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50Y1 -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 Google Patents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50Y1
KR200481350Y1 KR2020110010606U KR20110010606U KR200481350Y1 KR 200481350 Y1 KR200481350 Y1 KR 200481350Y1 KR 2020110010606 U KR2020110010606 U KR 2020110010606U KR 20110010606 U KR20110010606 U KR 20110010606U KR 200481350 Y1 KR200481350 Y1 KR 200481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work plate
plate
pair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367U (ko
Inventor
권재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5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3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용 섹션을 제작하기 위한 서비스 타워로서, 사이 공간에 상기 섹션이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각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작업판;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지상에서 상기 상측 작업판으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계단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작업판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하측 회전시 상기 섹션의 표면에 접촉 가능한 회전 작업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섹션 제작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작업장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 작업판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작업판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 없이 섹션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 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Description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SERVICE TOWER FOR MANUFACTURING SECTION OF SUBMARINE}
본 고안은,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 없이 섹션을 회전시켜 섹션 제작 작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섹션 제작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압력 선체를 구성하는 섹션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섹션의 외면 및 내면에 용접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섹션은 상당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바, 특히 작업자가 섹션의 외면 상부 영역을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섹션 주변에 발판 등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여 섹션의 상부 영역 작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섹션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한편, 섹션의 외면 및 내면 전체 영역에 걸쳐서 이러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작업중 섹션을 회전시켜야 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섹션 외면의 돌출부에 의해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즉 발판 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섹션을 회전시키는 것이 불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섹션 외면의 복수의 돌출부가 발판과 같은 구조물에 간섭되어 섹션을 회전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섹션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작업자는 발판 구조물을 해체한 후 섹션을 회전시키고 이어서 다시 발판 구조물을 재설치해야 하는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해체된 발판 구조물을 적재하기 위한 별도의 적재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발판 구조물 해체 및 설치 작업에 따른 공기 지연 및 작업자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섹션 제작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작업장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별도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 없이 섹션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해 작업장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며 작업시 안전 사고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잠수함의 압력 선체용 섹션을 제작하기 위한 서비스 타워로서, 사이 공간에 상기 섹션이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각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작업판;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지상에서 상기 상측 작업판으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계단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작업판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하측 회전시 상기 섹션의 표면에 접촉 가능한 회전 작업판을 포함하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섹션의 표면과 접촉 가능한 상기 회전 작업판의 표면에는, 고무, 에폭시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완충부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작업판에는, 상기 상측 작업판에 구비된 지지바에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 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 작업판은, 상기 지지바와 상기 걸림 고리의 상호 결합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작업판은 하나의 상측 작업판에 대해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섹션을 하측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섹션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턴 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턴 롤러는 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턴 롤러는 자유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섹션 제작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도록 작업장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 작업판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작업판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 없이 섹션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작업 일정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둘째, 섹션을 회전하기 위해 별도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장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시 안전 사고가 발생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에서 회전 작업판이 하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에서 회전 작업판이 상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에서 회전 작업판이 하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에서 회전 작업판이 상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이하, '서비스 타워'라 한다)는, 잠수함의 압력 선체용 섹션을 제작하기 위한 작업대로서, 사이 공간에 섹션(100)이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각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작업판(300),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지상에서 상측 작업판(300)으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계단 프레임(400), 및 상측 작업판(300)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작업판(5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는 각각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간의 사이 공간에 잠수함 압력 선체용 섹션(100)이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는 작업장에 항시 고정 설치되며, 섹션(100)은 작업장의 천장 등에 설치된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 사이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섹션(100)을 회전시켜야 되는 경우, 베이스 프레임부(200), 상측 작업판(300), 계단 프레임(400) 및 회전 작업판(500)을 해체 및 재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시간 단축 및 안전 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측 작업판(300)은 작업자가 섹션(100) 상부 영역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도록,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섹션의 상부 영역'이라 함은 현재 섹션(100)이 배치된 상태에서 섹션(100)의 상부 영역을 말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섹션(100)을 회전시킬 경우, 이러한 상부 영역은 섹션(100)의 회전 정도에 따라 변경되는 부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 프레임(40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작업자가 지상에서 상측 작업판(300)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계단 프레임(40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다. 즉, 계단 프레임(400)이 설치되지 않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의 전방 또는 후방은, 작업 완료된 섹션(100)을 또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일 예로, 계단 프레임(400)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의 전방 측에 설치된 경우, 작업 완료된 섹션(100)은 작업장 천장에 설치된 별도의 크레인 등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의 후방 측을 통해 다른 장소로 이동 가능하다.
한편,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에는 전술한 계단 프레임(400) 이외에 또 다른 보조 계단 프레임(220)이 설치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조 계단 프레임(220)을 통해서도 상측 작업판(30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측 작업판(300)에는 작업자가 보조 계단 프레임(220)을 통해 상측 작업판(300) 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개구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작업판(500)이 상측 작업판(300)에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더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 작업판(500)은 하나의 상측 작업판(300)에 대해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당한 무게를 갖는 회전 작업판(5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회전 작업판(50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해체 작업 없이 후술하는 대로 섹션(100)을 회전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자가 섹션(100)의 상부 영역 작업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작업판(500)은 경첩 구조 등을 통해 상측 작업판(300)에 대해 상하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회전시 섹션(100)의 상부 영역 표면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즉, 회전 작업판(500)을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작업판(500)은 섹션(100)의 표면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하측 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장 바닥에서 계단 프레임(400)을 통해 상측 작업판(300)으로 이동한 후, 회전 작업판(500)을 거쳐 섹션(100)의 상부 영역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 작업판(500)은 충분한 강성 및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갖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하측으로 회전하는 상태의 회전 작업판(500)이 섹션(100)의 표면에 접촉하는 순간 상호 간의 접촉 마찰 등에 의해 섹션(100)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섹션(100)의 표면과 접촉 가능한 회전 작업판(500)의 표면, 구체적으로 회전 작업판(500)의 자유단 모서리와 저면에는 고무, 에폭시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완충부재(510)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작업판(500)은 섹션(100)의 작업 상태에 따라 상측으로 회전하여 섹션(1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거나 하측으로 회전하여 섹션(100)의 표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의 사이에 현재 설치된 섹션(100)의 상부 영역 작업을 위해서 작업자는 회전 작업판(500)을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면에, 현재 상태에서 섹션(100)을 일정 이상 회전시켜 또 다른 영역의 상부 작업 및 내부 작업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회전 작업판(500)을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섹션(100)의 회전은 작업장 천장에 마련된 크레인(미도시)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크레인에 구비된 후크를 회전 작업판(500)에 걸은 후 회전 작업판(500)을 일정 이상 상측으로 회전시켜 섹션(100)의 상측을 개방시키고, 이어서 후크를 섹션(100)에 걸은 후 크레인의 작동에 의해 섹션(100)을 필요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섹션(100)의 외면에는 용접 등의 작업에 의해 복수의 구조물이 돌출 형성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작업판(500)을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돌출 구조물에 의해 간섭되어 섹션(100)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 계단 프레임(400), 상측 작업판(300)이 모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해체 작업 없이 섹션(10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일정의 단축, 제작품의 품질 수준 향상,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장 바닥에는 섹션(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턴 롤러(60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턴 롤러(600)는 섹션(100)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 하부를 지지하도록 일 예로 총 4개로 설치 가능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섹션(100)의 길이에 따라 이러한 턴 롤러(600)의 설치 개수가 증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턴 롤러(600)는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거나 힌지축에 의해 자유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먼저, 턴 롤러(600)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면, 섹션(600)을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이러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면 가능하다. 여기서, 섹션(100)의 전방 양측 및 후방 양측 하부에 각각 2개씩의 턴 롤러(600)가 구비된 경우, 전방 측의 2개의 턴 롤러(600) 중 어느 하나만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자유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후방 측의 턴 롤러도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달리, 턴 롤러(600)가 구동모터의 구동이 아인 자유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섹션(600)은 전방 및 후방 영역이 턴 롤러(600)에 의해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크레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이상 상측으로 회전한 상태의 회전 작업판(500)을 지지하도록, 즉 자중에 의해 회전 작업판(500)이 다시 하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 작업판(500)에는 걸림 고리(520)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 작업판(300)에는 걸림 고리(520)에 걸림 가능하도록 지지바(310)가 설치되며, 크레인에 의해 회전 작업판(500)을 일정 이상 상측 회전시킨 상태에서 지지바(310)를 걸림 고리(520)에 걸어 하측으로의 회전을 제한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타워를 이용한 작업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200) 사이에 작업 대상체인 섹션(100)을 위치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크레인을 작동하여 회전 작업판(500)의 일부분이 섹션(100)의 상부 영역 표면에 접촉하도록 회전 작업판(500)을 하측으로 회전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계단 프레임(400)을 통해 상측 작업판(300)으로 이동한 후, 회전 작업판(500)을 거쳐 섹션(100)의 상부 표면으로 이동하여 용접 및 그라인딩 작업 등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는 섹션(100)의 내부 작업도 마찬가지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섹션(100)의 내면 및 외면 작업 영역의 교체를 위해 섹션(100)을 회전시킬 필요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작업자는 크레인을 작동하여 회전 작업판(500)을 상측으로 일정 이상 회전시킨 후 상측 작업판(300)에 구비된 지지바(310)를 걸림 고리(520)에 걸어 자중에 의한 회전 작업판(500)의 하측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회전 크레인 및 턴 롤러(600)을 이용하여 섹션(100)을 일정 이상 회전시킨 후, 다시 회전 작업판(500)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섹션(100)의 또 다른 상부 영역 및 내부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섹션 200: 베이스 프레임부
300: 상측 작업판 310: 지지바
400: 계단 프레임 500: 회전 작업판
510: 완충부재 520: 걸림 고리
600: 턴 롤러

Claims (7)

  1. 잠수함의 압력 선체용 섹션을 제작하기 위한 서비스 타워로서,
    사이 공간에 상기 섹션이 위치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모습으로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설정된 간격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크기를 가지며, 지지바가 설치되는 상측 작업판;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지상에서 상기 상측 작업판으로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계단 프레임; 및
    상기 상측 작업판의 일측 단부에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지지바를 통하여 상측 작업판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의 장력을 통하여 하부로 설정된 회전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 고리가 형성되며, 하측 회전시 상기 섹션의 표면에 접촉하여 하중을 전달하여 분담하도록 하며, 상기 섹션의 표면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고무, 에폭시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완충부재가 부착되는 회전 작업판;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내측 영역에 배치되되, 상기 섹션을 하측에서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섹션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턴 롤러
    를 구비하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작업판은 하나의 상측 작업판에 대해 복수로 설치되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턴 롤러는 이 중 적어도 일부분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턴 롤러는 자유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KR2020110010606U 2011-11-29 2011-11-29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KR200481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06U KR200481350Y1 (ko) 2011-11-29 2011-11-29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06U KR200481350Y1 (ko) 2011-11-29 2011-11-29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67U KR20130003367U (ko) 2013-06-07
KR200481350Y1 true KR200481350Y1 (ko) 2016-09-20

Family

ID=5242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06U KR200481350Y1 (ko) 2011-11-29 2011-11-29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47B1 (ko) * 2021-09-03 2023-11-0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시험용 잠수함 모형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형 고정 방법
KR102667589B1 (ko) * 2022-12-16 2024-05-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 수중운동체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53A (ko) * 2000-07-28 2000-11-06 이용철 관 연결용 용접장치
KR20100059047A (ko) * 2008-11-25 2010-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 작업용 족장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족장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67U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74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EP3617127B1 (en) Jump elevator and jumping method
WO2006078585A3 (en) Wafer support pin assembly
KR200481350Y1 (ko) 잠수함 섹션 제작용 서비스 타워
US9728282B2 (en) Remotely operated manipulator
KR101014509B1 (ko) 차체 조립지그의 클램프장치
CN209919190U (zh) 一种储罐倒装法无肋式顶板安装装置
KR101364198B1 (ko) 건물 외장공사용 가변형 비계
JP6566624B2 (ja) 昇降装置のガイドレールへの脱着方法
KR20180085639A (ko)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101224986B1 (ko) 압연기의 쵸크 결합장치와 결합 및 해체방법
KR20160070652A (ko) 갱폼 일체형 데크 운영 시스템
KR102472830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모터 교체 장치 및 엘리베이터 권상기 모터 교체 방법
KR20150005098A (ko) 곡유리 성형용 지그장치
CN211768777U (zh) 一种具有夹持结构的夹盘式上砖机设备
JP2014025282A (ja) 梁部材の架設方法
KR20130006767U (ko) 선체의 하중 지지를 위한 구조물
JP6362571B2 (ja) 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釣合重り搬出用治具
JP201003708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H11314870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CN204997613U (zh) 一种隔套拆卸装置
KR101732816B1 (ko) 리프트
IT201800020725A1 (it) Dispositivo di manipolazione e taglio e macchina utensile con tale dispositivo di manipolazione e taglio
KR100821300B1 (ko) 전동 윈치가 구비된 그레이팅 핸들링 장치
JP5806166B2 (ja) エレベータ改修用機器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