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865Y1 -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865Y1
KR200480865Y1 KR2020160002126U KR20160002126U KR200480865Y1 KR 200480865 Y1 KR200480865 Y1 KR 200480865Y1 KR 2020160002126 U KR2020160002126 U KR 2020160002126U KR 20160002126 U KR20160002126 U KR 20160002126U KR 200480865 Y1 KR200480865 Y1 KR 200480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d
storage body
roll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2020160002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06B3/38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덮개(400)가 수납본체(100)의 상부로 회전된 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게 구성됨으로써, 물건의 수납시 덮개(400)와 충돌되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덮개(400)의 개방시 덮개(400)가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덮개(40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및 지지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는, 일단이 개방된 수납본체(100);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200); 상기 제1지지대(200)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00);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개폐하는 덮개(400); 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400)는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로 회전된 후 상기 제1지지대(200)을 따라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개방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Container with sliding door}
본 고안은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수납부의 상부로 회전시킨 후 내부에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에 관한 것이다.
박스형 수납함은 옷장이나 장롱과 달리 예컨데 가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소도구나 자주 사용되는 간소한물품 또는 속옷 등을 쉽게 수납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판재를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박스형 수납함은 몇 개의 수납함을 옆으로 붙이거나 위로 올려 쌓아 여러 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다양한 소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으나, 수납된 물품이 밖으로 노출되어 주변이 너저분하게 보이도록 하고, 내부에 먼지가 많이 앉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박스형 수납함에 도어를 형성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종래의 수납함 도어는, 수납함의 상단 또는 측단에 경첩 등을 달아 도어를 외부로 열고 닫게 구성되는 것으로, 물품수납시 도어와 충돌이 발생될 위험이 있고, 도어가 열리기 위해 전방으로 여유 공간을 두어야 하므로 배치가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9613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400)가 수납본체(100)의 상부로 회전된 후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게 구성됨으로써, 물건의 수납시 덮개(400)와 충돌되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덮개(400)의 개방시 덮개(400)가 상부로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덮개(40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및 지지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는, 일단이 개방된 수납본체(100);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200); 상기 제1지지대(200)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00);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개폐하는 덮개(400); 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400)는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로 회전된 후 상기 제1지지대(200)을 따라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개방한다.
상기 제1지지대(200)의 일단에는 상방향으로 걸림돌기(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400)의 두깨방향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접촉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400)의 두께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과 접하는 제2접촉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본체(100)의 폐쇄시 상기 덮개(40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10)와 접하여 상기 덮개(400)가 상하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걸림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4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대(200)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덮개(400)를 측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대(500);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400)를 상기 제1지지대(200)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6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600)의 일단에는 상기 덮개(400)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덮개(400)의 회전시 상기 제1지지대(2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면(61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부재(7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러부재(7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접촉부(420)와 접하여 상기 덮개(400)의 슬라이딩 이동시 회전하는 제1롤러(710); 상기 제1롤러(710)의 양측에 함께 회전되게 구비되며, 직경이 상기 제1롤러(710)보다 작고, 팰트 재질로 이루어진 제2롤러(72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덮개(400)가 상기 제1지지대(200)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개방시 상기 덮개(400)가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돌 사고를 방지하고, 수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덮개(400)가 상기 제1지지대(20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덮개(400)의 회전 및 슬라이딩시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작동되며, 소음과 진동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덮개(400)의 측부에 상기 제1접촉부(410) 및 제2접촉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400)가 상기 제1지지대(20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접촉부(410)와 상기 제2접촉부(420)의 사이에 상기 걸림부(4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400)가 상기 수납본체(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나왔을 때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400)에 상기 제1지지대(200)의 측면과 접하는 상기 제2지지대(5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덮개(40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접촉부(410)와 상기 제2접촉부(420)가 상기 제1지지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덮개(40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00)에 상기 덮개(400)의 상단과 접하는 경사면(6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400)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상기 제1지지대(200)를 하방향으로 처지게 하여 슬라이딩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에 상기 롤러부재(7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덮개(400)의 슬라이딩시 진동과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분해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개방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지지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분해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개방 상태일 때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의 지지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는 수납본체(100), 제1지지대(200), 탄성부재(300), 덮개(400), 제2지지대(500) 및 가이드부재(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납본체(100)는 좌우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이 요철과 같이 절곡된 판으로 제작되고,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200)는 상기 수납본체(100)의 깊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이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본체(100) 내부의 좌,우측면의 상단 부근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지지대(200)의 일단, 즉 앞쪽 끝단은 후술할 상기 탄성부재(300)에 의해 상방향으로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수납본체(100)의 측면에 볼트로 상하 이동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1지지대(200)는 후술할 상기 덮개(400)가 상방향으로 회전 및 슬라이딩 삽입될 때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상기 덮개(400)에 밀착되며, 상기 덮개(40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20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210)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10)는 선단이 둥그스름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후술할 상기 덮개(400)를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제1지지대(200)와 상기 덮개(40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갖으며, 일반적인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상단이 상기 수납본체(100)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제1지지대(200)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제1지지대(200)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상기 제1지지대(200)가 상기 덮개(400)에 항상 밀착되게 한다.
상기 덮개(400)는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수납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이며,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로 회전된 후 상기 제1지지대(200)을 따라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수납본체(100)를 개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400)의 측부에는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접촉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부(410)는 상기 덮개(400)의 두께방향 일단에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납본체(100)의 폐쇄시 상기 덮개(400)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접촉부(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100)의 개방시 상기 덮개(400)의 일단을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에 걸리게 하여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저지하게 되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덮개(400)의 두께방향 타단에는 측방향으로 제2접촉부(4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접촉부(420)는 상기 덮개(40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접촉부(4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접촉부(420)는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덮개(400)가 하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본체(100)의 폐쇄시 상기 덮개(40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10)와 접하여 상기 덮개(400)가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걸림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430)는 상기 제1접촉부(410)와 상기 제2접촉부(420) 사이에서 상기 덮개(400)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부(410)와 상기 제2접촉부(420)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430), 상기 제1접촉부(410) 및 상기 제2접촉부(420) 사이에 상기 걸림돌기(210)가 삽입 배치되며, 상기 덮개(400)는 상기 걸림돌기(2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걸림부(430)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2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400)의 측부에 상기 제1접촉부(410) 및 제2접촉부(4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400)가 상기 제1지지대(20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상기 제1접촉부(410)와 상기 제2접촉부(420)의 사이에 상기 걸림부(4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400)가 상기 수납본체(100)의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나왔을 때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50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덮개(400)의 양측에 상호 이격 장착되며, 상기 덮개(40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지지대(500)는 상기 수납본체(100)의 개방시 상기 덮개(400)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200)의 측면과 각각 접하여 상기 덮개(400)를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400)에 상기 제1지지대(200)의 측면과 접하는 상기 제2지지대(5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덮개(40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저지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접촉부(410)와 상기 제2접촉부(420)가 상기 제1지지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덮개(40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며,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400)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재(600)는 상기 제1지지대(200)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덮개(400)의 슬랑리딩 이동시 상기 덮개(400)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덮개(400)를 상기 제1지지대(200)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600)의 일단 하부에는 일단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610)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6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400)의 상단 모서리부와 접하게 되며, 상기 덮개(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지지대(2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덮개(400)를 지지하며, 상기 덮개(400)를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600)에 상기 덮개(400)의 상단과 접하는 경사면(6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덮개(400)의 회전을 부드럽게 하고, 상기 제1지지대(200)를 하방향으로 처지게 하여 슬라이딩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에는 롤러부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롤러부재(700)는 상기 제2접촉부(420)와 접하는 제1롤러(710)와 상기 제1롤러(7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롤러(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롤러(71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접촉부(420)와 접하여 상기 덮개(400)의 슬라이딩 이동시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롤러(720)는 상기 제1롤러(710)의 양측에 함께 회전되게 구비되며, 직경이 상기 제1롤러(710)보다 작고, 팰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2롤러(720)는 상기 제2지지대(500)와 상기 수납본체(100)의 측면과 접할때 마찰과 소음을 줄이고 상기 롤러부재(700)가 부드럽게 회전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에 상기 롤러부재(7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덮개(400)의 슬라이딩시 진동과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는, 상기 덮개(400)가 상기 제1지지대(200)에 회전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개방시 상기 덮개(400)가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충돌 사고를 방지하고, 수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덮개(400)가 상기 제1지지대(20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덮개(400)의 회전 및 슬라이딩시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작동되며, 소음과 진동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수납본체 200 : 제1지지대
210 : 걸림돌기 300 : 탄성부재
400 : 덮개 410 : 제1접촉부
420 : 제2접촉부 430 : 제3접촉부
500 : 제2지지대 600 : 가이드부재
610 : 경사면

Claims (5)

  1. 일단이 개방된 수납본체(100);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지지대(200);
    상기 제1지지대(200)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00);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개폐하는 덮개(400); 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400)는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로 회전된 후 상기 제1지지대(200)을 따라 상기 수납본체(100)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수납본체(100)의 일단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200)의 일단에는 상방향으로 걸림돌기(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400)의 두깨방향 일단에는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면과 접하는 제1접촉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400)의 두께방향 타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과 접하는 제2접촉부(4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100)의 폐쇄시 상기 덮개(40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돌기(210)와 접하여 상기 덮개(400)가 상하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걸림부(4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0)에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대(200)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덮개(400)를 측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대(500);
    상기 제1지지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400)를 상기 제1지지대(200) 방향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부재(6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600)의 일단에는 상기 덮개(400)의 상단과 접하여 상기 덮개(400)의 회전시 상기 제1지지대(2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면(6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2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부재(7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러부재(70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접촉부(420)와 접하여 상기 덮개(400)의 슬라이딩 이동시 회전하는 제1롤러(710);
    상기 제1롤러(710)의 양측에 함께 회전되게 구비되며, 직경이 상기 제1롤러(710)보다 작고, 팰트 재질로 이루어진 제2롤러(7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KR2020160002126U 2016-04-20 2016-04-20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KR200480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26U KR200480865Y1 (ko) 2016-04-20 2016-04-20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26U KR200480865Y1 (ko) 2016-04-20 2016-04-20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65Y1 true KR200480865Y1 (ko) 2016-07-14

Family

ID=5649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126U KR200480865Y1 (ko) 2016-04-20 2016-04-20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6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773U (ko) * 1978-03-14 1979-09-20
JPH0552162U (ja) * 1991-12-13 1993-07-0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付フラップ扉
JPH0623577U (ja) * 1992-08-31 1994-03-29 高砂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ンボル表示装置
KR20060032439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KR100919613B1 (ko) 2009-03-30 2009-09-29 공간산업(주) 직립적층식 수납형 오버헤드 도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773U (ko) * 1978-03-14 1979-09-20
JPH0552162U (ja) * 1991-12-13 1993-07-09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付フラップ扉
JPH0623577U (ja) * 1992-08-31 1994-03-29 高砂電器産業株式会社 シンボル表示装置
KR20060032439A (ko) * 2004-10-12 2006-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박스
KR100919613B1 (ko) 2009-03-30 2009-09-29 공간산업(주) 직립적층식 수납형 오버헤드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5000354A (es) Puerta corrediza para un receptaculo de almacenamiento en una consola central del piso de un vehiculo.
US8950115B2 (en) Mechanism for moving a door from a first location to a second location
US11203466B2 (en) Storage box
US9561753B1 (en) Console bin assembly with a removable tray
JP2020515354A (ja) 引き出し壁
CN109476251B (zh) 汽车用托盘
CA2577383A1 (en) Electrical floor box cover with slide locks
CN110573044A (zh) 柜子
KR102318075B1 (ko) 가구용 디지털 도어록
KR200480865Y1 (ko) 슬라이딩 개폐식 수납가구
US20080315737A1 (en) In-Wall Mounted Toolbox
JP6125923B2 (ja) 扉開閉機構及び冷蔵庫
JP2012130490A (ja) 昇降収納装置
KR101654917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엔드 완충장치
KR101707803B1 (ko) 서랍이탈이 방지되는 수납함
KR101585495B1 (ko) 고정식 서랍이 구비된 붙박이장
JP3196556U (ja) 双方向引き出し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施錠装置
JP2008284369A (ja) キッチン家具用ポケットドア
JP2018071326A (ja) キャビネット
KR101857492B1 (ko) 차량용 도어의 맵 포켓
KR20160099248A (ko) 확장형 선반장치
KR20150001032U (ko) 가구용 도어 개폐 장치
JP7241491B2 (ja) キャビネット
TWI745849B (zh) 充電盒
CN113959139B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