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525Y1 -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 Google Patents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525Y1
KR200449525Y1 KR2020080010099U KR20080010099U KR200449525Y1 KR 200449525 Y1 KR200449525 Y1 KR 200449525Y1 KR 2020080010099 U KR2020080010099 U KR 2020080010099U KR 20080010099 U KR20080010099 U KR 20080010099U KR 200449525 Y1 KR200449525 Y1 KR 200449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at plate
ceramics
edge portion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342U (ko
Inventor
장웅기
Original Assignee
장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웅기 filed Critical 장웅기
Priority to KR2020080010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52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5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외곽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판과, 측면 판 상에 측면 판들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 부와,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평면 판과, 테두리 부에서 평면 판을 연결하며 형성된 경사판과, 평면 판 하부에 평면 판을 지지하며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평면 판의 높이는 상기 측면 판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도자기에 있어서, 도자기의 평면 판이 휘어지거나 주저앉지 않도록 그 하부에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대면적의 판상 도자기의 경우에도 도자기의 형태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도자기, 대면적, 판상

Description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Plate Ceramic Ware and Ceramic Ware Set by Using the same }
본 고안은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자기의 평면 판이 휘어지거나 주저앉지 않도록 그 하부에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대면적의 판상 도자기의 경우에도 도자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가소성(可塑性)이 뛰어난 점토, 장석, 규석 등의 무기질 광물질 분말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도가니에서 일정시간 가열하여 소성한 기물(器物)을 말한다.
도자기는 점토를 주성분으로 한 소지를 사용하며, 700 ~ 900℃의 낮은 온도에서 소성한 토기(Clayware)와, 점토질의 원료에 석영, 도석, 납석 및 장석계의 원료를 배합 사용하며, 1050 ~ 1100℃의 온도에서 소성한 도기(Eartheware)와, 석영 및 철 화합물과 알칼리토류 등의 불순물을 많이 포함한 점토를 주성분으로 배합한 소지를 사용하며, 1200 ~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한 석기(Stoneware)와, 점토, 석 영, 장석계의 배합 소지를 이용하여 1300 ~ 1500℃의 높은 온도에서 소성한 자기(Porcelain)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자기는 크게 토기(Clayware), 도기(Eartheware), 석기(Stoneware), 자기(Porcelain)의 4종류로 구분할 수 있으나, 소지의 배합 원료에 따라 다양한 도자기 및 다양한 특성을 갖는 도자기를 소결할 수 있다.
도자기의 제작 공법에는 물레 성형, 주입 성형(이장 성형), 가압 성형, 토출 성형, 손 성형 등이 있다. 이러한 제작 공법들은 통상적으로 무른 점토나 이장 점토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작한다.
상기 점토들은 반죽하여 손으로 주무르는 작업이나 진동 토련기 또는 진공 기기들에 의하여 점토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한 진공 상태로 가공된다. 이 점토들은 가소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고온으로 소성해도 깨어지거나 터지는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도자기의 경우 대부분 소형의 제품으로 생산되며, 특히 대형 판상의 도자기는 용이하게 제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도자기의 모체가 되는 소지를 대형으로 하는 경우, 초벌이나 재벌구이시 소지가 휘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도자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대형 도자기 판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대면적을 가지면서도 도자기의 형태의 왜곡이 없는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외곽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판과, 상기 측면 판 상에 상기 측면 판들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 부와,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평면 판과, 상기 테두리 부에서 상기 평면 판을 연결하며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을 지지하며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 판의 높이는 상기 측면 판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평면 판과, 상기 평면 판의 각 변에서 상향(上向)으로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 상에 상기 경사판 들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 부와,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을 지지하며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각형의 형상 내에 십자가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외곽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판과, 상기 측면 판 상에 상기 측면 판들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 부와,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평면 판과, 상기 테두리 부에서 상기 평면 판을 연결하며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을 지지하며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판상 도자기와, 상기 제1 판상 도자기 상에 놓여지며, 외곽에 복수 개의 손잡이 용 홀들이 형성되고, 중앙에 복수 개의 열 전달용 홀들이 형성된 제2 판상 도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 판의 높이는 상기 측면 판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판상 도자기는, 상기 제2 판상 도자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테두리 부 안쪽에 상기 테두리 부를 따라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각형의 형상 내에 십자가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판상 도자기에 있어서, 도자기의 모체가 되는 소지를 대형으로 하는 경우, 초벌이나 재벌구이시 소지가 휘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도자기의 평면 판이 휘어지거나 주저앉지 않도록 그 하부에 지지부 를 형성함으로써, 대면적의 판상 도자기의 경우에도 도자기의 형태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는 관상용 화분, 실내 분수대 또는 가습기 등의 바닥판, 또는 실내 조명등의 지지판과 같은 다양한 용도의 물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 세트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물건을 수납하거나 각종 음식 또는 찻잔을 올려놓을 수 있다. 제2 판상 도자기 상에 음식이나 찻잔을 올려놓는 경우, 제1 판상 도자기의 움푹 들어간 공간에 뜨거운 물이나 차가운 얼음을 넣어 놓으면, 제2 판상 도자기의 열 전달용 홀을 통해 뜨거운 물의 온기 또는 차가운 얼음의 냉기가 전달되어 음식이나 찻잔의 온도를 높게 또는 차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100)는 외곽에 측면 판(110)들이 수직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판(110)들 상에 상기 측면 판(110)들을 따라 테두리 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평면 판(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에 형성된 평면 판(130)과 상기 테두리 부(120)를 각각 연결하며 경사 판(140)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 판(130)의 넓이는 190mm×90mm 로 형성하였으나, 이보다 훨씬 큰 면적 예를 들어 500mm×500mm 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큰 면적으로 평면 판을 형성할 경우, 도자기의 초벌이나 재벌구이시 소지가 휘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여 평면 판이 주저앉거나 중앙 부분이 아래로 휘어져서 도자기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평면 판(130)의 깊이를 상기 측면 판(11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하고, 상기 평면 판(130) 하부에 지지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평면 판(130)이 주저앉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한편, 상기 평면 판(130)의 중앙 부분에 평면 판(130)을 관통하며 관통 홀 (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판상 도자기(100)를 관상용 화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관통 홀(미도시)을 통해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판상 도자기(100)은 실내 분수대 또는 가습기, 및 실내 안개 발생기의 바닥판 용도, 그리고 실내 조명등의 지지판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때 관통홀은 실내 분수대 또는 가습기의 수중 모터, 실내 안개 발생기의 안개 모터 및 조명등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로 뺄 수 있는 통로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 홀은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대칭형태로 좌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양한 미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 및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판상 도자기(100)의 형태가 상부에서 관찰할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 모서리가 절단된 사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평면 판(130) 하부에 상기 평면 판(13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지지부(150)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면 판(130)이 상기 지지부(150)를 통해 지지되어 도자기로 이루어진 평면판(130)의 초벌이나 재벌구이시 휘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형 없이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평면 판(130) 및 상기 경사 판(140)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각종 음식 및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지지부(150)를 상기 평면 판(130)의 하부에 상기 평면 판(130)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평면 판(13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평면 판(130)의 넓이가 더 넓어지는 경우에는, 지지부(150)를 상기 평면 판(130)의 하부에 상기 평면 판(130)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서는 평면 판(130)을 제대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 내에 십자가 형상을 더 형성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 내에 스트라이프 형상을 복수 개로 더 형성하여 평면 판(130)을 지지하도록 한다.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300)는 내부에 평면 판(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 판(310)과 연결되며, 상기 평면 판(310)에서 바깥 방향으로 경사 판(320)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 판(320)들의 외주면을 따라 테두리 부(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 판(310) 하부에 상기 평면 판(310)을 지지하는 지지부(3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평면 판(310)의 중앙 부분에 평면 판(310)을 관통하며 관통 홀(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판상 도자기(300)를 관상용 화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관통 홀(미도시)을 통해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판상 도자기(300)은 실내 분수대 또는 가습기, 및 실내 안개 발생기의 바닥판 용도, 그리고 실내 조명등의 지지판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때 관통홀은 실내 분수대 또는 가습기의 수중 모터, 실내 안개 발생기의 안개 모터 및 조명등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로 뺄 수 있는 통로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관통 홀은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대칭형태로 좌우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양한 미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 및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판상 도자기(300)의 형태가 상부에서 관찰할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 모서리가 절단된 사각형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는 제1 판상 도자기(100)와,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 상에 놓여지는 제2 판상 도자기(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는, 외곽에 측면 판(110)들이 수직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판(110)들 상에 상기 측면 판(110)들을 따라 테두리 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평면 판(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에 형성된 평면 판(130)과 상기 테두리 부(120)를 각각 연결하며 경사 판(14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 판(130) 하부에 상기 평면 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판상 도자기(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板) 형태의 도자기로서, 외곽에 복수 개의 손잡이 용 홀(210)들이 형성되고, 중앙에 복수 개의 열 전달용 홀(22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열전달용 홀(220)들은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 및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판상 도자기(200)는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 상부에 안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에는 상기 테두리 부(120)의 안쪽을 따라 안착부(16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자기 세트에 있어서, 상기 제2 판상 도자기(200) 상에는 각종 음식이나 찻잔을 올려놓을 수 있는데, 그 전에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의 평면 판(130) 및 상기 경사 판(140)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뜨거운 물을 부어 놓으면, 상기 제2 판상 도자기(200)의 중앙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열 전달용 홀(220)을 통해 뜨거운 물의 온기가 전달되어 음식이나 찻잔의 온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의 평면 판(130) 및 상기 경사 판(140)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차가운 물 또는 얼음을 넣어 놓으면, 제2 판상 도자기(200)에 놓여진 음식의 온도를 차게 유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판상 도자기가 판 형태의 도자기인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2 판상 도자기는 실제로는 일반 유리, 크리스탈, 플라스틱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는 상기 평면 판(130)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미도시)로 인해, 상기 평면 판(130)을 대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미도시)는 상기 평면 판(130)의 하부에 상기 평면 판(130)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평면 판(130)의 면적에 따라 상기 평면 판(13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는 제1 판상 도자기(100)와,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 상에 놓여지는 제2 판상 도자기(200)와, 상기 제2 판상 도자기(200) 상부에서 상기 제1 판상 도자기(100) 상에 놓여지는 제3 판상 도자기(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판상 도자기(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평면 판(3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 판(310)과 연결되며, 상기 평면 판(310)에서 바깥 방향으로 경사 판(320)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 판(320)들의 외주면을 따라 테두리 부(3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 판(310) 하부에 상기 평면 판(310)을 지지하는 지지부(34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 판상 도자기(300)는 일종의 덮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지지부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판상 도자기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판상 도자기 110 : 측면 판
120 : 테두리 부 130 : 평면 판
140 : 경사판 150 : 지지부
160 : 안착부 200 : 제2 판상 도자기
210 : 손잡이용 홀 220 : 열 전달용 홀
300 : 제3 판상 도자기 310 : 평면 판
320 : 경사판 330 : 테두리 부
340 : 지지부

Claims (8)

  1. 외곽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판;
    상기 측면 판 상에 상기 측면 판들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 부;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평면 판;
    상기 테두리 부에서 상기 평면 판을 연결하며 형성된 경사판; 및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 판의 높이는 상기 측면 판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의 형상 내에 십자가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도자기.
  2.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평면 판;
    상기 평면 판의 각 변에서 상향(上向)으로 형성된 경사판;
    상기 경사판 상에 상기 경사판 들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 부;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의 형상 내에 십자가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도자기.
  3. 삭제
  4. 삭제
  5. 외곽에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 판과, 상기 측면 판 상에 상기 측면 판들을 따라 형성된 테두리 부와, 내부에 수평으로 형성된 평면 판과, 상기 테두리 부에서 상기 평면 판을 연결하며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판상 도자기; 및
    상기 제1 판상 도자기 상에 놓여지며, 외곽에 복수 개의 손잡이 용 홀들이 형성되고, 중앙에 복수 개의 열 전달용 홀들이 형성된 제2 판상 도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평면 판의 높이는 상기 측면 판의 높이보다 작고,
    상기 제1 판상 도자기는, 상기 제2 판상 도자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테두리 부 안쪽에 상기 테두리 부를 따라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평면 판 하부에 상기 평면 판의 외주면을 따라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의 형상 내에 십자가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세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080010099U 2008-07-29 2008-07-29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KR200449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99U KR200449525Y1 (ko) 2008-07-29 2008-07-29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99U KR200449525Y1 (ko) 2008-07-29 2008-07-29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42U KR20100001342U (ko) 2010-02-08
KR200449525Y1 true KR200449525Y1 (ko) 2010-07-16

Family

ID=4419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099U KR200449525Y1 (ko) 2008-07-29 2008-07-29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5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62B1 (ko) * 2014-07-14 2016-08-22 이희복 판 접합 청자 제작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648U (ko) * 1980-06-25 1982-01-23
KR200236615Y1 (ko) 1998-03-18 2001-11-22 이건국 공기빠짐구멍을갖는용기받침대
KR20020036615A (ko) * 2000-11-10 2002-05-16 박영준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US20030161958A1 (en) 2002-02-25 2003-08-28 Zitkus Wayne J. Process for glazing a chinaware article and an article produced thereby
US20060286216A1 (en) 2005-05-13 2006-12-21 Knauf Snc System for packaging a food por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648U (ko) * 1980-06-25 1982-01-23
KR200236615Y1 (ko) 1998-03-18 2001-11-22 이건국 공기빠짐구멍을갖는용기받침대
KR20020036615A (ko) * 2000-11-10 2002-05-16 박영준 미닫이 여닫이 겸용문을 가진 양개도어 및 사용방법
US20030161958A1 (en) 2002-02-25 2003-08-28 Zitkus Wayne J. Process for glazing a chinaware article and an article produced thereby
US20060286216A1 (en) 2005-05-13 2006-12-21 Knauf Snc System for packaging a food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42U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16595B (zh) 一种隔粘粉及利用该隔粘粉批量烧结片状陶瓷的方法
KR200449525Y1 (ko)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KR101417625B1 (ko)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US200502211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ttery and resulting article of manufacture
JP3216437U (ja) 火炎加熱可能な保温酒瓶
KR200477865Y1 (ko) 세라믹 화분
KR101958144B1 (ko) 도예토 또는 점토를 이용한 3중 벽면체 기능성 도자기 제조방법
CN209563930U (zh) 一种新型陶制盖碗茶壶
JP2014171701A (ja) 陶磁器および陶磁器の製造方法
KR101092559B1 (ko)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582270B1 (ko)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
Bloomfield et al. Contemporary tableware
KR200176433Y1 (ko) 도자기 성형틀
CN101779895A (zh) 陶瓷真空保温杯的制作工艺
US10364188B2 (en) Composition for refractory material
JP3149991U (ja) 容器セット
JP4947896B2 (ja) 陶磁器の製造方法
JP2005272214A (ja) 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93180Y1 (ko) 벽에 쉽게 걸 수 있는 평면도자기
CN214258844U (zh) 一种大理石料美耐皿蜜胺餐具
CN107126032B (zh) 一种具有鱼缸的餐盘
KR102301866B1 (ko) 흙물 건조형 바닥면체 성형기반 용기 제조방법
KR100964129B1 (ko) 생선회 받침용 현무암 돌판 및 제조방법
KR101966595B1 (ko) 지류를 이용한 다중벽 도자기 제조방법
CN202179359U (zh) 多用途玻璃陶瓷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