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594Y1 - 전선 포설용 그리퍼 - Google Patents

전선 포설용 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594Y1
KR200478594Y1 KR2020140000478U KR20140000478U KR200478594Y1 KR 200478594 Y1 KR200478594 Y1 KR 200478594Y1 KR 2020140000478 U KR2020140000478 U KR 2020140000478U KR 20140000478 U KR20140000478 U KR 20140000478U KR 200478594 Y1 KR200478594 Y1 KR 200478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ylinder
housing
fixed
cabl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937U (ko
Inventor
이아람
김웅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0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594Y1/ko
Priority to PCT/KR2014/002778 priority patent/WO2015008923A1/ko
Priority to SG11201600273TA priority patent/SG11201600273TA/en
Priority to CN201410144109.2A priority patent/CN104300437B/zh
Priority to JP2014082944A priority patent/JP5832577B2/ja
Publication of KR20150002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5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전선 포설용 그리퍼에 관한 것으로,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측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클램프가 고정된 클램프 지지체를 마련하여 실린더의 왕복운동으로 전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클램프의 마찰력에 의해 전선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다양한 직경으로 된 전선을 이동시키는 데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전선 포설용 그리퍼{Gripper for Cable Laying}
본 고안은 전선 포설용 그리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전선)을 미끄러짐이 없이 케이블을 이송시키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 시 내·외부 곳곳에 다양한 크기(φ8~91.8mm)의 케이블을 척당 약 80,000 ~ 1,200,000m 설치하는 작업으로 그 무게만 해도 수 만 톤이 넘는다. 작업은 전로(Cable Tray) 설치→포설→결선 등으로 분류되며, 그 중에서 케이블 포설 작업은 대규모의 인력이 투입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동시에 작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케이블 포설 작업은 선박 건조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재에는 기계화 포설로 인해 많은 부분이 자동화되어 있으나, 큰 힘을 요구하는 케이블 포설 작업 특성상 윈치(Winch) 및 피더(Feeder) 등과 같은 포설 전용 장비 설치가 어려운 협소 공간에서는 부득이하게 수작업으로 포설하고 있다.
협소 공간은 주로 전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엔진룸 및 블록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이동이 불편하며, 장비 설치를 위한 동력원(전기, 공압)의 지원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로가 1단~ 10단까지 있고, 각 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 케이블 포설 시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케이블 포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케이블 포설 장치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종방향 부재와 상기 한 쌍의 종방향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횡방향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따라 케이블을 포설하는 장치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롤러, 상기 한 쌍의 구동 롤러에 감기며, 외면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접하여 회전하는 구동 벨트,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이 결합되는 견인부, 상기 구동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벨트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격되어 결합되는 푸싱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63683호(2012년 6월 18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포설 장치는 견인부를 포함한 전장이 길어지므로 협소하거나 복잡한 공간에는 설치가 곤란하고, 다양한 케이블(전선)의 직경에 적용하기 어려우며, 케이블 포설장치와 케이블이 함께 이동하므로 케이블의 이동에 따른 중량이 가중되어 케이블의 이송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찰력에 의해 전선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전선 포설 작업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선의 직경(크기)에 관계없이 전선을 이동시키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측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클램프가 고정된 클램프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지지체는 양측에 일정 높이로 고정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사이에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편심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마찰력에 의해 전선이 이동되도록 타원 형상으로 돌출된 마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길이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에 의하면, 실린더의 왕복운동으로 전선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클램프의 마찰력에 의해 전선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다양한 직경으로 된 전선을 이동시키는 데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클램프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에 의해 전선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실린더 전진으로 전선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실린더가 후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클램프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에 의해 전선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일측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실린더(20), 상기 실린더(2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클램프(33)가 고정된 클램프 지지체(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우징(10)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상면은 실린더(20)가 설치되도록 개방됨과 함께 일 측면은 실린더(20)의 피스톤 로드(21)가 돌출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1)는 케이블 트레이(미도시)에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며, 돌출부(11)에는 케이블 트레이(미도시)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구(12)가 체결된다.
또 돌출부(11)의 상면에는 각각 지지 롤러(13)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롤러(13)는 전선(1)을 안정되게 받쳐주게 된다.
아울러 본체(10) 내부에는 공압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 로드를 결합한 실린더(20)가 안착된다. 실린더(20)는 전선을 포설하기 위한 포설장치에 의해 공압으로 피스톤 로드(21)가 일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20)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실린더(20)의 일측 상면에는 전선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클램프(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클램프 지지체(30)가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클램프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지지체(30)는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바(31), 지지바(31) 사이에 케이블이 안착되는 원호면(32), 지지바(3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33)를 포함한다.
지지바(31)는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고, 지지바(31) 사이의 하부는 전선(1)이 안착되도록 원호면(32)으로 형성된다. 또 지지바(31)의 상부에는 클램프(33)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클램프(33)는 실린더(2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선(1)을 압박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실린더(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클램프(33)는 전선(1)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대략 하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일측에는 전선(1)을 압박할 수 있도록 타원 형상으로 돌출된 마찰면(34)이 형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상면 및 일 측면을 개방시켜 실린더(20)가 내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의 길이 방향 양 측면에는 돌출부(11)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한다.
돌출부(11)에는 하우징(10)을 케이블 트레이(미도시)에 고정시키는 고정구(12)가 체결되며, 돌출부(13)에는 전선(1)을 안정되게 받쳐주기 위한 지지 롤러(1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는 실린더(20)를 장착한다. 이러한 실린더(20)는 공압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피스톤 로드(21)는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실린더(20)의 상면 일측에는 클램프 지지체(30)를 고정한다. 실린더(20)의 상면에는 양측에 수직으로 지지바(31)를 고정하고, 지지바(31) 사이의 하부에는 전선(1)이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원호면(32)을 형성한다.
또 지지바(31)의 상부에는 하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33)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클램프(33)는 지지바(31)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심되게 고정한다.
이는 실린더(20)의 이동에 따라 클램프(33)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어 전선(1)을 압박시킨 상태에서 전선(1)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클램프(33)의 일측에는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타원형으로 돌출된 마찰면(34)을 형성한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에 의해 전선이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선 포설용 그리퍼가 후퇴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는 실린더(20)가 장착된 상태로 케이블 트레이(미도시) 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의 고정은 돌출부(11)가 케이블 트레이의 가로대(미도시)에 올려지고, 가로대 및 돌출부(11)에 고정구(12)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즉, 하우징(10)은 케이블 트레이 상에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아울러 케이블 트레이 상에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고정되며, 전선(1)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데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클램프 지지체(30)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전선(1)을 끼워 넣게 된다. 이러한 전선(1)은 원호면(32)과 클램프(33) 사이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전선(1)은 클램프 지지체(30)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리퍼에 설치된 실린더(20)가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0)가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실린더(20)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 지지체(30) 또한 피스톤 로드(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린더(20)의 전진으로 지지바(31)는 실린더(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전선(1)이 압박된 클램프(33)의 마찰면(34)은 전선(1)을 일정한 압력으로 압박되도록 실린더(2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클램프(33)는 전선(1)을 강하게 압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만 회전된다.
이렇게 원호면(32)과 클램프(33)에 의해 전선(1)은 압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1)은 클램프(33)의 회전으로 원호면(32)과 마찰면(34) 사이에 압박된 상태에서 실린더(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실린더(20)가 후진하는 경우, 클램프(33)는 지지바(31)에 편심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클램프(33)는 역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클램프(33)는 마찰면(34)이 전선(1)을 압박하고 있던 상태에서 역회전 되어 전선(1)과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클램프(33)는 역회전할 때 단순히 전선(1)과 맞닿은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이루어질 뿐 마찰에 의해 전선(1)을 가압하지 않게 되고, 이에 실린더(20)는 전선(1)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실린더(20)만 후진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20)가 전진할 때 전선(1)은 일 방향(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실린더(20)가 후진할 때 전선(1)은 제자리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전선(1)은 실린더(20)의 전진 시에 클램프(33)에 의해 압박된 이후 실린더(20)에 의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된다.
이렇게 실린더(20)의 전진에 의해 전선(1)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실린더의 전진 거리)만큼 반복적으로 이동되어 전선(1)을 포설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하우징 11: 돌출부
12: 고정구 20: 실린더
21: 피스톤 로드 30: 클램프 지지체
31: 지지바 32: 원호면
33: 클램프 34: 마찰면

Claims (5)

  1.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왕복 이동되도록 일 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측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클램프가 설치된 클램프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케이블 트레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구멍에 고정되도록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는 고정구,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전선을 받쳐 주기 위한 지지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지지체는 양측에 일정 높이로 고정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 사이에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편심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마찰력에 의해 전선이 이동되도록 타원 형상으로 돌출된 마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되도록 길이 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포설용 그리퍼.
KR2020140000478U 2013-07-16 2014-01-21 전선 포설용 그리퍼 KR200478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78U KR200478594Y1 (ko) 2014-01-21 2014-01-21 전선 포설용 그리퍼
PCT/KR2014/002778 WO2015008923A1 (ko) 2013-07-16 2014-04-01 전선 포설용 그리퍼 장치
SG11201600273TA SG11201600273TA (en) 2013-07-16 2014-04-01 Gripper device for wire laying
CN201410144109.2A CN104300437B (zh) 2013-07-16 2014-04-11 电线敷设用夹钳装置
JP2014082944A JP5832577B2 (ja) 2013-07-16 2014-04-14 電線布設用グリッ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78U KR200478594Y1 (ko) 2014-01-21 2014-01-21 전선 포설용 그리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37U KR20150002937U (ko) 2015-07-29
KR200478594Y1 true KR200478594Y1 (ko) 2015-10-26

Family

ID=5387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478U KR200478594Y1 (ko) 2013-07-16 2014-01-21 전선 포설용 그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5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5152B (zh) * 2023-07-18 2024-03-19 电管家能源管理(上海)有限公司 一种电力电缆敷设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33B1 (ko)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KR101451949B1 (ko) * 2013-09-26 2014-10-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33B1 (ko)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KR101451949B1 (ko) * 2013-09-26 2014-10-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37U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764Y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291493B1 (ko) 휴대용 케이블 피딩장치
CN102371582A (zh) 吸盘式机械手
KR101516562B1 (ko) 케이블 포설장치
KR200478594Y1 (ko) 전선 포설용 그리퍼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US1017327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wire rope
KR101664802B1 (ko) 세선 그리퍼를 이용한 전선포설장치
KR101530975B1 (ko) 전로 측면 부착형 케이블 포설장치
KR20150068113A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40001501U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101631570B1 (ko) 자동 전선 포설용 그리퍼 장치
KR20150087593A (ko) 벨트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장치
KR101452815B1 (ko) 기능성 케이블 자동이송장치
KR100826119B1 (ko) 와이어링의 홀딩장치
CN203958785U (zh) 一种送标签装置
KR101597568B1 (ko) 수직 그립형 트레이 클램프 및 그 고정방법
KR101505805B1 (ko) 다단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장치 및 포설방법
CN104499324A (zh) 钢丝绳插接器
KR101530952B1 (ko) 전선포설로봇
KR101548731B1 (ko) 테이프 카트리지
JP5614664B1 (ja) 電柱切断方法
KR102253882B1 (ko) 협소 공간의 전선 포설장치
KR101701274B1 (ko) 일방향 클러치와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전선포설용 그립퍼
KR101658946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전선포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