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577A -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 Google Patents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577A
KR20160087577A KR1020150006724A KR20150006724A KR20160087577A KR 20160087577 A KR20160087577 A KR 20160087577A KR 1020150006724 A KR1020150006724 A KR 1020150006724A KR 20150006724 A KR20150006724 A KR 20150006724A KR 20160087577 A KR20160087577 A KR 20160087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t lid
hook
li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960B1 (ko
Inventor
박선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블첸
박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블첸, 박선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블첸
Priority to KR1020150006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9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에 관한 것으로,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용기(1)의 냄비뚜껑(2) 상부로 냄비꼭지가 고정형성되는 냄비꼭지에 있어서; 냄비뚜껑(2) 중앙에 관통형성된 결합통공(100)과; 열전도가 낮고, 형상복원이 용이한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통공(100)에 탄성변형을 통해 끼움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에 걸림결합하도록 걸림후크(210)가 형성된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번의 누름끼움과정으로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에 걸림후크가 탄성변형되어 끼움 및 걸림결합하여 냄비뚜껑에 냄비꼭지가 고정결합됨에 따라 복잡한 결합구성을 통한 결합과정 없이 간단히 냄비뚜껑과 냄비꼭지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숙련된 기술자 없이도 간단히 걸림결합만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건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걸림후크가 형성된 중앙으로부터 냄비꼭지의 상측 외주연 일측까지 "ㄱ"자 형상으로 연통형성된 증기배출구를 통해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넘침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냄비꼭지측으로 접촉되어 냄비뚜껑과 냄비꼭지 사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사용자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으로부터 결합이 별도의 공구없이 냄비꼭지의 실시간 해제가 가능함에 따라 냄비꼭지 및 냄비뚜껑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상 청결함 및 사용상 편의성, 열전도율이 떨어지는 실리콘으로 인해 조리과정에서 뚜껑파지가 별도의 장비 없이 가능한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Overflow-proof pan lid removable pot knob}
본 발명은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뚜껑 손잡이 역할을 하는 냄비꼭지의 복잡한 결합구성을 실리콘과 같은 플랙시블한 냄비꼭지 단일체로 구성하여 간단히 후크 끼움결합을 통해 냄비뚜껑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간소화함으로써, 냄비뚜껑과 냄비꼭지의 결합통공정시간의 단축과 결합구성의 간소화로 생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사용시 냄비뚜껑으로부터 냄비꼭지의 착탈이 용이하여 냄비뚜껑과 냄비꼭지 사이에 음식물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염원의 제거가 용이하여 보다 위생상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며, 냄비뚜껑과 냄비꼭지의 밀폐력이 향상됨은 물론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의 넘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국물이 있는 음식을 조리할 때, 가장 곤란한 점은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이다. 음식물이 끓어 넘치게 되면 넘친 국물이 용기에 눌어붙어 세척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가열기기의 손상을 가져오거나 심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냄비뚜껑 손잡이에 대한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끓어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은 공개특허공보 제 07-0024895호에 개시된 냄비 뚜껑 구성에서, 뚜껑의 가장자리부에 증기배출구를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증기배출구용 뚜껑이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23694호에 기재된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가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냄비뚜껑체의 가장자리 외주면에 조립되는 금속 뚜껑 플랜지에 일정한 폭과 두께를 이루는 링 모양의 실리콘 커버를 구성한 냄비 뚜껑 및 일상의 냄비뚜껑에, 수증기 유통공 및 프랜지 지지대를 가진 프랜지부, 수증기 유통공을 밀폐시키는 프랜지 뚜껑, 냄비 뚜껑 외측면을 바닥면으로 하여 프랜지부 및 프랜지 뚜껑을 내장하며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증기 배출구를 형성시킨 수증기 압력 배출부에 냄비 손잡이를 수증기 배출부 상측에 안착시켜 볼트로 체결시키는 넘침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손잡이는 뚜껑 가장자리부에 배출용 구멍을 더 뚫거나, 뚜껑손잡이 하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그 구현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비용도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이 끓을 때, 수증기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으면 음식물이 쉽게 끓어 넘치게 되는데,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 20-032369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랜지 뚜껑이 형성되어 있으면 내부의 수증기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서 완전하게 넘침을 방지할 수가 없다. 즉, 내용물이 가열되어 내부 증기압이 높아지면 프랜지 뚜껑이 증기압에 의해 위로 들려져서 증기가 배출된다고는 하지만, 프랜지 뚜껑에 의해 증기 배출구가 열렸다 닫혔다를 반복하여, 편안한 상태로 증기가 배출되지 않아서 완전하게 넘침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냄비뚜껑의 넘침방지구조를 살펴보면 냄비뚜껑과의 결합을 상당히 복잡한 구성을 통해 복잡한 다수의 결합과정으로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냄비뚜껑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냄비꼭지와의 결합을 위한 조립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고, 이는 곧 생산성과 연관되어 생산비용의 증가 및 이를 조립하기 위한 다수의 인력이 필요로하여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복잡한 구성에 따른 조립과정으로 인해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로하여 생산비용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소비자 비용 또한 상승하여 가격경쟁력에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나아가, 종래의 냄비뚜껑에 결합되는 냄비뚜껑은 앞서 상술한 복잡한 구성을 통해 복잡한 과정으로 결합함에 따라 음식조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음식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한번 체결된 냄비꼭지는 통상 나사결합된 나사를 풀고, 와셔 및 기타 부품을 별도로 보관한 후, 세척이나 교체과정을 통해 교환된 부품을 다시 나사로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사실상 냄비꼭지를 분리하여 세척하는 일은 좀처럼 이루어지지 못하여 사실상 위생상 사각지대에 놓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냄비꼭지가 스테인레스와 합성수지가 결합된 형태 또는 목재가 결합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열전도로 인한 변형이 손쉬어 사용과정에서의 유지보수가 까다롭고, 높은 온도로 인한 사용자가 직접파지하기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5106호, 등록일자 2009년 04월 20일. 2.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1-0000479, 공개일자 2011년 01월 17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실리콘으로 일체화된 냄비꼭지를 성형하여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에 탈착가능하게 걸림결합하도록 하단에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번의 누름끼움과정으로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에 걸림후크가 탄성변형되어 끼움 및 걸림결합하여 냄비뚜껑에 냄비꼭지가 고정결합됨에 따라 복잡한 결합구성을 통한 결합과정 없이 간단히 냄비뚜껑과 냄비꼭지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숙련된 기술자 없이도 간단히 걸림결합만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건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후크가 형성된 중앙으로부터 냄비꼭지의 상측 외주연 일측까지 "ㄱ"자 형상으로 연통형성된 증기배출구를 통해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넘침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식물이 냄비꼭지측으로 접촉되어 냄비꼭지와 냄비뚜껑 사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사용자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으로부터 결합이 별도의 공구없이 냄비꼭지를 실시간 해제가 가능함에 따라 냄비꼭지 및 냄비뚜껑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상 청결함 및 사용상 편의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열전도율이 떨어지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냄비꼭지로 인해 조리과정에서 뚜껑파지가 별도의 장비 없이 가능한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는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용기(1)의 냄비뚜껑(2) 상부로 냄비꼭지가 고정형성되는 냄비꼭지에 있어서; 냄비뚜껑(2) 중앙에 관통형성된 결합통공(100)과; 열전도가 낮고, 형상복원이 용이한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통공(100)에 탄성변형을 통해 끼움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에 걸림결합하도록 걸림후크(210)가 형성된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는 하단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 관통하여 상기 냄비뚜껑(2) 중앙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외측 하부면에 밀착되어 걸림대응되는 걸림후크(210)와; 상기 냄비뚜껑(2) 중앙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외측 상부면에 밀착 대응되어 상기 걸림후크(210)와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냄비뚜껑(2)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탄성고정누름부(220)와; 상기 걸림후크(210)와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 사이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100) 내주연에 밀착대응되는 기밀홈(230)과;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 상측으로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냄비뚜겅(2)을 들어올리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식꼭지(240)와; 상기 걸림후크(100) 하부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장식꼭지(240) 일측면으로 "ㄱ"자 형태로 연통되어 음식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가 냄비뚜껑(2)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증기배출구(2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걸림후크(210)에는 상기 기밀홈(230)까지 수직으로 절개된 축소절개홈(260)이 둘레를 따라 형성하여 상기 걸림후크(210)가 분할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통공(100)에 상기 걸림후크(210)를 대응시켜 끼움시 상기 축소절개홈(260)에 의해 분할된 걸림후크(210)가 내측으로 축소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 끼움 고정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실리콘으로 일체화된 냄비꼭지를 성형하여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에 탈착가능하게 걸림결합하도록 하단에 걸림후크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한 번의 누름끼움과정으로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에 걸림후크가 탄성변형되어 끼움 및 걸림결합하여 냄비뚜껑에 냄비꼭지가 고정결합됨에 따라 복잡한 결합구성을 통한 결합과정 없이 간단히 냄비뚜껑과 냄비꼭지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숙련된 기술자 없이도 간단히 걸림결합만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건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걸림후크가 형성된 중앙으로부터 냄비꼭지의 상측 외주연 일측까지 "ㄱ"자 형상으로 연통형성된 증기배출구를 통해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넘침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식물이 냄비꼭지측으로 접촉되어 냄비꼭지와 냄비뚜껑 사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사용자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냄비뚜껑의 결합통공으로부터 결합이 별도의 공구없이 냄비꼭지의 실시간 해제가 가능함에 따라 냄비꼭지 및 냄비뚜껑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상 청결함 및 사용상 편의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열전도율이 떨어지는 실리콘으로 인해 조리과정에서 뚜껑파지가 별도의 장비 없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탄성변형되어 끼움되는 모습은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전체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탄성변형되어 끼움되는 모습은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겅 착탈식 냄비꼭지는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용기(1)의 냄비뚜껑(2) 상부로 냄비꼭지가 고정형성되는 통상의 복잡한 구성의 냄비꼭지를 대체하여 복잡한 구성으로 냄비뚜껑에 결합하는 것이 아닌 실리콘으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냄비꼭지 단일체가 탄성변형을 통해 끼움되어 냄비뚜껑에 밀착고정되는 것으로,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 및 세척이 용이하고,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복잡한 구성에 따른 부품이 필요없이 단일체로 결합함에 있어 구비할 부품의 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비뚜껑과 실리콘으로 형성된 플랙시블한 냄비꼭지의 결합으로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이 가능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실리콘을 적용함에 따라 가열과정에서 냄비꼭지를 별도의 장비없이 파지가 가능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뚜껑(2) 중앙에 결합통공(100)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열전도가 낮고, 형상복원이 용이한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통공(100)에 탄성변형을 통해 끼움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에 걸림결합되어 별도의 부품에 의한 고정없이 단일체로 냄비뚜껑에 밀착대응되어 기밀결합되는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통공(100)은 냄비뚜껑(2) 중앙에 통상 원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처 및 취향에 따라 사각, 오각, 육각 또는 다각형, 기하학형상, 특정로고나 모양에 따른 디자인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광고효과 내지는 특정 제품을 표시하는 용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통공(100)에 볼트, 와셔 등의 별도 부품을 통해 결합되는 냄비꼭지와는 달리 작업자가 상기 결합통공(100)에 대응하여 누름으로써,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결합통공(100)에 끼움되고, 걸림되어 기밀결합되도록 하고, 다시 작업자 외력에 의해 잡아당기면 다시 탄성변형을 통해 기밀되어 걸림결합된 부분이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도록 플랙시블한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실리콘은 물을 튀기는 성질이 크고, 내열성이 크며, 내약품성, 전기절연성, 내노화성 및 불휘발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가열용기의 냄비뚜껑(2)으로 전도되는 열원의 전도가 최소화되어 통상의 합성수지나 목재 보다 높은 내열성으로 열전도율이 낮아 안전하게 냄비꼭지 파지가 가능하고, 수분을 함유한 음식물이나 수증기가 묻어나지 않아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리콘으로 형성된 단일체의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는 걸림후크(210), 탄성고정누름부(220), 기밀홈(230), 장식꼭지(240), 증기배출구(25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후크(210)는 상기 결합통공(100)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 끼움되어 상기 결합통공(100) 하부면 내주연 외측면에 대응되어 상향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는 하단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 관통하여 상기 냄비뚜껑(2) 중앙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외측 하부면에 밀착되어 걸림대응된다.
즉, 상기 걸림후크(210)는 후술되는 탄성고정누름부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가 냄비뚜껑(2)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사용자가 냄비뚜껑(2)을 들어올리고자 할 때, 상기 걸림후크(210)의 상부면 즉, 후술되는 기밀홈(230)과 직교되게 연접하는 수평한 면이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외측 하부면을 받치도록 하여 냄비뚜껑(2)의 무게를 받침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후크(210)는 사용자의 외력없이는 탄성변형되지 않아 결합통공(100)을 통해 이탈되지 않고 통상 냄비뚜껑을 들어올리고자 할 때 전가되는 냄비뚜껑의 무게 하중을 지지하고 받침한다.
한편, 상기 걸림후크(2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홈(230)까지 수직으로 절개된 축소절개홈(260)이 둘레를 따라 형성하여 상기 걸림후크(210)가 분할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통공(100)에 상기 걸림후크(210)를 대응시켜 끼움시 상기 축소절개홈(260)에 의해 분할된 걸림후크(210)가 내측으로 축소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 끼움 고정이 보다 용이하도록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축소절개홈(260) 형성시에는 내부 증기가 외부로 상기 축소절개홈(260)을 통해 배출되어 결합통공(100)과의 기밀결합은 제한된다.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는 상기 결합통공(100)의 내주연 둘레 외측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냄비뚜껑(2) 상부를 누름과 함께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가 냄비뚜껑의 결합통공(100)을 통해 하향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통공(100)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냄비뚜껑(2) 중앙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외측 상부면에 밀착 대응되어 상기 걸림후크(210)와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냄비뚜껑(2)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는 상측으로 후술되는 장식꼭지(24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장식꼭지(240)의 무게하중과 실리콘재질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냄비뚜껑 상부면을 가압하는 것이다.
상기 기밀홈(230)은 상기 결합통공(100)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크게 형성하여 상기 결합통공(100)과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와의 결합에 따른 틈새없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후크(210)와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 사이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100) 내주연에 밀착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기밀홈(230)은 실리콘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면에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 장식꼭지(240)는 다양한 문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 상측으로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냄비뚜겅(2)을 들어올리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증기배출구(250)는 냄비뚜껑(2)에 의해 밀폐되는 가열용기(1)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또는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로 인해 가열용기(1) 내부 압력이 상승되고, 이에 따라 냄비뚜껑(2)이 유동하면서 조리되는 내부 음식물이나 물이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열용기(1) 내부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넘침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걸림후크(100) 하부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장식꼭지(240) 일측면으로 "ㄱ"자 형태로 연통되어 음식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가 냄비뚜껑(2)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는 작업자가 결합통공(100)에 플랙시블 냄비꼭지(200)의 걸림후크(210)측을 대응하여 외력으로 밀어 끼움함으로써, 간단히 냄비뚜껑에 냄비꼭지가 결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별도의 부품없이 냄비뚜껑과 냄비꼭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냄비꼭지의 조립공정이 간소화되며,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함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더욱이, 내열성이 우수하고, 탄성변형이 용이한 실리콘을 이용하여 단일체로 냄비꼭지를 형성함에 따라 탈부착이 용이하여 항상 냄비꼭지와 냄비뚜껑 사이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가열과정에서 냄비뚜껑을 행주 등을 이용하지 않고 손쉽게 들어올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조리과정에서 넘침이 방지되어 가열수단 주변의 청결함을 유지하기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가열용기 2 : 냄비뚜껑
100 : 결합통공 200 : 플랙시블 냄비꼭지
210 : 걸림후크 220 : 탄성고정누름부
230 : 기밀홈 240 : 장식꼭지
250 : 증기배출구 260 : 축소절개홈

Claims (3)

  1.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열용기(1)의 냄비뚜껑(2) 상부로 냄비꼭지가 고정형성되는 냄비꼭지에 있어서;
    냄비뚜껑(2) 중앙에 관통형성된 결합통공(100)과;
    열전도가 낮고, 형상복원이 용이한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통공(100)에 탄성변형을 통해 끼움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에 걸림결합하도록 걸림후크(210)가 형성된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시블 냄비꼭지(200)는 하단이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 관통하여 상기 냄비뚜껑(2) 중앙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외측 하부면에 밀착되어 걸림대응되는 걸림후크(210)와;
    상기 냄비뚜껑(2) 중앙 결합통공(100) 내주연 둘레 외측 상부면에 밀착 대응되어 상기 걸림후크(210)와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냄비뚜껑(2)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탄성고정누름부(220)와;
    상기 걸림후크(210)와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 사이에 요입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100) 내주연에 밀착대응되는 기밀홈(230)과;
    상기 탄성고정누름부(220) 상측으로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냄비뚜겅(2)을 들어올리거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식꼭지(240)와;
    상기 걸림후크(100) 하부면 중앙으로부터 상기 장식꼭지(240) 일측면으로 "ㄱ"자 형태로 연통되어 음식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가 냄비뚜껑(2)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증기배출구(2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210)에는 상기 기밀홈(230)까지 수직으로 절개된 축소절개홈(260)이 둘레를 따라 형성하여 상기 걸림후크(210)가 분할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통공(100)에 상기 걸림후크(210)를 대응시켜 끼움시 상기 축소절개홈(260)에 의해 분할된 걸림후크(210)가 내측으로 축소되어 상기 결합통공(100)으로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용 냄부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KR1020150006724A 2015-01-14 2015-01-14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KR10164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24A KR101649960B1 (ko) 2015-01-14 2015-01-14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24A KR101649960B1 (ko) 2015-01-14 2015-01-14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577A true KR20160087577A (ko) 2016-07-22
KR101649960B1 KR101649960B1 (ko) 2016-08-30

Family

ID=5668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724A KR101649960B1 (ko) 2015-01-14 2015-01-14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502A (zh) * 2016-11-08 2017-02-22 天津市山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溢结构的养生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06B1 (ko) 2008-05-07 2009-04-28 (주)화인아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KR20110000479A (ko) 2009-06-26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립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10006633U (ko) * 2009-12-24 2011-06-30 (주) 씨제이오쇼핑 냄비 뚜껑과 냄비
KR20110098263A (ko) * 2010-02-26 2011-09-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리용기 뚜껑
KR101417625B1 (ko) * 2013-04-10 2014-07-09 임강준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06B1 (ko) 2008-05-07 2009-04-28 (주)화인아트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KR20110000479A (ko) 2009-06-26 2011-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립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10006633U (ko) * 2009-12-24 2011-06-30 (주) 씨제이오쇼핑 냄비 뚜껑과 냄비
KR20110098263A (ko) * 2010-02-26 2011-09-0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리용기 뚜껑
KR101417625B1 (ko) * 2013-04-10 2014-07-09 임강준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502A (zh) * 2016-11-08 2017-02-22 天津市山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溢结构的养生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960B1 (ko) 201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53316A1 (en) Multi-purpose stock pot
KR101649960B1 (ko) 넘침방지용 냄비뚜껑 착탈식 냄비꼭지
JP2015527143A (ja) 容器に載置するキッチン用具、キッチン用具とさまざまな機能的ユニットとを備えたキッチン用具セット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203655B1 (ko) 냄비 뚜껑 손잡이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101668750B1 (ko) 착탈식 냄비꼭지
KR101000881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200475469Y1 (ko) 진공 냄비
KR100567596B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454730Y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200152284Y1 (ko) 밀폐식 냄비의 자동에어 배출 밸브구조
KR20220000321U (ko) 착탈식 냄비꼭지
WO2017094244A1 (ja) 加熱調理器
WO2004103132A1 (en) Handle of the pot-lid for preventing the contents in the pot from overflowing
CN107374334B (zh) 易清理黏贴食物的锅具及电加热炊具
KR101230419B1 (ko) 중탕조리기
CN208286850U (zh) 烹饪器具
KR20140004586U (ko)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KR101526944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41195Y1 (ko) 끓어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
CN211299666U (zh) 一种厨具
KR200448606Y1 (ko) 용도가 구분되는 급식용 대형 용기
CN211093320U (zh) 一种锅盖及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