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928Y1 - 냉장고용 김치통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김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928Y1
KR200167928Y1 KR2019990016747U KR19990016747U KR200167928Y1 KR 200167928 Y1 KR200167928 Y1 KR 200167928Y1 KR 2019990016747 U KR2019990016747 U KR 2019990016747U KR 19990016747 U KR19990016747 U KR 19990016747U KR 200167928 Y1 KR200167928 Y1 KR 200167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kimchi
refrigerator
kimchi container
gra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숙진
Original Assignee
이숙진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33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44348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숙진, 김현수 filed Critical 이숙진
Priority to KR2019990016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김치통과 식탁상에 놓는 반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로 혼합된 혼합재와 맥반석을의 혼합한 후 용기로 제작하여 김치의 신선도 및 인체에 무해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음식 내용물을 활성화시키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냉장고용 김치통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맥반석을 파쇄하는 단계;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및 규사가 혼합된 혼합재와 맥반석을 60:40 ~ 80: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재료를 소정의 제품 형태로 성형하고 건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성형된 제품을 가마에서 1,250 ~ 1,350。C의 온도로 12 ~ 15시간 화성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김치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도기, 스테인레스 및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김치통에 김치 등을 보관하도록 제작하는 냉장고용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김치통(40)은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로 혼합된 혼합재와 맥반석을 60:40 ~ 80:20 중량%로 혼합한 후 김치통을 제작 및 화성처리하는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김치통{Kimch'i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안에 보관하는 김치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김치의 맛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음식물 보관용기를 제조하는 원료를 원적외선 방사를 활성화시키는 맥반석, 화강석, 옥석, 황토, 진흙, 규사의 혼합재질로 형성하여 김치를 보관하거나 이외에 다른 음식을 담아도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인체에 유익한 항균작용, 습도조절, 탈취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김치통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보관 용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용기, 황토(고령토) 재질로 만들어진 자기, 스테인레스로 만들어진 용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원적외선 방사를 활성화하고 또는 항균작용을 하는 맥반석 용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맥반석과 황토(고령토)로 제조한 음식물 보관용기는 산소 공급이 좋아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항균작용과 습도조절 작용, 탈취작용 등의 장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사람들이 환경친화적인 제품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관계로 맥반석과 황토로 제조되는 보관용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황토(또는 고령토)로 제조한 용기는, 온도가 1,200。C 이하에서 제조한 제품을 도기라 하고, 온도가 1,200。C 이상에서 제조한 제품을 자기라 한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도자기 제품은 화성공정에서 사용되는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용기는, 근래에 TV나 신문 지상을 통하여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 용기를 제조하느냐에 따라 보관되는 음식물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사회가 첨단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은 인체에 무해한 음식물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었고, 거기에 덧붙여 음식이 인간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부터 환경 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음식물을 저장하는 음식물 보관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보관 용기는, 음식물을 보관하는 기능만 가지는 것이 아니라 보관용기의 외적인 미도 추구하고 있다.
도 1a는 종래의 원형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사각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보관용기의 종류가 많은 관계로 도면상에는 원형 타입과 사각 타입으로 제작된 김치통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인 보관용기를 제조되는 재질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황토 재질로 제작된 자기 용기(10)는 상부 덮개(12)와 하부 용기(18)로 구성된다. 상기 자기 용기(10)는 하부 용기(18)에 음식물을 넣은 후 상부 덮개(12)를 덮어 냉장고 등의 내부에 형성된 보관 장소에 보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자기 용기(10)는 그 외부에 다양한 무늬를 넣어 외적인 미를 살릴수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자기 용기의 강도를 위해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관계로 그 두께를 최대한 얇게 만들수 없는 것이 그 문제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상기 자기 용기(10)중 외국제품으로는 상표명이 '파이렉스'인 제품이 국내에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제품은 용기의 내,외부로 산소의 공급이 원활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기호에 적합하기 때문에 그 사용량이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스텐인레스의 재질로 제작된 스테인레스 용기(20)는, 일반적으로 상부 덮개(22), 결합구(24) 및 하부 용기(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덮개(22)에는 그 외주연에 대칭되도록 결합구(24)를 설치하는데, 일반적으로 2개 또는 4개의 대칭적인 구조로 이루어진 결합구(24)가 일반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덮개(22)의 내측에는 고무패킹을 설치한다.
상기 스테인레스 용기(20)의 사용 방법은, 하부 용기(28)에 음식물을 넣은 후에 하부 용기(28)에 상부 덮개(22)를 덮고 그 상부 덮개(22)에 형성된 결합구(24)를 장착하여 하부 용기(28)와 상부 덮개(22)를 견고하게 고정한 뒤 그 스테인레스 용기(20)를 음식물 보관장소에 보관한다.
특히, 상기 상부 덮개(22)의 내측에는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패킹 등의 밀착재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인 내용이라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테인레스 용기(20)는 합금으로 만들어지는 관계로 보관 용기중 가장 견고한 특성을 가진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용기(30)는, 가장 손쉽게 구할 있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용기(30)는 스테인레스 용기와 마찬가지로 상부 덮개(32), 결합구(34) 및 하부 용기(38)로 형성된다.
특히, 플라스틱 용기(30)는 스테인레스 용기(20)와 모든 구조가 유사하여 도 1b에 참조 번호를 사용하였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 보관용기는, 그 재질을 스테인레스 등의 합금, 황토, 플라스틱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관계로, 음식물을 쉽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음식물에 적당한 방법으로 보관한다고는 말할 수 없어 음식물이 지니는 고유한 맛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맛과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맥반석 재료를 사용하고, 냉장고에 김치통을 보관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냄새를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냉장고용 김치통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맥반석을 파쇄하는 단계;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및 규사가 혼합된 혼합재와 맥반석을 60:40 ~ 80:2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재료를 소정의 제품 형태로 성형하고 건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성형된 제품을 가마에서 1,250 ~ 1,350。C의 온도로 12 ~ 15시간 화성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김치통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도기, 스테인레스 및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김치통에 김치 등을 보관하도록 제작하는 냉장고용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김치통은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로 혼합된 혼합재와 맥반석을 60:40 ~ 80:20 중량%로 혼합한 후 김치통을 제작및 화성처리하는 냉장고용 김치통을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의 원형 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사각 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의 원형 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고안의 타원형 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은 본 고안의 사각 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통합 반찬통)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도 2a의 A-A(도 3b의 B-B)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상부 덮개와 하부 용기를 절단된 상태에서 결합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김치통 44,64: 상부 덮개
48: 손잡이부 50,70: 패킹
54,68: 하부 용기 58: 통합 반찬통
60: 차단부
본 고안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원형 타입의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타원형 타입의 음식물 보관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김치통(40)은, 크게 상부 덮개(44), 밀착부 및 하부 용기(54)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덮개(44)에는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용기(54)에 정확하게 밀착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의 패킹(50)을 설치한다. 상기 하부 용기(54)에는 외측 2곳에 서로 대향하도록 손잡이부(48)를 내측으로 파인 형상으로 일정한 홈을 형성한다. 상기 김치통(40)은, 혼합 재질로 맥반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부 덮개(44)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하부 용기(54)와 정확하게 결합된다.
도 3a은 본 고안의 사각 타입의 김치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통합 반찬통)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김치통(40)과 통합 반찬통(58)은 사각 타입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김치통(40)과 통합 반찬통(58)은 크게 상부 덮개(44)(64), 밀착재 및 하부 용기(54)(68)로 구성된다.
상기 김치통(40)은 상부 덮개(44)의 하부에 패킹(50)을 설치하고 하부 용기(54)에는 홈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상기 통합 반찬통(58)은 상부 덮개(44)의 하부에 패킹(70)을 설치하고 하부 용기(68)에는 내측에 차단부(60)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통합 반찬통(58)은 김치통(40)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높이를 축소시키고 하부 용기의 내측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칸막이를 나누어 남는 음식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a는 도 2a의 A-A(도 3b의 B-B) 절단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상부 덮개와 하부 용기를 절단된 상태에서 결합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부 용기(54)의 상부에는 상부 덮개(44)의 패킹(50)과 밀착되도록 홈이 형성된다.
상기 김치통(40)은 전체적인 외형의 형상을 원형 타입, 타원형 타입 및 사각 타입으로 제조할 수 있을뿐 만 아니라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김치통(40)은,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를 혼합한 혼합재에 맥반석을 60:40 ~ 80:20 중량%로 혼합한 뒤 제품형상으로 소성하고 화성처리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종래의 고령토만으로 제작된 제품에 비하여 월등히 뛰어난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덮개(44)와 하부 용기(54)는 맥반석을 재료로 사용하므로 탈취효과가 뛰어나며 정수작용을 하는 특성에 의하여 하부 용기(54)에 넣어진 김치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김치통(40)과 통합 반찬통(58)의 제작 방법은, 맥반석을 파쇄하는 단계;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를 혼합한 혼합재와 맥반석 분말을 60:40 ~ 80:20 중량%로 혼합하고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재료를 소정의 제품 형태로 성형하고 건조하는 단계; 상기 성형된 제품을 가마에서 1,250 ~ 1,350。C의 온도로 12 ~15시간 화성처리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상기 제작 방법으로 제작된 김치통은 탈취효과 및 정수작용이 탁월하여 하부 용기(54)에 넣어진 김치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맛을 그대로 유지한채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성형된 김치통을 가마에서 1,250 ~ 1,350。C의 온도로 12 ~ 15시간 화성처리하는 단계를 구성하는 이유는, 용기 위의 유약이 화성과정중 1,250 ~ 1,300。C의 온도에서 완전 제거되기 때문에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체에 무해한 건강 용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김치통(40)과 통합 반찬통(58)은,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를 혼합한 혼합재와 맥반석 분말을 60:40 , 70:30 및 80:20 중량%의 세종류로 상부 덮개와 하부 용기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과 작용에 대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김치통과 통합 반찬통은, 황토(고령토)와 맥반석을 혼합하여 용기를 제작하므로 각종 냄새를 흡수하고 김치가 숙성하는 동안에 발생되는 독소를 탈취할 수 있으며, 특히 자연적인 상태에서의 맛과 색깔 등에 대한 물리적 및 화학적 변화를 조화롭게 이룰수 있도록 하므로 냉장고에 장기간 김치통을 저장하는 경우에도 용기에 저장된 김치의 신선도 및 맛이 변질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김치통과 통합 반찬통은,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를 혼합한 혼합재와 맥반석 분말을 일정한 비율로 제조한 제품, 황토와 맥반석만을 혼합하여 제조한 제품, 맥반석만으로 제조한 제품 등의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수 있어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용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부 덮개와 하부 용기에는 밀착력이 뛰어난 구조로 고무제품의 패킹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처음의 맛을 그대로 간직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의 김치통에 김치를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어도 타용기에 비해 김치의 변하는 정도가 상당히 더뎌지기 때문에 최상의 김치를 오래도록 음미할 수 있으며, 특히 김치통과 통합 반찬통은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를 혼합한 혼합재와 맥반석을 혼합한 뒤 일정한 비율로 제조함으로서 깨지기 쉬운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강도가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김치통과 통합 반찬통은 규사(유리)를 사용하여 제작하므로 외부를 매끈하고 부드럽게 제작할 수 있고, 김치통과 통합 반찬통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무늬를 삽입시킬 수도 있다.

Claims (1)

  1. 도기, 스테인레스 및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김치통에 김치 등을 보관하도록 제작하는 냉장고용 김치통에 있어서, 상기 김치통(40)은 옥석, 화강석, 황토흙, 진흙 및 규사로 혼합된 혼합재와 맥반석을 60:40 ~ 80:20 중량%로 혼합한 후 김치통을 제작및 화성처리하는 냉장고용 김치통.
KR2019990016747U 1999-08-13 1999-08-14 냉장고용 김치통 KR200167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47U KR200167928Y1 (ko) 1999-08-13 1999-08-14 냉장고용 김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366A KR100344348B1 (ko) 1999-08-13 1999-08-13 냉장고용 김치통 및 그 제조 방법
KR2019990016747U KR200167928Y1 (ko) 1999-08-13 1999-08-14 냉장고용 김치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366A Division KR100344348B1 (ko) 1999-08-13 1999-08-13 냉장고용 김치통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928Y1 true KR200167928Y1 (ko) 2000-02-15

Family

ID=2663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747U KR200167928Y1 (ko) 1999-08-13 1999-08-14 냉장고용 김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9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60A (ko) * 2001-05-29 2002-12-05 이영환 황토, 맥반석, 제올라이트, 견운모, 옥석, 굴껍질,조개껍질, 키토산을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재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660A (ko) * 2001-05-29 2002-12-05 이영환 황토, 맥반석, 제올라이트, 견운모, 옥석, 굴껍질,조개껍질, 키토산을 이용한 김치 신선도 유지재의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348B1 (ko) 냉장고용 김치통 및 그 제조 방법
KR200167928Y1 (ko) 냉장고용 김치통
WO2004092024A3 (en) Dual chamber salad container
KR101417625B1 (ko) 원적외선 김치항아리
WO2005113463A1 (en) Deodorizing and mothproofing composition using wood flour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432798B1 (ko) 인체 및 동식물 생리 활성 촉진물 및 그 조성방법
KR19990078478A (ko) 항균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340230Y1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
KR200289837Y1 (ko) 식품저장용기
KR20010087619A (ko) 활석과 천연옥및 조개껍질이 함유된 수지와 그 제조방법
KR200346372Y1 (ko) 통기구가 형성된 원적외선세라믹 식품저장용기
KR200192207Y1 (ko) 발포수지용기
JPS6433159A (en) Resin composition, its molding and their production
JPS6440567A (en) Clathrate product
CN203709890U (zh) 一种调味瓶
KR20030095901A (ko) 식품저장용기
KR101465150B1 (ko) 한지 쌀통
KR200414429Y1 (ko) 음식물 용기
KR200187658Y1 (ko) 보온,보냉 김치독
JPH04262737A (ja) 漬物用容器
KR200291594Y1 (ko) 회접시
JP2000007406A (ja) 人造大理石成型品
KR101420316B1 (ko) 납골함과 그 제조방법
KR200304711Y1 (ko) 쌀 저장 용기
KR100852800B1 (ko)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