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764Y1 -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764Y1
KR200479764Y1 KR2020140008111U KR20140008111U KR200479764Y1 KR 200479764 Y1 KR200479764 Y1 KR 200479764Y1 KR 2020140008111 U KR2020140008111 U KR 2020140008111U KR 20140008111 U KR20140008111 U KR 20140008111U KR 200479764 Y1 KR200479764 Y1 KR 200479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mount
connecting duct
blower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구
Original Assignee
이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구 filed Critical 이완구
Priority to KR2020140008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7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mechanical means, e.g. using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너구에 구비된 혼합관과 연결되는 가스관에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밸브를 설치하고, 버너구와 브로워를 연결덕트로 연결하며, 상기 밸브부재가 구비된 회전축을 연결덕트에 관통되게 결합하면서 그 끝단이 가스조절밸브와 연결되게 설치 구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noodle oven gas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사하게는 버너구에 구비된 혼합관과 연결되는 가스관에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밸브를 설치하고, 버너구와 브로워를 연결덕트로 연결하며, 상기 밸브부재가 구비된 회전축을 연결덕트에 관통되게 결합하면서 그 끝단이 가스조절밸브와 연결되게 설치 구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밸브부재는 연결덕트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제1 차단판과 연결덕트에 구비된 바이패스홀을 개폐하는 제2 차단판을 소정 각도로 형성하여 연결덕트의 개도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바이패스홀을 통해 잉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브로워가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회전축에는 캠을 설치하고, 캠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브로워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연결덕트에 설치 구성하여 가스가 공급되는 동안에만 브로워를 작동시켜 브로워가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 증숙렌즈란 많은 양의 면을 신속하게 삶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면을 신속하게 삶기 위해서 면 증숙렌지 내부에는 가열장치가 설치된다.
면 증숙렌지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는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면 증숙렌지 상부면에 올려진 솥을 가열하므로 솥 내부에 들어 있는 면을 짧은 시간에 삶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의 문제점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점화시켜 솥을 가열하기 때문에 가스 소비량이 증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면 증숙렌지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장치에는 브로워를 설치하였으나, 가열장치에 구비된 버너구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버너구로 공급되는 가스와 브로워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량을 각각 제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가열장치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워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위치를 면 증숙렌지에 설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면 증숙렌지의 제작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증숙렌지에 설치된 사용자는 스위치를 Off 시키지 않아 가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스위치가 On 되어 브로워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므로, 상기 브로워가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브로워의 가열로 인하여 증숙렌지 함체에 화재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 선행 기술 문헌 ◆
공개실용신안 제 1997-26877 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너구에 구비된 혼합관과 연결되는 가스관에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밸브를 설치하고, 버너구와 브로워를 연결덕트로 연결하며, 상기 밸브부재가 구비된 회전축을 연결덕트에 관통되게 결합하면서 그 끝단이 가스조절밸브와 연결되게 설치 구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밸브부재는 연결덕트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제1 차단판과 연결덕트에 구비된 바이패스홀을 개폐하는 제2 차단판을 소정 각도로 형성하여 연결덕트의 개도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바이패스홀을 통해 잉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브로워가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회전축에는 캠을 설치하고, 캠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브로워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연결덕트에 설치 구성하여 가스가 공급되는 동안에만 브로워를 작동시켜 브로워가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버너구에 연결된 혼합관으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조절밸브가 설치된 가스관과;
버너구와 연결덕트로 연결되는 브로워와;
연결덕트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밸브부재와 가스조절밸브의 작동축을 하나의 회전축으로 연결하여 회전축 회전각도에 따라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고안에 의하면, 버너구에 구비된 혼합관과 연결되는 가스관에 가스량을 조절하는 가스조절밸브를 설치하고, 버너구와 브로워를 연결덕트로 연결하며, 상기 밸브부재가 구비된 회전축을 연결덕트에 관통되게 결합하면서 그 끝단이 가스조절밸브와 연결되게 설치 구성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밸브부재는 연결덕트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제1 차단판과 연결덕트에 구비된 바이패스홀을 개폐하는 제2 차단판을 소정 각도로 형성하여 연결덕트의 개도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바이패스홀을 통해 잉여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브로워가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ㄱ기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에는 캠을 설치하고, 캠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브로워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연결덕트에 설치 구성하여 가스가 공급되는 동안에만 브로워를 작동시켜 브로워가 과부하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증숙 렌즈에 버너구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의 제어수단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의 제어수단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밸브부재가 결합 된 회전축이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어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버너구(120)에 연결된 혼합관(122)으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조절밸브(20)가 설치된 가스관(10)과;
버너구(120)와 연결덕트(60)로 연결되는 브로워(50)와;
연결덕트(60)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밸브부재와 가스조절밸브(20)의 작동축(24)을 하나의 회전축(70)으로 연결하여 회전축(70) 회전각도에 따라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관(10)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이용하여 면을 삶는 면 증숙용 렌즈는 솥이 올려지는 증숙렌지 함체(1)가 도 1과 같이 형성되고, 그 증숙렌지 함체(1)의 내부에 가스관(10)과 연결되는 공급관(121)이 구비된 버너구(120)를 설치한다.
증숙렌지 함체(1) 내부에 설치된 버너구(120)의 공급관(121)은 가스조절밸브(20)가 설치된 가스관(10)과 연결되어 상기 가스조절밸브(20)의 작동에 따라 버너구(120)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버너구(120)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워(50)를 연결덕트(60)를 이용하여 상기 버너구(120)의 공급관(121)과 연결하는 데, 상기 연결덕트(60)와 버너구(120) 사이로 도 1과 같이 혼합관(122)을 결합 구성하고, 그 혼합관(122)과 연결되도록 가스관(10)을 결합한다.
따라서, 가스관(10)에서 공급되는 가스와 브로워(50)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혼합관(122) 내부에서 혼합된 상태로 버너구(120)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혼합관(122)과 가스관(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가스관(10)의 끝단에 가스조절밸브(20)를 설치하고, 혼합관(122)에는 'L' 자 모양의 연결부(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연결관(40)을 이용하여 가스조절밸브(20)와 연결부(30)를 연결한다.
이때, 가스관(10)이 직접 혼합관(122)에 연결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가스조절밸브(20)는 공지된 기술로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가스조절밸브(20)의 중앙에는 밸브홀(2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을 개폐하는 개폐홀(23)이 구비된 개폐볼(22)이 작동축(24)에 축지되게 밸브홀(21) 중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작동축(24)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개폐볼(22)이 도면상 좌,우로 회전되면서 밸브홀(21)을 개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 구성된 가스조절밸브(20)의 작동축(24)과 연결덕트(60)를 밸브부재가 구비된 회전축(70)으로 연결되게 설치 구성하여 회전축(70)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버너구(120)로 공급되는 가스량과 공기량을 동시에 비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밸브부재가 구비된 회전축(70)은 도 5와 같이 연결덕트(60)에 관통되게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70)의 끝단은 가스조절밸브(20)의 작동축(24)에 연결되게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회전축(70)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밸브부재는 연결덕트(60)의 개도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도 7과 같이 작동축(24)에 설치된 개폐볼(22)은 밸브홀(21)를 개폐하면서 혼합관(122)으로 공급되는 가스량과 공기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70)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연결덕트(60)는 도 3과 같이 브로워(50)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61)가 일면에 형성되고, 그 유입된 공기를 혼합관(122)으로 보내는 출구(62)를 연결덕트(60)의 타면에 형성한다.
상기 입구(61)가 구비된 연결덕트(60)의 상면에는 출구(62)로 공급되지 못한 잉여 공기를 배출시키는 바이패스홀(63)이 형성되는 데, 상기 바이패스홀(63)은 연결덕트(60)의 상면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60a)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덕트(60)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배출부재는 도 4와 같이 출구(62)를 통해 혼합관(122)으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1 차단판(71)을 회전축(70)에 형성하고, 바이패스홀(6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잉여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2 차단판(72)을 회전축(70)에 소정의 각도로 형성한다.
이때, 밸브부재의 제1 차단판(71)의 길이 보다 제2 차단판(71)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다.
따라서, 출구(62)를 차단할 때에는 제1 차단판(71)과 제2 차단판(72)이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며, 혼합관(122)으로 많은 양의 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바이패스홀(122)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덕트(60)의 입구(61)에 결합 된 브로워(50)를 On/Off 작동시키는 작동수단(80)을 도 8과 같이 작동수단(80)을 설치한다.
상기 작동수단(80)은 회전축(70)의 외주면에는 캠(90)을 설치하고, 캠(90)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눌려져 브로워(50)로 On/Off 작동시키는 스위치(100)를 연결덕트(60)의 전면에 설치한다.
따라서, 캠(90)이 도 8의 (a)와 같이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회전 시 캠(90)의 일단이 연결덕트(60)의 전면에 설치된 스위치(100)를 누르지 않기 때문에 브로워(50)는 스위치(100)의 Off 신호에 의해 작동되지 않는 것이며, 도 8의 (b)와 같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회전시 스위치(100)는 캠(90)에 의해 눌려져 브로워(50)는 스위치(100)의 On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혼합관(12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것이다.
이때, 회전축(70)의 전단에는 조절 손잡이(73)를 결합 구성하여 사용자가 회전축(70)의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캠(90)과 스위치(100) 사이로 상기 캠(10)의 두께보다 넓은 누름판(110)을 더 설치 구성하여 캠(90)이 스위치(100)의 On/Off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회전축(70)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가스조절밸브(20)와 연결덕트(60)와 브로워(50)가 작동되는 것을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을 하게 되면,
먼저, 도 8의 (a)와 같이 캠(90)이 구비된 회전축(70)이 우측 방향으로 회전 된 상태는 도 6의 (a)와 밸브부재의 제1 차단판(71)과 제2 차단판(72)은 연결덕트(60)의 내부를 차단한 상태이고, 도 7의 (a)와 같이 가스조절밸브(20) 내부에 구비된 개폐볼(22)은 밸브홀(22)을 차단한 상태인 혼합관(122)이 구비된 연결덕트(60)로 가스 및 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 손잡이(73)를 손으로 잡고 도 8의 (b)와 같이 회전축(70)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70)에 구비된 캠(90)이 스위치(100)를 가압하여 연결덕트(60)를 작동시켜 상기 연결덕트(6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회전축(70)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도 6의 (b)와 같이 밸브부재의 제1 차단판(71)과 제2 차단판(72)은 상부로 회전됨과 동시에 가스조절밸브(20)의 개폐볼(22)은 밸브홀(21)을 도 7의 (b)와 같이 개방시킨다.
따라서, 혼합관(122)의 내부로 많은 양의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즉, 회전축(70)이 상부로 회전되면, 연결덕트(60)를 차단하는 제1 차단판(71)은 회전축(70)이 회전되는 방향인 상부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덕트(60)의 내부 공간을 완전히 개방과 동시에 제1 차단판(71)과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제2 차단판(72)은 연결덕트(60)의 상부면에 형성된 바이패스홀(63)을 차단시켜 혼합관(122)의 내부로 많은 양의 공기를 연결덕트(60)의 출구(62)를 통해 공급시키는 것이다.
상기 혼합관(122)으로 유입된 많은 양의 공기는 가스조절밸브(20)를 통해 유입된 많은 양의 가스와 혼합된 상태로 버너구(120)로 유입되는 것이며, 상기 버너구(120)로 유입된 가스는 외부로 발산과 동시에 도 1과 같이 점화장치(130)를 작동시켜 버너구(120)에서 발생 된 가스불을 이용하여 증숙렌지 함체(1)에 설치된 솥을 이용하여 면을 삶는 것이다.
그리고 버너구(120)로부터 발생 되는 가스불의 화력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 회전축(70)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7의 (c)와 같이 회전축(70)이 회전된 만큼 제1 차단판(71)이 연결덕트(60) 내부 공간을 차단과 동시에 제2 차단판(72)은 바이패스홀(63)을 개방시켜 연결덕트(60)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브로워(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연결덕트(60)의 내부 공간과 제1 차단판(71) 사이 공간을 통해 출구(62)로 유입되는 것이며, 제1 차단판(71)에 의해 출구(62) 쪽으로 나가지 못한 잉여 공기는 바이패스홀(6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70)에 구비된 제1 차단판(71)과 제2 차단판(72)을 이용하여 연결덕트(60)의 개도량을 조절하면서 브로워(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출구(62) 및 바이패스홀(63)을 통해 외부로 혼합관(122) 또는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브로워(50)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기 브로워(50)가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스조절밸브(20)와 연결덕트(60)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가 구비된 회전축(70)은 도 5와 같이 상기 가스조절밸브(20)와 연결덕트(60)에 동시에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축(70) 회전각도에 따라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조절하여 가스비 절감은 물론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스와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혼합관(122)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워(50)는 도 3과 같이 회전축(70)에 설치된 캠(90)과 그 캠(90)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눌려져 On/Off 신호를 브로워(50)로 보내는 스위치(100)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가스가 공급되지 않을 시에는 자동적으로 브로워(50)를 Off 시키고, 이와 반대로 가스가 공급되는 동안에만 브로워(50)를 작동시켜 상기 브로워(50)가 과 부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증숙렌지 함체, 10: 가스관,
20: 가스조절밸브, 21: 배브홀,
22: 개폐볼, 23: 개폐홀,
24: 작동축, 30: 연결부,
40: 연결관, 50: 브로워,
60: 덕트, 60a: 경사면,
61: 입구, 62: 출구,
63: 바이패스홀, 70: 회전축,
71: 제1 차단판, 72: 제2 차단판,
73: 조절 손잡이, 80: 작동수단,
90: 캠, 100: 스위치,
11: 누름판, 120: 버너구,
121: 공급관, 122: 혼합관,
130: 점화장치,

Claims (3)

  1. 버너구(120)에 연결된 혼합관(122)으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조절밸브(20)가 설치된 가스관(10)과;
    버너구(120)와 연결덕트(60)로 연결되는 브로워(50)와;
    연결덕트(60)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재를 구비하고, 밸브부재와 가스조절밸브(20)의 작동축(24)을 하나의 회전축(70)으로 연결하여 회전축(70) 회전각도에 따라 가스량과 공기량을 비례적으로 동시에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하며,
    연결덕트(60)는, 브로워(50)가 결합 되는 입구(6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혼합관(122)과 연결되는 출구(62)가 형성되며, 입구(61)측 상부에 잉여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바이패스홀(63)이 형성되고,
    제어수단을 이루는 회전축(70)은 연결덕트(60)의 중간 상부를 관통하여 가스조절밸브(20)의 작동축(21)에 연결되며,
    회전축(70)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연결덕트(60)의 내부 공간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1 차단판(71)과, 바이패스홀(63)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2 차단판(72)을 소정 각도로 설치하고,
    회전축(70)의 외주면에는 캠(90)을 설치하며,
    캠(90)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브로워(50)를 On/Off 작동시키는 스위치(100)를 연결덕트(60)의 전면에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40008111U 2014-11-07 2014-11-07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KR200479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11U KR200479764Y1 (ko) 2014-11-07 2014-11-07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11U KR200479764Y1 (ko) 2014-11-07 2014-11-07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764Y1 true KR200479764Y1 (ko) 2016-03-08

Family

ID=5553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111U KR200479764Y1 (ko) 2014-11-07 2014-11-07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7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405A (zh) * 2019-02-22 2019-05-10 广东长青(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与燃气混合燃烧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873A (ja) * 2004-12-24 2006-07-13 Paloma Ind Ltd ガスコンロ
KR100851635B1 (ko) 2007-07-16 2008-08-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기축열식 버너의 3웨이 절환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3873A (ja) * 2004-12-24 2006-07-13 Paloma Ind Ltd ガスコンロ
KR100851635B1 (ko) 2007-07-16 2008-08-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기축열식 버너의 3웨이 절환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405A (zh) * 2019-02-22 2019-05-10 广东长青(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与燃气混合燃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15648B (zh) 一种燃气阀芯及具有该燃气阀芯的燃气阀
WO2014127727A1 (zh) 一种鼓风式全预混集成灶
EP0097198B1 (en) Forced circulation gas oven
CN105650306A (zh) 内环火和外环火同步调节的上插燃气阀
KR20150045795A (ko) 가스오븐
KR200479764Y1 (ko) 면 증숙 렌지용 가스 제어 장치
KR100691563B1 (ko) 음식점용 가스렌지
JP3652641B2 (ja) ガスこんろ
EP3270060B1 (en) Gas burner system for a gas cooking hob
KR101796097B1 (ko) 가스렌지용 전기식 화력조절장치
KR101843403B1 (ko) 가스레인지용 밸브체
CN109357289A (zh) 一种节能炒灶
KR200485868Y1 (ko) 최소화력 조절수단을 갖는 가스 제어 장치
KR101548084B1 (ko) 오븐
KR102150042B1 (ko) 이중 구조의 가스버너
CN106419617A (zh) 一种烤饼机
KR200414662Y1 (ko) 음식점용 가스렌지
CN209147159U (zh) 一种光电式物件位置探测头及其灶具
CN207470823U (zh) 一种旋塞阀
KR102132476B1 (ko) 조리기기
CN211041044U (zh) 中心火单独控制燃气灶
JP3218324U (ja) 複数の排気口を有するプラグ安全弁
TWI495828B (zh) Interchangeable gas furnace and its control method
JP6121813B2 (ja) コンロバーナ
KR101519501B1 (ko) 곤로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