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200Y1 -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200Y1
KR200481200Y1 KR2020150002853U KR20150002853U KR200481200Y1 KR 200481200 Y1 KR200481200 Y1 KR 200481200Y1 KR 2020150002853 U KR2020150002853 U KR 2020150002853U KR 20150002853 U KR20150002853 U KR 20150002853U KR 200481200 Y1 KR200481200 Y1 KR 200481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ste oil
valve
waste
distribu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량
Original Assignee
위성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성량 filed Critical 위성량
Priority to KR2020150002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7/00Equipment for transferring lubricant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60/00Fail safe
    • F16N2260/02Indicating
    • F16N2260/05Oi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션오일 교환 시 폐유와 신유의 교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고, 동시에 신유공급호스와 폐유공급호스의 연결이 잘못되었을 경우이도 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고가의 부품수를 줄여 제작함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한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랜스미션의 아웃단에는 폐유배출구 및 폐유배출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폐유배출호스는 제1밸브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밸브의 타단이 필터 및 교환상태확인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환상태확인관의 타단이 제1삼방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1삼방밸브의 타단이 분배기의 P3단자에 연결됨과 동시에 라인을 통해 폐유통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배기의 P4단자가 압력계, 제3밸브 및 폐유확인관을 통해 폐유통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의 P2단자가 순환펌프, 제2삼방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2삼방밸브의 타측이 고급유확인관을 통해 고급유통으로, 신유확인관을 통해 신유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의 P1단자가 제3밸브를 거쳐 트랜스미션의 인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초기 폐유배출 시, 제1밸브를 개방하고 제1삼방밸브를 일정시간 절환 제어하여 폐유가 분배기를 통해 폐유확인관 내부에 저장되도록 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OIL CHANGE APPARATUS OF VEHICLE TRANSMISSION}
본 고안은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션오일 교환 시 폐유와 신유의 교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고, 동시에 신유공급호스와 폐유공급호스의 연결이 잘못되었을 경우이도 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고가의 부품수를 줄여 제작함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한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기가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6941에 개시된다.
상기 트랜스미션 오일 교환기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으로부터 폐유를 배출하고, 신유를 공급함에 있어, 작업자측에서는 폐유의 배출 및 신유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정확한 양의 폐유배출 및 신유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유 공급에 따른 고객에게 오일교환에 따른 신뢰성을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트랜스미션 오일 교환기로, 본체로부터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측과 연결되는 신유주입구 및 폐유배출구가 마련되고, 콘트롤부를 통해 본체 내부에 마련된 신유 공급탱크)와 폐유 회수탱크측 공급라인 및 공급라인 상에 구비된 체크밸브, 솔레노이드밸브, 제1,2공급펌프 및 배출펌프를 통해 신유공급과 폐유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 미션 오일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 상에는 폐유 및 신유의 흐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유리관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유리관은 본체의 상부 전면에 배치되며, 상기 신유 공급탱크와 폐유 회수탱크의 저부에는 오일의 양을 감지하는 중량센서가 상기 콘트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오일의 공급,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스미션 교환기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기술로, 이 기술은 유리관을 통해 초기 폐유의 배출을 5초 동안 보여주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너무 짧은 시간동안 폐유가 배출되어 정확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 작업자의 실수로 폐유배출호스와 신유공급호스를 트랜스미션의 인, 아웃(IN/OUT)단에 잘못 연결하는 경우, 이를 쉽게 확인할 수 도 없었고, 자칫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비교적 고가인 펌프를 다수개 구비하여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6941,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3944,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9208
본 고안은 상기한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6941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미션오일 교환 시 폐유와 신유의 교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고, 동시에 신유공급호스와 폐유공급호스의 연결이 잘못되었을 경우이도 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고가의 부품수를 줄여 제작함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한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상단에는 고급유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고급유확인관과, 폐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폐유확인관과, 오일의 흐름 및 방향과 오일 교환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교환상태확인관과, 신유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신유확인관으로 구성된 유리관부가 설치되고; 트랜스미션의 아웃단에는 폐유배출구 및 폐유배출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폐유배출호스는 제1밸브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밸브의 타단이 필터 및 교환상태확인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환상태확인관의 타단이 제1삼방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1삼방밸브의 타단이 분배기의 P3단자에 연결됨과 동시에 라인을 통해 폐유통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배기의 P4단자가 압력계, 제3밸브 및 폐유확인관을 통해 폐유통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의 P2단자가 순환펌프, 제2삼방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2삼방밸브의 타측이 고급유확인관을 통해 고급유통으로, 신유확인관을 통해 신유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의 P1단자가 제3밸브를 거쳐 트랜스미션의 인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초기 폐유배출 시, 제1밸브를 개방하고 제1삼방밸브를 일정시간 절환 제어하여 폐유가 분배기를 통해 폐유확인관 내부에 저장되도록 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자면 상기 교환상태확인관에는 플로트가 내장되어 오일이 흐르는 방향으로 플로트가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미션오일 교환 시 배출되는 폐유를 초기 일정량 폐유확인관에 저장하여 두어, 신유공급이 완료된 후 서로 비교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주어 신뢰감을 주도록 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의 실수로 폐유배출호스와 신유공급호스를 트랜스미션의 인, 아웃(IN/OUT)단에 잘못 연결하는 경우, 교환상태확인관을 통해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주어, 자칫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방지하여 준다.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고가인 펌프를 한개만 사용함으로써 제작단가를 잘함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의 외형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관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의 외형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100)는,
본체(110)의 상단에는, 오일을 교환하고 있는 상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리관부(120)와, 각종 설정이나 동작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LCD부(130)와, 폐유의 배출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140)와,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기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조작부(150)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10)의 측면에는 폐유배출호스(160) 및 신유주입호스(170)가 돌출 형성되어 각 단부에 형성된 폐유배출구(161) 및 신유주입구(171)가 트랜스미션(200)의 인(IN)/아웃(OUT) 단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신유통, 고급유통 및 폐유통 등이 장착되어진다.
상기 유리관부(12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하 지지대(125,126)를 통해 투명 유리관이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며, 고급유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고급유확인관(121)과, 폐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폐유확인관(122)과, 오일의 흐름 및 방향과 오일 교환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교환상태확인관(123)과, 신유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신유확인관(1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에는 플로트(123a)가 내장되어 오일이 흐르는 방향으로 플로트가 움직이게 되어, 오일이 흐르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는,
트랜스미션(200)의 아웃단(OUT: 배출구)에는 폐유배출구(161) 및 폐유배출호스(160)가 연결되고, 상기 폐유배출호스(160)는 제1밸브(1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밸브(10)의 타단이 필터(11) 및 교환상태확인관(123)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의 타단이 제1삼방밸브(12)에 연결되고, 상기 제1삼방밸브(12)의 타단이 분배기(30)의 P3단자에 연결됨과 동시에 라인(13)을 통해 폐유통(20)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30)의 P4단자가 압력계(31), 제3밸브(32) 및 폐유확인관(122)을 통해 폐유통(20)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30)의 P2단자가 순환펌프(34), 제2삼방밸브(33)에 연결되며, 상기 제2삼방밸브(33)의 타측이 고급유확인관(121)을 통해 고급유통(40)으로, 신유확인관(124)을 통해 신유통(50)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30)의 P1단자가 제3밸브(35)를 거쳐 트랜스미션(200)의 인단(IN: 주입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폐유통(20), 고급유통(40) 및 신유통(50)에는 각가 중량센서(21,41,51)가 설치되어 중량을 감지함으로써, 폐유량과 신유공급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신유공급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트랜스미션(200)의 인/아웃단(IN/OUT)에 신유주입구(171) 및 폐유배출구(161)를 장착한다.
그리고 트랜스미션(20)을 가동하면 트랜스미션(200) 내부의 폐유가 폐유배출구(160)를 통해 제1밸브(1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밸브(10)는 개방된다.
상기 제1밸브(10)로 유입된 폐유가 필터(11)를 통해 교환상태확인관(123)을 통과하게 되고, 이때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의 플로트(123a)가 이동하여 폐유가 흐르는 방향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삼방밸브(12)가 절환되어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을 통과한 폐유가 분배기(30)의 P3단자에서 P4단자로 흐르면서 압력계(31)를 통과한다.
상기 압력계(31)를 통과한 폐유는 제2밸브(32)를 거쳐 폐유확인관(122)을 통해 폐유통(20)으로 투출된다.
이러한 동작은 초기 가동 일정시간(예: 5초간)만 동작된다.
상기 5초가 경과되면, 제1삼방밸브(12)는 절환되고, 제2밸브(32)는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을 통해 유입되는 폐유는 분배기(30)로 유입되지 않고 라인(13)을 통해 폐유통(20)으로 직접 배출된다.
이때 상기 폐유확인관(122)에는 폐유가 저장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리관부(120)의 폐유확인관(122)을 보고 현재 트랜스미션에서 배출되는 오일(폐유)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개시되고, 폐유통(20)의 중량센서(21)를 통해 배출된 폐유의 양이 일정량(예: 1.5리터)이 검출되면, 트랜스미션(200)의 가동을 중지시켜 폐유의 배출을 중지하고 신유의 주입을 시작한다.
즉 제2삼방밸브(33)를 신유통(50)의 신유가 유입되도록 절환하고, 순환펌프(34)를 구동시켜준다.
상기 순환펌프(34)의 구동으로 신유통(50)에 충전된 신유가 신유확인관(124), 제3삼방밸브(33) 및 순환펌프(34)를 통해 분배기(30)로 유입되고, 분배기(30)로 유입된 신유는 P2단자에서 P1단자로 흐르고 개방된 제3밸브(35)를 통해 트랜스미션(200)의 인단(IN)으로 주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리관부(120)의 신유확인관(124)을 보고 현재 트랜스미션에 주입되는 신유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개시되고, 신유통(50)의 중량센서(51)를 통해 주입된 신유의 양이 일정량(예: 1.5리터)으로 검출되면, 다시 트랜스미션(200)을 구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폐유를 배출하고, 신유의 주입을 중단하여 준다.
이와 같이 일정량의 폐유를 배출하고, 배출된 폐유만큼 신유를 공급하는 것을 반복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오일 교환량(예: 7리터)에 이르면, 트랜스미션(200)의 아웃단(OUT)을 통해 폐유배출호스(160)로 유출되는 오일은 신유가 되며, 이 신유는 제1밸브(10) 및 필터(11)를 통해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에는 깨끗한 신유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폐유확인관(122)과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을 통해 오일이 교체되었음을 한 번에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유의 주입이 종료되면 구동을 중지하여 준다.
여기에서는 신유주입시의 경우를 예로 든 것이나 고급유의 경우에도 제2삼방밸브(33)의 절환으로 가능하게 되며, 동작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트랜스미션(200)의 인/아웃(IN/OUT)단에 폐유배출호스(160)와 신유주입호스(170)를 잘못 연결하고, 트랜스미션(200)을 가동할 경우, 트랜스미션(200)의 아웃단(OUT)으로 배출된 폐유가 제3밸브(35)에 의해 차단되고, 교환상태확인관(123)에는 오일이 유입되지 않아 플로트(123a)는 원위치에 있게 되어, 사용자는 이를 보고 현재 폐유배출호스(160)와 신유주입호스(170)가 잘못 연결되었음을 쉽게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제1밸브 11: 필터
12: 제1삼방밸브 13: 라인
20: 폐유통 30: 분배기
31: 압력계 32: 제2밸브
33: 제2삼방밸브 34: 순환펌프
35: 제3밸브 40: 고급유통
50: 신유통 120: 유리관부
121: 고급유확인관 22: 폐유확인관
123: 교환상태확인관 123a: 플로트
124: 신유확인관

Claims (2)

  1. 본체(110)의 상단에는 고급유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고급유확인관(121)과, 폐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폐유확인관(122)과, 오일의 흐름 및 방향과 오일 교환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교환상태확인관(123)과, 신유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신유확인관(124)으로 구성된 유리관부(120)가 설치되고;
    트랜스미션(200)의 아웃단(OUT)에는 폐유배출구(161) 및 폐유배출호스(160)가 연결되고, 상기 폐유배출호스(160)는 제1밸브(10)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밸브(10)의 타단이 필터(11) 및 교환상태확인관(123)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의 타단이 제1삼방밸브(12)에 연결되고, 상기 제1삼방밸브(12)의 타단이 분배기(30)의 P3단자에 연결됨과 동시에 라인(13)을 통해 폐유통(20)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배기(30)의 P4단자가 압력계(31), 제3밸브(32) 및 폐유확인관(122)을 통해 폐유통(20)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30)의 P2단자가 순환펌프(34), 제2삼방밸브(33)에 연결되며, 상기 제2삼방밸브(33)의 타측이 고급유확인관(121)을 통해 고급유통(40)으로, 신유확인관(124)을 통해 신유통(50)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30)의 P1단자가 제3밸브(35)를 거쳐 트랜스미션(200)의 인단(IN)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초기 폐유배출 시, 제1밸브(10)를 개방하고 제1삼방밸브(12)를 일정시간 절환 제어하여 폐유가 분배기(30)를 통해 폐유확인관(122) 내부에 저장되도록 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환상태확인관(123)에는 플로트(123a)가 내장되어 오일이 흐르는 방향으로 플로트가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KR2020150002853U 2015-05-04 2015-05-04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KR200481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53U KR200481200Y1 (ko) 2015-05-04 2015-05-04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853U KR200481200Y1 (ko) 2015-05-04 2015-05-04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200Y1 true KR200481200Y1 (ko) 2016-08-26

Family

ID=5685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53U KR200481200Y1 (ko) 2015-05-04 2015-05-04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2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276A (ko) * 2017-09-21 2019-03-29 이운상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KR101942036B1 (ko) * 2017-08-07 2019-04-11 (주)신호테크 차량 트랜스미션오일 발췌장치 및 발췌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791A (ja) * 1996-03-12 1997-09-16 Yamada Corp オイル交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57260Y1 (ko) * 2004-05-10 2004-07-27 윤환 차량의 자동 밋션 오일 및 스티어링 오일 겸용 교환장치
KR20060074433A (ko)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일 게이지
KR20120006941U (ko) 2011-03-30 2012-10-10 위성량 자동차 트랜스미션 오일 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791A (ja) * 1996-03-12 1997-09-16 Yamada Corp オイル交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57260Y1 (ko) * 2004-05-10 2004-07-27 윤환 차량의 자동 밋션 오일 및 스티어링 오일 겸용 교환장치
KR20060074433A (ko)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일 게이지
KR20120006941U (ko) 2011-03-30 2012-10-10 위성량 자동차 트랜스미션 오일 교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36B1 (ko) * 2017-08-07 2019-04-11 (주)신호테크 차량 트랜스미션오일 발췌장치 및 발췌방법
KR20190033276A (ko) * 2017-09-21 2019-03-29 이운상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KR101975110B1 (ko) * 2017-09-21 2019-05-03 이운상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96563B (zh) 用于咖啡机或类似装置的清洁系统
AU2017260549B2 (en) Froz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s with multi-flavor valves
KR200481200Y1 (ko)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JP6084376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007130613A (ja) 洗浄装置
JP7049191B2 (ja) 飲料サーバーの洗浄装置
CN106565026A (zh) 具有排浓水回收装置的双泵净水机切换制水方法
JP2020122588A (ja) 風呂給湯装置
JP4876714B2 (ja) 充填システムの洗浄装置
CN210825688U (zh) 净水机
CN211521825U (zh) 净水机
CN206940390U (zh) 灌装机
CN104617011B (zh) 一种化学液供给系统
JP6722872B2 (ja) 飲料製造装置
KR200357260Y1 (ko) 차량의 자동 밋션 오일 및 스티어링 오일 겸용 교환장치
JP2008247450A (ja) 液体充填装置及び液体充填方法
KR100750691B1 (ko) 이온수지 교환장치
CN211521824U (zh) 净水机
US9469121B2 (en) Inkjet printer
CN113062900B (zh) 一种用于液压系统的便携式辅助维修设备
CN210825686U (zh) 净水机
JP5811551B2 (ja) 純水製造装置
CN208671422U (zh) 一种汽车冷却系统冷却液交换机
CN208643561U (zh) 一种清模机
CN109368582B (zh) 一种汽车制动系统的智能清洗换油机及换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