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110B1 -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10B1
KR101975110B1 KR1020170121857A KR20170121857A KR101975110B1 KR 101975110 B1 KR101975110 B1 KR 101975110B1 KR 1020170121857 A KR1020170121857 A KR 1020170121857A KR 20170121857 A KR20170121857 A KR 20170121857A KR 101975110 B1 KR101975110 B1 KR 10197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uxiliary tank
tank
power uni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276A (ko
Inventor
이운상
Original Assignee
이운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상 filed Critical 이운상
Priority to KR102017012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7/00Equipment for transferring lubricant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 F16N20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4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80/00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장치에서 흡입한 오일이 메인 탱크로 유입하기 전에 투명한 보조 탱크에 담기게 구성하므로, 오일을 흡입하는 동안이나 흡입한 뒤에도 동력장치에서 사용했던 오일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오일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탱크에 흡입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샘플 채취 관을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흡입한 오일 샘플이 필요할 때 이 샘플 채취 관을 통해 언제든지 쉽고 편리하게 오일 샘플을 얻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일의 흡입과 오일 상태 확인, 진공압력 형성, 그리고 오일 샘플 채취 등을 제어기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사용했던 오일을 쉽고 편리하게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OIL SECTION DEVICE FOR POWER UNIT}
본 발명은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장치에서 오일을 투명한 보조 탱크에 흡입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보조 탱크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오일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때에 따라 필요한 오일 샘플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에는 기계요소의 원활한 움직임과 냉각 등을 목적으로 엔진오일을 사용하고, 또한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적절한 속도로 전달하는 변속기에도 냉각과 동력 전달 등에 사용하는 변속기 오일을 사용한다. 이처럼 동력장치에서 사용하는 오일은, 자동차의 경우, 사용기간이나 주행 거리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오일을 교환하거나 보충해 주어야 한다. 이때, 오일 교환을 할 때는 엔진이나 변속기에서 사용 중이던 오일을 제거한 다음, 새 오일을 주유해야 한다. 이에, 아래의 특허문헌 1과 같은 오일교환장치를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481200호
미션 오일 교환 시 폐유와 신유의 교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신유공급 호스와 폐유공급호스의 연결이 잘못되었을 경우에도 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고가의 부품 수를 줄여 제작함으로써 생산단가를 절감한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랜스미션의 아웃단에는 폐유배출구 및 폐유배출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폐유배출호스는 제1밸브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밸브의 타단이 필터 및 교환상태확인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환상태확인관의 타단이 제1삼방밸브에 연결되고, 상기 제1삼방밸브의 타단이 분배기의 P3단자에 연결됨과 동시에 라인을 통해 폐유통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배기의 P4단자가 압력계, 제3밸브 및 폐유확인관을 통해 폐유통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의 P2단자가 순환펌프, 제2삼방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2삼방밸브의 타측이 고급유확인관을 통해 고급유통으로, 신유확인관을 통해 신유통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의 P1단자가 제3밸브를 거쳐 트랜스미션의 인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초기 폐유배출 시, 제1밸브를 개방하고 제1삼방밸브를 일정시간 절환 제어하여 폐유가 분배기를 통해 폐유확인관 내부에 저장되도록 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오일장치를 이용하여 엔진이나 변속기 등을 포함하는 동력장치에서 폐오일을 제거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진공 압력 등을 이용하여 동력장치에서 오일을 흡입하므로 사용했던 폐유를 쉽게 흡입할 수 있으나, 자동차 소유자나 작업자는 동력장치에서 흡입하는 오일이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인지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2) 즉, 기존 오일교환장치는 엔진이나 변속기에 바로 연결하여 진공 압력으로 오일을 탱크에 흡입하게 되므로, 작업자나 자동차 소유자는 흡입 상태에 있는 오일의 색깔 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3) 이에, 흡입하는 오일을 확인하려면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흡입한 오일을 다시 추출하여 오일 상태를 눈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 특히, 주사기로 오일 샘플을 얻을 때는 오일을 흘리거나 원하는 양만큼 충분하게 얻지 못해 오일 상태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이 있거나, 잘못 판단할 수도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481200호 (등록일 : 2016.08.2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엔진이나 변속기와 같은 동력장치에서 흡입한 오일이 메인 탱크로 유입하기 전에 투명한 보조 탱크에 담기게 구성하므로, 작업자나 자동차 소유자는 오일을 흡입하는 동안이나 흡입한 뒤에도 언제든지 동력장치에서 사용했던 오일 상태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오일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한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탱크에 흡입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샘플 채취 관을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흡입한 오일 샘플이 필요할 때 이 샘플 채취 관을 통해 언제든지 쉽고 편리하게 오일 샘플을 얻을 수 있게 한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일의 흡입과 오일 상태 확인, 진공압력 형성, 그리고 오일 샘플 채취 등을 제어기를 통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사용했던 오일을 쉽고 편리하게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한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는, 진공발생기를 갖추며, 진공압력으로 오일을 흡입하는 메인 탱크(10); 동력장치의 엔진이나 변속기에 연결하여 오일을 흡입하는 연결관(21)을 갖추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서 흡입한 오일을 볼 수 있는 보조 탱크(20); 상기 메인 탱크(10)와 보조 탱크(20)를 연결하여 메인 탱크(10)에 흡입한 오일을 보조 탱크(20)에 공급하는 공급 관(30); 상기 공급 관(30)에 차례로 연결한 제1 및 제2 밸브(40', 40"); 한쪽이 상기 보조 탱크(20)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제1 및 제2 밸브(40', 40") 사이에 있도록 공급 관(30)에 연결한 진공관(50); 및 상기 제1 및 제2 밸브(40', 40")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3 밸브(61)를 갖춘 샘플 채취 관(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밸브(40', 40", 61)는, 각각 제어기의 제어를 받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하되;, (1) 상기 메인 탱크(10)에 근접하게 설치한 제2 밸브(40")만 개방하면서 진공발생기를 작동하여, 진공관(50)을 통해 보조 탱크(20)에 진공압력을 형성하여 동력장치의 엔진이나 변속기에서 오일이 보조 탱크(20)에 저장하게 하거나, (2) 상기 제1 및 제3 밸브(40', 61)만 개방하여, 상기 제3 밸브(61)를 통해 보조 탱크(20)에 수집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게 하여 샘플 채취를 할 수 있게 하거나, (3) 상기 제1 및 제2 밸브(40', 40")만 개방하고 동시에 진동 발생기를 동작하여, 보조 탱크(20)에 흡입한 오일이 메인 탱크(10)에 저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엔진이나 변속기를 포함하는 동력장치에서 흡입하여 배출하게 한 오일이 투명한 보조 탱크에 담기게 하므로, 운전자나 자동차 소유자 그리고 작업자는 동력장치에서 사용했던 오일 상태를 눈으로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2) 또한, 이처럼 흡입 중인 오일 상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동력장치에서 더 사용할 수 있는 오일의 경우 흡입 배출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게 하여 산업폐기물(폐유)을 줄이면서도 유지 보수에 필요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3) 그리고, 샘플 채취 관을 갖춰서 보조 탱크에 흡입한 오일에서 샘플 채취가 가능하므로, 때에 따라 샘플이 필요할 때 보조 탱크에서 바로 샘플을 얻을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로 자동차 엔진에서 오일을 흡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탱크에 흡입한 오일을 샘플 채취 관을 통해 오일 샘플을 채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 탱크에 흡입한 오일을 메인 탱크에 저장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메인 탱크(10), 보조 탱크(20), 공급 관(30), 제1 및 제2 밸브(40', 40"), 진공관(50), 그리고 샘플 채취 관(6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보조 탱크(20)는 동력장치의 엔진이나 변속기에서 흡입한 오일을 임시로 저장하는 탱크로,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내부의 오일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구성하여 작업자나 운전자 또는 소유자가 눈으로 오일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샘플 채취 관(60)은 보조 탱크(20)에 저장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때에 따라 오일 샘플이 필요할 때 보조 탱크(20)에서 쉽게 오일 샘플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40', 40"), 샘플 채취 관(60)에 구성한 제3 밸브(61)의 개폐 제어를 통해 이러한 샘플 채취나 오일 흡입 그리고 오일 배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력장치는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는 변속기 등을 포함하는 장치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굴착기와 같은 토목건축 장비, 대형 트럭과 같은 차량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속이 빈 화살표는 오일 흐름을, 속이 찬 화살표는 공기 흐름을 각각 나타낸다.
메인 탱크(1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미리 정한 용량의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의미한다. 이때, 메인 탱크(10)에는 진공발생기를 구성하여 진공 압력을 형성하여 동력장치에서 오일을 흡입하여 빨아들일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 탱크(10)에는 이처럼 오일을 저장하는 탱크로 사용하므로 내부 압력을 검출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압력계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탱크(2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동력장치의 엔진이나 변속기처럼 오일을 사용하는 장치에 연결하여 오일을 흡입하여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보조 탱크(20)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여 흡입한 오일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탱크(20)는 투명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보조 탱크(2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동력장치의 엔진이나 변속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관(21)을 갖추며, 연결관(21)은 한쪽에 커플러나 퀵 릴리스 밸브 등을 갖춰서 엔진이나 변속기에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하고, 다른 한쪽이 보조 탱크(20) 위에서 끼워져서 내부 바닥 가까이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흡입한 오일이 보조 탱크(20) 안에 안정적으로 담기게 구성한다.
공급 관(3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메인 탱크(10)와 보조탱크(20)를 연결한다. 이러한 공급 관(30)은 메인 탱크(10)에서 발생하는 진공 압력을 통해 보조탱크(20) 내의 오일을 메인 탱크(10)에 진공 흡입되게 한다.
제1 및 제2 밸브(40', 4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공급 관(30)에 차례로 연결한다. 때에 따라 밸브 개폐를 통해 오일이나 진공 압력 등을 위한 공기 등의 흐름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탱크(10)와 인접하게 설치한 제2 밸브(40")는, [도 2]와 같이, 다른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메인 탱크(10)에 설치한 진공발생기를 작동하면 보조 탱크(20)에 연결한 진공관(50)을 통해 진공 압력을 형성하게 하여 동력장치에서 보조 탱크(20) 안으로 오일이 흡입되게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탱크(20)와 인접하게 장착한 제1 밸브(40')는, [도 4]와 같이, 상술한 제2 밸브(40")를 함께 열었을 때는 공급 관(30)이 하나로 이어지게 하여 보조 탱크(20)에서 오일이 메인 탱크(10)로 흡입되게 한다.
진공관(5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을 보조 탱크(20)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공급 관(30)에 연결한다.
이때, 보조 탱크(20)에 연결하는 한쪽은, [도 2]와 같이, 이 보조 탱크(20)의 상부에 장착하여 오일이 차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를 공급 관(30)을 통해 배출하여 진공 압력을 생성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다른 한쪽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제1 및 제2 밸브(40', 4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공급 관(30)에 연결한다. 이는, 제1 및 제2 밸브(40', 40")의 개방 여부에 따라 공기 흐름과 오일 흐름을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샘플 채취 관(6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밸브(40', 40") 사이에서 분기하여 구성한다. 이때, 샘플 채취 관(60)에는 제3 밸브(61)를 갖춤으로써, 때에 따라 오일 샘플이 필요할 때 오일 샘플을 채취할 수 있게 한다.
즉, 오일 샘플은 보조 탱크(20)에 오일이 흡입되었을 때 이루어지며, 흡입된 오일이 보조 탱크(20)에 있을 때 [도 3]과 같이, 제1 및 제3 밸브(40', 61)만 개방하여 보조 탱크(20) 내의 오일이 샘플 채취 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하여 샘플 채취를 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밸브 제어로 공급 관과 진공관 그리고 샘플 채취 관을 통해 흐르는 오일과 공기 등의 유체를 제어하고, 특히 보조 탱크를 통해 흡입한 오일 상태를 눈으로 쉽게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때에 따라 오일 샘플이 필요할 때 밸브 제어로 바로 쉽고 편리하게 오일 샘플을 얻을 수 있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러한 밸브와 진동 발생기의 구성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의 작동이 제어기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메인 탱크
20 : 보조 탱크
21 : 연결관
30 : 공급 관
40', 40", 61 : 제1, 제2, 제3 밸브
50 : 진공관
60 : 샘플 채취 관

Claims (5)

  1. 진공발생기를 갖추며, 진공압력으로 오일을 흡입하는 메인 탱크(10); 동력장치의 엔진이나 변속기에 연결하여 오일을 흡입하는 연결관(21)을 갖추며,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서 흡입한 오일을 볼 수 있는 보조 탱크(20); 상기 메인 탱크(10)와 보조 탱크(20)를 연결하여 메인 탱크(10)에 흡입한 오일을 보조 탱크(20)에 공급하는 공급 관(30); 상기 공급 관(30)에 차례로 연결한 제1 및 제2 밸브(40', 40"); 한쪽이 상기 보조 탱크(20)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제1 및 제2 밸브(40', 40") 사이에 있도록 공급 관(30)에 연결한 진공관(50); 및 상기 제1 및 제2 밸브(40', 40") 사이에서 분기하고 제3 밸브(61)를 갖춘 샘플 채취 관(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밸브(40', 40", 61)는, 각각 제어기의 제어를 받아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할 수 있게 구성하되,
    (1) 상기 메인 탱크(10)에 근접하게 설치한 제2 밸브(40")만 개방하면서 진공발생기를 작동하여, 진공관(50)을 통해 보조 탱크(20)에 진공압력을 형성하여 동력장치의 엔진이나 변속기에서 오일이 보조 탱크(20)에 저장하게 하거나, (2) 상기 제1 및 제3 밸브(40', 61)만 개방하여, 상기 제3 밸브(61)를 통해 보조 탱크(20)에 수집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게 하여 샘플 채취를 할 수 있게 하거나, (3) 상기 제1 및 제2 밸브(40', 40")만 개방하고 동시에 진동 발생기를 동작하여, 보조 탱크(20)에 흡입한 오일이 메인 탱크(10)에 저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21857A 2017-09-21 2017-09-21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KR101975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57A KR101975110B1 (ko) 2017-09-21 2017-09-21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57A KR101975110B1 (ko) 2017-09-21 2017-09-21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76A KR20190033276A (ko) 2019-03-29
KR101975110B1 true KR101975110B1 (ko) 2019-05-03

Family

ID=6589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857A KR101975110B1 (ko) 2017-09-21 2017-09-21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1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684B1 (ko) 2006-03-21 2009-11-30 한종영 릴리프밸브를 구비한 자동오일교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81200Y1 (ko) * 2015-05-04 2016-08-26 위성량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7785A1 (de) 1996-03-05 1997-10-30 Luk Lamellen & Kupplungsbau Reibungskupplung
KR101081665B1 (ko) * 2008-09-11 2011-11-09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오일 검사 장치
KR101766677B1 (ko) * 2015-12-15 2017-08-09 주식회사 불스원 엔진 오일 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 오일 교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684B1 (ko) 2006-03-21 2009-11-30 한종영 릴리프밸브를 구비한 자동오일교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81200Y1 (ko) * 2015-05-04 2016-08-26 위성량 차량 트랜스미션의 오일교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276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170A (en)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changer apparatus
CN101905850B (zh) 执行、监控和分析多种机械装置流体处理的方法和系统
JP4986951B2 (ja) 乗物の流体交換装置及び方法
US8480698B2 (en) Waste control apparatus
US6796339B1 (en) Apparatus for flushing, replacing fluid and bleeding hydraulic systems
KR20090010213A (ko) 유체 연료에 존재하는 물, 특히 디젤 오일로부터 물을 분리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358032A (zh) 抽吸设备和用于运行抽吸设备的方法
KR101975110B1 (ko) 동력장치용 오일 흡입 장치
US71917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ushing and cleaning engine lubrication systems
DE10017379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örderung eines Mediums
JP2007297113A (ja) オイル交換装置
US20040020720A1 (en) Engine oil cleaning system
US20080087499A1 (en) Control box for an apparatus for removing and replacing lubricants
JP2007297114A (ja) オイル交換装置
CN209079864U (zh) 一种接油机
KR102227548B1 (ko) 농기계의 오일 교환용 장치
CN206415359U (zh) 一种用于减速机的清洗系统
JP4849951B2 (ja) 可搬性オイル交換装置
CN106311654B (zh) 一种用于减速机的清洗系统
RU23395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авки гидросистем
CN108996460A (zh) 加油车
KR101543207B1 (ko) 전기식 오일 교환기
CN211161050U (zh) 一种动车组检修用齿轮箱在线清洗装置
RU2396446C1 (ru) Стенд для очистки моторного масла и промывки системы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210771464U (zh) 一种排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