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25B1 -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625B1
KR101417625B1 KR1020130039405A KR20130039405A KR101417625B1 KR 101417625 B1 KR101417625 B1 KR 101417625B1 KR 1020130039405 A KR1020130039405 A KR 1020130039405A KR 20130039405 A KR20130039405 A KR 20130039405A KR 101417625 B1 KR101417625 B1 KR 10141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fixing
fixed
lid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강준
Original Assignee
임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강준 filed Critical 임강준
Priority to KR102013003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0Jars, e.g. for preserving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6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는, 맥반석이 포함된 항아리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클립을 고정시키고 항아리본체를 덮은 항아리뚜껑에 실리콘패킹을 삽입시켜 항아리본체와 항아리뚜껑을 고정클립에 의하여 밀폐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맥반석을 포함하는 도자기인 항아리로 제조되어 장기간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밀폐보관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장시간 신선한 맛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의 보관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A far-infrared kimchi pot }
본 발명은 원적외선 김치항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맥반석을 포함하는 도자기인 항아리로 제조되어 장기간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도자기임에도 불구하고 밀폐보관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장시간 신선한 맛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의 보관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김치항아리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한국의 도자기는 순수한 점토와 유약을 사용함으로써 적당한 습도와 공기의 통풍으로 인해 저장물의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 도자기는 과학과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가벼운 플라스틱 제품으로 바뀌거나, 스텐레스 제품과 같이 깨지지 않는 편리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현저히 줄고 이에 전통 도자기의 생산이 상당히 위축되어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면서 인위적이고 현대적인 이미지만을 추구하는 금속재, 플라스틱재 제품과 달리, 전통의 항아리와 같은 도자기는 화려하고 고른 색채가 아닌 투박하고 자연적이며 서민적이고, 김치나 고추장, 된장 등과 같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의 제맛을 낼 수 있으며 그 맛과 신선도 또한 오래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고령토, 점토, 장석, 규석, 도석 등의 무기물질을 원료로, 이를 혼합하여 1300∼1500℃의 높은 온도에서 소성하여 소결하고, 배합소지의 고유성분에 의해 변질되지 않기 때문에 선호도가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각종 식기나 주방기기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전통 도자기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체에 유익한 여러 효능으로 인해 많은 관심이 되고 있는 맥반석을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최근 다수 소개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한국 특허출원 제89-2839호에는, 자연에서 채취하는 양질의 맥반석 10∼13중량%, SiO2 60∼65중량%, Al2O3 13∼23중량%, Fe2O3 0.5∼2.0중량%, CaO 0.3∼3중량%, MgO 0.1중량%이하, LiO 0.5∼1중량%, K2O 3∼4중량%, Na2O 3∼4중량% 등을 혼합한 조성물을 고령토와 점토에 부가하여 제조하는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조성물을 수용상태에서 교반혼합 후 균질화한 뒤, 1200∼1300℃에서 가열하여 혼합분말화한 뒤, 상온에서 20일정도 숙성하여 고령토와 점토를 배합하여 혼합 습식분말로 하여 상온에서 10일정도 숙성하여 도자기 재료를 얻고, 이를 성형하여 700℃정도의 소성로에서 초벌구이한 뒤 공지의 내외피 유약을 도포하여 재벌구이(1250℃)를 하여 제조하는 도자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출원 제90-19143호에는, 규석 35%, 점토 20%, 고령토 10%, 물토 10%, 석영 10%, 맥반석10%, 활석 5%를 분쇄하여 혼합하고, 이를 철분을 제거한 후 적당한 수분을 첨가하여 교반하여 통상의 주입법, 압성법, 회전법 기타 성형방법으로 주발, 그릇 등을 성형한 후 이를 소성로에서 700∼900℃ 초벌구이하고, 유약을 바른 후 1250∼1350℃의 재벌구이하여 제조하는 도자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제품들은 일반적인 성분들이 가지는 단순하고 미약한 효과만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새롭게 첨가된 맥반석의 효능의 발휘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도자기의 용기들은 그 밀폐를 위해서는 어울리게 만든 도자기로 제조된 뚜껑을 올려놓고, 만일에 밀폐를 위해서는 비닐봉지로 봉하고 비닐을 고무줄로 묶어서 밀폐시키고 그 위에 도자기 뚜껑을 올려 놓아 밀폐시키는 방법으로 이용하여야 하였다. 그 이유는 도자기뚜껑도 역시 700∼900℃ 초벌구이하고, 유약을 바른 후 1250∼1350℃의 재벌구이하여 제조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도자기뚜껑의 평탄도가 정밀하지 않고 휘어지고 구부러지므로 이러한 평탄도를 맞출 수 없으므로 밀폐보관이 근본적으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10-1999-4402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맥반석을 포함하는 도자기인 항아리로 제조되어 장기간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밀폐보관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장시간 신선한 맛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의 보관성이 우수한 원적외선 김치항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맥반석이 5~10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입구의 외측 가장자리에 클립고정돌출부가 형성된 항아리본체와, 상기 항아리본체의 클리고정돌출부에 힌지고정되는 고정클립과, 상기 항아리본체의 입구를 덮으며 상기 고정클립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돌출돌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하향돌출턱과 상기 하향돌출턱과 일정간격이 떨어져 하향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조와의 사이에 실리콘패킹이 삽입되고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의 하단에는 원적외선 방사용 옥판이 구비된 항아리뚜껑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는, 맥반석이 포함된 항아리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클립을 고정시키고 항아리본체를 덮은 항아리뚜껑에 실리콘패킹을 삽입시켜 항아리본체와 항아리뚜껑을 고정클립에 의하여 밀폐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보관하는 용기가 맥반석을 포함하는 도자기인 항아리로 제조되어 장기간 맛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밀폐보관이 가능하게 되어 음식물을 장시간 신선한 맛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의 보관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리콘패킹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리콘패킹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리콘패킹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반석이 5~10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입구의 외측 가장자리에 클립고정돌출부(11)가 형성된 항아리본체(1)와, 상기 항아리본체의 클립고정돌출부에 힌지고정되는 고정클립(2)과, 상기 항아리본체의 입구를 덮으며 상기 고정클립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돌출돌조(31)가 돌출되게 형성된 항아리뚜껑(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맥반석은, 이온 교환작용, 유해물질 제거 및 중금속 분해작용이 있어, 1㎤당 3만-15만개의 다층다공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염물질, 세균, 중금속 등을 흡착. 분해하는 작용을 하고 또한 시멘트 독성 중화, 항균, 방충 및 강한 탈취력을 보이고 있다. 맥반석은 풍부한 산소함량을 가지고 있어, 맥반석을 물에 담그면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 Biochemical Oxygen Demand) 및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 Chemical Oxgen Demand) 이 감소하여 방부작용이 있어 김치가 오랫동안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맥반석은 원적외선 방사작용이 있어,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공명. 공진. 흡수작용 등으로 식품의 선도유지, 맛의 증가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에 효과가 있으므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항아리본체(1)는 맥반석 분말 7중량% 및 황토 93중량%로 반죽시키고, 옹기류의 형태로 성형하여 750∼800℃의 소성로에서 초벌구이를 하고, 상기 맥반석 분말을 10∼20%중량% 함유하는 통상의 유약을 바르고 1220∼1230℃의 온도에서 재벌구이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항아리뚜껑(3)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되게 된다.
따라서,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도 높은 온도에서 재벌구이가 되므로 휘어지고 찌그러지게 되고, 마찬가지로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에 접하는 항아리뚜껑(3)의 접촉되는 접촉저면(3a)도 휘어지고 찌그러지게 되어 김치와 같은 음식물의 밀폐보관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항아리본체(1)의 외측 가장자리에 클립고정돌출부(11)를 다수개소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고정클립(2)의 고정시켜서, 상기 고정클립(2)의 잠금작동시에 상기 항아리뚜껑(3)의 고정돌출돌조(31)에 걸려서 항아리뚜껑(3)이 하향압력을 받게 되고, 항아리뚜껑(3)의 저면에 고정된 실리콘패킹(34)이 눌려리면서 실리콘패킹(34)과 항아리본체(1)의 외주면(1a)과의 밀착에 의하여 항아리의 밀폐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클립(2)은 항아리본체(1)의 클립고정돌출부(11)에 힌지고정되는 클립본체(21)와, 상기 클립본체(21)의 하단에 힌지고정되며 항아리뚜껑(3)의 고정돌출돌조(31)에 걸리게 고정되는 고정대(2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22)는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었으나 금속이나 다른 재질로도 성형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항아리뚜껑(3)은 상부의 평면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고정돌출돌조(3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출돌조(3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게 하향돌출턱(32)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돌출턱(32)과 일정간격이 떨어져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조(33)와의 사이에 실리콘패킹(34)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항아리뚜껑(3)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돌조(33)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거리에 상기 하향돌출턱(32)과 동일하게 수평높이로 돌출된 처짐방지턱(35)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손잡이고정공(36)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패킹(34)은 발포스폰지로 형성되어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이 접하고, 상기 실리콘패킹(34)은 항아리뚜껑(3)의 무게에 의하여 눌리면서 밀폐되게 되는 구조가 제안될 수도 있다. 또한, 실리콘패킹(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조(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의 상부에 접하는 상부 연장밀봉판(34a)과 하부로 연장되어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의 측면에 접하는 하부 연장밀봉판(34b)으로 구성되어 2중의 밀폐를 제공하는 구조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패킹(34)은 지지돌조(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의 상부에 접하는 단일의 연장밀봉판(34c)으로 구성되어, 항아리본체(1)의 외주면(1a)의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탄성변형이 되면서 항아리본체(1)를 밀폐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 처짐방지턱(35)은 상기 항아리뚜껑(3)의 제조시에 항아리뚜껑(3)이 휘어지고 뒤틀러지고 처지는 것이 방지되는 보강지지턱의 기능을 하며 하향돌출턱(32)의 저면과 처짐방지턱(35)의 저면은 제조시에 동일한 받침판(도시되지 않음)상에 배치되므로 동일수평면(H)상에 배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항아리뚜껑(3)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고정공(36)상에는 손잡이(37)와 손잡이(37)의 하단에 고정된 원적외선 방사용 옥판(37a)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A)는, 맥반석을 포함하여 제조되므로, 맥반석의 효능인 이온 교환작용, 유해물질 제거 및 중금속 분해작용이 있어, 저장된 김치내의 오염물질, 세균, 중금속 등을 흡착. 분해하는 작용을 하고, 맥반석은 풍부한 산소함량을 가지고 있어, 맥반석을 물에 담그면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 Biochemical Oxygen Demand) 및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 Chemical Oxgen Demand) 이 감소하여 방부작용이 있어 김치가 오랫동안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맥반석은 원적외선 방사작용이 있어,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공명. 공진. 흡수작용 등으로 식품의 선도유지, 맛의 증가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 촉진 등에 효과가 있으므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A)는, 항아리본체(1)에 항아리뚜껑(3)을 덮고서 항아리본체(1)에 고정된 고정클립(2)에 의하여 항아리뚜껑(3)을 눌러서 항아리뚜껑(3)내에 설치된 실리콘패킹(34)이 수축되면서 항아리본체(1)내에 저장된 음식물을 밀폐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항아리본체(1)내에 저장된 김치와 같은 음식물을 숨이 통하는 용기에서 장시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김치항아리는 일반적인 항아리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항아리본체 2. 고정클립 3. 항아리뚜껑

Claims (3)

  1. 삭제
  2. 원적외선 김치항아리(A)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김치항아리(A)는,
    맥반석이 5~10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입구의 외측 가장자리에 클립고정돌출부(11)가 형성된 항아리본체(1)와, 상기 항아리본체의 클리고정돌출부에 힌지고정되는 고정클립(2)과, 상기 항아리본체의 입구를 덮으며 상기 고정클립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부의 가장자리에는 고정돌출돌조(3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맥반석이 5~10중량%가 혼합되어 제조된 항아리뚜껑(3)을 포함하고,
    상기 항아리본체(1)의 외측 가장자리에 클립고정돌출부(11)를 다수개소를 형성시키고, 상기 클립고정돌출부(11)에 고정클립(2)의 고정시켜서, 상기 고정클립(2)의 잠금작동시에 상기 항아리뚜껑(3)의 고정돌출돌조(31)에 걸려서 항아리뚜껑(3)이 하향압력을 받게 되고, 항아리뚜껑(3)의 저면에 고정된 실리콘패킹(34)이 눌려지면서 실리콘패킹(34)과 항아리본체(1)의 외주면(1a)과의 밀착에 의하여 항아리의 밀폐고정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항아리뚜껑(3)은 상부의 평면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고정돌출돌조(3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출돌조(3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게 하향돌출턱(32)이 형성되고, 상기 하향돌출턱(32)과 일정간격이 떨어져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조(33)와의 사이에 실리콘패킹(34)이 삽입되고,
    상기 실리콘패킹(34)은 지지돌조(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의 상부에 접하는 단일의 연장밀봉판(34c)이거나 발포스폰지로 구성되고,
    상기 항아리뚜껑(3)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고정공(36)상에는 손잡이(37)와 손잡이(37)의 하단에 고정된 원적외선 방사용 옥판(37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패킹(34)은, 지지돌조(33)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의 상부에 접하는 상부 연장밀봉판(34a)과 하부로 연장되어 항아리본체(1)의 입구의 외주면(1a)의 측면에 접하는 하부 연장밀봉판(34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KR1020130039405A 2013-04-10 2013-04-10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KR101417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405A KR101417625B1 (ko) 2013-04-10 2013-04-10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405A KR101417625B1 (ko) 2013-04-10 2013-04-10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625B1 true KR101417625B1 (ko) 2014-07-09

Family

ID=5174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405A KR101417625B1 (ko) 2013-04-10 2013-04-10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6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577A (ko) * 2015-01-14 2016-07-22 주식회사 노블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KR20180003125U (ko) * 2017-04-21 2018-11-01 유현숙 다층식 찬합세트
KR20190109810A (ko) * 2018-03-19 2019-09-27 이영창 직화 구이냄비
KR20200124857A (ko) 2019-04-25 2020-11-04 박종철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기능을 구비한 옹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953A (ja) * 1996-10-25 1998-05-12 Hitoshi Ogasawara 遠赤外線発生容器
KR200356473Y1 (ko) * 2004-03-12 2004-07-15 주식회사삼일스텐 조리 용구
KR100798731B1 (ko) * 2007-09-03 2008-01-29 (주)유티앤케미칼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7953A (ja) * 1996-10-25 1998-05-12 Hitoshi Ogasawara 遠赤外線発生容器
KR200356473Y1 (ko) * 2004-03-12 2004-07-15 주식회사삼일스텐 조리 용구
KR100798731B1 (ko) * 2007-09-03 2008-01-29 (주)유티앤케미칼 압력 조절이 가능한 즉석 조리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577A (ko) * 2015-01-14 2016-07-22 주식회사 노블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KR101649960B1 (ko) 2015-01-14 2016-08-30 주식회사 노블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KR20180003125U (ko) * 2017-04-21 2018-11-01 유현숙 다층식 찬합세트
KR200488219Y1 (ko) * 2017-04-21 2018-12-31 유현숙 다층식 찬합세트
KR20190109810A (ko) * 2018-03-19 2019-09-27 이영창 직화 구이냄비
KR102081814B1 (ko) * 2018-03-19 2020-02-26 이영창 직화 구이냄비
KR20200124857A (ko) 2019-04-25 2020-11-04 박종철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기능을 구비한 옹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625B1 (ko)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US1015475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xothermic ceramics for microwave oven and exothermic ceramics for microwaves
KR20090074534A (ko) 세라믹 밀폐 용기
KR200383118Y1 (ko) 유골함
CN111227586A (zh) 一种养生紫砂壶
KR100297871B1 (ko) 생리 활성 촉진용 조성물
KR101131293B1 (ko) 방향성(芳香性)을 갖는 장식용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장식용 도자기
KR200390104Y1 (ko) 3중 구조 황토 납골단지
JP2008104661A (ja) 陶磁器製お湯割りポ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28999A (ko)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4123462A (ja) 抗火石を使用した釉薬及び抗火石を使用した素焼成形品
KR100344348B1 (ko) 냉장고용 김치통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3791A (ko)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2128561A (ja) 遠赤外線陶磁器
KR200170849Y1 (ko) 전기밥통 및 전기밥솥용 바이오 세라믹 용기
KR100886313B1 (ko) 다용도 황토 조리기
KR200449525Y1 (ko) 판상 도자기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세트
KR200167928Y1 (ko) 냉장고용 김치통
JP3198336U (ja) 容器
CN215777056U (zh) 一种黑釉瓷多用途盖置
KR102041100B1 (ko) 다공성 옹기 플레이트를 이용한 친환경 무전원 공기냉각장치 및 무전원 공기냉각방법
JP2007284328A (ja) 焼物
KR20010074316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정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설치된정수기
KR19990065774A (ko) 계란껍질이나 패각류 또는 대리석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JP3190538U (ja) タンニン層を有する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