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65Y1 - 식재료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식재료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65Y1
KR200480265Y1 KR2020140004876U KR20140004876U KR200480265Y1 KR 200480265 Y1 KR200480265 Y1 KR 200480265Y1 KR 2020140004876 U KR2020140004876 U KR 2020140004876U KR 20140004876 U KR20140004876 U KR 20140004876U KR 200480265 Y1 KR200480265 Y1 KR 200480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unit
frame
couple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070U (ko
Inventor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Priority to KR2020140004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6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0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다수의 식재료를 안전하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식재료 절단장치가 제공된다. 절단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절단유닛, 절단대상물이 안착되며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마부재, 도마부재가 결합되어 도마부재를 절단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회전칼날과 구동부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및 프레임에 결합되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되, 장력조절 유닛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칫휠과, 래칫휠로부터 연장되어 벨트에 압력을 가하는 롤러와, 프레임에 결합되어 래칫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폴(pawl)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재료 절단장치{Cut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식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식재료를 안전하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식재료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산물과 같은 식재료의 신선도를 유지하거나 유통 및 보관의 편의를 위하여 냉동 처리는 필수적이다. 가공 공장이나 대형 음식점의 경우, 신속한 작업 등의 이유로 대부분 냉동된 상태 그대로 식재료를 절단한다. 식재료는 사람이 수작업으로 절단할 수도 있고, 칼날을 포함하는 회전기계 등을 이용하여 보다 자동화된 방식으로 절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회전기계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절단하는 경우, 냉동 처리에 의해 식재료의 강도가 증가하고, 얼음조각의 부착으로 인해 식재료의 형상이 매우 불규칙하여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톱날 등에 의해 재료의 형상이 훼손되거나 손실될 수 있으며, 절단면의 형상이 매끄럽지 못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외에도, 종래의 절단기는 대부분 특정 식재료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물품을 절단하는 데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대부분의 절단기는 절단물의 크기, 형상 등이 특정 방식으로 결정되어 있는 탓에 고가의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929호, (2013.07.23)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식재료를 안전하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식재료 절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서로 병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절단유닛; 절단대상물이 안착되며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마부재; 일측에 상기 도마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도마부재를 상기 절단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칼날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칫휠과, 상기 래칫휠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벨트에 압력을 가하는 롤러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리 래칫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폴(pawl)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회전칼날의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측판부와, 양단부의 상기 측판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판부와, 상기 측판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상판부의 상단에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회전칼날의 중앙에 삽입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칼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칼날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일정 단위길이로 절단된 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절단유닛에 탄성 결합되며 상기 회전칼날과 인접하여 상기 도마부재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대상물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도마부재에 밀착시키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하부에 상기 절단대상물을 향하여 돌출된 가압날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날은 상기 절개홈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로, 다수의 식재료를 안전하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바꿔가며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는 칼날이 적절한 회전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식재료를 보다 용이하게 절단하며 절단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는 칼날 등의 교체가 손쉬워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재료 절단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재료 절단장치의 장력조절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재료 절단장치의 도마부재, 회전칼날, 및 가압부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절단대상물의 절단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절단유닛의 교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절단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절단유닛의 회전칼날의 간격 조절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재료 절단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식재료 절단장치의 장력조절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식재료 절단장치의 도마부재, 회전칼날, 및 가압부재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1)는 프레임(10), 프레임(10)에 결합되며 서로 병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회전칼날(21)을 포함하는 절단유닛(20), 절단대상물이 안착되며 복수 개의 절개홈(30a)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마부재(30), 일측에 도마부재(30)가 결합되어 도마부재(30)를 절단유닛(20)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0), 프레임(10)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60), 상기 회전칼날(21)과 구동부(60)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61), 및 프레임(10)에 결합되어 벨트(6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70)을 포함한다.
절단대상물은 도마부재(30)위에 놓인 채 절단유닛(20)까지 안정적으로 이송되고 절단유닛(20)의 회전칼날(21)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다. 또한, 회전칼날(21)이 도마부재(30)의 절개홈(30a)을 통과하면서 식재료 등의 절단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1)를 사용하여 안정적, 효율적으로 절단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1)는 장력조절유닛(70)이 회전칼날(21)에 연결된 벨트(61)의 장력을 조절하여 회전칼날(21)의 회전력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장력조절유닛(70)이 벨트(61)로부터 이격되어 벨트(61) 및 절단유닛(2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칼날을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칼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식재료 절단장치(1)의 각 구성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프레임(10)은 내부에 절단유닛(20), 구동부(60), 장력조절유닛(70), 가압유닛(50)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으로 형성되며, 일 측이 개구되어 이송유닛(40)과 연결된다. 프레임(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10)의 형상이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내부에 절단유닛(20), 구동부(60), 장력조절유닛(70), 가압유닛(50) 등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스 형태가 아닌 골조 형상 등으로 형성된 프레임(10)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절단유닛(20)은 프레임(10)에 결합되고, 서로 병렬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회전칼날(21)을 포함한다. 회전칼날(21)은 회전칼날(21)의 중앙에 삽입되는 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대상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절단유닛(20)의 회전축(22)에는 벨트(61)가 연결되어 구동부(60)의 회전력을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절단유닛(20)은 프레임(1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상부 등을 개방하여 절단유닛(20)에 접근하고 이를 해체하여 다른 절단유닛(20)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식재료나 대상물에 알맞은 적절한 칼날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단유닛(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교체과정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송유닛(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연장된 부분은 프레임(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그 반대편은 프레임(10)의 내측에서 절단유닛(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식재료 등의 절단대상물을 이송유닛(40)을 통해 절단유닛(20)까지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송유닛(40)은 궤도 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체인이나,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셔틀 등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송유닛(40)은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마부재(30)는 이송유닛(40)에 결합되어 이송유닛(40)을 따라 이동한다. 도마부재(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40)의 이송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며, 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에 복수 개의 절개홈(30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마부재(30)가 절단유닛(20)을 통과할 때 회전칼날(21)이 절개홈(30a)의 사이로 진입하여 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절개홈(30a)은 회전칼날(21)의 배치상태에 대응하여 그 개수나 배치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도마부재(30)는 이송유닛(40)을 따라 하나 이상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마부재(30)위에 복수 개의 식재료를 연속적으로 적재하여 보다 빠르게 절단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도마부재(30)에 적재된 식재료 등의 대상물은 도마부재(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이송유닛(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된다.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 도마부재(30)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되어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마부재(30)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닛(50)이 배치된다. 가압유닛(50)은 프레임(10) 또는 절단유닛(20)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회전칼날(21)과 인접하도록 도마부재(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가압유닛(50)을 도마부재(30)에 적재된 대상물에 접하여 압력을 가하고 대상물을 도마부재(30)에 밀착시킬 수 있다.
가압유닛(5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또는 절단유닛(20)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부(53), 탄성지지부(53) 끝단에 결합되는 평면부(51), 및 평면부(51) 하부에 도마부재(30)에 적재된 절단대상물을 향해 돌출된 가압날(5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날(52)은 도마부재(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절개홈(30a)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가압유닛(50)이 도마부재(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대상물을 고정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프레임(10) 내부에 배치되고, 벨트(61)는 구동부(60)와 절단유닛(20)의 회전칼날(21) 사이에 연결된다. 구동부(60)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의 로터리형 액츄에이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트(61)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부(60)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프레임(10)의 저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61)는 구동부(60)의 구동축과 회전칼날(21)의 회전축(22)사이에 연결되어 구동부(60)의 동력을 회전칼날(21)에 직접 전달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조절유닛(70)이 벨트(61)에 접하여 벨트(61)의 장력을 조절한다. 따라서, 벨트(61)가 긴장되어 구동부(60)의 구동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축(22)에 전달되고, 회전칼날(21)은 회전축(22)과 함께 적절한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다. 장력조절유닛(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칫휠(71), 래칫휠(71)로부터 연장되는 롤러(72), 프레임(10)에 결합되어 래칫휠(71)의 회전을 제한하는 폴(pawl)(73)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칫휠(71)은 한쪽 방향으로 정렬된 기어치 들을 포함하는 일종의 회전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칫휠(71)의 기어치는 폴(73)과 결합하여 고정된다. 즉, 기어치의 정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폴(73)을 이용하여 래칫휠(71)을 고정하고 회전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래칫휠(71)로부터 연장된 롤러(7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롤러(72)는 래칫휠(71)의 일 측으로 연장된 연장부(72a) 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벨트(61)에 접하여 벨트(61)의 궤도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벨트(61)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벨트(61)가 압박되면 벨트(61)에는 롤러(72)를 기준으로 서로 쌍을 이루는 장력(T)이 형성되며 벨트(61)는 이러한 장력에 의해 팽팽하게 긴장되어 구동부(60)의 동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칼날(21)에 전달하게 된다.
장력조절유닛(70)은 평소에는 이와 같이 벨트(61)를 압박하여 긴장시키나 필요한 경우에는 벨트(61)로부터 이격되어 장력을 해소하고 벨트(61)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도 3의 점선 표시부분 참조). 따라서, 긴장이 완화된 상태의 벨트(61)를 회전축(22) 및 구동부(60)로부터 분리하고 절단유닛(20)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대상물의 절단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절단대상물의 절단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절단대상물(A)은 도마부재(30)에 적재된 상태로 이송유닛(40)을 따라 이동한다. 절단대상물(A)은 냉동상태의 어류, 육류, 또는 채소등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가 될 수 있다. 절단대상물(A)은 서로 다른 도마부재(30) 위에 연속적으로 적재되어 회전칼날(21)을 통과하게 된다.
가압유닛(50)은 가압날(52)로 회전칼날(21)에 진입하는 절단대상물(A)을 도마부재(30)에 밀착시킨다. 이 때, 가압유닛(50)의 가압날(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마부재(30)의 절개홈(30a) 사이에 배치되어 방해 없이 절개홈(30a)을 통과한다. 또한, 탄성지지부(53)는 절단대상물(A)의 외형에 대응하여 신축되면서 가압날(52)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대상물(A)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절단대상물(A)이 매우 안정된 상태로 회전칼날(21)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단대상물(A)에 매끈한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단된 절단대상물(A)은 상품가치도 상승하며, 절단된 크기가 균일하여 계량이 용이하고, 취급이 쉬운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은 절단유닛의 교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절단유닛의 분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절단유닛의 회전칼날의 간격 조절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재료 절단장치는 도 7 내지 도 11에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을 교체하거나 칼날 간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대상물에 따라 서로 다른 칼날을 사용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대상물의 절단된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절단유닛(20)을 교체하려는 경우,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유닛(70)을 벨트(61)에서 이격시킨다. 이는 폴(73)의 위치를 바꾸어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래칫휠(71)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장력조절유닛(70) 특히, 장력조절유닛(70)의 롤러(72)가 래칫휠(71)과 함께 회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6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롤러(72)가 벨트(61)로부터 이격되어 벨트(61)의 긴장이 완화되면, 보다 손쉽게 벨트(61)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61)를 분리하여 절단유닛(20)의 회전축(22)과 구동부(60) 사이의 구속을 해제한다. 절단유닛(20)은 예를 들어, 볼트나 너트를 이용하여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도 있고, 프레임(10)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도 있다. 절단유닛(20)은 여러 가지 다양한 결합방식을 활용하여 프레임(1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구속이 해제된 절단유닛(20)을 또 다른 절단유닛(20-1)으로 매우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절단유닛(20-1)은 크기나 형상, 칼날면 등이 다른 또 다른 회전칼날(21-1)을 포함하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절단유닛(20. 20-1)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종류의 식재료를 그에 적합한 방식으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절단유닛(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칼날(21)의 회전축(22) 양 단부에 결합되는 측판부(24), 양 단부의 측판부(24)를 서로 연결하는 상판부(23), 및 측판부(24)에 결합되어 회전축(22)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판(25)을 포함한다. 상판부(23)의 상단에는 손잡이부(2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손잡이부(23a)를 파지하여 절단유닛(20)을 매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손잡이부(23a)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그 일부가 프레임(10)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절단유닛(20)의 고정판(25)은 측판부(2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다. 측판부(24)는 측판부(24)의 일 측으로 개방되는 만입홈부(24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축(22)의 단부는 이러한 만입홈부(24a)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25)이 분리되면 회전축(22)의 전체가 회전칼날(21)과 함께 만입홈부(24a)의 개방된 부분으로 배출된다. 이 때, 가압유닛(50)의 평면부(51)와 탄성지지부(53) 사이의 연결부를 분리하여 회전축(22)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판(25)은 볼트나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측판부(2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압유닛(50)의 평면부(51)와 탄성지지부(53)의 연결부 역시 볼트나 너트 등으로 결합되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회전축(22)의 회전칼날(21) 사이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재(22a)가 결합되어 회전칼날(21)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22a)는 회전축(22)에 결합되며, 회전칼날(21) 사이에 하나 이상이 개재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22a)는 일정한 단위길이로 절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22)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칼날(21)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조절부재(22a)의 개수를 조절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칼날(21)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간격조절부재(22a)는 예를 들어, 회전축(22) 양 단부에 결합된 결합부재(22b)를 분리한 후 회전칼날(21)과 함께 결합할 수 있으며, 간격조절부재(22a)의 배열상태 변화에 따라 회전칼날(21)을 추가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단순히 정해진 크기가 아닌 여러 가지 다양한 크기로 대상물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핵심적인 부분을 변경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식재료 절단장치 10: 프레임
20, 20-1: 절단유닛 21, 21-1: 회전칼날
22: 회전축 22a: 간격조절부재
22b: 결합부재 23: 상판부
23a: 손잡이부 24: 측판부
24a: 만입홈부 25: 고정판
30: 도마부재 30a: 절개홈
40: 이송유닛 50: 가압유닛
51: 평면부 52: 가압날
53: 탄성지지부 60: 구동부
61: 벨트 70: 장력조절유닛
71: 래칫휠 72: 롤러
72a: 연장부 73: 폴
A: 절단대상물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회전축에 서로 병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절단유닛;
    절단대상물이 안착되며 복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마부재;
    일측에 상기 도마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도마부재를 상기 절단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칼날과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유닛; 및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절단유닛에 탄성 결합되며 상기 회전칼날과 인접하여 상기 도마부재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절단대상물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도마부재에 밀착시키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장력조절 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칫휠과, 상기 래칫휠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벨트에 압력을 가하는 롤러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리 래칫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폴(pawl)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 하부에 상기 절단대상물을 향하여 돌출된 가압날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날은 상기 절개홈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측판부와, 양단부의 상기 측판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판부와, 상기 측판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식재료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상단에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식재료 절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칼날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칼날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일정 단위길이로 절단된 링 형상을 이루는 식재료 절단장치.
  5. 삭제
  6. 삭제
KR2020140004876U 2014-06-27 2014-06-27 식재료 절단장치 KR200480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76U KR200480265Y1 (ko) 2014-06-27 2014-06-27 식재료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76U KR200480265Y1 (ko) 2014-06-27 2014-06-27 식재료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70U KR20160000070U (ko) 2016-01-07
KR200480265Y1 true KR200480265Y1 (ko) 2016-05-19

Family

ID=5517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76U KR200480265Y1 (ko) 2014-06-27 2014-06-27 식재료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7111B (zh) * 2022-09-22 2023-12-19 黄山博盛纺织有限公司 一种针织品生产用裁切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3256A (ja) * 2006-03-22 2007-10-04 Toho Sansho Kk 冷凍食材用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JP5244808B2 (ja) * 2006-10-25 2013-07-24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摺動ラチェット機構を備えた枢支アームテンショナ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929Y1 (ko) 2012-01-20 2013-07-23 강경원 식재료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3256A (ja) * 2006-03-22 2007-10-04 Toho Sansho Kk 冷凍食材用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JP5244808B2 (ja) * 2006-10-25 2013-07-24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摺動ラチェット機構を備えた枢支アームテンショ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70U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7030B2 (en) Automated method for placing sliced food stacks in packages
CA2102620C (en) Food product centering and transport system
US7100486B2 (en) Apparatus for dicing a deformable product
KR101449700B1 (ko) 고기 세절기
KR101724197B1 (ko) 소량 청과물의 씨앗 제거 및 청과육 분할 블레이드를 탑재한 핸드 프레스
MXPA06005498A (es) Metodos y aparatos para reducir mecanicamente productos alimenticios a formas y tamaños iregulares.
KR200480265Y1 (ko) 식재료 절단장치
EP15709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icing article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
EP14370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ood kebabs
US3668821A (en) Cutting and wrapping machine
KR101689154B1 (ko) 과일씨 제거장치
US1992714A (en) Dicing machine
CA2702056C (en) Cheese shredding apparatus
US2753907A (en) Slicing machine for making vertical and horizontal slits in bun clusters
KR101617417B1 (ko) 식재료 절단 장치
US3004572A (en) Machine for slicing a food product
US3478795A (en) Mechanical broccoli cutter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US2834386A (en) Slicing apparatus
KR20060025725A (ko)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
KR101970716B1 (ko) 축에 끈 말림을 억제하고 완전 제거하는 파봉장치
KR20150137496A (ko) 종횡방향 커팅에 의한 입방체형 육류 절단기
JP5202553B2 (ja) おろし装置
US3538969A (en) Machine for trimming projections from globular articles
KR200322263Y1 (ko) 다이서의 냉동육 압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