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2876A - 통신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2876A
KR20200122876A KR1020190046250A KR20190046250A KR20200122876A KR 20200122876 A KR20200122876 A KR 20200122876A KR 1020190046250 A KR1020190046250 A KR 1020190046250A KR 20190046250 A KR20190046250 A KR 20190046250A KR 20200122876 A KR20200122876 A KR 20200122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protrusion
terminal body
rear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160B1 (ko
Inventor
안상문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16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 조절을 위해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전방벽 및 후방벽을 가지며, 상기 후방벽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가 복수의 경사각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지지되도록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후방벽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부 내에 구비되는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리세스부 내의 구비되는 돌기와의 이중 걸림 결합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Description

통신용 단말기{COMMUNICATION TERMINAL}
본 개시는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예들 들어, 책상 등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용 단말기로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스탠드형 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스탠드형 전화기는 각종 버튼, 디스플레이 등을 전면에 구비하는 단말기 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탠드형 전화기는 단말기 본체를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스탠드형 전화기의 일 예로서, 단말기 본체에 스탠드가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탠드형 전화기의 경우,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 조절을 위해서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시킨 스탠드를 분리해야 하고, 분리된 스탠드를 단말기 본체의 후면의 다른 위치에 재결합시켜야 하므로,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 조절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탠드를 단말기 본체에 대해 분리 및 재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구조적으로 취약한 스탠드의 결합 부분(예컨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돌출된 부분)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 본체가 스탠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한다. 또한,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있어서, 스탠드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위치마다 스탠드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해야 하므로, 단말기 본체의 후면 구조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스탠드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착탈되는 구조의 통신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다양한 각도로 변경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기 어렵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 조절을 위해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의 스탠드를 포함하는 통신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는 전방벽 및 후방벽을 가지며, 상기 후방벽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가 복수의 경사각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지지되도록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후방벽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스탠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탠드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부 내에 구비되는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리세스부 내의 구비되는 돌기와의 이중 걸림 결합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리세스부 내의 바닥벽을 관통하여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후방벽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바닥벽의 외면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하는 복수의 받침 돌기;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사이의 상기 바닥벽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방벽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눌림에 의해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 변형편; 및 상기 복수의 탄성 변형편 각각의 자유단부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걸림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판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바닥벽에 맞대어지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과, 상기 바닥벽에 대향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대향면에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눌림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위치 고정편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의 절곡부는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될 때 상기 복수의 걸림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기 후방벽에는 상기 후방벽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리세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탠드에는 상기 한 쌍의 리세스부의 각각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돌기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스탠드의 폭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돌기부의 연장 길이보다 큰 폭을 갖는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연장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과 상기 위치 고정편은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스탠드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지지부의 타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대향면보다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후방벽의 길이방향 중 상방에서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상기 복수의 걸림 돌기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스탠드의 상기 절곡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변형편의 각각은 상기 바닥벽에 연결되는 고정단부가 상기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자유단부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용 단말기를 사용하면서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을 때, 스탠드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스탠드가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드럽게 이동되므로, 스탠드의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부분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단말기 본체에 대한 스탠드의 위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가 단말기 본체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의 탄성 변형되는 부분에 의해 걸림 결합되어 위치 고정되므로, 단말기 본체가 스탠드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져 지지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용 단말기를 도 1에서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의 후방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변형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탠드를 도 5에서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와 스탠드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된 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와 스탠드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기울기 변경된 통신용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용 단말기(1000)를 도 1에서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통신용 단말기(1000)는 스탠드형 전화기로 참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용 단말기(1000)는 단말기 본체(100)와, 단말기 본체(100)를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스탠드(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 본체(100)는 스탠드(200)에 의해 다양한 기울기로 기울어져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용 단말기(1000)가 거치되는 설치면(10)에 대하여, 단말기 본체(100)는 스탠드(200)에 의해 복수의 경사각(θ1, θ2, θ3)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지지될 수 있다(도 11 참조).
단말기 본체(100)는 각종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중공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단말기 본체(100)는,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단말기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블록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단말기 본체(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말기 본체(100)는 전방벽(110) 및 전방벽(110)에 대향하는 후방벽(120)을 포함한다. 설치면(10)에 거치된 통신용 단말기(1000)를 볼 때, 전방벽(110)은 수직인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상방(D1 방향)을 향하고, 후방벽(120)은 수직인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하방(D2 방향)을 향한다.
단말기 본체(100)는 전화번호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는 각종 버튼(111)과, 송수신되는 전화번호, 날짜 및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2)를 전방벽(110)에 구비한다. 또한, 단말기 본체(100)는 송수화기 거치부(113)를 각종 버튼(111)과 디스플레이(112) 일측의 전방벽(110)에 구비하여 송수화기(미도시)를 거치시킬 수 있다. 송수화기는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단말기 본체(100)와 신호 전송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는 스탠드 결합을 위한 홈 또는 이를 포함하는 홈 구조로서, 후방벽(120)에 리세스부(130)를 구비한다.
단말기 본체(100)의 후방벽(120)을 바라볼 때, 리세스부(130)는 후방벽(120)의 길이방향(D1-D2 방향)으로의 길이가 후방벽(120)의 폭방향(D3-D4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직사각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D1"은 설치면(10)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측 방향을 가리키고, "D2"는 설치면(10)에 대하여 기울어진 하측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단말기 본체(100)의 후방벽(120)을 바라볼 때, "D3"은 좌측 방향을 가리키고, "D4"는 우측 방향을 가리킨다. 단말기 본체(100)에 스탠드(200)를 결합시킬 때, 스탠드(200)는 리세스부(130)에 일 부분이 삽입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본체(100)의 기울기를 변경시킬 때, 스탠드(200)는 단말기 본체(100)의 리세스부(130)에 결합된 상태로 후방벽(120)의 길이방향(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이동된 스탠드(200)는 리세스부(130)에 구비되는 돌기 또는 이를 포함하는 돌기 구조에 의해 걸림 결합되어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100)의 후방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탄성 변형편(13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100)의 후방벽(120)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리세스부(130)는 내측에 바닥벽(130b)과, 바닥벽(130b)을 에워싸는 복수의 측벽(130s)을 포함한다. 바닥벽(130b)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리세스부(130) 바깥의 후방벽(120)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30)는, 스탠드(200)가 단말기 본체(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00)의 후방벽(120)에 한 쌍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리세스부(130)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리세스부(130)는, 스탠드(200)의 후방벽(120)의 길이방향(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방벽(120)의 폭방향(D3-D4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리세스부(130)에는, 가이드 홈(131), 복수의 받침 돌기(132),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 및 복수의 걸림 돌기(134)가 구비된다.
가이드 홈(131)은, 스탠드(200)의 결합 및 스탠드(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형성된 홈으로서, 리세스부(130) 내의 바닥벽(130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방벽(120)의 길이방향(D1-D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홈(131)은 스탠드(200)의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131)의 하방(D2 방향)으로의 일부분이 확장된 개구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 홈부(131a)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 홈(131)은 제1 홈부(131a)로부터 상방(D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홈부(131b)를 포함한다. 제2 홈부(131b)는 1 홈부(131a)의 폭(W1)에 비해 작은 폭(W2)을 가진다. 스탠드(200)는 제1 홈부(131a)를 통해 리세스부(130)에 일부분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스탠드(20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홈부(131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받침 돌기(132)는 스탠드(200)의 위치 고정을 위한 홈으로서, 스탠드(200)와의 걸림 결합에 의해 스탠드(200)를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받침 돌기(132)는 가이드 홈(131)으로부터 후방벽(120)의 폭방향(D3 방향 또는 D4 방향)으로 이격된 바닥벽(130b)의 외면(단말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표면)에 돌출 형성되며, 후방벽(120)의 길이방향(D1-D2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받침 돌기(132)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A1)은 가이드 홈(13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A0)과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 돌기(132)는 폭방향(D3-D4 방향)으로 분할되는 형상을 갖지만, 받침 돌기(13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 각각은 스탠드(20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눌림(도 4에서, 도면부호 "F")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부분이다.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은 가이드 홈(131)과 복수의 받침 돌기(132) 사이의 바닥벽(130b)에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은 후방벽(120)의 길이방향(D1-D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A2)은 전술한 받침 돌기(132)에 대한 가상선(A1)과 가이드 홈(131)에 대한 가상선(A0) 사이에서 평행하게 위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 각각은 리세스부(130) 내의 바닥벽(130b)의 일부가 U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편(133)은 바닥벽(130b)에 연결된 고정단부(133a) 및 고정단부(133a)로부터 연장되는 자유단부(133b)를 포함한다.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의 각각은 가상선(A2) 상에서 고정단부(133a)가 자유단부(133b)보다 상방(D1)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탄성 변형편(133)에 누름(F)이 가해지면, 고정단부(133a)를 기준으로 자유단부(133b)는 눌리는 방향(단말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단말기 본체의 전방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고, 누름(F)을 해제하면 탄성 변형편(1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유단부(133b)는 휘어지기 전의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복수의 걸림 돌기(134) 각각은 복수의 탄성 변형편(133) 각각의 자유단부(133b)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복수의 탄성 변형편마다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134)는 단말기 본체(100)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단말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스탠드(200)는 받침 돌기(132)와 걸림 돌기(134)에 의해 설정된 해당 위치에서 위치 고정된다. 즉, 스탠드(200)는 받침 돌기(132)에 의해 지지되어 하방(D2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걸림 돌기(134)에 걸림되어 상방(D1 방향)으로의 이동 및 바닥벽(130b)으로부터의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회전(또는 틸팅)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받침 돌기(132) 중 어느 하나와 이에 대응하도록 상방(D1 방향)에 인접하여 위치(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복수의 걸림 돌기(134)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거리(L1, L2)는 모두 일정하게 형성된다. 받침 돌기(132)와 이에 대응되는 걸림 돌기(134) 사이의 거리(L1, L2)에 해당되는 구간은,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스탠드(200)가 위치 고정되는 구간으로 참조될 수 있다.
스탠드(200)를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상방(D1 방향)으로 최대한 슬라이딩 이동시킨 경우, 리세스부(130)의 복수의 측벽(130s) 중 상부 측벽(130s')은 스탠드(200)의 위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134)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측벽(130s')과 상부 측벽(130s')의 하방(D2 방향)에 인접한 받침 돌기(132) 사이의 거리(L3)는 상기 거리(L1, L2)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한 단말기 본체(100)에서는 스탠드(200)가 3개의 구간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본체(100)는 3개의 경사각(θ1, θ2, θ3)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1000)의 경우, 스탠드(200)를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서고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및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여, 4단 이상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의 변경이 용이하다.
일 실시예의 단말기 본체(10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가공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탄성 변형편(133)이 형성되는 후방벽(120)을 포함하는 부분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의 후방벽(120)에는, 한 쌍의 리세스부(130) 각각의 하방(D2 방향)에 위치되는 한 쌍의 미끄럼 방지 돌기(140)가 돌출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 돌기(140)는 마찰력이 큰 표면을 가지고 있어, 통신용 단말기(1000)가 설치면(10)에서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2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탠드(200)를 도 5에서와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탠드(200)는 단말기 본체(100)의 리세스부(130)에 결합되는 결합부(210) 및 결합부(21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판 형상의 지지부(240)를 포함한다. 스탠드(200)는, 단말기 본체(100)에 형성된 한 쌍의 리세스부(130)에 대응하여 한 쌍의 결합부(210)를 포함한다.
스탠드(200)에 있어서, 가이드편(220)은 스탠드(200)를 단말기 본체(10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부분으로서, 가이드편(220)과 위치 고정편(230)을 포함한다.
가이드편(220)은 스탠드(200)가 단말기 본체(100)에 결합될 때 리세스부(130)의 바닥벽(130b)에 맞대어지는 접촉면(221)을 가진다. 또한, 가이드편(220)에 있어서, 접촉면(221)에는 가이드 홈(1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222)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22)는 후크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가이드 돌기(222)는 접촉면(221)으로부터 스탠드(200)의 길이방향(D5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돌기부(222a)와, 제1 돌기부(222a)의 일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 돌기부(222b)를 포함한다. 제2 돌기부(222b)는 스탠드(200)의 폭방향(D7-D8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결합부(210)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한 쌍의 결합부(210)에 각각 구비되는 제2 돌기부(222b)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22)에 있어서의 제1 돌기부(222a)는, 스탠드(200)가 단말기 본체(100)에 끼움 결합될 때 가이드편(220)의 접촉면(221)이 단말기 본체(100)의 바닥벽(130b)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바닥벽(130b)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공차 범위에서 바닥벽(130b)의 두께보다 큰 길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222)에 있어서의 제2 돌기부(222b)는, 가이드 돌기(222)가 가이드 홈(131)의 제1 홈부(131a)를 통해서는 끼움 결합이 가능하지만, 제2 홈부(131b)를 통해서는 끼움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길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돌기부(222b)는 가이드 홈(131)에 있어서의 제1 홈부(131a)의 폭(W1)보다는 작고, 제2 홈부(131b)의 폭(W2)보다는 큰 길이(H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고정편(230)은,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스탠드(200)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서, 예컨대 외팔보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눌림(도 6에서, D6 방향으로의 눌림)에 의해 지지부(240)에 대하여 휘어지고 눌림이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위치 고정편(230)은, 스탠드(200)가 단말기 본체(100)에 결합될 때 리세스부(130)의 바닥벽(130b)에 대향되는 대향면(231)을 가지며, 대향면(231)에는 복수의 받침 돌기(132)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 돌기(232)가 돌출 형성된다.
결합부(210)의 가이드편(220)과 위치 고정편(230)은 지지부(240)의 일 단부(예컨대, 상단부)에서 스탠드(200)의 폭방향(D7-D8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240)의 길이방향(D5-D6 방향)에 있어서의 지지부(240)의 타 단부(예컨대, 하단부)를 기준으로 가이드편(220)의 접촉면(221)은 위치 고정편(230)의 대향면(231)보다 더 멀리 배치된다. 즉, 위치 고정편(230)의 대향면(231)은 가이드편(220)의 접촉면(221)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접촉면(221)의 하방(D6 방향)에 위치된다.
위치 고정편(230)의 대향면(231)에서 돌출하는 고정돌기(232)는, 가이드편(220)의 접촉면(221)이 리세스부(130) 내의 바닥벽(130b)에 접촉될 때(즉, 스탠드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될 때), 바닥벽(130b)에서 돌출된 받침 돌기(132)와의 걸림이 발생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단말기(1000)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100)에 스탠드(200)가 결합되는 구조 및 단말기 본체(1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스탠드(200)가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위치 고정되는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100)와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스탠드(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100)와 스탠드(200)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탠드(200)는 한 쌍의 결합부(210)가 단말기 본체(100)의 후방벽(120)에 형성된 한 쌍의 리세스부(13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스탠드(200)의 가이드편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222)가 리세스부(130)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222)는 가이드 홈(131) 중 제1 홈부(131a)를 통해 끼움 결합된다. 단말기 본체(100)에 스탠드(20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스탠드(200)에 있어서의 결합부(210)의 접촉면(221)은 리세스부(130)의 바닥벽(130b)[바닥벽의 외면(130b')]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위치 고정편(230)의 대향면(231)은 바닥벽(130b)[바닥벽의 외면(130b')]과 대향되고 바닥벽(130b)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단말기 본체(100)에 대한 스탠드(200)의 끼움 결합 후, 스탠드(200)를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상방(D1 방향)으로 밀어 올려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가이드 돌기(222)의 제2 돌기부(222b)가 가이드 홈(131)의 제2 홈부(131b)에 위치되어 끼움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스탠드(200)를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상방(D1 방향)으로 더 밀어 올려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복수의 받침 돌기(132) 중 최하방에 위치되는 받침 돌기(도 8에서 도면부호 132'로 표시함)에 의해 스탠드(200)의 위치 고정편(230)이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위치 고정편(230)의 탄성 변형(도 8에서, 도면부호 "ED"로 표시함)에 의해 고정 돌기(232)가 받침 돌기(132')를 타고 넘어 받침 돌기(132')의 상방(D1 방향)에 위치되면 스탠드(200)가 받침 돌기(132')에 의해 받쳐지게 되어 하방(D2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걸림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받침 돌기(132')에 위치 고정편(230)의 고정 돌기(232)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스탠드(200)에 있어서의 가이드편(220)의 절곡부(223)는 리세스부(130)의 탄성 변형편(133)에서 돌출하는 걸림 돌기(134)에 걸림 결합된다. 스탠드(200)의 2군데의 부분(고정 돌기 및 절곡부)이 받침 돌기(132)와 걸림 돌기(134)에 동시에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받침 돌기(132) 중 어느 하나 및 이에 대응하여 후방벽(120)의 길이방향(D1-D2 방향) 중 상방(D1 방향)에서 복수의 받침 돌기(132)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복수의 걸림 돌기(134)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거리(L1, L2)는, 스탠드(200)에 있어서의 고정 돌기(232)와 가이드편(220)의 절곡부(223) 사이의 거리(L4)(도 6 참조)와 동일하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100)와 단말기 본체(100)에 결합된 스탠드(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본체(100)와 스탠드(200)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에 스탠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탠드(200)를 상방(D1 방향)으로 밀어 올려 스탠드(200)의 고정 위치를 변경시켜 스탠드(200)에 의해 지지되는 단말기 본체(1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스탠드(200)를 상방(D1)으로 밀어 올려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서, 리세스부(130) 내의 탄성 변형편(133)을 눌러(도 9에서, 도면부호 "F"로 표시) 가이드편(220)의 절곡부(223)와 단말기 본체(100)의 걸림 돌기(134)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탠드(200)를 상방(D1 방향)으로 밀어 올려(도 9에서, 도면부호 "M"으로 표시), 최하단의 받침 돌기(132')에서 위치(예컨대, 1단 위치) 고정된 스탠드(200)를 최하단의 받침 돌기(132') 바로 위의 받침 돌기에 걸리도록 하여 변경된 위치(예컨대, 2단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2단 위치에 고정 시, 스탠드(200)에 있어서의 가이드편(220)의 절곡부(223)는 걸림 돌기(134)에 동시에 걸림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의 스탠드(200)는 단말기 본체(100)에 복수의 걸림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므로, 단말기 본체(100)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의 기울기 조절을 위해 스탠드(200)를 하방(D2 방향)으로 밀어 내리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편(133)의 걸림 돌기(134)와 스탠드(200)의 결합부(210)와의 걸림이 발생된 경우에는, 탄성 변형편(133)을 눌러 걸림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스탠드(200)를 하방(D2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기울기 변경된 통신용 단말기(1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시시예의 단말기 본체(100)는 스탠드(200)에 의해 3개의 경사각(θ1, θ2, θ3)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지지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0)의 설치면(10)에 대한 기울어진 각도, 즉 경사각을 작게 하기 위해서, 단말기 본체(100)의 리세스부(130)에 결합된 스탠드(200)를 상방(D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각도 조절 전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용 단말기(1000)의 사용자는, 통신용 단말기(1000)의 전방벽(110)에 구비되는 각종 버튼(111)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12)에 표시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00)의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1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스탠드(200)를 단말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킬 필요 없이 단말기 본체(100)의 후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탠드(200)의 단말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부분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단말기 본체, 130: 리세스부, 131: 가이드 홈, 132: 받침 돌기, 133: 탄성 변형편, 134: 걸림 돌기, 140: 미끄럼 방지 돌기, 200: 스탠드, 210: 결합부, 220: 가이드편, 222: 가이드 돌기, 230: 위치 고정편, 232: 고정 돌기, 240: 지지부, 1000: 통신용 단말기

Claims (10)

  1. 전방벽 및 후방벽을 가지며, 상기 후방벽에 리세스부가 형성된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가 복수의 경사각 중 어느 하나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지지되도록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후방벽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부 내에 구비되는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리세스부 내의 구비되는 돌기와의 이중 걸림 결합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통신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에는
    상기 리세스부 내의 바닥벽을 관통하여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후방벽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바닥벽의 외면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하는 복수의 받침 돌기;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사이의 상기 바닥벽에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전방벽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눌림에 의해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벽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 변형편; 및
    상기 복수의 탄성 변형편 각각의 자유단부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걸림 돌기가 구비되는, 통신용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하는 판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통신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바닥벽에 맞대어지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된 가이드편과,
    상기 바닥벽에 대향되는 대향면을 가지며, 상기 대향면에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되는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눌림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위치 고정편이 구비되는, 통신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의 절곡부는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될 때 상기 복수의 걸림 돌기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결합되는, 통신용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기 후방벽에는 상기 후방벽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리세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스탠드에는 상기 한 쌍의 리세스부의 각각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는, 통신용 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부 및 상기 제1 돌기부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스탠드의 폭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돌기부의 연장 길이보다 큰 폭을 갖는 제1 홈부 및 상기 제1 홈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2 돌기부의 연장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통신용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과 상기 위치 고정편은 상기 지지부의 일 단부에서 상기 스탠드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상기 지지부의 타 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면은 상기 대향면보다 더 멀리 배치되는, 통신용 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후방벽의 길이방향 중 상방에서 상기 복수의 받침 돌기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상기 복수의 걸림 돌기 중 어느 하나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스탠드의 상기 절곡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통신용 단말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 변형편의 각각은 상기 바닥벽에 연결되는 고정단부가 상기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자유단부보다 상방에 위치되는 U자 형상을 갖는, 통신용 단말기.
KR1020190046250A 2019-04-19 2019-04-19 통신용 단말기 KR102579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50A KR102579160B1 (ko) 2019-04-19 2019-04-19 통신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250A KR102579160B1 (ko) 2019-04-19 2019-04-19 통신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876A true KR20200122876A (ko) 2020-10-28
KR102579160B1 KR102579160B1 (ko) 2023-09-18

Family

ID=7301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250A KR102579160B1 (ko) 2019-04-19 2019-04-19 통신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1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699A (ko) * 2003-11-19 2005-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90038069A (ko) * 2007-10-15 2009-04-20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KR20090048891A (ko) * 2007-11-12 2009-05-15 엘지노텔 주식회사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KR20150002565U (ko) * 2013-12-23 2015-07-01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KR200479682Y1 (ko) * 2014-10-15 2016-03-07 박유병 액자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699A (ko) * 2003-11-19 2005-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 개폐각도 조절장치
KR20090038069A (ko) * 2007-10-15 2009-04-20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KR20090048891A (ko) * 2007-11-12 2009-05-15 엘지노텔 주식회사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KR20150002565U (ko) * 2013-12-23 2015-07-01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KR200479682Y1 (ko) * 2014-10-15 2016-03-07 박유병 액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160B1 (ko) 202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6164B1 (en) Mounting bracket having a tapered plunger latch
JP5473664B2 (ja) スタンド装置及び該スタンド装置を用いる携帯式電子装置
KR101442622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EP1515525B1 (en) Slide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535920A (zh) 用于将附件附接到电子装置的方法和结构
JP2011139017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101998437B1 (ko) 통신용 단말기
JP2005167488A (ja)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JP6561527B2 (ja) 電子機器の支持構造
US7751555B2 (en) Angle variable mechanism and desktop apparatus
KR101850150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5363415B2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20200093015A (ko) 이동 단말기
KR20110079558A (ko) 슬라이드형 전자장치
KR20200061315A (ko) 보조판을 구비한 거치대
KR20200122876A (ko) 통신용 단말기
US6386502B1 (en) Angle-adjusting and wall mounting mechanism for desk top
JP2008277925A (ja) 角度可変機構および電子機器
CN217445387U (zh) 一种电子设备
KR20070056782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US11546455B2 (en) Casing angle adjustment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20080188113A1 (en) Two Position Latch Assembly
KR20190099549A (ko) 스마트폰 거치대
JP2006020245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922260B1 (ko)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