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682Y1 - 액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액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682Y1
KR200479682Y1 KR2020140007473U KR20140007473U KR200479682Y1 KR 200479682 Y1 KR200479682 Y1 KR 200479682Y1 KR 2020140007473 U KR2020140007473 U KR 2020140007473U KR 20140007473 U KR20140007473 U KR 20140007473U KR 200479682 Y1 KR200479682 Y1 KR 200479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upport
frame
guide protrusion
mai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유병
Original Assignee
박유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병 filed Critical 박유병
Priority to KR2020140007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6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8Picture frames adjustabl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액자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체의 일면 상에 대상물과 투명커버가 안치되도록 상기 대상물과 상기 투명커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안치부를 포함하는 전면부와, 상기 조립체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구비되는 후면부 및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서 상기 조립체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세워 거치하도록,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 하방에서 상방으로의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는 메인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일측에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에 의해 좌우의 지지단으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절개부와 접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결합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 되어 유동하되, 상기 결합부에서 좌우 유동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지지단에는 각각 서브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하되 상기 결합부로부터 좌우 유동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상기 서브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액자 조립체의 뒷면에서 액자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상하 거리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액자의 패널에 대한 지지부의 좌우 유동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액자의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자 조립체{Picture frame assembly}
본 고안은 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패널 뒷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상하 거리 조절이 용이하고, 액자의 패널에 대한 지지부의 좌우 유동을 통한 이탈을 방지해주는 액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사진, 그림, 인쇄물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여 벽에 걸어 전시하는 벽걸이형과, 탁상 위에 거치시켜 전시하는 스탠드형, 그리고 벽걸이형과 스탠드형이 모두 가능한 복합형 등이 있다. 이 가운데 스탠드형과, 복합형에서와 같이 액자를 탁상 위에 거치시키는 경우 액자의 패널 후면에서 지지부가 일정 각도로 벌어져 액자의 패널을 지지함으로써, 액자가 중심을 잃고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된 구조로 거치되어진다.
이러한 액자는 액자 패널의 전면에 수납되는 내용물이 사용자의 취향, 시야각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른 적절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위치 조절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액자 패널의 후면에서 유동이 가능한 고안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액자의 패널에 하중이 무거운 재질(예: 돌, 석고, 금속 등)이 포함되는 경우 액자 패널의 후면에서 액자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무리가 가게 된다. 이 때문에, 지지부는 액자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쉽게 이탈이 발생되고 균형을 잃은 액자가 쓰러져 파손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액자의 위치 조절을 위해 액자 패널의 후면에서 지지대를 단순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시키는 고안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고안에서, 액자가 기울기를 가지도록 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할 경우 지지부가 지지부의 후면 패널에서 쉽게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단순 슬라이딩 방식이 적용된 액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자 패널이 하중이 무거운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지지부의 액자 패널의 후면에서의 이탈은 더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상물을 수납하기 위한 액자조립체는 액자패널과 지지부간의 온전한 지지 및 고정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13774호
본 고안은, 액자의 패널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상하 거리 조절이 용이하고, 액자의 패널에 대한 지지부의 좌우 유동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해주는 액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지부의 일끝단부에 마디들로 이루어진 절첩식 받침대를 구비하여 액자의 흔들림과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액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액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일면 상에 대상물과 투명커버가 안치되도록 상기 대상물과 상기 투명커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안치부를 포함하는 전면부와, 상기 조립체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구비되는 후면부 및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서 상기 조립체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세워 거치하도록,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 하방에서 상방으로의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 사이에는 메인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일측에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에 의해 좌우의 지지단으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절개부와 접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결합부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 되어 유동하되, 상기 결합부에서 좌우 유동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지지단에는 각각 서브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에는 상기 지지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하되 상기 결합부로부터 좌우 유동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상기 서브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와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슬릿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면부 방향을 향하는 내측면에 요철형태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의 양측에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과 회전 방식 및 슬라이딩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부는, 상기 조립체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관통하여, 상기 타면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형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 조립체는, 액자 패널의 뒷면에서 액자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상하 거리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액자의 패널에 대한 지지부의 좌우 유동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액자의 패널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자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구성들 중 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구성들 중 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구성들 중 전면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구성들 중 후면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구성들 중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구성들 중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의 구성들 결합부와 지지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전측이 도시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후측이 도시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전면부(110)가 도시된 것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후면부(120)가 도시도시된 것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전면부(110)가 세부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후면부(120)가 세부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도 7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지지부(130)의 전측이 도시된 것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구성들 중 지지부(130)의 후측이 도시된 것이며, 도 9는 도 1에 따른 액자 조립체(100)의 구성들 결합부(121)와 지지부(130)가 체결되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상기 액자 조립체(10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110)는 안치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120)는 결합부(121)와,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안치부(111)는 상기 조립체(100)의 일면 상에 대상물과 투명커버(미도시)가 안치되도록 상기 대상물과 상기 투명커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립체(100)의 형상을 직육면체로 가정하여 설명하면, 상기 대상물은 상기 전면부(110)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상기 안치부(111)는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는 상기 전면부(110)의 중앙부보다 소정 두께로 단차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부(110)의 중앙부로 상기 대상물이 위치시, 상기 안치부(111)는 상기 대상물의 외측을 둘러쌈으로써 상기 대상물과 상기 대상물의 상부로 상기 투명커버를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투명커버는 상기 안치부(111)에 삽입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안치부(111)의 대향면으로 덮혀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투명커버와 상기 안치부(111)의 결합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투명커버와 상기 안치부(111) 사이에는 상기 대상물이 위치되는데, 상기 투명커버는 상기 대상물이 명확히 식별될 수 있도록 적절한 투명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121)는 상기 조립체(100)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조립체(100)의 타면으로 소정 두께로 돌출되어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결합부(121) 사이에는 메인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1)에서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122)와 대향하는 면은 개구되어 슬릿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조립체(100)의 타면에서 상기 조립체(100)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121)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일단에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1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절개부(131)에 의해 좌우의 지지단으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122)는, 상기 절개부(131)를 가이드 하도록 접하여, 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결합부(12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 되어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결합부(121)에서 좌우 유동으로 인하여 상기 결합부(1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단에는 각각 서브 가이드 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20)에는 상기 지지부(1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하되 상기 결합부(121)로부터 좌우 유동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상기 서브 가이드 돌기(132)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123)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가이드 돌기(132)는 상기 지지단의 길이방향 직경이하 또는 상기 지지부(130)의 길이방향 직경 이하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가이드 돌기(132)는 한 개로 형성하거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형태로 상기 지지부(130)의 길이방향 내에서 소정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 홈(123)도 상기 후면부(120)에서 상기 서브 가이드 홈(12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서브 가이드 돌기(132)를 수용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121)는, 상기 전면부(110) 방향을 향하는 내측면에 요철형태의 요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13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가 상기 요홈과 회전 방식 및 슬라이딩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조립체(100)를 지지하기 위하여 교호적으로 단차지는 요철형태의 상기 요홈에 끼움결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조립체(10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후면부(120)를 관통하여, 중공형으로 상기 타면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 조립체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230)의 타단에는, 3단 이상으로 접철되어 후면부(220)를 세워 지지하도록, 상호간에 회동 결합되는 복수의 마디(235,236,2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220)와 마주하는 지지부(230)의 일면을 향하여 접하도록 상기 마디부들이 절첩됨으로써 받침대가 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230)가 상기 조립체(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210 : 전면부 111 : 안치부
120, 220 : 후면부 121, 221 : 결합부
122 : 메인 가이드 돌기 123 : 가이드 홈
130, 230 : 지지부 131, 231 : 절개부
132, 232 : 서브 가이드 돌기 133, 233 : 걸림 돌기
140, 240 : 고정부

Claims (6)

  1.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액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일면 상에 대상물과 투명커버가 안치되도록 상기 대상물과 상기 투명커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안치부(111)를 포함하는 전면부(110);
    상기 조립체의 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121)가 구비되는 후면부(120); 및
    상기 조립체의 타면에서 상기 조립체를 소정의 위치 및 각도로 세워 거치하기위해, 상기 조립체의 타면 하방에서 상방으로의 회동하도록 상기 결합부(121)에 결합되는 지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부(121) 사이에는 메인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30)는 일측에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1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소정 길이 절개된 절개부(131)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131)에 의해 좌우의 지지단으로 각각 구획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122)는, 상기 절개부(131)와 접하고 상기 지지부(130)가 상기 결합부(121)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이드 되어 유동하되, 상기 결합부(121)에서 좌우 유동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가이드 하며,
    상기 지지단에는 각각 서브 가이드 돌기(132)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120)에는 상기 지지부(13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하되 상기 결합부(121)로부터 좌우 유동되는 것은 방지하도록, 상기 서브 가이드 돌기(132)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1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1)는 상기 메인 가이드 돌기(122)와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슬릿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1)는, 상기 전면부(110) 방향을 향하는 내측면에 요철형태의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일단의 양측에 걸림 돌기(133)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과 회전 방식 및 슬라이딩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유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120)는,
    상기 조립체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면부(110)와 상기 후면부(120)를 관통하여, 상기 타면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중공형의 고정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의 타단에는,
    상호간에 회동 결합되고, 상기 후면부(120)와 마주하는 지지부(130)의 일면을 향해 말아지도록 3단 이상으로 상호 접철되는 복수의 마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조립체.
KR2020140007473U 2014-10-15 2014-10-15 액자 조립체 KR200479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73U KR200479682Y1 (ko) 2014-10-15 2014-10-15 액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73U KR200479682Y1 (ko) 2014-10-15 2014-10-15 액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682Y1 true KR200479682Y1 (ko) 2016-03-07

Family

ID=5553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73U KR200479682Y1 (ko) 2014-10-15 2014-10-15 액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6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876A (ko) * 2019-04-19 2020-10-2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78Y1 (ko) 2004-11-16 200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폰의 개방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478Y1 (ko) 2004-11-16 200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폰의 개방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876A (ko) * 2019-04-19 2020-10-2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KR102579160B1 (ko) * 2019-04-19 2023-09-1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6504A1 (en) Picture frame having an inner frame movably received in an outer frame for exhibiting a planar drawing or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8020330B2 (en) Accessory for a display screen
WO2017196399A1 (en) Hologram pyramid
JP2008538946A (ja) 製品の保管および/または展示を行うガラス製のショーケース
KR200479682Y1 (ko) 액자 조립체
KR200440732Y1 (ko) 슬라이드 액자
JP2009122275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20190072059A (ko) 전도 및 낙하 방지용 패널을 갖는 서가
KR200478172Y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받침대
JP5294189B2 (ja) 収納装置、ヒンジ装置、及びカバー体
KR200475280Y1 (ko) 슬라이딩 결합식 백보드를 갖는 장식용 액자
JP5394159B2 (ja) 額縁
JP2005035163A (ja) 黒板装置
JP4234073B2 (ja) 額縁
JP6926612B2 (ja) 電子機器の支持機構
KR200442703Y1 (ko) 액자
JP2016109715A (ja) 携帯端末用観察部材
JP3208188U (ja) 収容式遮蔽体
JP6627119B2 (ja) 什器
JP7281338B2 (ja) 戸体の開口部周りの構造
KR200259038Y1 (ko) 거울이 부설된 액자
KR100978919B1 (ko) 액자
USD857254S1 (en) Light bar accessory for graphic, video, and projection displays
US965377A (en) Knockdown adjustable picture-frame.
JP2010136312A (ja) 携帯電話機用拡大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