형하고 일정온도에서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삭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보조증발접시는 각각 레그부재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이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는 점토를 성형 후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열하여 제작된 증발접시와 보조증발접시 및 증발막대만을 이용하여 제작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주변의 습도에 따라 적절히 물이 증발되도록 하여, 습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증발접시와 보조증발접시 및 증발막대는 점토를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열하여 제작됨으로, 둘레면에 다수개의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공에 의해 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모세관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접시나 보조증발접시에 저장된 물이 상기 증발접시와 보조증발접시 및 증발막대의 면을 따라 상측으로 넓게 펼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물이 주변의 환경에 따라 더욱 쉽게 증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모세관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의 용기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효과적으로 물이 증발되며, 이에 따라, 실내 습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것으로, 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증발접시(10)와, 상기 증발접시(10)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개의 보조증발접시(20)와, 가장 상측에 위치된 보조증발접시(20)에 구비된 증발막대(3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는 바닥면이 평평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접시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는 점토를 접시형태로 성형한 후, 외측면에만 유약을 도포하고,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마에서 700~10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이,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외측면에만 유약을 바른 후 가열하여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하면, 유약이 발라지지 않은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은 점토가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발생된 다수개의 기공이 노출되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외측면은 유약과 반응하여 매끄러우면서 완벽한 방수성을 갖게 됨과 동시에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에 물을 공급하면, 상기 기공에 의해 물을 흡수하는 모세관효과가 일어나서, 물이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에 넓게 펼쳐짐으로써, 물이 효과적으로 증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레그부재(21)가 구비되어, 상기 증발접시(10)에 보조증발접시(20)를 적층하면, 각각의 보조증발접시(20)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둘레면에는 내외측면을 관통하는 배수공(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접시(10)에 복수개의 보조증발접시(20)를 적층한 후, 가장 상측의 보조증발접시(20)에 물을 공급하면, 보조증발접시(20)에 공급된 물이 상기 배수공(22)을 통해 점차 하측의 보조증발접시(20)에 공급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증발접시(10)에 공급된다.
상기 증발막대(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측에 넓은 받침부(30)가 형성된 원형의 바형태로 점토를 성형한 후, 둘레면에 유약을 바르지 않고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마에서 가열하여 제작된다.
이때, 상기 증발막대(30)는 외측면에 유약을 도포하여 구운 증발접시(10) 또는 보조증발접시(20)와 달리, 외주면 전체에 점도가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발생된 다수개의 기공이 노출됨으로, 증발막대(30)를 가장 상측에 위치된 보조증발접시(20)의 상면에 세워놓으면, 상기 보조증발접시(20)에 저장된 물이 상기 기공에 의해 발생되는 모세관효과에 의해 증발막대(30)의 둘레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증발된다.
한편, 상기 증발막대(30)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배수공(22)까지의 높이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상기 보조증발접시(20)에 물을 담은 후 보조증발접시(20)에 상기 증발막대(30)를 배치하면, 상기 증발막대(30)의 상단이 보조증발접시(20)에 담긴 물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접시(10)의 상측에 복수개의 보조증발접시(20)를 적층하여 배치하고, 가장 상측의 보조증발접시(20)에 상기 증발막대(30)를 설치한 후, 상기 보조증발접시(20)와 증발접시(10)에 적절한 양의 물을 담으면, 물이 상기 증발막대(30)와 보조증발막대(30)의 내측면에서 발생되는 모세관효과에 의해 증발막대(30)와 보조증발막대(3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되면서 증발되어, 습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습기는 점토를 성형 후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열하여 제작된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만을 이용하여 제작됨으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주변의 습도에 따라 절절히 물이 증발되도록 하여, 습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는 점토를 소성과정을 거치도록 가열하여 제작됨으로, 둘레면에 다수개의 미세한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공에 의해 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모세관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접시(10)나 보조증발접시(2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의 면을 따라 상측으로 넓게 펼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물이 주변의 환경에 따라 더욱 쉽게 증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모세관효과를 일으키지 않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의 용기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효과적으로 물이 증발되며, 이에 따라, 실내 습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둘레면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수공(22)이 형성됨으로, 가장 상측에 있는 보조증발접시(20)에만 물을 공급하여도 모든 보조증발접시(20)와 증발접시(10)에 모두 물이 공급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보조증발접시(20)에 물을 공급하면, 물이 상기 배수공(22)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되어 보조증발접시(20) 내부의 수위가 상기 배수공(22) 이하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유약이 발라지지 않은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이 노출되어, 보조증발접시(20)에서 물이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보조증발접시(20)는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기공에 의해 발생되는 모세관효과를 이용하여 물이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보조증발접시(20)에 배수공(22)이 없을 경우, 사용자가 보조증발접시(20)에 물을 과도하게 많이 공급하면, 수면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의 면적이 작아져 물이 증발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반해, 본원고안은 상기 보조증발접시(20)에 배수공(22)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조증발접시(20)에 물을 과도하게 공급할 경우, 여분의 물이 배수공(22)으로 배출되어 보조증발접시(20)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일정수위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이 물의 상측으로 충분히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항상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는 점토 또는 점토를 원료로 하는 혼합물을 용기형태로 성형한 후, 외측면에 유약을 도포하고 가열 및 소성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유약이 발라지지 않은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내측면은 점토가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발생된 다수개의 기공이 노출되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외측면은 유약과 반응하여 매끄러우면서 완벽한 방수성을 갖게 됨과 동시에 강도가 향상되어,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는 점토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는 점토를 원료로 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 및 증발막대(30)는 규석이나 장석, 또는 석회석 등의 성분을 혼합하여 구성된 소지재를 성형한 후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소지재는 욕실 등에서 사용되는 방수 타일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는 바닥면이 평평하고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접시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증발접시(10)의 상측에 복수개의 보조증발접시(20)를 적층하고, 상기 보조증발접시(20)에 상기 증발막대(30)를 설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막대(30)의 구조를 생략하고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만을 사용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접시(10)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구조를 생략하고 증발접시(10)에 상기 증발막대(30)를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용기에 물을 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증발막대(30)만을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는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가습기의 일측에 별도의 팬을 구비하여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에 저장된 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증발되도록 하거나, 상기 가습기의 일측에 별도의 급수장치를 더 구비하여 자동으로 상기 보조증발접시(2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증발접시 20. 조보증발접시
30. 증발막대

Claims (4)

  1. 물을 담는 증발접시(10)와,
    상기 증발접시(10)의 내부에 적층되는 복수의 보조증발접시(20) 및,
    상기 보조증발접시(20)의 최상부에 구비된 증발막대(3)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접시(10)와 보조증발접시(20)는 내표면을 따라 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증발접시(20)는 둘레면에 내외측을 관통하는 배수공(22)이 형성되어, 물이 상기 배수공(22)을 통해 아래쪽으로 배출됨으로써 수위가 그 배수공(22)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막대(30)는 점토 또는 점토를 원료로 하여 바형태로 성형하고 일정온도에서 소성과정을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증발접시(20)는 각각 레그부재(21)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이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2020150000128U 2015-01-07 2015-01-07 가습기 KR200481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28U KR200481420Y1 (ko) 2015-01-07 2015-01-07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128U KR200481420Y1 (ko) 2015-01-07 2015-01-07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00U KR20160002500U (ko) 2016-07-15
KR200481420Y1 true KR200481420Y1 (ko) 2016-09-28

Family

ID=5649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128U KR200481420Y1 (ko) 2015-01-07 2015-01-07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2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079B2 (ja) * 1991-07-03 2001-04-23 アセア ブラウン ボヴエリ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燃焼機関、ガスターボ群の燃焼室又は火炉を運転するためのバー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5225B2 (ja) * 1989-11-18 1998-09-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接着方法
KR920000602Y1 (ko) * 1990-01-16 1992-01-15 배성순 자연증발 가습기
KR20110132033A (ko) * 2010-06-01 2011-12-07 조재선 자연증발식 세라믹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079B2 (ja) * 1991-07-03 2001-04-23 アセア ブラウン ボヴエリ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燃焼機関、ガスターボ群の燃焼室又は火炉を運転するためのバ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00U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6700T3 (es) Elemento de pared
RU2016118820A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пеностекольная плита, эффективная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одо- и огнестойкости, теплоизоляции и отделки
CN104357797A (zh) 一种坩埚用加热装置、坩埚和蒸发源
KR200481420Y1 (ko) 가습기
RU2015105362A (ru) Система сушки при комнатной температуре
CN105231594A (zh) 一种制鞋的烘干方法
RU201813644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строго нагревания и энергосбережения
EP3184927A1 (en) Electric heater
KR101415959B1 (ko) 자연향과 수분이 제공되는 황토 방바닥 난방구조
KR101594922B1 (ko) 한중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RU132661U1 (ru)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CN206143955U (zh) 发泡水泥构成的保温大棚墙体
CN205849840U (zh) 一种消毒柜
KR101511517B1 (ko) 천연 고기능 나노 광물을 융합한 내부용 점토 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13862A (zh) 一种温控保湿花盆
ITRE20140013U1 (it) Aircoat
KR20110132033A (ko) 자연증발식 세라믹 가습기
CN208396216U (zh) 一种电加热砖
KR101612085B1 (ko) 복사열 진공 건조장치
KR200449525Y1 (ko)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KR20180024650A (ko) 건식 도자기 타일 온돌 패널
KR102068256B1 (ko) 미세물방울을 이용한 가습난방기용 히터장치
JP3211194U (ja) 遠赤外線物質含有塗膜層を有する保温具
ES2594506B1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a prelápida para el sellado de unidades de enterramiento, y prelápida así fabricada
JPS5899186A (ja) セメント系成形体の養生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13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1

Effective date: 201609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