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078B1 - 차량용 무드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078B1
KR101282078B1 KR1020120151849A KR20120151849A KR101282078B1 KR 101282078 B1 KR101282078 B1 KR 101282078B1 KR 1020120151849 A KR1020120151849 A KR 1020120151849A KR 20120151849 A KR20120151849 A KR 20120151849A KR 101282078 B1 KR101282078 B1 KR 10128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light
vehicle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신
Original Assignee
서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신 filed Critical 서동신
Priority to KR102012015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은 차량의 실내패널(1)에 고객이 원하는 패턴으로 관통공(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2)에 광케이블(10)의 선단부를 결합하면, 발광수단(20)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관통공(2)이 형성된 패턴대로 빛이 발광된다.
따라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빛이 발광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부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무드등{mood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류가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이나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최근 들어, 차량 소유자의 개성이 다양해짐에 따라 차량의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무드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무드등은 케이스의 내부에 램프를 설치하거나, 넓은 패널에 LED 등과 같은 작은 사이즈의 램프를 다양한 문양이나 숫자 문자 등의 형태로 다수개 배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차량의 내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설치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무드등의 자세한 구성은 등록특허 10-0861047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무드등은 형태가 한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설치위치에 제한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량의 소유자는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패턴으로 무드등을 설치하고자 하는 반면, 종래의 차량용 무드등은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모두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객의 요구에 맞도록 차량의 실내공간을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무드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단부가 다발형태로 고정되며 선단부는 차량의 실내패널(1)에 형성된 관통공(2)에 결합된 다수개의 광케이블(10)과,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광케이블(10)의 기단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광케이블(10)은 선단부가 실내패널(1)의 외측면에서 상기 관통공(2)에 삽입고정되어 선단부가 차량의 실내쪽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드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양단이 개방된 관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가 고정되는 케이블고정부(31)와 상기 발광수단(20)이 결합되는 발광수단고정부(32)가 형성된 지지관체(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드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케이블(10)은 메인광케이블(11)과,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탭(1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탭(12)은 후단부에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2)에 결합되는 돌출부(12b)가 형성되는 고정블록(12c)과,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12b)의 선단부로 연장되고 후단부가 상기 결합공(12a)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블록(12c)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광케이블(12d)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공(12a)에 끼우면, 상기 메인광케이블(11)과 보조광케이블(12d)이 연결되어 메인광케이블(11)을 통해 전달된 빛이 상기 보조광케이블(12d)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무드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케이블(10)은 상기 관통공(2)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연장되어 상기 실내패널(1)의 내측면에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드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광수단(20)은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점등시키는 헤드라이트 점등스위치(24)에 연결되어, 헤드라이트와 함께 연동되어 점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드등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은 차량의 실내패널(1)에 고객이 원하는 패턴으로 관통공(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2)에 광케이블(10)의 선단부를 결합하면, 발광수단(20)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관통공(2)이 형성된 패턴대로 빛이 발광된다.
따라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빛이 발광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서,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부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의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무드등을 도시한 것으로, 차량의 A필러의 실내측에 결합된 실내패널(1)에 시공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무드등은 기단부가 다발형태로 고정되며 선단부는 차량의 실내패널(1)에 형성된 관통공(2)에 결합된 다수개의 광케이블(10)과,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광케이블(10)의 기단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패널(1)의 내외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고객이 원하는 패턴, 즉, 별자리나 특정한 문자나 기호 또는 그림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이루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은 상기 광케이블(10)의 지름에 대응되는 지름으로 구성되어, 관통공(2)에 광케이블(10)의 선단부를 끼우면 광케이블(10)이 관통공(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케이블(10)은 광통신이나 광케이블 공예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발광수단(20)에서 조사되어 기단부로 입력된 빛을 선단부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10)은 선단부가 상기 실내패널(1)의 외측면에서 관통공(2)에 끼움결합되어 선단부가 실내패널(1)의 내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실내패널(1)에 접착고정된다.
상기 발광수단(20)은 차량의 배터리(23)에 연결되어 배터리(23)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LED램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지관체(30)에 의해 상기 광케이블(10)의 후단에 탈착가능하게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발광수단(20)은 특정한 색으로 점등되는 것을 이용하거나 백색광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수단(20)에는 발광수단(2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닛(21)과, 상기 제어유닛(21)에 연결된 제어스위치(22)가 연결된다.
상기 제어유닛(21)은 사용자가 상기 제어스위치(22)를 조작하여 입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20)이 지속적인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20)이 일정한 패턴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스위치(22)는 차량의 운전석 일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에 발광수단(20)의 점소등 또는 점멸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체(30)는 양단이 개방된 합성수지재질의 관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양단에는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가 고정되는 케이블고정부(31)와 상기 발광수단(20)이 결합되는 발광수단고정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31)는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가 삽입될 정도의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를 상기 케이블고정부(31)에 삽입한 후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접착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고정부(32)는 상기 LED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LED를 발광수단고정부(32)에 끼워 탈착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무드등은 운전자가 상기 제어스위치(22)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발광수단(20)이 점등되며, 발광수단(20)의 빛은 상기 광케이블(10)을 통해 실내패널(1)의 내측으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은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 상기 관통공(2)의 패턴대로 빛이 점등되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차량용 무드등은 상기 관통공(2)의 패턴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모두 부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점등수단은 특정한 색으로 점등되는 LED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점등수단은 일반적인 소형 전구나 기타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되는 복수개의 LED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광케이블(10)을 통해 실내로 조사되는 빛의 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21)에는 별도의 제어스위치(22)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21)을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점등시키는 헤드라이트 점등스위치(24)에 연결되어, 헤드라이트와 함께 연동되어 점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내에 별도의 제어스위치(22)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차량의 실내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차량용 무드등이 차량의 A필러의 실내측에 결합된 실내패널(1)에 적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차량용 무드등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플로어패널, 차량의 도어 내측면에 결합된 도어패널, 차량의 천장 마감패널이나 차량의 B,C필러의 내측면에 구비된 필러마감패널 등과 같이, 차량의 실내측면에 구비된 모든 종류의 실내패널(1)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광케이블(10)은 메인광케이블(11)과,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탭(12)으로 구성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은 일반적인 광케이블(10)로서, 후단부가 다발형태로 합쳐져 상기 발광수단(20)의 전방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탭(12)은 후단부에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2)에 결합되는 돌출부(12b)가 형성되는 고정블록(12c)과,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12b)의 선단부로 연장되고 후단부가 상기 결합공(12a)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블록(12c)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광케이블(12d)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공(12a)에 끼우면, 상기 메인광케이블(11)과 보조광케이블(12d)이 연결되어 메인광케이블(11)을 통해 전달된 빛이 상기 보조광케이블(12d)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블록(12c)은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광케이블(12d)을 일반적인 광케이블(10)을 짧게 절단한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금형의 내부에 상기 보조광케이블(12d)을 고정한 후 합성수지를 인서트사출함으로써, 상기 고정탭(12)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에 상기 고정블록(12c)의 돌출부(12b)를 끼워서 접착고정한 후, 상기 고정블록(12c)의 결합공(12a)에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를 끼워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무드등은 상기 고정블록(12c)의 돌출부(12b)가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이 연결되는 방향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 고정블록(12c)에 연결된 메인광케이블(11)이 내부패널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광케이블(10)이 내부패널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광케이블(10)을 내부패널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광케이블(10)을 관통공(2)에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광케이블(10)은 상기 관통공(2)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연장되어 상기 실내패널(1)의 내측면에 부착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2)은 상기 광케이블(10)의 지름에 비해 크게 구성되어, 하나의 관통공(2)에 다수개의 광케이블(1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실내로 연장된 광케이블(10)은 부채꼴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펼쳐진 상태로 실내패널(1)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무드등은 빛이 점형태로만 조사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빛이 선형태로 조사되어 더욱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광케이블(10)은 기단부로 유입된 빛의 대부분을 선단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지만, 빛의 일부는 광케이블(10)의 둘레부로 유출되어 광케이블(10)의 중간부가 발광된다.
따라서, 광케이블(10)을 관통공(2)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연장한 후 실내패널(1)의 내측면에 부착하면, 실내패널(1)에 부착된 광케이블(10)의 중간부가 희미하게 발광될 뿐 아니라 광케이블(10)의 선단부로 조사된 빛이 실내패널(1)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조사되어,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실내패널 2. 관통공
10. 광케이블 20. 발광수단
30. 지지관체

Claims (5)

  1. 기단부가 다발형태로 고정되며 선단부는 차량의 실내패널(1)에 형성된 관통공(2)에 결합된 다수개의 광케이블(10)과,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광케이블(10)의 기단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광케이블(10)은 선단부가 실내패널(1)의 외측면에서 상기 관통공(2)에 삽입고정되어 선단부가 차량의 실내쪽으로 노출되는 한편,
    상기 광케이블(10)은
    메인광케이블(11)과,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탭(1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탭(12)은
    후단부에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12a)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관통공(2)에 결합되는 돌출부(12b)가 형성되는 고정블록(12c)과,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12b)의 선단부로 연장되고 후단부가 상기 결합공(12a)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고정블록(12c)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광케이블(12d)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광케이블(11)의 선단부를 상기 결합공(12a)에 끼우면, 상기 메인광케이블(11)과 보조광케이블(12d)이 연결되어 메인광케이블(11)을 통해 전달된 빛이 상기 보조광케이블(12d)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관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상기 광케이블(10)의 기단부가 고정되는 케이블고정부(31)와 상기 발광수단(20)이 결합되는 발광수단고정부(32)가 형성된 지지관체(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드등.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51849A 2012-12-24 2012-12-24 차량용 무드등 KR10128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849A KR101282078B1 (ko) 2012-12-24 2012-12-24 차량용 무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849A KR101282078B1 (ko) 2012-12-24 2012-12-24 차량용 무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078B1 true KR101282078B1 (ko) 2013-07-17

Family

ID=4899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849A KR101282078B1 (ko) 2012-12-24 2012-12-24 차량용 무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0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796B1 (ko) * 2013-11-15 2014-05-29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KR200472902Y1 (ko) 2014-03-10 2014-06-02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KR101490944B1 (ko) 2013-08-0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무드램프
KR20160114402A (ko) * 2015-03-24 2016-10-05 이주연 무늬목 조명판넬의 제조방법
CN110341580A (zh) * 2019-07-04 2019-10-18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地毯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0404U (ja) * 1984-04-03 1985-10-25 株式会社 村上商店 導光繊維を用いた壁面等装飾照明装置
JPH0721411Y2 (ja) * 1990-01-31 1995-05-17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乗物客室内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298023A (ja) * 2005-04-18 2006-11-02 Nifco Inc 車両用発光表示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0404U (ja) * 1984-04-03 1985-10-25 株式会社 村上商店 導光繊維を用いた壁面等装飾照明装置
JPH0721411Y2 (ja) * 1990-01-31 1995-05-17 東急車輌製造株式会社 乗物客室内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298023A (ja) * 2005-04-18 2006-11-02 Nifco Inc 車両用発光表示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944B1 (ko) 2013-08-07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무드램프
KR101400796B1 (ko) * 2013-11-15 2014-05-29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KR200472902Y1 (ko) 2014-03-10 2014-06-02 서동신 차량용 무드등
KR20160114402A (ko) * 2015-03-24 2016-10-05 이주연 무늬목 조명판넬의 제조방법
KR101664448B1 (ko) 2015-03-24 2016-10-10 이주연 무늬목 조명판넬의 제조방법
CN110341580A (zh) * 2019-07-04 2019-10-18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地毯灯
CN110341580B (zh) * 2019-07-04 2024-04-05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地毯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078B1 (ko) 차량용 무드등
JP4029077B2 (ja) 自動車の室内照明装置
US11231157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EP2325047B1 (en) Lighting device and door lining using same
CN106080312B (zh) 具有环境照明的座椅
US8690402B2 (en) Illuminated grab handle with dual illumination modes
JP6427125B2 (ja) 車内照明装置
EP3009301A1 (en) Automotive light
CN205417095U (zh) 用于在机动车的内部空间的清香剂的输出装置的结构
JP2008001130A (ja) 車両室内用照明装置
US8387257B2 (en) Vehicle interior panel and method to manufacture
US20130301286A1 (en) Motor vehicle with a headliner
JP2005289202A (ja) 自動車の室内照明装置
KR200472902Y1 (ko) 차량용 무드등
JP3186264U (ja) 光源調節制御可能な車のドア敷居用発光踏板
EP2839989A1 (en) Vehicle light apparatus
KR20080046526A (ko) 자동차용 룸램프 구조
KR20180113874A (ko) 간이형 램프
JP2006318873A (ja) 照明装置
JP2007203958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KR101176509B1 (ko) 간접조명 방식의 자동차 엘이디 실내등
US7182486B1 (en) Halogen floor lamp with ambient light display
KR200478930Y1 (ko) 조명기능을 갖는 선바이저
EP1093968A2 (en)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a dashboard illumination unit
KR20100133687A (ko) 차량의 사이드 시그널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