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393Y1 -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393Y1
KR200479393Y1 KR2020140009644U KR20140009644U KR200479393Y1 KR 200479393 Y1 KR200479393 Y1 KR 200479393Y1 KR 2020140009644 U KR2020140009644 U KR 2020140009644U KR 20140009644 U KR20140009644 U KR 20140009644U KR 200479393 Y1 KR200479393 Y1 KR 200479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light source
source unit
interior material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산
Priority to KR2020140009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에 형성된 구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순차점멸 또는 전체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동적인 느낌을 운전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광원부가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와 이동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는 자동차의 데쉬보드, 도어 및 콘솔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에 형성된 결합홈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설치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설치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된 다수의 구획부가 구비된 소켓과, 상기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소켓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의 조명효과를 극대화하고, 상기 소켓이 상기 내장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부착되는 필름지 및 상기 소켓에 전체적으로 전원을 인하여 상기 소켓과 결합하는 상기 광원부 전체의 조명을 조사하거나 또는 각각의 상기 구획부에 따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구획부에 구비된 상기 광원부의 조명이 순차점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LIGHT DEVICE OF INTERIOR COMPONENT OF A VEHICLE, ESPECIALLY FOR LIGHTING A DESIRED PART CLEARLY}
본 고안은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켓에 형성된 구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순차점멸 또는 전체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동적인 느낌을 운전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광원부가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와 이동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자동차 실내디자인의 품질(QUALITY)을 높일 수 있도록 표면에 독특한 색상이나 우드(Wood)와 같은 모양을 갖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설치하여 실내디자인의 품질을 높이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처는 자동차 계기판의 주변이나 데쉬보드, 콘솔박스 및 도어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내장재는 자동차 실내디자인의 품질을 높일 수는 있으나 그 형상보다는 표면에 드러난 모양이나 색상만으로 품질향상을 도모함으로 운전자는 좀더 시각적인 품질향상을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서 조사되는 조명이 외부로 투사되어 보일 수 있도록 라이트 가이드를 사용하는 조명수단이 같이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조명수단은 도어에 설치된 윈도우를 승강하기 위한 스위치 내부에서 그 조명이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내장재에 사용되는 조명수단은 야간에 그 조명으로 인한 실내디자인의 품질향상을 높이는 장점은 있으나, 단순히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점멸 또는 조사되는 조명색상만을 변경하여 사용되고 있어 유행에 민감한 젊은층은 운전자들에게 큰 호응을 일으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조명으로 교체를 하고자 하여도 스위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교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동차의 실내디자인에 대한 품질의 향상은 물론,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교체 또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자동차 내장재에 구비될 수 있는 조명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는 자동차의 데쉬보드, 도어 및 콘솔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에 형성된 결합홈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설치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설치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된 다수의 구획부가 구비된 소켓과, 상기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소켓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의 조명효과를 극대화하고, 상기 소켓이 상기 내장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부착되는 필름지 및 상기 소켓에 전체적으로 전원을 인하여 상기 소켓과 결합하는 상기 광원부 전체의 조명을 조사하거나 또는 각각의 상기 구획부에 따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구획부에 구비된 상기 광원부의 조명이 순차점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상기 광원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통공이 형성된 투광몸체 및 상기 통공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리드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리드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는 램프가 구비된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몸체는 나무, 나뭇가지, 꽃, 나비, 물고기 및 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엘이디는 상기 투광몸체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지는 상기 설치홈과 형상맞춤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원부의 조명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검정계열의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원부가 관통삽입되어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켓에 형성된 구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를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순차점멸 또는 전체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동적인 느낌을 운전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광원부가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는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조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가 도어 및 데쉬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의 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의 소켓에 부착된 광원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의 광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럭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이하, 간략하게 '조명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차량용 내장재는 데쉬보드, 콘솔박스, 자동차용 도어, 계기판 주변에 설치되는 내장재 중에서 도어(10)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내장재(11)를 일 예로 설명한다. 이때 내장재(11)에는 볼트 또는 결합홈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몸체(110)와 형상맞춤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홈(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크게 몸체(110), 소켓(120), 광원부(130), 필름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는 유지보수 등을 위해 조명장치(100)와 내장재(11)가 서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몸체(110)는 일 예로 사각의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볼트 또는 걸림홈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내장재(11)에 형성된 결합홈(11a)과 결합한다. 이때 몸체(110) 외면에는 소켓(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홈(111)이 형성되며, 설치홈(111)과 이웃하게 후술하는 모드선택부(151)가 구비되도록 하여 운전자에 의해 광원부(130)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설치홈(111)은 투광몸체(131)의 형상에 따라 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물결무늬 또는 몸체(110)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 분할 형성되도록 한다. 즉, 투광몸체(131)가 물고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설치홈(111)의 형상을 물결무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흡사 물고기가 물에서 헤엄치는 듯한 동적인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광원부(130)를 순차 점멸시켜 내장재(11)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설치홈(111) 내부에 구비되는 소켓(120)이나 필름지(140)는 상기 설치홈(11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나아가, 설치홈(111) 끝단에는 판 형상을 갖는 필름지(140)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턱부(1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120)은 다수로 구비되는 광원부(1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조명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소켓(120)은 설치홈(111)을 통해 몸체(110) 내측으로 인입되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면에는 리드(133a)가 삽입되는 삽입홈(121)이 다수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121)의 설치홈(111)을 통해 몸체(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삽입홈(121)의 간격은 한 쌍의 리드(133a)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광원부(130)와 탈부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소켓(120)은 제어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130)가 디바이드부(153)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멸가능하도록 상기 소켓(120)에 독립적으로 다수 분할형성되는 구획부(123)가 형성되고, 각각의 구획부(123)는 디바이드부(153)에서 인가하는 전원을 각각 따로 인가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광원부(130)의 순차적인 점멸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디바이드부(153)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광원부(13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2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조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투광몸체(131) 및 엘이디(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광몸체(131)는 내부에 구비된 엘이디(133)의 조명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요에 따라 나무, 꽃, 나무가지와 같은 식물이나 물고기, 나비, 벌과 같은 생물의 형상을 갖도록 다양하게 형성된다. 이때 투광몸체(131)는 소켓(120)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리드(133a)가 관통삽입되는 통공(131a)이 형성되어 상기 리드(133a)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램프(133b)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이디(133)는 소켓(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드(133a) 및 상기 리드(133a)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는 램프(133b)의 구성을 갖도록 투광몸체(131)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램프(133b)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투광몸체(131)와 엘이디(133)로 구성된 광원부(130)는 일체로 형성되어 유지보수의 용이성 및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필름지(140)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조명을 조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름지(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홈(111)을 통해 몸체(110) 외부로 노출된 소켓(120)을 외부로부터 가려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가리고, 광원부(130)의 조명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필름지(140)는 얇은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설치홈(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소켓(120)이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도록 턱부(111a)에 부착된다. 이때 필름지(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PVC 재질로 이루어지며, 설치홈(111)과 형상맞춤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소켓(120)에 형성된 삽입홈(121)과 대향되게 리드(133a)가 관통삽입되어 상기 삽입홈(121)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필름지(140)에는 다수의 관통공(141)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필름지(140)는 광원부(130)에서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검정계열을 갖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소켓(120)에 구획부(123)가 형성된 경우, 필름지(140) 외부에서 운전자가 상기 구획부(123)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광원부(130)의 조명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드선택부(151) 및 디바이드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선택부(151)는 디바이드부(1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켓(120) 전체에 전원이 인가하여 상기 소켓(120)에 결합한 광원부(130) 전체가 점멸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소켓(120)에 다수 형성된 구획부(123)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구획부(123)의 영역 내에서 결합한 광원부(130)의 조명이 순차적으로 점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모드선택부(151)는 몸체(110) 전면에 둘 이상의 스위치로 구비되어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디바이드부(153)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모드선택부(151)는 제1스위치(151a)를 온(ON)시켜 디바이드부(153)를 통해 소켓(120) 전체(또는 다수의 구획부 전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광원부(130)가 전체적으로 점등되어 야간에 실내디자인으로서의 조명으로 사용하거나(도 8 참조) 또는 제2스위치(151b)를 온(ON)시켜 상기 디바이드부(153)를 통해 다수의 구획부(121)에 순차적으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원부(130)의 순차점멸을 통해 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9 참조)
또한 디바이드부(153)는 둘 이상의 스위치로 구비된 모드선택부(151)의 선택에 의해 소켓(120) 전체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소켓(120)에 형성된 다수의 구획부(123)에 순차적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광원부(130)의 조명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100)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소켓(120)에 형성된 구획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부(130)를 제어부(150)의 제어를 통해 순차점멸 또는 전체점멸이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동적인 느낌의 실내디자인 효과를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100)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광원부(130)가 소켓(120)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와 이동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110: 몸체 111: 설치홈
120: 소켓 121: 삽입홈
123: 구획부 130: 광원부
131: 투광몸체 133: 램프
140: 필름지 141: 관통공
150: 제어부 151: 모드선택부
153: 디바이드부

Claims (4)

  1. 자동차의 데쉬보드, 도어 및 콘솔박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동차용 내장재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에 형성된 결합홈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설치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설치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각각에 전원이 독립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분할형성된 다수의 구획부가 구비된 소켓;
    상기 소켓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을 조사하는 광원부;
    상기 소켓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광원부의 조명효과를 극대화하고, 상기 소켓이 상기 내장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설치홈에 부착되는 필름지; 및
    상기 소켓에 전체적으로 전원을 인하여 상기 소켓과 결합하는 상기 광원부 전체의 조명을 조사하거나 또는 각각의 상기 구획부에 따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구획부에 구비된 상기 광원부의 조명이 순차점멸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광원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통공이 형성된 투광몸체; 및
    상기 통공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소켓에 삽입되는 리드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리드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는 램프가 구비된 엘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몸체는 나무, 나뭇가지, 꽃, 나비, 물고기 및 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엘이디는 상기 투광몸체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지는
    상기 설치홈과 형상맞춤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원부의 조명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검정계열의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원부가 관통삽입되어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천공형성된 다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KR2020140009644U 2014-12-30 2014-12-30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KR200479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44U KR200479393Y1 (ko) 2014-12-30 2014-12-30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644U KR200479393Y1 (ko) 2014-12-30 2014-12-30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393Y1 true KR200479393Y1 (ko) 2016-01-22

Family

ID=5531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644U KR200479393Y1 (ko) 2014-12-30 2014-12-30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39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7195A (ja) 2007-11-07 2009-05-2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面状光源及び指向性型照明装置、指向性可変型照明装置、擬似間接型照明装置
KR200472902Y1 (ko) 2014-03-10 2014-06-02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7195A (ja) 2007-11-07 2009-05-28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面状光源及び指向性型照明装置、指向性可変型照明装置、擬似間接型照明装置
KR200472902Y1 (ko) 2014-03-10 2014-06-02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6100B2 (en) Vehicle having a lighting device with an elongate lighting unit
CN108291706B (zh) 具有尾灯和被照亮的装饰条的发光装置
JP3959917B2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US11231157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CN203271271U (zh) 照明把手组件
US10442347B2 (en) In-vehicle illumination system
US7245209B2 (en) U-turn indicator
DE202014100073U1 (de) Fahrzeugaussenspiegel- und -Leuchtenanordnungen
KR101282078B1 (ko) 차량용 무드등
JP3186264U (ja) 光源調節制御可能な車のドア敷居用発光踏板
CN103295497A (zh) 广告拉手
JP2005193804A (ja) 車両用照明装置及び車両
KR200479393Y1 (ko) 자동차 내장재용 조명장치
KR101714718B1 (ko) 콘솔 암레스트의 조명 장치
KR200478930Y1 (ko) 조명기능을 갖는 선바이저
JP2015212125A (ja) 車両用室内灯装置
JP2006318873A (ja) 照明装置
KR20160109940A (ko)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JP2007099045A (ja) 車室内照明器具
JP2007203958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JP5783534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20100270928A1 (en) Bimodal illumination for vehicular storage compartment
KR101176509B1 (ko) 간접조명 방식의 자동차 엘이디 실내등
KR20110085574A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조명장치
KR20090003038U (ko) 교통안전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