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8069A -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8069A
KR20090038069A KR1020070103350A KR20070103350A KR20090038069A KR 20090038069 A KR20090038069 A KR 20090038069A KR 1020070103350 A KR1020070103350 A KR 1020070103350A KR 20070103350 A KR20070103350 A KR 20070103350A KR 20090038069 A KR20090038069 A KR 20090038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rail
extending
terminal
display device
low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099B1 (ko
Inventor
송동하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0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아랫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뻗고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아랫면 하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동부는 이격된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레일과 각각 면접촉하며 마찰력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동부에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동되고 원하는 각도에서 힘을 제거하면 고정된다.
단말기 하우징, 디스플레이 장치, 회동부, 경사각 조절, 레일, 압축 스프링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 또는 키폰 등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전화기 또는 키폰 등과 같은 통신 장치의 단말기에는 도10에 도시한 것처럼, 통화 상태 또는 기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0)(예로써, LCD 패널)가 단말기(100)의 상부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말기 하우징의 전면에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뷰 각도가 사용자 방향으로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용을 확인하기가 불편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11에 도시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톱니 형상의 부품(130)을 장착하고 상부 하우징(110)에 스톱퍼(140)를 장착하여 이들이 서로 맞물려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식 구조가 제안되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잡고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 때 상부 하우징(110)에 장착된 스톱 퍼(140)의 돌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장착된 부품(130)의 톱니로부터 빠져나와 다음 톱니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뷰 각도를 소정의 각도씩 조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텝식 구조에서는 스톱퍼(140)의 돌기가 톱니로부터 빠져나와 다음 톱니에 걸리는 느낌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각도 조절이 부드럽지 않고 사용감이 나쁘다. 또한, 스톱퍼(140)의 돌기가 부품(130)의 톱니를 통과할 때마다 소음이 발생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조절가능한 각도가 부품(130)의 톱니에 의해 제한되어 있어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뷰 각도를 조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감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부품들 간에 공차가 존재하여 이들의 회전 중심축이 불일치하고 부품들 간의 회전 궤적이 불일치해지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 조정이 원활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아랫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뻗고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와, 그 아랫면 하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동부는 이격된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레일과 각각 면접촉하며 마찰력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동부에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회동부가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에 대해 활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동되고 원하는 각도에서 힘을 제거하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 레일, 그리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과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로 압축 스프링 및 고무 부재와 같은 탄성력이 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상부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필요한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레일과 회동부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회동부에 대해 위치될 때 상기 레일이 언제나 회동부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되므로, 부품 간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회전 중심축이 불일치하여 부품들 간의 회전 궤적이 불일치해지는 경우에도 회동부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에 대해 원활히 활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의 사시도이다. 단말기(1)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2, 3)을 구비한다(하부 하우징 도시 않음). 상부 단 말기 하우징(2)의 전면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통화 상태 또는 기타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를 상부 단말기 하우징(2)으로부터 분해한 모습을 상부 및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4)는 전면의 표시부(5)와, 디스플레이 장치(4)의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6)를 포함한다.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는 그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4)의 회동부(6)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 사이에 삽입되어 활주함으로써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이하에서 도4 및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의 종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는 상부 단말기 하우징(2)의 아랫면에 상호 이격되어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4)의 회동부(6)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이격된 간극에 삽입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의 횡단면도이다. 회동부(6)는 윗면에 그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돌출부(9a, 9a)와 아랫면에 그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오목부(10a, 10a)를 포함한다. 회동부(6)는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1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라이딩 레 일부(7)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7a, 7a)을 포함한다.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8a, 8a)을 포함한다.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의 레일(7a, 7a)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레일(8a, 8a)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가 중앙에 그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7b)을 더 구비하고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8b)를 더 구비하여 상기 관통 구멍(7b)에 돌출부(8b)가 삽입될 수 있다.
회동부(6)의 돌출부(9a, 9a) 및 오목부(10a, 10a)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의 레일(7a, 8a)과 각각 면접촉하고 있어 접촉 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회동부(6)는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고정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4)에 상기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회동부(6)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에 대해 활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의 뷰 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된다. 이때 회동부(6)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에 대해 연속적으로 활주하므로 톱니 형상의 부재를 사용할 때에 비해 안정적인 사용감을 얻을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부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특유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톱니 형상의 부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의 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의 레일(7a, 8a)은 오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6)는 돌출부(9a, 9a) 및 오목부(10a, 10a) 대신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의 레일(7a, 8a)과 면접 촉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를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의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11)는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레일(12)과, 상기 레일(12)과 별도로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13)과, 압축 스프링(15)으로 구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에 도시된 단말기(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단말기(11)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2, 3)과, 디스플레이 장치(4)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4)는 전면의 표시부(5)와 디스플레이 장치(4)의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6)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는 그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장착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의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사시도이다.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13)은 아래로 돌출하는 수용부(14)를 구비한다. 수용부(14)에는 압축 스프링(15)과 레일(12)이 차례로 수용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횡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단말기(11)의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13)의 수용부(14) 내측 바닥에는 압축 스프링(1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핀(16)이 배치된다. 레일(12)은 아랫면에 스프링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핀(12a)을 포함하고, 윗면에 회동부(6)의 오목부(10a)에 삽입되기 위한 원호 방향으로 긴 돌출부(12b)를 구비한다. 도8 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단말기(11)에 장착되면 회동부(6)가 레일(12)을 경유하여 압축 스프링(15)을 압축한다. 따라서, 레일(12)은 압축 스프링(15)에 의해 언제나 회동부(6)의 오목부(10a)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된다. 이는 부품 간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회전 중심축이 불일치하여 부품들 간의 회전 궤적이 불일치해지는 경우 회동부(6)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에 대해 원활히 활주하는 것을 보장해 준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스프링 대신 탄성력과 복원력이 큰 탄성 부재(17)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탄성 부재(17)는 인장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위 일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단말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단말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종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단말기의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의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횡당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9는 압축 스프링 대신 탄성 부재를 사용한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사시도이다.
도10은 종래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톱니 형상의 부품과 스톱퍼가 장착된 종래의 단말기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단말기
2: 상부 단말기 하우징
4: 디스플레이 장치
5: 표시부
6: 회동부
7: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
8: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12: 레일
13: 브라킷
15: 압축 스프링

Claims (14)

  1.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아랫면에서 원호 형상으로 뻗고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랫면 하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호 이격되어 장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동부는 상기 이격된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레일과 각각 면접촉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윗면에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와 아랫면에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7.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아랫면에서 원호 형상으로 뻗고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랫면 하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호 이격되어 장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동부는 상기 이격된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레일과,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과,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단말기에 장착될 때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어 상기 회동부를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에 대해 가압하도록 작용하고, 상기 회동부가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레일과 균일하게 면접촉하는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윗면에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와 아랫면에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단말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고무인 단말기.
KR1020070103350A 2007-10-15 2007-10-15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KR10091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50A KR100914099B1 (ko) 2007-10-15 2007-10-15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50A KR100914099B1 (ko) 2007-10-15 2007-10-15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69A true KR20090038069A (ko) 2009-04-20
KR100914099B1 KR100914099B1 (ko) 2009-08-27

Family

ID=4076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350A KR100914099B1 (ko) 2007-10-15 2007-10-15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876A (ko) * 2019-04-19 2020-10-2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25U (ko) * 1998-06-15 2000-01-15 윤종용 모니터
KR200342234Y1 (ko) * 1998-12-30 200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기의 각도 조절 장치
KR200168678Y1 (ko) * 1999-08-13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876A (ko) * 2019-04-19 2020-10-2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신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099B1 (ko)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241B1 (ko) 슬라이딩-틸트장치 및 이를 채용한 모바일 기기
US7159833B2 (en)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TWI479298B (zh) 可攜式電子裝置
EP1793568A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070048895A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US7565185B2 (en) Three-axial rot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934902B2 (ja) 電子機器
KR20080109108A (ko) 휴대단말기용 스텝 힌지
US9797546B1 (en) Pivotal device for a support of an electric device
KR1009140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KR100785103B1 (ko) 회동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딩 및회동가능한 힌지모듈
KR101033587B1 (ko) 반자동 슬라이드장치, 자동·반자동 겸용 슬라이드장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86639A (ko) 2방향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EP0971283A1 (en) A notebook computer
KR100918340B1 (ko) 경사각 조절 및 벽 장착이 가능한 단말기
KR100623489B1 (ko) 2방향 개폐장치
KR101756141B1 (ko) 슬림 틸팅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700567B1 (ko) 휴대 단말기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WO2007069834A1 (en) A swing mechanism for display part of cellular phone
KR102382288B1 (ko) 폴더블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힌지
KR20190106122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100771389B1 (ko) 전자기기의 회전장치
JP3233905U (ja) スマートフォン用スタンド
KR200157254Y1 (ko) 에치엠디의 스피커 안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