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41Y1 -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 - Google Patents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41Y1
KR200480141Y1 KR2020140006220U KR20140006220U KR200480141Y1 KR 200480141 Y1 KR200480141 Y1 KR 200480141Y1 KR 2020140006220 U KR2020140006220 U KR 2020140006220U KR 20140006220 U KR20140006220 U KR 20140006220U KR 200480141 Y1 KR200480141 Y1 KR 200480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inforcing member
reinforcement
deck
resid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693U (ko
Inventor
방정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4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로서, 거주구의 격벽과 이격된 상태로 선체 데크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외벽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데크가 위치되며, 상기 외벽의 내측에는 외벽 보강재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의 내측 상부 끝단에 엔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의 내측 하부 끝단에는 상기 외벽의 내측 면에 생긴 물이 흘러내려서 상기 격벽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외벽 보강재의 하측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이 형성됨으로써, 선실 내부 공간 확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외벽 전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INSTALL STRUCTURE OF VERTICAL STIFFENER WALL AND LIVING QUARTER HAVING THE INSTALL STRUCTURE}
본 고안은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외벽의 엔드 디자인(End Design)을 개선하여 선실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원이 일할 수 있는 업무 공간과 취사와, 취침 등을 위한 거주구가 구비된다.
선박의 거주구는 기관실과 조타실을 고려하여 배치하게 되는데, 조타실은 전방의 시야를 좋게 하기 위해 가능한 선수에 설치하는 것이 좋지만, 선수에서는 상하운동이 커서 작업이 어렵고 피로가 크므로 뒤쪽이 유리하다.
거주구는 생활공간에 대한 영역이 특성에 맞게 구획되어 제공된다. 즉, 거주구 공간을 각각 구획하여 침실, 거실, 욕실, 주방 등이 설치된다.
각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서는 마감재인 격벽(Wall Panel)이 설치되며, 거주구의 외곽에는 외벽(Exposed Wall) 및 외벽 보강재(Vertical Stiffener)가 설치된다.
격벽의 배치 및 간격은 외벽의 보강구조를 고려하여야 하며, 거주구의 공간 확보를 위해서 외벽의 보강구조를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거주구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부분 횡단면도(B view)이고, 도 4는 도 2의 F 방향에서 바라본 외벽 보강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에서는, 선체 데크 바닥면(1)에 수직방향으로 외벽(10)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데크(20)가 위치된다.
상기 외벽(10)과의 간격(D1)을 고려하여 상기 외벽(10)의 내측으로는 내부 마감재인 격벽(51)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격벽(51) 위에는 수평방향으로 천정 패널(52)이 설치된다.
상기 외벽(10)을 지지하는 외벽 보강재(10a)의 내측 상, 하부 플랜지 끝단은 핫 포인트 방지 및 탑재 조인트 절감을 위해서 스닙(Snip) 구조로 형성되고, 그 취약 구조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 보강재(10a)의 내측 상, 하부 끝단에 각각 엔드 브라켓(60)이 설치된다. 여기서, 스닙(Snip) 구조란 외벽 보강재(10a)의 플랜지 끝단이 절단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말한다.
그리고, 선체 데크 바닥면(1)에는 상기 외벽(10)과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코밍(2)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밍(2)은 상기 외벽(10)과 격벽(51) 사이에 위치하여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서 상기 외벽(10) 내측에 Sweat 현상에 의해 물방울이 발생하고, 그 물방울이 모여 흘러내려서 선체 데크 바닥면(1)을 따라 상기 거주구(50)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는 다른 종래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분 횡단면도(C view)이며, 도 7은 도 5의 F 방향에서 바라본 외벽 보강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종래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에서는, 선체 데크 바닥면(1)에 수직방향으로 외벽(10)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10)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데크(20)가 위치된다.
상기 외벽(10)과의 간격(D2)을 고려하여 상기 외벽(10)의 내측으로는 내부 마감재인 격벽(51)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격벽(51) 위에는 수평방향으로 거주구(50)의 천정 패널(52)이 설치된다.
상기 외벽(10)을 지지하는 외벽 보강재(10a)의 내측 상, 하부 플랜지 끝단은 핫 포인트 방지 및 탑재 조인트 절감을 위해서 스닙(Snip) 구조로 형성하고, 그 취약 구조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10)의 두께가 도 2에 도시된 외벽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10a)의 내측 상부에만 엔드 브라켓(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선체 데크 바닥면(1)에는 상기 외벽(10)과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코밍(2)이 형성되는데, 상기 코밍(2)은 상기 외벽(10)과 격벽(51) 사이에 위치하여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해서 상기 외벽(10) 내측에 물방울이 생길 때, 즉 Sweat 현상이 있을 때, 그 물방울이 모여서 선체 데크 바닥면(1)을 흘러서 상기 거주구(50)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에서는, 외벽의 사이즈 외에 형상 등의 변경으로 인하여 선실 배치시 선실 내부 공간이 협소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14-0022632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벽의 엔드 디자인을 개선하여 선실 내부 공간 확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Sweat 현상을 고려한 코밍 기능과 수직 보강 기능의 보강 부재를 설치하여 외벽 전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는 거주구의 격벽과 이격된 상태로 선체 데크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외벽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데크가 위치되며, 상기 외벽의 내측에는 외벽 보강재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의 내측 상부 끝단에는 엔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의 내측 하부 끝단에는 상기 외벽의 내측 면에 생긴 물이 흘러내려서 상기 격벽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외벽 보강재의 하측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이 형성된다.
상기 외벽을 지지하는 외벽 보강재의 내측 상, 하부 플랜지 끝단은 스닙(Snip)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벽 보강재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벽 보강재에 밀착되어 상기 외벽과 상기 격벽과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거주구의 선실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거주구는 전술한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격벽과 이격된 상태로 선체 데크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외벽이 설치되고, 외벽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데크가 위치되며, 외벽의 내측에 수직으로 외벽 보강재가 설치되며, 외벽 보강재의 내측 상부 끝단에는 엔드 브라켓이 설치되고, 외벽 보강재의 내측 하부 끝단에는 외벽의 내측 면에 생긴 물이 흘러내려서 거주구 격벽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선실 내부 공간 확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Sweat 현상을 고려한 코밍 기능과 수직 보강 기능을 함께 갖도록 하여 외벽 전체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거주구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분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F 방향에서 바라본 외벽을 보인 도면
도 5는 다른 종래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C부분 횡단면도
도 7은 도 5의 F 방향에서 바라본 외벽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D부분 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E부분 횡단면도
도 11은 도 8의 F 방향에서 바라본 외벽을 보인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부분 횡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E부분 횡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F 방향에서 바라본 외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거주구(100)는 외벽(110)의 엔드 디자인을 개선하여 선실 내부 공간 확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스?(Sweat) 현상을 고려한 종래의 코밍(Coaming)과 수직 보강 기능의 보강 부재(130)를 외벽 보강재(110a)의 내측 하부 끝단에 밀착함으로써, 외벽(110) 전체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에서는, 거주구(100)의 격벽(51)과 이격된 상태로 선체 데크 바닥면(1)에 수직방향으로 외벽(110)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데크(120)가 위치된다.
상기 격벽(51)은 내부 마감재로서 상기 외벽(110)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D3)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격벽(51)의 상부에는 천정 패널(52)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외벽(110)의 내측 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외벽 보강재(110a)가 설치된다.
상기 외벽 보강재(110a)는 버티컬 스티프너로서, 상기 외벽 보강재(110a)의 내측 상, 하부 플랜지 끝단은 스닙(Snip)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벽 보강재(110a)에는 드레인 홀(H)이 형성된다. 여기서, 스닙(Snip) 구조란 외벽 보강재(110a)의 플랜지 끝단이 절단되어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말한다(도 11 참조).
상기 외벽 보강재(110a)의 내측 상부 끝단에는 엔드 브라켓(140)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110a)의 내측 하부 끝단에는 보강 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보강 부재(130)는 상기 외벽 보강재(110a)의 내측 하부 끝단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코밍과 엔드 브라켓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벽(110)은 두께가 약 7-8(㎜), 길이가 약 15미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상기 보강 부재(130)는 길이가 긴 상기 외벽 보강재(110a)에 설치되어 외벽(110)의 변형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벽(110)의 두께 및 길이는 위에서 언급한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설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130)가 상기 외벽 보강재(110a)에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외벽(110)과 거주구의 격벽(51)과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거주구(100)의 선실 공간이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내외의 기온차에 의해서 외벽(110)의 내측 면에는 Sweat 현상이 발생하고 물방울이 모여 선체 바닥면(1)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외벽 보강재(110a)의 드레인 홀(H)을 통해서 배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Sweat 현상에 의해 발생한 물이 선실 내부로 흐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에서는, 외벽(110)의 두께와 사이즈를 도 2에 도시된 외벽의 두께로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의 코밍과 엔드 브라켓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보강 부재(130)를 외벽 보강재(110a) 내측 하부에 밀착시켜 설치함으로써, 섹션 모듈(Section Module)이 증가하고, 외벽(110) 전체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선실 내부공간의 확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벽(110)의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서 Sweat 현상이 발생하고, 그 Sweat 현상에 의해서 생성되는 물은 외벽 보강재(110a)의 드레인 홀(H)을 통해서 배수됨으로써 거주구 내부의 배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1: 선체 데크 바닥면
51: 격벽
52: 천정 패널
100: 거주구
110: 외벽
110a: 외벽 보강재
120: 데크
130: 보강 부재
H: 드레인 홀

Claims (7)

  1. 거주구의 격벽과 이격된 상태로 선체 데크 바닥면에 수직방향으로 외벽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데크가 위치되며,
    상기 외벽의 내측에는 외벽 보강재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의 내측 상부 끝단에는 엔드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외벽 보강재의 내측 하부 끝단에는 상기 외벽의 내측 면에 생긴 물이 흘러내려서 상기 격벽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외벽 보강재의 하측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벽을 지지하는 상기 외벽 보강재의 내측 상, 하부 플랜지 끝단은 스닙(Snip)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벽의 내측 하부 끝단에 밀착되어 코밍과 엔드 브라켓 역할을 하고, 상기 보강 부재가 상기 외벽의 내측 하부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과 상기 격벽과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여 상기 거주구의 선실 공간이 확장되며,
    상기 외벽의 내측에 스?(Sweat) 현상이 발생하고 물방울이 모여 선체 바닥면으로 흐르게 되는 경우,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해서 배수되도록 구성되어 스?(Sweat) 현상에 의해 발생한 물이 거주구 내부로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벽 보강재는 버티컬 스티프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외벽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거주구.
KR2020140006220U 2014-08-21 2014-08-21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 KR200480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220U KR200480141Y1 (ko) 2014-08-21 2014-08-21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220U KR200480141Y1 (ko) 2014-08-21 2014-08-21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93U KR20160000693U (ko) 2016-03-03
KR200480141Y1 true KR200480141Y1 (ko) 2016-04-18

Family

ID=5553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220U KR200480141Y1 (ko) 2014-08-21 2014-08-21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93U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908A (ko) 부력조립체
KR200480141Y1 (ko) 거주구의 외벽 설치구조 및 그 외벽 설치구조를 갖는 거주구
US9409632B2 (en) Cabin for a floating installation with lines which contribute to reinforcement
JP6587954B2 (ja) 建具
JP2006257821A (ja) オーバーハング部の水切り構造
JP6275475B2 (ja) 電気接続箱
KR20100104217A (ko)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KR101215035B1 (ko) 무보강형 타원형수조
KR101672442B1 (ko) 쓰레드 드레인 스커퍼
JP5336260B2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用貯留槽、及び、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JP4981638B2 (ja) 浴槽の水受け構造
KR200465528Y1 (ko) 선박의 오일코밍
US7350246B1 (en) Bathroom leak damage prevention apparatus
JP2018131775A (ja) 軒先構造
JP5026329B2 (ja) バルコニーと出窓部の接合構造
WO2012101311A1 (es) Elemento prefabricado para la construcción de tabiques, revestimientos y similares,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KR20110118409A (ko) 화장실 유닛을 장착한 데크 하우스
EP2376325B1 (en) A passenger ship fitted with cabins having a bathtub fitted flush
KR101903092B1 (ko) 거주구의 에어 패널
JP5918729B2 (ja) 排水部材および枠材上部の排水構造
KR20130001587U (ko) 선박 거주구 격벽 마감부재의 고정구조
JP2019005293A (ja) ユニットバス
JP5648537B2 (ja) 給湯装置
JP6108454B2 (ja) 縦格子状雨水タンク
KR20120017284A (ko) 선박의 선실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