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4217A -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4217A
KR20100104217A KR1020090022488A KR20090022488A KR20100104217A KR 20100104217 A KR20100104217 A KR 20100104217A KR 1020090022488 A KR1020090022488 A KR 1020090022488A KR 20090022488 A KR20090022488 A KR 20090022488A KR 20100104217 A KR20100104217 A KR 20100104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ull
vertical
draina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624B1 (ko
Inventor
서한동
Original Assignee
서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동 filed Critical 서한동
Priority to KR102009002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2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코니가 선체의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된 선박에서 발코니에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는, 선체의 외부로 발코니가 돌출되게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선체 보강을 위해 선체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코니의 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통되어, 상기 발코니의 상부에 있는 물을 상기 수직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용 발코니, 배수

Description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 DRAIN STRUCTURE OF BALCONIES FOR SHIP }
본 발명은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코니가 선체의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된 선박에서 발코니에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강수로 인한 유입수를 배수하는 기술로 선박의 배수시스템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선체 중량증가와 선체 경사, 복원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선박 안전성을 위협하게 된다.
최근에는 선박의 선체 외부에 발코니가 돌출되게 장착된 대형 크루즈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발코니가 장착된 선박의 경우, 발코니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배수구조는, 발코니가 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유입수가 발코니의 바닥면을 따라 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흐르게 한 후, 배수구를 통해 유입수를 모아 수평배수파이프를 이용하여 선체의 외벽까지 유동시킨 후, 별도의 수직배수파이프를 이용하여 선체 아래로 배수하는 구조로 되 어 있다.
또는 발코니의 난간쪽 기둥을 통해 배수하기도 한다.
한편, 선체의 외벽에는 선체의 보강을 위해 H형강 또는 T형강의 수직프레임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선박의 배수구조는, 선체를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별도로 수평배수파이프 및 수직배수파이프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는바, 선체의 중량이 증가하고 배수파이프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은, 선박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을 이용하여 발코니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배수함으로써, 배수파이프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중량을 감소하고, 배수파이프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좋게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는, 선체의 외부로 발코니가 돌출되게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선체 보강을 위해 선체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코니의 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통되어, 상기 발코니의 상부에 있는 물을 상기 수직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코니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바닥부재에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어 배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선체의 외벽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선체의 외벽과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확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체의 외벽, 돌출부 및 확장부 사이에는 내부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수직배수관 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배수관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된다.
상기 수직배수관은 내부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배수관의 수평단면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상기 돌출부 및 확장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는, 상기 수직배수관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확장부의 돌출방향으로 개방된 제1배수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제2배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배수부재와 상기 확장부 및 선박의 외벽 사이에는 가스켓이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로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상기 제1배수부재에는 상기 확장부 또는 선체의 외벽과 접하면서 상기 제2배수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탄성벤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수부재에는 상기 제1탄성벤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탄성벤딩부와 결합되는 제2탄성벤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탄성벤딩부와 제2탄성벤딩부는 억지끼움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2탄성벤딩부에는 상기 가스켓이 장착된다.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선체의 외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의 외벽에서 돌출되는 2개 이상의 돌출부와; 2개 이상의 상기 돌출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여 내부에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수직배수관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된다.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선체의 외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선체의 외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바닥부재의 타 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하면보다 측면이 넓고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양측으로 넓게 확장되어 장착된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배관을 통해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되되, 상기 배관은 상기 제1지지부의 측면과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배관의 직경은 상기 제2지지부의 너비보다 작도록 한다.
또는,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선체의 외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바닥부재와 선체의 외벽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선체의 외벽을 따라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에 따르면, 선박을 보강하기 위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을 이용하여 발코니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배수함으로써, 배수파이프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중량을 감소하고, 배수파이프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배수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용 발코니(15)의 배수 구조는, 선체의 외부에 발코니(15)가 돌출되게 설치된 선박의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선체 보강을 위해 선체의 외벽(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수직프레임(20)을 이용하여 발코니(15)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한다.
본 발명의 발코니 배수구조는, 수직프레임(20)과, 수직배수관(30)과, 수평프레임(40)과, 바닥부재(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선체 보강을 위해 선체의 외벽(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상시 선체의 외벽(10)에서 돌출되는 돌출부(21)와, 상기 돌출부(21)에서 상기 선체의 외벽(10)과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확장부(2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단면은 'T'자 또는 'H'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단면을 'T'자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측면에는 상기 수직배수관(30)이 장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선체의 외벽(10), 돌출부(21) 및 확장부(22) 사이에는 상기 수직배수관(30)이 장착된다.
상기 수직배수관(30)은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측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21)가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깔끔한 이미지를 주도록 한다.
상기 수직배수관(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재(50)에 설치된 배수구(55)와 연통되어 상기 바닥부재(50)의 상부에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배수관(30)은 도 4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의 4각 파이프로 이루어져 내부에 배수구(55)와 연통되는 배수통로(36)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수직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배수관(30)의 수평단면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상기 돌출부(21) 및 확장부(2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배수관(30)이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측면부에 삽입 장착되었을 때 상기 수직배수관(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수직배수관(30)은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용접 또는 일반적인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상기 수직배수관(3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4각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4각 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측면에 삽입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배수관(30)을 여러개로 형성하여 이를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측면에 삽입 장착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상기 수직배수관(30) 중 하나는 케이블 등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사용하여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배수관(30)은 도 4(c),(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배수부재(31)와 제2배수부재(33)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배수통로(36)을 형성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직배수관(30)은, 상기 돌출부(21)에 결합되고 상기 확장부(22)의 돌출방향으로 개방된 제1배수부재(31)와, 상기 제1배수부재(31)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배수구(55)와 연통되는 배수통로(36)를 형성하는 제2배수부재(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배수부재(31)는 상기 돌출부(21), 확장부(22) 또는 선체의 외벽(10)에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1배수부재(31)는 상기 수직프레임(20)과 같이 길게 장착될 수도 있으나, 재료 절감 및 경량화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배수관(30)에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상기 배수통로(36)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1배수부재(31) 및 제2배수부재(33)는 단면이 각각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배수부재(31)의 양측에는 상기 확장부(22) 및/또는 선체의 외벽(10)과 접하면서 상기 제2배수부재(33) 방향으로 돌출된 제1탄성벤딩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수부재(33)의 양측에는 상기 제1탄성벤딩부(32)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탄성벤딩부(32)와 결합되는 제2탄성벤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벤딩부(32)와 제2탄성벤딩부(34)는 모두 약간씩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제2탄성벤딩부(34)를 상기 제1탄성벤딩부(32)에 억지끼움할 경우 탄성변형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배수부재(33)와 상기 확장부(22), 상기 제2배수부재(33)와 선박의 외벽(10) 사이에는 각각 가스켓(35)이 배치되어 상기 배수통로(36)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배수관(30)에 2개의 배수통로(36)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1배수부재(31)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배수부재(33)는 1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배수부재(31)에 결합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1배수부재(31)의 양측에는 상기 제1탄성벤딩부(32)가 형성되어 총 4개의 제1탄성벤딩부(32)가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제1배수부재(31)는 상기 돌출부(21)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4개의 제1탄성벤딩부(32) 중 하나는 상기 확장부(22)에 접하고, 또 하나는 상기 선체의 외벽(10)에 접하며, 나머지 둘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배수부재(33)는 양측에 각각 상기 제2탄성벤딩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분할판(37)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벤딩부(34)는 2개의 상기 제1배수부재(31)의 가장 외측에 있는 2개의 제1탄성벤딩부(32)와 각각 체결되고, 상기 분할판(37)은 상기 제1탄성벤딩부(32)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탄성벤딩부(32)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벤딩부(34)에는 상기 가스켓(35)이 장착되어 상기 배수통로(36)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위와 같이, 상기 제1탄성벤딩부(32)와 제2탄성벤딩부(34)를 억지끼움 방식으 로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40)은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20)의 상기 확장부(22)에 결합되고, 타단이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수평프레임(40)은, 상하면보다 측면이 넓고 상기 돌출부(21)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지지부(41)와, 상기 제1지지부(41)의 하부에 양측으로 넓게 확장되어 장착된 제2지지부(4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수평프레임(40)의 단면은 'T'자 또는 'H'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단면을 'T'자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바닥부재(50)는 상기 수평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4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발코니(15)의 바닥을 형성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바닥부재(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바닥부재(50)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격벽 또는 도어(17)가 설치되어 발코니(15)를 다수개로 분할하고 있다.
상기 바닥부재(50)에는 배수구(5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55)는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연결되어 배수된다.
상기 바닥부재(50)는 상기 선체의 외벽(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55)는 상기 선체의 외벽(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바닥부재(50)의 타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42)는 상기 수직프레임(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배수구(55)는 배관(57)을 통해 상기 수직배수관(3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관(57)은 상기 제1지지부(41)의 측면과 상기 제2지지부(42)의 상면을 따라 상기 선체의 외벽(10)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관(57)의 직경은 상기 제2지지부(42)의 너비보다 작게 한다.
위와 같이, 상기 배관(57)의 직경을 상기 제2지지부(42)의 너비보다 작게 하고, 상기 제2지지부(42)의 상면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배관(57)을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40)의 하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지지부(42)에 가려 상기 배관(57)이 보이지 않게 되는바 미관상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상기 배관(57)을 상기 수직배수관(30)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관(57)이 상기 확장부(22)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통로(36)에 연통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선박용 발코니(15) 배수 구조에 따르면, 상기 발코니(15)의 바닥을 구성하는 상기 바닥부재(50)의 상면에 물이 유입될 경우, 상기 바닥부재(50)가 상기 선체의 외벽(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는바, 물은 상기 바닥부재(50)를 따라 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50)의 타단 즉 상기 선체의 외벽(1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바닥부재(50)의 단부에 상기 배수구(55)가 설치되어 있어, 물은 상기 배수구(55)로 유입된다.
이렇게 상기 배수구(55)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2지지부(42)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기 배관(57)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된 수직배수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이, 선박의 보강을 위해 설치된 수직프레임(20)에 수직배수관(30)을 설치하여 발코니(15)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수직프레임(20) 및 수직배수관(30)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배수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고, 배수설비의 수가 줄어들어 선박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내부구조 및 배수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와 수직배수관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확대구조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용 발코니(15) 배수 구조는, 수직프레임(20)과, 수직배수관(30)과, 수평프레임(40)과, 바닥부재(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바닥부재(50)에 장착되는 배수구(55)의 위치와, 그에 따른 배수연결 구조가 상이한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닥부재(50)는 상기 선체의 외벽(1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55)는 상기 바닥부재(50)와 선체의 외벽(1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55)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수직프레임(20)들 사이에서 상기 선체의 외벽(10)을 따라 상기 수직배수관(30)과 연통된다.
즉, 상기 배수구(55)의 양단은 상기 수직배수관(30)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통로(36)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배수관(3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55) 방향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배수관(30)을 제1배수부재(31)와 제2배수부재(33)가 결합되는 구조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가능하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의 형상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의 상기 수직프레임(20)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선체의 외벽(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의 외벽(10)에서 돌출되는 2 개 이상의 돌출부(28)와, 2개 이상의 상기 돌출부(28)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여 내부에 배수통로(36)를 형성하는 수평부(29)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부(28)를 2개 형성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단면이 'ㄷ'자 형상이 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돌출부(28)를 3개 형성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의 단면을 'E'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20)은 내부에 배수통로(36)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 자체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언급한 수직배수관을 형성한다.
즉, 제3실시예에서의 상기 수직프레임(20)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언급한 수직배수관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상기 수직프레임(20)을 관통하여 상기 배수통로(36)와 연통된다.
그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 및 수직배수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와 수직배수관의 연결부위를 확대한 확대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체의 외벽, 15 : 발코니, 17 : 격벽 또는 도어, 20 : 수직프레임, 21 : 돌출부, 22 : 확장부, 28 : 돌출부, 29 : 수평부, 30 : 수직배수관, 31 : 제1배수부재, 32 : 제1탄성벤딩부, 33 : 제2배수부재, 34 : 제2탄성벤딩부, 35 : 가스켓, 36 : 배수통로, 37 : 분할판, 40 : 수평프레임, 41 : 제1지지부, 42 : 제2지지부, 50 : 바닥부재, 55 : 배수구, 57 : 배관,

Claims (9)

  1. 선체의 외부로 발코니가 돌출되게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선체 보강을 위해 선체의 외벽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수직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코니의 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통되어, 상기 발코니의 상부에 있는 물을 상기 수직프레임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이 선체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코니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바닥부재에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의 배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선체의 외벽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선체의 외벽과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확장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체의 외벽, 돌출부 및 확장부 사이에는 내부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수직배수관이 장착되고,
    상기 수직배수관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은 내부에 배수통로가 형성된 중공형상의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배수관의 수평단면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상기 돌출부 및 확장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수관은,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확장부의 돌출방향으로 개방된 제1배수부재와;
    상기 제1배수부재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는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제2배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배수부재와 상기 확장부 및 선박의 외벽 사이에는 가스켓이 배치되 어 상기 배수통로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부재에는 상기 확장부 또는 선체의 외벽과 접하면서 상기 제2배수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탄성벤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배수부재에는 상기 제1탄성벤딩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탄성벤딩부와 결합되는 제2탄성벤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탄성벤딩부와 제2탄성벤딩부는 억지끼움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체결되고,
    상기 제2탄성벤딩부에는 상기 가스켓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선체의 외벽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선체의 외벽에서 돌출되는 2개 이상의 돌출부와; 2개 이상의 상기 돌출부의 타단을 상호 연결하여 내부에 배수통로를 형성하는 수평부로 이루어져, 수직배수관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8.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선체의 외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선체의 외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바닥부재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하면보다 측면이 넓고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양측으로 넓게 확장되어 장착된 제2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배관을 통해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되되,
    상기 배관은 상기 제1지지부의 측면과 상기 제2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장착되고, 상기 배관의 직경은 상기 제2지지부의 너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9.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선체의 외벽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바닥부재와 선체의 외벽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선체의 외벽을 따라 상기 배수통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KR1020090022488A 2009-03-17 2009-03-17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KR101122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488A KR101122624B1 (ko) 2009-03-17 2009-03-17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488A KR101122624B1 (ko) 2009-03-17 2009-03-17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217A true KR20100104217A (ko) 2010-09-29
KR101122624B1 KR101122624B1 (ko) 2012-03-15

Family

ID=4300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488A KR101122624B1 (ko) 2009-03-17 2009-03-17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5689A1 (en) * 2010-02-04 2011-08-11 Jukova Oy Balcony construction
CN115023392A (zh) * 2019-12-16 2022-09-06 冯金特里公司 游轮阳台的预制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874B1 (ko) * 2011-05-17 2013-05-06 서한동 선박용 발코니 구조
KR101389508B1 (ko) * 2012-06-20 2014-04-28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루즈 선박용 발코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1222A (ja) * 1997-05-30 1998-12-15 Misawa Homes Co Ltd バルコニーの排水構造
FI113033B (fi) * 1999-11-22 2004-02-27 Kvaerner Masa Yards Oy Sovitelma laivaa varten
FI20035067A (fi) * 2003-05-15 2004-11-16 Jukova Oy Parveke tai vastaav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5689A1 (en) * 2010-02-04 2011-08-11 Jukova Oy Balcony construction
EP2531663A1 (en) * 2010-02-04 2012-12-12 Jukova OY Balcony construction
EP2531663A4 (en) * 2010-02-04 2014-12-03 Jukova Oy BALCONY CONSTRUCTION
CN115023392A (zh) * 2019-12-16 2022-09-06 冯金特里公司 游轮阳台的预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624B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624B1 (ko) 선박용 발코니 배수 구조
CN210134566U (zh) 一种铝板幕墙泄水连接结构
CN109837969A (zh) 一种整体卫浴底盘侧排系统
JP2006328772A (ja) 浴室ユニット
JP5336260B2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用貯留槽、及び、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JP4280214B2 (ja) 屋上排水構造
CN211396784U (zh) 一种整体式卫生间
CN110696970B (zh) 一种船用轻型卫生单元底座
JP4653610B2 (ja) 床構造
CN211572295U (zh) 一种走廊排水装置
CN213836948U (zh) 一种淋浴房门地漏连接结构
JP2533598Y2 (ja) 屋上排水装置
CN216739964U (zh) 一种多通道地漏
KR10141531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중트랩 층상배관장치
CN208578368U (zh) 一种适用于多高层建筑的预制式整体卫浴间或卫生间
CN210828179U (zh) 装配式建筑淋浴间及其排水结构
JP3365260B2 (ja) 浴槽排水装置
EP2216449B1 (en) Drain with inspection hole
NL2003568C2 (nl) Afvoergoot.
JP4730003B2 (ja) 浴室ユニットの壁構造
JP2007039956A (ja) 浴室排水トラップ構造
CN105836832A (zh) 一种滨海电厂循环水的排水消泡装置
KR200465251Y1 (ko) 조립식화장실용 측면판 고정지지구
JP2006104872A (ja) 複層ガラス類用構造ガスケットの排水構造
JPH09268621A (ja) 浴室用防水パ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