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24Y1 -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 Google Patents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24Y1
KR200481224Y1 KR2020160001999U KR20160001999U KR200481224Y1 KR 200481224 Y1 KR200481224 Y1 KR 200481224Y1 KR 2020160001999 U KR2020160001999 U KR 2020160001999U KR 20160001999 U KR20160001999 U KR 20160001999U KR 200481224 Y1 KR200481224 Y1 KR 200481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passage
holder
uni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명관
Original Assignee
(주)세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 filed Critical (주)세명
Priority to KR2020160001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an auxiliary mould part carrying the moulded article and removing it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8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 material
    • B29K2867/003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력을 증가시켜 흡착수단에 대상물이 더욱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흡착수단이 홀더본체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며, 깊이가 깊은 대상물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는,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며,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111)가 개방 형성된 홀더본체(100); 상기 홀더본체(1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2통로(200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통로(200a)를 통해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대상물이 탈부착되는 흡착수단(200); 상기 홀더본체(100)를 취출플레이트(20)에 탄성 지지되게 결합시키는 텐션수단(300);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본체(100)는, 상기 제1통로(111)가 형성된 흡착부(110); 상기 흡착부(110)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텐션수단(3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120); 상기 흡착부(110)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3통로(131)가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통로(131)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는 공급부(130); 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3통로(131)의 직경의 합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통로(200a)의 직경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작다.

Description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Adsorption holder of vacumm adsorp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허 금형의 성형품을 금형에서 취출하기 위한 진공흡착장치에 구비되어 성형품을 흡착 고정시키는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다양한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 이다. 그 과정은 수지원료의 용융, 충전, 성형, 냉각, 취출 등의 순서를 거친다. 이러한 공정 중에서 상기 취출과정은 취출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인 취출로봇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한다. 사출성형기의 고정대 상면에 설치되어 사출성형기로부터 사출물을 취출하여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이송 컨베이어 또는 작업대 등으로 반송하는 장치로서, 사출성형기의 고정대 상면에 취출로봇의 베이스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사출성형기의 일측에는 작업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횡주행 유닛이 고정되어 있으며, 횡주행 유닛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횡주행 유닛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진 가이드가 설치되고, 전후진 유닛에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상기 전후진 유닛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 유닛 상에는 선단에 진공흡착부가 제공되는 암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사출성형기에서 성형이 완료되어 금형이 개방되면 대기위치에 있던 암이 하강하여 사출성형기 내로 진입하여 진공흡착부로 사출물을 흡착하여 상승한 후에, 전후진 유닛을 따라 상하 유닛을 소정거리 이동시켜 적절한 위치(작업대와 정렬되는 위치)에서 전후진 유닛이 횡주행 유닛을 따라 이동하여 후속되는 작업을 실시하게될 위치, 예를 들면 작업대 또는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암이 하강하여 사출물이 작업대상에 놓이게 되면 상기 진공흡착부를 해제하여 사출물을 작업대 상에 안치하고, 계속하여 암이 대기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사출물이 성형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때, 사출성형기의 금형이 변경될 경우, 사출물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진공흡착부도 교환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취출로봇에 흡착홀더가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직접 고정되어 있어서 분리하여 교환하는 작업이 복잡하며,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교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출물을 흡착 고정시키는 힘이 약하여 사출물을 취출하여 이동할 때 사출물이 간혹 이탈되며, 이로 인해 작업 속도를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2270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입력을 증가시켜 흡착수단에 대상물이 더욱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흡착수단이 홀더본체에 용이하게 탈부착되며, 깊이가 깊거나 흡착면이 평탄하지 않는 여러 종류의 대상물에 대한 신속한 적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된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는,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며,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111)가 개방 형성된 홀더본체(100); 상기 홀더본체(1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2통로(200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통로(200a)를 통해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대상물이 탈부착되는 흡착수단(200); 상기 홀더본체(100)를 취출플레이트(20)에 탄성 지지되게 결합시키는 텐션수단(300);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본체(100)는, 상기 제1통로(111)가 형성된 흡착부(110); 상기 흡착부(110)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텐션수단(3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120); 상기 흡착부(110)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3통로(131)가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통로(131)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는 공급부(130); 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3통로(131)의 직경의 합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통로(200a)의 직경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텐션수단(300)은, 취출플레이트(20)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12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재(310); 상기 결합부재(310)와 상기 홀더본체(1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본체(100)를 상기 결합부재(31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20); 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본체(100)의 상기 공급부(130) 사이에는 지지부(140)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0)의 상기 지지부(140) 방향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140)와 마주보는 머리부(312)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10)의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취출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20)는 상기 지지부(140)와 상기 머리부(3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20)를 상기 취출플레이트(2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흡착부(110)의 타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모서리가 라운드진 걸림부(112)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흡착수단(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2통로(200a)에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2)보다 직경이 작은 제1삽입홈(200b)과, 상기 제1삽입홈(200b)과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112)의 직경과 같거나 큰 제2삽입홈(200c)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수단(200)의 길이는 상기 흡착부(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수단(200)와 상기 지지부(140) 사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본체(100)는 PET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흡착부(110)를 감싸는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210)에서 상기 흡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직경이 상기 몸체부(210)보다 작고, 단면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주름부(220); 상기 주름부(220)에서 상기 흡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빨판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230); 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230)가 경사면과 접할 시 상기 주름부(220)가 절곡되어 상기 접촉부(230)가 경사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접촉부(230)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장착되며, 상기 주름부(220)를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240); 을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홀더본체(100)가 합성수지의 하나인 PET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대상물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잘 깨지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통로(200a)의 직경이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의 흡착력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12)의 끝단 모서리는 일정 크기의 호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이 상기 흡착부(110)에 탈부착될 때 상기 걸림부(11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200)과 상기 지지부(1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을 상기 흡착부(110)에서 분리할 때 손가락을 쉽게 집어넣어 상기 흡착수단(200)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홀더본체(100)에 상기 텐션수단(300)이 구비됨으로써, 대상물에 지나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흡착수단(200)의 표면이 상기 대상물이 일정한 압력으로 골고루 접하게 되어 대상물이 상기 흡착수단(200)에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흡착수단(200)이 경사면과 접하여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의 흡착수단(200)이 경사면과 접하여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는 홀더본체(100), 흡착수단(200) 및 텐션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본체(100)는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며,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111)가 개방 형성된 것으로, 주로 금형에서 사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기 위해 취출 로봇과 연결된 취출플레이트(2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본체(100)는 흡착부(110), 가이드부(120), 공급부(130) 및 지지부(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착부(110)는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통로(111)가 개방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착부(110)는 사출된 대상물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도 후술할 상기 흡착수단이 대상물의 내부에 잘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착부(11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부(120)가 연장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술할 상기 흡착수단(200)이 장착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흡착부(110)의 타단에는 상기 흡착수단(200)이 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112)가 확장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2)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112)에 의해 후술할 상기 흡착수단(200)을 상기 흡착부(110)에 탈부착할 때 힘을 많이 주어야 하며, 이로 인해 상기 흡착수단(200)이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12)의 끝단 모서리는 일정 크기의 호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게 되며, 이로인해 후술할 상기 흡착수단(200)이 상기 흡착부(110)에 탈부착될 때 상기 걸림부(11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며, 여기에서 상기 라운드의 반지름은 1mm로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상기 흡착부(110)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텐션수단(3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20)는 상기 흡착부(110)보다 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110)의 반대 방향 끝단 부근에는 외주연을 따라 링 형상의 체결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121)은 후술할 상기 텐션수단(300)이 상기 가이드부(120)와 분리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결합링(330)에 삽입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공급부(130)는 상기 흡착부(110)의 일단 양측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3통로(131)가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공급부(130)는 각각 상기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어 상기 제3통로(131)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된다.
여기에서 2개의 상기 제3통로(131)의 직경의 합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통로(111)의 공압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공급부(130) 사이, 즉 상기 흡착부(110)와 상기 가이드부(120) 사이에 원판 형상으로 확장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140)는 후술할 상기 텐션수단(300)을 지지하여 상기 텐션수단(300)이 안정감 있게 장착되도록 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홀더본체(100)는 PET재질로 이루어져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종래에는 상기 홀더본체(100)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상기 홀더본체(100)가 성형된 대상물 또는 금형과 닿을 경우 기스 등의 손상이 발생되고, 작은 충격에도 잘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는 상기 홀더본체(100)가 합성수지의 하나인 PET재질로 이루어지며, 경도가 금형보다 낮고 대상물과 유사하므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잘 깨지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홀더본체(100)의 흡착부(110)의 타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2통로(200a)가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흡착수단(200)은 일단이 취출할 대상물과 접하며, 상기 제2통로(200a)에서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대상물이 탈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통로(200a)의 일단의 직경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은 3mm로 설정되고, 상기 제2통로(200a)의 직경은 2mm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통로(200a)의 직경이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의 흡착력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2통로(200a)의 타단에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2)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제1삽입홈(200b)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삽입홈(200b)은 상기 흡착부(11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흡착부(110)의 직경보다 1mm 작게 형성되어 내주면이 상기 흡착부(1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200b)의 일단에서 확장 형성되며, 직경이 상기 걸림부(112)의 직경과 같거나 큰 제2삽입홈(200c)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홈(200c)은 상기 걸림부(112)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상기 걸림부(112)가 상기 제1삽입홈(200b)과 상기 제2삽입홈(200c) 사이에 형성된 턱에 의해 걸리게 되어 상기 흡착수단(200)이 상기 흡착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200)의 길이는 상기 흡착부(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수단(200)와 상기 지지부(140) 사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수단(200)과 상기 지지부(140)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을 상기 흡착부(110)에서 분리할 때 손가락을 쉽게 집어넣어 상기 흡착수단(200)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즉,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흡착부(110)에 장착할 때 많은 힘을 주어야 하는데 손가락을 상기 공간(S)에 집어넣어 힘을 쉽게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200)은 외측 형상에 따라 몸체부(210)와 접촉부(23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흡착수단(200)의 타단을 이루는 부분으로, 대략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삽입홈(200b)과 상기 제2삽입홈(200c)이 형성되며, 상기 흡착부(110)를 감싸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부(210)에는 외주연을 따라 도피홈(211)이 형성되는데, 상기 도피홈(211)은 상기 흡착수단(200)을 상기 흡착부(110)에서 분리시킬 때에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흡착부(110)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촉부(230)는 상기 흡착수단(200)의 일단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흡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었다가 끝단은 빨판 형상으로 다시 확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접촉부(230)는 내부에 상기 제2통로(200a)가 관통 형성되며, 끝단이 대상물과 직접 접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접촉부(230) 사이에는 주름부(2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부(220)는, 상기 몸체부(210)에서 상기 흡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직경이 상기 몸체부(210)보다 작고, 단면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주름부(220)는 자바라와 같이 상하로 주름이 형성되어 일정 힘을 가하면 절곡 부위가 압축 또는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주름부(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230)가 대상물의 경사면과 접할 시 절곡되어 상기 접촉부(230)가 경사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접촉부(230) 사이에는 상기 주름부(220)가 원상태로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주름부(220)를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240)이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은 상하로 긴 얇은 핀 형상이며,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정 힘을 가면 사방 어느 방향으로도 절곡이 가능하며, 절곡 되었다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은, 도면에 명확시 표시되지 않았지만, 4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210)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주름부(220)가 어느 방향으로 절곡 되더라도 수직으로 복원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접촉부(230) 사이에 일방향으로 절곡 되는 상기 주름부(220)가 형성됨으로써, 대상물의 접촉부(230)위가 경사질 때 별도의 흡착수단(200)으로 교체할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대상물의 표면 형태에 대응할 수 있어 활용 범위를 확대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주름부(220)를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상기 와이어스프링(2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주름부(220)가 여러 방향으로 절곡 되더라도 대응이 가능하며, 상기 주름부(220)가 원래 위치로 신속히 복원하여 대상물을 트레이에 일정하게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텐션수단(300)은 상기 홀더본체(100)를 로봇 지그의 취출플레이트(20)에 탄성 지지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결합부재(310), 탄성부재(320) 및 결합링(3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310)는 길이가 상기 가이드부(120)의 길이보다 짧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2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311)이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10)의 상기 지지부(140) 방향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140)와 마주보는 머리부(312)가 확장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312)는 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결합부재(310)를 상기 취출플레이트(20)에 고정시킬 때 랜치 등의 연장에 물리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10)의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취출플레이트(20)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산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취출플레이트(20)에는 흡착홀더를 설치하기 위해 일정한 위치에 구멍을 뚫고 내주면에 탭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310)는 이러한 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취출플레이트(20)에 고정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홀더본체(100)가 상기 가이드홀(311)을 따라 상하 이동된다.
상기 탄성부재(320)는 원형의 코일 압축 스프링으로서, 상기 결합부재(310)와 상기 홀더본체(100)의 지지부(14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본체(100)를 상기 결합부재(31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320)는 상기 지지부(140)와 상기 머리부(31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흡착수단(200)을 대상물에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취출플레이트(20)가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부(120)를 상기 취출플레이트(2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대상물에 지나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본체(100)에 상기 텐션수단(300)이 구비됨으로써, 대상물에 지나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흡착수단(200)의 표면이 상기 대상물이 일정한 압력으로 골고루 접하게 되어 대상물이 상기 흡착수단(200)에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결합링(330)은 상기 결합부재(310)가 상기 가이드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 납작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이 상기 가이드부(120)의 외경보다 작고, 외경이 상기 가이드부(1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링(330)은 상기 결합부재(310)를 상기 가이드부(120)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홈(121)에 삽입 고정시켜 상기 결합부재(310)가 상기 가이드부(120)에서 이탈되늘 것을 저지하게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는, 상기 홀더본체(100)가 합성수지의 하나인 PET재질로 이루어지며, 경도가 금형보다 낮고 대상물과 유사하므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통로(200a)의 직경이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의 흡착력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112)의 끝단 모서리는 일정 크기의 호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이 상기 흡착부(110)에 탈부착될 때 상기 걸림부(11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흡착수단(200)과 상기 지지부(1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착수단(200)을 상기 흡착부(110)에서 분리할 때 손가락을 쉽게 집어넣어 상기 흡착수단(200)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홀더본체(100)에 상기 텐션수단(300)이 구비됨으로써, 대상물에 지나치게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흡착수단(200)의 표면이 상기 대상물이 일정한 압력으로 골고루 접하게 되어 대상물이 상기 흡착수단(200)에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 공기공급수단 20 : 취출플레이트
100 : 홀더본체 110 : 흡착부
111 : 제1통로 112 : 걸림부
120 : 가이드부 121 : 체결홈
130 : 공급부 131 : 제3통로
140 : 지지부 200 : 흡착수단
210 : 몸체부 211 : 도피홈
220 : 주름부 230 : 접촉부
240 : 와이어스프링
200a : 제2통로 200b : 제1삽입홈
200c : 제2삽입홈 300 : 텐션수단
310 : 결합부재 311 : 가이드홀
312 ; 머리부 320 : 탄성부재
330 : 결합링

Claims (6)

  1.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며, 내부에 공기가 이동하는 제1통로(111)가 개방 형성된 홀더본체(100);
    상기 홀더본체(1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2통로(200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통로(200a)를 통해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됨에 따라 대상물이 탈부착되는 흡착수단(200);
    상기 홀더본체(100)를 취출플레이트(20)에 탄성 지지되게 결합시키는 텐션수단(300);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본체(100)는,
    상기 제1통로(111)가 형성된 흡착부(110);
    상기 흡착부(110)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텐션수단(3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부(120);
    상기 흡착부(110)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111)와 연결되는 제3통로(131)가 가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3통로(131)로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도록 상기 공기공급수단(10)과 연결되는 공급부(130); 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제3통로(131)의 직경의 합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통로(200a)의 직경은 상기 제1통로(111)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텐션수단(300)은,
    취출플레이트(20)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12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결합부재(310);
    상기 결합부재(310)와 상기 홀더본체(1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본체(100)를 상기 결합부재(31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20); 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본체(100)의 상기 공급부(130) 사이에는 지지부(140)가 확장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10)의 상기 지지부(140) 방향 일단에는 상기 지지부(140)와 마주보는 머리부(312)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10)의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취출플레이트(20)에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20)는 상기 지지부(140)와 상기 머리부(3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부(120)를 상기 취출플레이트(20)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110)의 타단에는 외주연을 따라 모서리가 라운드진 걸림부(112)가 확장 형성되며,
    상기 흡착수단(200)의 내부에는 상기 제2통로(200a)에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2)보다 직경이 작은 제1삽입홈(200b)과, 상기 제1삽입홈(200b)과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112)의 직경과 같거나 큰 제2삽입홈(200c)이 형성되고,
    상기 흡착수단(200)의 길이는 상기 흡착부(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흡착수단(200)와 상기 지지부(140) 사이에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100)는 PET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흡착부(110)를 감싸는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210)에서 상기 흡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직경이 상기 몸체부(210)보다 작고, 단면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주름부(220);
    상기 주름부(220)에서 상기 흡착부(11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빨판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230); 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230)가 경사면과 접할 시 상기 주름부(220)가 절곡되어 상기 접촉부(230)가 경사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200)은,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접촉부(230)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장착되며, 상기 주름부(220)를 수직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와이어스프링(2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KR2020160001999U 2016-04-12 2016-04-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KR200481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99U KR200481224Y1 (ko) 2016-04-12 2016-04-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999U KR200481224Y1 (ko) 2016-04-12 2016-04-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224Y1 true KR200481224Y1 (ko) 2016-09-01

Family

ID=5695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999U KR200481224Y1 (ko) 2016-04-12 2016-04-12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1033A (zh) * 2022-04-23 2022-07-22 泉州鑫达纸业有限公司 一种蛋糕纸托自动成型设备及其工作方法
KR102496361B1 (ko) * 2021-11-12 2023-02-06 주식회사 아이에스엔티 선별 장치용 그리퍼
KR102501964B1 (ko) * 2022-03-21 2023-02-22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인서트부재 삽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24B1 (ko) * 2007-12-14 2008-09-04 송인직 진공 흡착기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패널 흡착장치
KR101056705B1 (ko) * 2011-05-09 2011-08-12 한국뉴매틱(주) 진공 그리퍼 장치
KR20110139557A (ko) * 2010-06-23 2011-12-29 주식회사 야스 기판 홀더 탈착 장치 및 방법
KR101292270B1 (ko) 2012-05-22 2013-08-01 최남진 사출물 취출장치의 흡착부 탈착장치
KR20140001186U (ko) * 2012-08-16 2014-02-27 (주) 엔텍인더스트리 진공 흡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324B1 (ko) * 2007-12-14 2008-09-04 송인직 진공 흡착기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패널 흡착장치
KR20110139557A (ko) * 2010-06-23 2011-12-29 주식회사 야스 기판 홀더 탈착 장치 및 방법
KR101056705B1 (ko) * 2011-05-09 2011-08-12 한국뉴매틱(주) 진공 그리퍼 장치
KR101292270B1 (ko) 2012-05-22 2013-08-01 최남진 사출물 취출장치의 흡착부 탈착장치
KR20140001186U (ko) * 2012-08-16 2014-02-27 (주) 엔텍인더스트리 진공 흡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361B1 (ko) * 2021-11-12 2023-02-06 주식회사 아이에스엔티 선별 장치용 그리퍼
KR102501964B1 (ko) * 2022-03-21 2023-02-22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인서트부재 삽입 장치
CN114771033A (zh) * 2022-04-23 2022-07-22 泉州鑫达纸业有限公司 一种蛋糕纸托自动成型设备及其工作方法
CN114771033B (zh) * 2022-04-23 2023-10-17 泉州鑫达纸业有限公司 一种蛋糕纸托自动成型设备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224Y1 (ko) 진공흡착장치용 흡착홀더
CN102059706B (zh) 定位取料装置
WO2013118728A1 (ja) 缶製造装置
US9243738B2 (en) Overturning machine and workbench thereof
WO2019157641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feeding and mounting o-rings
KR101669846B1 (ko) 취출로봇
KR200410892Y1 (ko) 사출품 인출기의 인서트 유닛
CN110605571A (zh) 一种卡簧压装装置
JP2005205489A (ja) 成形体の取り出し方法、成形装置
US20150090851A1 (en) Support device
JP2012045571A (ja) プレス金型構造およびワークのプレス成形方法
KR200363044Y1 (ko) 사출품 인출기의 인서트 지그
CN216482871U (zh) 一种夹具定位销检测机构
KR100411299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이송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KR100392837B1 (ko)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의 이동금형 클램핑장치
WO2022156045A1 (zh) 一种吹热灌瓶子的底模装置
JP6041680B2 (ja) パリソン搬送装置
JP2011042006A (ja) 吸着装置及びこの吸着装置を用いた吸着方法
JP2016120627A (ja) ナットの取り付け装置
KR200237399Y1 (ko)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의 이동금형 클램핑장치
KR101554853B1 (ko) 호스용 클램프에 클램프 홀더를 체결하기 위한 장치
JP6372289B2 (ja) ビード部材の搬送方法および装置
CN216037317U (zh) 一种玻璃取放夹具
KR101260502B1 (ko) 유니버설 클립을 구비한 흡착장치
JP6333517B2 (ja) 成形品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