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8891A -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8891A
KR20090048891A KR1020070114981A KR20070114981A KR20090048891A KR 20090048891 A KR20090048891 A KR 20090048891A KR 1020070114981 A KR1020070114981 A KR 1020070114981A KR 20070114981 A KR20070114981 A KR 20070114981A KR 20090048891 A KR20090048891 A KR 20090048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erminal
terminal housing
rear surf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2260B1 (ko
Inventor
강동완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2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단의 각도가 조정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과 후면을 갖는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대가 제1 지지자세 또는 상기 제1지지자세로부터 180° 회전한 제2 지지자세에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단말기 하우징, 지지대, 리브, 개구부, 걸림 홈, 걸림 턱

Description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Inclined Angles}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 또는 키폰 등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경사 각도가 2단으로 조정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전화기 또는 키폰 등과 같은 통신 장치의 단말기에는 통화 상태 또는 기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예로써, LCD 패널)이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표시패널이 단말기 하우징의 전면에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을 경우, 표시패널의 뷰 각도가 사용자 방향으로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표시패널의 내용을 확인하기가 불편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6에 도시한 것처럼, 표시 패널만을 단말기 하우징의 전면 판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틸팅(Tilting) 구조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각도 조절을 위해 통상적으로 5 내지 6개 이상의 부품이 사용되어, 부품수가 증가하고 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 수 증가에 따른 복잡성 때문에 제품 동작의 신뢰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질적으로 사용자 는 처음 통신 단말기를 설치하여 단말기 하우징의 경사 각도를 조정한 후에는 사용 중에 이러한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신뢰성 있게 2단의 경사 각도가 제공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전면과 후면을 갖는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대가 제1 지지자세 또는 상기 제1지지자세로부터 180° 회전한 제2 지지자세에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의 결합부와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은 안내 개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어 안내 개구부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동일한 걸림 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하우 징의 후면이 걸림 턱을 포함하여, 걸림 홈이 걸림 턱에 맞물려서 결합부가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 더욱 확실히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리브가 연장되어 배열되어서, 상기 지지대의 결합부가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때 상기 리브를 따라 지지대의 고정부의 결합 방향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지지대에 의해 신뢰성 있게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지지부의 단부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형상의 단일 또는 최소화된 개수의 부품인 지지대를 통해 단말기가 2 단의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형상의 단일 부품을 제조후면 되므로, 제품의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단말기가 복잡한 여러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 부품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므로, 단말기의 지지대에 의한 지지 상태가 더욱 신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단말기는 전면(10)과 후면(20)을 갖는 단말기 하우징(2)과, 이 단말기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를 구비한다. 단말기 하우징(2)은 예를 들면, 일반적인 전화기 또는 키폰용 하우징으로서, 단말기 하우징의 전면(10)에는 통화 상태 또는 기타 정보의 표시를 위한 표시 패널과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이 배치되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지지대(3)가 설치되어 단말기 하우징(2)이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3)의 사시도이다. 지지대(3)는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에 설치된다. 지지대(3)는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일 단부에서 절곡하여 연장하는 지지부(32)로 구성된다. 결합부(31)는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에 고정되는 고정부(33)를 포함한다. 도1 및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대(3)는 고정부(33)에 의해 제1 지지자세 또는 상기 제1 지지자세로부터 180° 회전한 제2 지지자세로 단말기 하우징(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에 고정된다. 즉, 도1은 단말기 하우징(2)이 제1 지지자세로 지지대(3)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도시하며, 도4는 단말기 하우징(2)이 제1 지지자세로부터 180° 회전한 제2 지지자세로 지지대(3)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 때, 지지대(3)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일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지지부(32)로 구성되기 때문에, 결합부(31)가 상기 두 자세 중 어느 자세로 결합되느냐에 따라 단말기와 단말기가 설치되는 바닥이 이루는 경사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즉, 단말기가 2단의 경사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와 단말기가 설치되는 바닥의 2단의 경사 각도는 결합부(31)의 길이 및 결합부(31)와 지지부(32)가 이루는 경사 각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설계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지지대(32)를 설 계하여 2단의 경사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단말기와 단말기가 설치되는 바닥의 경사도는 35도 및 55도이다. 고정부(33)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크(Hook) 타입 또는 슬라이딩(Sliding) 타입 등일 수 있다.
도2를 다시 참조하면, 결합부(31)는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결합부(31)를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3)를 갖는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부(33)는 결합부(31)의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돌출부일 수 있다.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은 안내 개구부(22)를 포함하며, 안내 개구부(22)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조이어서, 돌출부가 이러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안내 개구부(22)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결합 구조에서 고정부(33)는 보다 확실하게 결합부(31)를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에 고정시키기 위해 두 개의 동일한 걸림 홈(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은 걸림 턱(44)을 포함하여, 걸림 턱(44)이 걸림 홈(42)에 맞물려서 결합부(31)가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걸림 턱 및 걸림 홈 구조에서는 두 개의 걸림 홈(42)은 동일한 구조이어서, 예를 들어, 제1 지지자세에서 제1 지지자세로부터 180° 회전한 제2 지지자세로 바뀌어서 결합부(31)가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에 결합하더라도 두 개의 동일한 구조의 걸림 턱(44) 중 어느 것도 걸림 홈(42)에 맞물리기 때문에, 두 자세 중 어느 자세로도 결합부(31)가 고정부(33) 에 의해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3은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을 도시한다.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20)에는 고정부(33)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리브(24)가 연장하여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24)는 고정부(33)가 슬라이딩되어 단말기 하우징(2)의 안내 개구부(22)에 끼워질 때, 슬라이딩 방향을 안내하기 때문에 결합 과정이 원활해진다. 또한, 지지대(3)가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과 결합된 후에는 고정부(33)의 측면이 리브(24)와 접해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고정부(33)의 단말기 하우징(2)의 후면(20)과의 결합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지지대(3)가 단말기가 설치되는 바닥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단말기가 지지대(3)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지지대(3)의 지지부(32)의 단부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34)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미끄럼 방지 부재(34)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위 일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자세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고정부의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을 도시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자세로 지지되는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후면 및 지지대의 결합을 도시한다.
도6은 종래의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Claims (6)

  1. 전면과 후면을 갖는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단말기 하우징을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대가 제1 지지자세 또는 상기 제1 지지자세로부터 180°로 회전한 제2 지지자세에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결합부와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은 안내 개구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되어 안내 개구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두 개의 동일한 걸림 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은 걸림 턱을 포함하여, 상기 걸림 홈이 상기 걸림 턱에 맞물려서 결합부가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고정부가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리브가 연장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지지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KR1020070114981A 2007-11-12 2007-11-12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KR10092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81A KR100922260B1 (ko) 2007-11-12 2007-11-12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81A KR100922260B1 (ko) 2007-11-12 2007-11-12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91A true KR20090048891A (ko) 2009-05-15
KR100922260B1 KR100922260B1 (ko) 2009-10-15

Family

ID=4085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981A KR100922260B1 (ko) 2007-11-12 2007-11-12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91U (ko) 2014-07-01 2016-01-11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KR20200122876A (ko) * 2019-04-19 2020-10-2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579A (ko) * 2002-12-24 200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브 바디 각도 조절장치
KR200375583Y1 (ko) * 2004-11-12 200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본체 각도 자동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091U (ko) 2014-07-01 2016-01-11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KR20200122876A (ko) * 2019-04-19 2020-10-2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260B1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4918B2 (en) Stand assembl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41739B2 (en)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an article thereon
US7762519B2 (en) Supporting device with good usability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70235626A1 (en) Angle adjust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770229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leaning
US20110101193A1 (en) Supporting bracket
US10455067B1 (en) Holder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US20050258021A1 (en) Collapsible keyboard
JP2011077495A (ja) スタンド装置及び該スタンド装置を用いる携帯式電子装置
KR100619183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US20090161862A1 (en) Angle Variable Mechanism and Desktop Apparatus
JP2003130036A (ja) 電子機器
US20140117193A1 (en) Stan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922260B1 (ko) 경사 각도 조절 가능한 단말기
US20050069126A1 (en) Single piece versatile phone stand
US8248766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1647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ovable display and sliding apparatus thereof
US8090096B2 (en) Til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3146386A (ja)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US20040198416A1 (en) Adjustable detachable keyboard and electronic assembly using same
US20070001074A1 (en) Stabiliz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90026332A1 (en) Tilt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iltable stand
KR1011057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EP2685345A2 (en) Swi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871155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ulti-ori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