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999A -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8999A
KR20070028999A KR1020050083850A KR20050083850A KR20070028999A KR 20070028999 A KR20070028999 A KR 20070028999A KR 1020050083850 A KR1020050083850 A KR 1020050083850A KR 20050083850 A KR20050083850 A KR 20050083850A KR 20070028999 A KR20070028999 A KR 20070028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celain
clay
raw materials
water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모
Original Assignee
구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모 filed Critical 구경모
Priority to KR102005008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8999A/ko
Publication of KR2007002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9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 도자기에 있어서, 장석, 규석, 고령토, 도석, 점토를 포함하는 천연광물 원료들과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 옥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들을 도자기 원료로서 혼합하여 도자기 용기를 제작하고 3차례에 걸쳐 소성시켜 알칼리도자기 용기를 완성시키되, 2차 소성 전과 3차 소성 전에 용기내부에 항균력을 가지며 알칼리수로 변하게 하는 천연연료가 가미된 내실용 유약을 도포시켜 구성한다.
알칼리 도자기,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

Description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ALKALIC PORCELA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다. 우리 몸은 약 70%가 물로 되어 있어서 1∼2%만 부족해도 심한 갈증을 느끼고 5%정도 부족하면 혼수상태에 빠지며, 12%정도가 부족하면 생명을 잃게 된다.
혈액속에 약 83%정도가 물이므로,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는 피를 맑게 하고 면역성과 자연 치유를 높여주며,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해주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한다. 또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영양소를 골고루 전달하고 체내에 불필요한 노폐물 독성물질 등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물을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로 제조할 수 있는 용기가 있다면 소비자들에게 많은 애용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된 물을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로 변환되게 하는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알칼리 도자기에 있어서, 장석, 규석, 고령토, 도석, 점토를 포함하는 천연광물 원료들과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 옥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들을 도자기 원료로서 혼합하여 도자기 용기를 제작하고 3차례에 걸쳐 소성시켜 알칼리도자기 용기를 완성시키되, 2차 소성 전과 3차 소성 전에 용기내부에 항균력을 가지며 알칼리수로 변하게 하는 천연연료가 가미된 내실용 유약을 도포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칼리 도자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석, 규석, 고령토, 도석, 점토를 포함하는 천연광물 원료들과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 옥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들을 습식 미분하고 탈철과정을 거쳐 수분량이 21∼25%가 되도록 하고 회교제를 첨가하여 죽흙물을 되게 하여 죽흙물을 이용하여 알칼리도자기 용기를 제작하는 공정과, 제작된 알칼리도자기 용기를 자연건조후 수백도씨 온도로 초벌구이 1차 소성시키는 공정과, 초벌구이 후 용기내부에는 항균력과 알칼리수로 변하게 하는 천연연료가 가미된 내실용 유약을 1차 도포하고 용기외부에는 제조자의 의도에 맞는 색상의 유약을 도포한 후 천 수백도씨 온도로 2차 소성시키는 공정과, 2차 소성된 도자기 용기들의 용기내부를 상기 내실용 유약으로 2차로 도포하고, 용기외부에는 제작자가 의도하는 색상과 그림으로 처리 및 유약을 바르고 수백도씨 온도로 도자기를 3차 소성시켜서 알칼리도자기를 제작완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천연광물(옥, 게르마늄, 칠보석, 맥반석)을 이용하여 알칼리 도자기를 제조한다. 알칼리 도자기류에는 물병, 머그, 컵, 기타 식기류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알칼리 도자기는 물을 담아 두기만 하면 서서히 원적외선의 영향으로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로 변하여 한시간 후부터는 시약으로 측정하면 가시적으로 식별가능할 정도로 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시간이 경과하면 할수록 강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로 변환되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알칼리 도자기를 통해서 제조되는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의 특징들로는 하기와 같은 일예들이 있다.
(1) 활성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2) 미네랄(광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3) 유해물질이 적다.
(4)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이제 용기 보관된 물을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로 변환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알칼리 도자기를 제조하는 원료와 그 조성비율은 하기 표 1의 테이블과 같다.
천연광물 장 석 10 ∼15%
천연광물 규 석 10 ∼15%
천연광물 고령토 10 ∼15%
천연광물 도 석 10 ∼15%
천연광물 점 토 8 ∼10%
기능성 원료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옥 등 40 ∼50%
원료중에서 장석과 규석은 기물의 뼈대 역할을 담당하고, 고령토는 성형 이종재로서 뼈대에 침투토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도석은 안정성과 소성 밸란스를 조절한다. 또한 원료중 점토는 점력을 보강하며 성형성을 좋게한다. 기능성 원료중에서 맥반석과 옥은 원적외선 원료로서 적용한 일 예이다. 표 1의 기능성원료 비율 45∼50%는 칠보석이 9.5%정도, 게르마늄이 9.3%, 맥반석이 9.1%, 옥이 9.1% 정도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조성 비율이 약간씩 다르게 변형 및 변경될 수도 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도자기 원료를 표 1의 조성비율로 혼합하여 습식 미분(2,000mch 이상)하고 탈철과정을 거쳐 수분량이 21∼25%가 되도록 하고, 회교제를 첨가하여 죽흙물을 되게한다. 죽흙물을 도자기 용기용 석고틀에 부어넣은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한개의 도자기 용기가 성형된다.
이렇게 성형된 도자기 용기는 자연 건조시키고 면을 다듬은 후에, 약 900℃정도로 초벌구이한다(1차 소성).
초벌구이 후 용기내부에는 별도의 항균력과 알칼리수로 변하게 하는 천연연료가 가미된 상기 내실용 유약을 1차 도포하고 용기외부에는 제조자의 의도에 맞는 색상의 유약을 도포한 후 약 1,250℃정도에서 도자기를 2차 소성시킨다. 상기 내실용 유약은 초벌구이 시에는 도포되지 않았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용기내부에 1차 도포하는 내실용 유약(알칼리 마이너스이온 도자기 유약)의 원료와 조성비율은 하기 표 2의 테이블과 같다.
천연광물 장 석 10 ∼15%
천연광물 규 석 3 ∼8%
천연광물 석회석 5 ∼15%
천연광물 고령토 1 ∼7%
기능성 원료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옥 등 65 ∼75%
2차 소성된 도자기 용기들을 육안으로 선별하여 불량품은 제거하고, 그 후에는 도자기 용기내부를 상기 표 2의 조성을 가지는 내실용 유약을 다시 2차로 도포하고, 용기외부에는 꽃, 그림, 과일그림과 같은 제작자가 의도하는 색상과 그림으로 처리 및 유약을 발라서 약 900℃정도에서 도자기를 3차 소성시킴으로써, 알카리 도자기를 완성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알칼리 도자기는 용기 자체에서 원적외선이 발생하여 담아둔 물을 운동(분해)시키기 때문에 수개월이 지나도 알칼리도자기용기에 담아둔 물은 변하지 않으며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등의 균을 사멸시키는 역할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실험 예로서, 균주1 - 황색포도상 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의 경우는 99.9%와 87.3%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균주2 - 대장균 'Escherichia coli ATCC 25922'의 경우는 99.9%와 92.6%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본 발명의 알칼리도자기 용기에 증류수를 넣은 후 시간대별로 측정을 해본 결과, 하기 표 3의 테이블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시험 항목 결 과
pH(25℃) 초기 7.1
8시간 후 7.5
24시간 후 8.9
48시간 후 10.8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류수는 점점 강한 알칼리성을 띠는 알칼리 이온수로 변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본 발명의 알칼리도자기 용기가 냄새를 제거하는 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암모니아(NH3)의 탈취시험을 하였는데, 30분 경과 후의 탈취츌이 26.3%, 60분 경과 후의 탈취츌율이 29.6%, 90분 경과후의 탈취율이 31.3%, 90분 경과후의 탈취율이 31.9%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천연광물(옥, 게르마늄, 칠보석, 맥반석)을 이용하여 알칼리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알칼리 도자기 용기에 담아둔 물을 두기만 하여도 서서히 원적외선의 영향으로 알칼리 마이너스 이온수로 변환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알칼리 도자기에 있어서,
    장석, 규석, 고령토, 도석, 점토를 포함하는 천연광물 원료들과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 옥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들을 도자기 원료로서 혼합하여 도자기 용기를 제작하고 3차례에 걸쳐 소성시켜 알칼리도자기 용기를 완성시키되, 2차 소성 전과 3차 소성 전에 용기내부에 항균력을 가지며 알칼리수로 변하게 하는 천연연료가 가미된 내실용 유약을 도포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도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실용 유약은 하기 표의 원료들과 조성비율로 혼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도자기.
    [표]
    천연광물 장 석 10 ∼15% 천연광물 규 석 3 ∼8% 천연광물 석회석 5 ∼15% 천연광물 고령토 1 ∼7% 기능성 원료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옥 등 65 ∼75%
  3. 알칼리 도자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장석, 규석, 고령토, 도석, 점토를 포함하는 천연광물 원료들과 칠보석, 게르마늄, 맥반석, 옥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들을 습식 미분하고 탈철과정을 거쳐 수분량이 21∼25%가 되도록 하고 회교제를 첨가하여 죽흙물을 되게 하여 죽흙물을 이용하여 알칼리도자기 용기를 제작하는 공정과,
    제작된 알칼리도자기 용기를 자연건조후 수백도씨 온도로 초벌구이 1차 소성시키는 공정과,
    초벌구이 후 용기내부에는 항균력과 알칼리수로 변하게 하는 천연연료가 가미된 내실용 유약을 1차 도포하고 용기외부에는 제조자의 의도에 맞는 색상의 유약을 도포한 후 천 수백도씨 온도로 2차 소성시키는 공정과,
    2차 소성된 도자기 용기들의 용기내부를 상기 내실용 유약으로 2차로 도포하고, 용기외부에는 제작자가 의도하는 색상과 그림으로 처리 및 유약을 바르고 수백도씨 온도로 도자기를 3차 소성시켜서 알칼리도자기를 제작완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도자기 제조방법.
KR1020050083850A 2005-09-08 2005-09-08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28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50A KR20070028999A (ko) 2005-09-08 2005-09-08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50A KR20070028999A (ko) 2005-09-08 2005-09-08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999A true KR20070028999A (ko) 2007-03-13

Family

ID=3810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850A KR20070028999A (ko) 2005-09-08 2005-09-08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89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85B1 (ko) * 2009-04-27 2011-07-01 김진양 알칼리 수 생성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537B1 (ko) * 2013-08-07 2013-11-28 박성빈 조형 부조(浮彫)타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조타일의 제작방법 및 이의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부조타일
CN108774045A (zh) * 2018-06-22 2018-11-09 王晟鸣 一种汝瓷瓷泥及其制备方法、汝瓷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885B1 (ko) * 2009-04-27 2011-07-01 김진양 알칼리 수 생성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33537B1 (ko) * 2013-08-07 2013-11-28 박성빈 조형 부조(浮彫)타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조타일의 제작방법 및 이의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부조타일
CN108774045A (zh) * 2018-06-22 2018-11-09 王晟鸣 一种汝瓷瓷泥及其制备方法、汝瓷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478B1 (ko) 자연친화적 원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최첨단 숯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77725A (ko) 세라믹 소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76586A (zh) 一种新型瓷砖的生产方法
KR20070028999A (ko) 알칼리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81953B1 (ko) 도자기용 유액의 제조방법
KR101649862B1 (ko) 판 접합 청자 제작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1994246B1 (ko) 광택투명 및 유백색 항균 유약 및 이를 이용하는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101688035B1 (ko) 각 떡가래 성형 기법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20060110890A (ko) 기능성 타일의 제조방법
KR100495571B1 (ko) 흡방습 건강타일 조성물 및 건강타일의 제조방법
KR20090039292A (ko) 기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0335345B1 (ko) 다공질의알카리성도자기제조용조성물
KR100297871B1 (ko) 생리 활성 촉진용 조성물
KR101749624B1 (ko) 황토가 함유된 식기용 경질도자기 소지 제조방법
CN106396404A (zh) 一种具有抑菌功效的钧瓷器皿及其制造方法
KR20180021989A (ko) 다기능성 산소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05812A (zh) 负离子钛晶杀菌生态砖
KR20100119248A (ko) 방향성(芳香性)을 갖는 장식용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장식용 도자기
CN110078485A (zh) 一种新型抗菌陶瓷茶具及制作方法
KR20030088317A (ko)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소지토와 도자기 및 이들의제조방법
KR100624636B1 (ko) 페그마타이트 분말을 주재로 한 숯의 다공질 기능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01328080A (zh) 负离子远红外多功能生态抗菌保健骨质瓷及其制作工艺
JP2004123462A (ja) 抗火石を使用した釉薬及び抗火石を使用した素焼成形品
KR20060088447A (ko) 감람석분을 함유하는 도기그릇의 성형방법
KR20020070012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세라믹 컵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