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949B1 -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949B1
KR101451949B1 KR1020130114512A KR20130114512A KR101451949B1 KR 101451949 B1 KR101451949 B1 KR 101451949B1 KR 1020130114512 A KR1020130114512 A KR 1020130114512A KR 20130114512 A KR20130114512 A KR 20130114512A KR 101451949 B1 KR101451949 B1 KR 10145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pper
link
electric wire
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김정민
서재원
박희환
정동현
김동수
박주이
김수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11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949B1/ko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SG11201600850XA priority patent/SG11201600850XA/en
Priority to SG11201600903TA priority patent/SG11201600903TA/en
Priority to PCT/KR2014/002779 priority patent/WO2015026038A1/ko
Priority to PCT/KR2014/002777 priority patent/WO2015026037A1/ko
Priority to PCT/KR2014/002775 priority patent/WO2015026036A1/ko
Priority to PCT/KR2014/002778 priority patent/WO2015008923A1/ko
Priority to SG11201600796WA priority patent/SG11201600796WA/en
Priority to PCT/KR2014/002780 priority patent/WO2015026039A1/ko
Priority to SG11201600797RA priority patent/SG11201600797RA/en
Priority to SG11201600273TA priority patent/SG11201600273TA/en
Priority to CN201410144123.2A priority patent/CN104426091B/zh
Priority to CN201410144106.9A priority patent/CN104416573B/zh
Priority to CN201410144109.2A priority patent/CN104300437B/zh
Priority to CN201410144104.XA priority patent/CN104416567B/zh
Priority to CN201410145594.5A priority patent/CN104426092B/zh
Priority to JP2014082956A priority patent/JP5873889B2/ja
Priority to JP2014082938A priority patent/JP5921593B2/ja
Priority to JP2014082936A priority patent/JP5937133B2/ja
Priority to JP2014082949A priority patent/JP5873888B2/ja
Priority to JP2014082944A priority patent/JP5832577B2/ja
Publication of KR10145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JP2016032684A priority patent/JP201614674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10)을 설정된 경로 상으로 포설력을 인가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10)의 전후진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링크(22)를 지니는 몸체(20); 상기 링크(22)와 연계하여 전선(10)을 파지하도록 그리퍼(31)를 지니는 파지수단(30); 및 상기 링크(22)와 그리퍼(31)의 운동을 유발하여 전선(10)에 포설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선박의 케이블 트레이와 같이 작업자의 접근성이 불량한 장소에 경박단소의 구조로 설치되어 포설작업의 생력화에 조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Cable pulling apparatus with gripping structure}
본 발명은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케이블 트레이와 같이 작업자의 접근성이 불량한 장소에 경박단소의 구조로 설치되어 포설작업의 생력화에 조력할 수 있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심 구조의 피복된 전선을 포설하는 것은 많은 인원 투입을 요구하는 작업이지만 포설의 자동화 및 기계화를 위한 장치가 도입되면서 효율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박 및 해양플랜트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전선포설 작업은 여전히 수작업에 의존하여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할 뿐더러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기 쉬워 작업의 효율성이 낮은 편이다.
전설포설 장치에는 전기/엔진/공압식 윈치류 포설기, 롤러/무한궤도/볼 형태의 풀러와 피더,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이드로프를 견인하기 위한 로봇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대부분의 장치는 무겁고 크기가 매우 커서 주로 직선형이면서 비교적 넓은 전로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곡선과 수직 전로에는 적용이 곤란한 실정이다.
특히 선박이나 플랜트의 경우 대부분의 전로에 곡선과 수직 구간이 많아 새로운 형태의 케이블 포설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스템의 중심에는 소형/경량/고속/고출력의 특징을 지닌 전선포설 장치가 자리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고할 수 있는 선행기술 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0592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4764호 등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선행기술 문헌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롤러; 상기 한 쌍의 구동 롤러에 감기어 회전하는 구동 밸트;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견인부; 상기 구동 롤러에 결합되어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 밸트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격되어 결합되는 푸싱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자동으로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고, 한 번에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포설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후자의 선행기술 문헌은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장치로서,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서 내측벽면에는 삽입되는 케이블을 압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볼이 끼워져 있는 케이블 그리퍼와; 고정물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그리퍼를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 스크류 및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협소 공간에서 케이블 견인 시 손상을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전자의 선행기술 문헌에 의하면 견인부를 포함한 전장이 길어지므로 협소하거나 복잡한 공간에 설치하기 곤란하고 구조상 곡선전로에서는 사용이 어려우며, 실질적으로 외경 45mm이상의 굵은 전선의 경우에는 최소 2ton 이상의 견인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힘을 내기에는 부족하다. 후자의 선행기술 문헌에 의하면 특히 케이블 그리퍼의 구조가 복잡하여 신뢰성과 내구성이 약화될 우려가 크며, 케이블의 외경에 대한 대응도가 낮아 케이블 외경에 따라 그리퍼를 제작하여야 하며, 무게가 무거워 실제 적용에는 애로사항이 많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205921호 "케이블 포설 장치"(공개일자 : 2012. 6. 18.)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4764호 "케이블 포설 장치"(공개일자 : 2011. 7. 2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 및 해양 플랜트의 협소한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포설작업과 같은 작업자의 접근성과 자세 불량으로 힘을 쓰기가 힘든 장소에 경박단소의 구조로 설치되어 포설작업 인원을 축소하고 시수를 절감할 수 있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선을 설정된 경로 상으로 포설력을 인가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의 전후진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링크를 지니는 몸체; 상기 링크와 연계하여 전선을 파지하도록 그리퍼를 지니는 파지수단; 및 상기 링크와 그리퍼의 운동을 유발하여 전선에 힘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링크는 일방향 운동시에만 전선과 동반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와 링크의 연결을 위한 힌지축은 분할핀, 스냅링, 나사, 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개재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와 링크는 전후진 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의 그리퍼는 선재, 벨트, U자봉, 일방향롤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그리퍼가 선재인 경우 와이어로프, 체인, 섬유,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그리퍼는 전선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블록, 나선, 맞물림 요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은 그리퍼의 착탈을 위한 잠금체를 더 구비하고, 잠금체는 포켓, 브라켓, 나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의 그리퍼는 전선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에어호스, 비닐, 가죽, 섬유, 고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피복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기 엑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전선포설을 위한 구동수단의 왕복운동을 설정된 주기로 발생하는 제어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부는 유공압 방식의 경우 유량제어와 시간지연 기능의 밸브를 개재하는 임의적 작동 주기로 포설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선의 당김 이동시 마찰저항을 축소하도록 롤러를 기반으로 하는 보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선의 포설시 케이블 트레이 사이즈와 폭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브라켓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 클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및 해양 플랜트의 협소한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포설작업과 같은 작업자의 접근성과 자세 불량으로 힘을 쓰기가 힘든 장소에 경박단소의 구조로 설치되어 포설작업 인원을 축소하고 시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어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선(10)을 설정된 경로 상으로 포설력을 인가하여 포설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도 1처럼 선박의 경우 전선(10)을 지지하는 케이블 트레이(12)가 좁고 복잡하며 높은 위치에서 수평, 수직, 곡선형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전선포설 장치(15)는 설치 환경이 열악한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케이블 트레이(12)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선포설 장치(15)는 몸체(20), 파지수단(30), 구동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기 주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서 이에 대한 세부 구성을 부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20)는 상기 전선(10)의 전후진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링크(22)를 지니는 구조이다. 몸체(20)는 케이블 트레이(12)에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고, 프레임 상에 링크(22)를 전후진 운동이 가능하게 수용한다. '전후진' 운동은 전선(10)이 포설되는 방향이므로 케이블 트레이(12)의 경로인 수평, 수직, 곡선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링크(22)의 전후진 운동은 반드시 직선운동에 한정되지 않고 회동운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몸체(20)의 링크(22)는 일방향 운동시에만 전선(10)과 동반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22)는 전진 운동시 전선에 마찰력의 작용에 의해 전선을 동반하여 이동할 수 있고, 후진 운동시 전선과 별개로 후진할 수 있다. 물론 몸체(20)를 반대로 돌려서 구동수단(40)에 부착할 경우에는 후진 운동시 전선(11)에 마찰력을 작용하여 전선을 후진시키고, 전진 운동시 전선(10)과 별개로 전진할 수 있다. 링크(22)가 몸체(20) 상에서 전진과 후진운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동안, 예를 들어 전진시에만 전선(10)에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포설력을 인가하는 원리이다. 이와 같은 일방향(one-way) 포설력은 후술하는 것처럼 간단한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전반적 구성을 단순화하는 요체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몸체(20)와 링크(22)의 연결을 위한 힌지축(23)은 분할핀, 스냅링, 나사, 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개재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예로서 링크(22)는 몸체(20) 상에 힌지축(23)을 개재하여 회동(요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 및 유지보수의 편의상 링크(22)는 분리가 용이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힌지축(23)은 분할핀, 스냅링, 나사, 키 등으로 분리가 용이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몸체(20)와 링크(22)는 전후진 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25)를 개재한다. 스토퍼(25)의 일예로 몸체(20)와 링크(22) 사이에 요철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스토퍼(25)는 은폐되는 구조가 적절하지만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택할 수도 있다. 물론 스토퍼(25)는 링크(22)의 실질적인 운동 범위가 아닌 최대허용 운동 범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파지수단(30)은 상기 링크(22)와 연계하여 전선(10)을 파지하도록 그리퍼(31)를 지니는 구조이다. 그리퍼(31)는 전술한 링크(22)와 함께 전선(10)에 대한 포설력을 단속하는 요체이다. 하나의 링크(22)에 하나의 그리퍼(31)를 적용함이 보편적이나 복수의 그리퍼(31)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파지수단(30)의 그리퍼(31)는 선재, 벨트, U자봉, 일방향롤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선재는 유연하게 벤딩 가능한 부재로서 전선(10)의 착탈(로딩/언로딩) 측면에서 유리하다. 벨트는 선재와 같은 유연성을 지니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지니고 경우에 따라 내면에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U자봉은 전선(10)의 착탈에 불편이 따르는 대신 고강도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방향롤러는 롤러와 원웨이클러치가 결합된 구조로서 경박단소의 측면에서 불리하지만 후진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퍼(31)의 선재, 벨트, U자봉, 일방향롤러는 단독적 또는 병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리퍼(31)가 선재인 경우 와이어로프, 체인, 섬유,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로프는 강재가 선호되지만 섬유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은 경박단소에 불리하지만 절단시 부분적 교체가 용이하다. 섬유와 수지는 고강도를 지닌 단심 또는 동축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리퍼(31)는 전선(1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블록, 나선, 맞물림 요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그리퍼(31)에 길이 조절을 위한 구성을 부여하는 경우 전선(10)의 직경이 달라지더라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블록은 금속재로 형성된 구체, 다면체, 원뿔체 등을 사용하는 것이 선호되지만 표준품인 너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블록은 선재의 일정 구간에 결합하며 원하는 지점에서 틈새를 벌려서 링크(22)에 결합한다. 이외에 일부 영역을 나선으로 결합하거나 요철을 맞물리고 일측에 나사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그리퍼(31)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파지수단(30)은 그리퍼(31)의 착탈을 위한 잠금체(35)를 더 구비하고, 잠금체(35)는 포켓, 브라켓, 나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그리퍼(31)의 일단은 링크(22)에 견실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잠금체(35)로 해체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퍼(31)로 선재를 사용하고 선재에 다수의 블록이 결합된 경우 링크(22)에는 블록과 맞물림 가능한 포켓을 형성한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서 그리퍼(31) 및 그 길이 조절 방식에 따라 잠금체(35)로서 브라켓이나 나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파지수단(30)의 그리퍼(31)는 전선(1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에어호스, 비닐, 가죽, 섬유, 고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피복재(33)를 더 구비한다. 링크(22)에 결합된 그리퍼(31)의 가압력이 전선(10)에 작용하면 고하중에 의하여 전선(10)의 피복이 손상될 우려가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리퍼(31)의 외면에 마찰계수가 높으면서 내마모성을 지닌 피복재(33)를 부가한다. 피복재(33)는 수지재인 에어호스, 비닐, 가죽, 섬유, 고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다. 물론 전선(10)의 손상이 우려되지 않는 경우 피복재(33)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40)은 상기 링크(22)와 그리퍼(31)의 운동을 유발하여 전선(10)에 포설력을 인가하는 구조이다. 몸체(20) 상에서 링크(22)와 그리퍼(31)의 전후진 운동은 구동수단(40)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술한 것처럼 구동수단(40)의 일방향 운동시에만 전선(10)에 포설력이 작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40)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기 엑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전선포설을 위한 구동수단(40)의 왕복운동을 설정된 주기로 발생하는 제어회로부(45)를 구비한다. 유압실린더와 공압실린더는 복동형이 선호되지만 단동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기 엑츄에이터는 서보모터 또는 리니어모터에 볼스크류, 링크, 캠 등의 왕복운동용 기구를 병용한다. 이외에 엔진식 등 공지의 왕복운동장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어회로부(45)는 유공압 방식과 전기 방식에 따라서 회로의 구성이 다르게 적용된다.
이때, 상기 제어회로부(45)는 유공압 방식의 경우 유량제어와 시간지연 기능의 밸브를 개재하는 임의적 작동 주기로 구동수단(40)에 왕복운동을 발생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공압방식의 제어회로부(45)를 예시하는 바, 개시밸브(46), 메인밸브(47), 조절밸브(48) 등에 의하여 구동수단(40)의 공압실린더를 작동한다. 특히 유공압 방식의 제어회로부(45)는 전기적 제어에 의한 동기화를 요하지 않는 점과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점에서 선호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개시밸브(46)를 개방하면 에어가 메인밸브(47)를 거쳐 공압실린더에 공급되어 링크(22)의 전진운동이 수행되는 동시에 조절밸브(48)에 전달되어 일정 압력에 이르기 까지 대기한 후에 메인밸브(47)를 작동하여 공압실린더의 후진운동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메인밸브와 링크(22)가 작동하는 한시동작의 타이밍(주기)은 조절밸브(48)에 의한 유량제어와 시간지연 기능으로 결정된다. 도 1처럼 다수의 전선포설 장치(15)가 공압방식으로 배치된 경우 상호 반드시 동기화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일측의 전선포설 장치(15)에서 타이밍 불일치로 과부하가 발생하면 제어회로부(45)에 잔류하는 공기의 유량제어와 시간지연으로 동작하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다음의 주기에서 이웃하는 전선포설 장치(15)와 자동으로 동기화 되어 합력이 최대가 되는 경우에 동작하게 된다. 물론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동기수행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선(10)의 포설시 마찰저항을 축소하도록 롤러를 기반으로 하는 보조수단(50)을 더 구비한다. 보조수단(50)은 주로 케이블 트레이(12)의 시작부, 말단부, 수평과 수직 경로가 교차하는 부분, 곡선 부분, 격벽 관통금물에 설치되어 전선(10)의 이동을 조력한다. 즉, 보조수단(50)이 설치되면 포설과정에서 전선포설 장치(15)가 부담하는 부하가 경감된다. 보조수단(50)은 하나 또는 복수의 지지용 롤러를 다방향으로 구비한다.
이외에, 도시에는 생략되나 케이블 트레이(12)에 전선포설 장치(15)를 설치함에 소요되는 모든 브라켓류를 의미하는 트레이 클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트레이 클램프는 케이블 트레이(12)의 사이즈와 폭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트레이 클램프는 전선포설장치(15)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트레이의 내측 및 외측에 전선포설장치(15)를 고정하게 된다.
작동에 있어서, 도 4(a)는 링크(22)가 전진하면서 그리퍼(31)와 함께 후방으로 기울어져 미끄럼 마찰력을 최대로 하여 전선(10)에 포설력을 적용하는 상태이고, 도 4(b)는 링크(22)가 후진하면서 그리퍼(31)와 함께 전방으로 기울어져 미끄럼 마찰력이 상실되어 전선(10)은 그대로 위치한다. 링크(22)의 전방 기울임과 후방 기울임은 전후방 전술한 스토퍼(25)의 각도 제한에 의하여 유발된다. 참고로 몸체(20)와 파지수단(30)의 설치 방향에 따라 전후진시 포설력의 적용 방향도 바뀔 수 있다.
이때, 도 4(a)의 상태에서 전선(10)에 대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링크(22) 및 그리퍼(31)의 전방과 후방의 소재를 달리하거나 링크(22)의 전방에 별도의 마찰슈우(도시 생략)를 더 부가할 수 있다. 마찰슈우의 재질, 부착 높이 등에 따라 전선(10)에 작용하는 미끄럼 마찰력이 변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선포설 장치(15)를 케이블 트레이(12)의 수직 경로에 배치하는 경우 도 2의 몸체(20)와 파지수단(30)으로 이루어진 전선 낙하방지용 장치(도시 생략)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선포설 장치(15)가 전선(10)을 당긴 후에 복귀하는 동안 전선 낙하방지용 장치가 전선(10)의 자중에 의한 낙하를 방지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한다. 전선포설의 낙하방지용 장치는 전선포설장치(15)를 복수로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전선 12: 케이블 트레이
15: 전선포설 장치 20: 몸체
21: 베이스 22: 링크
23: 힌지축 25: 스토퍼
30: 파지수단 31: 그리퍼
33: 피복재 35: 잠금체
40: 구동수단 45: 제어회로부
46: 개시밸브 47: 메인밸브
48: 조절밸브 50: 보조수단

Claims (13)

  1. 전선(10)을 설정된 경로 상으로 포설력을 인가하는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10)의 전후진 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링크(22)를 지니는 몸체(20);
    상기 링크(22)와 연계하여 전선(10)을 파지하도록 그리퍼(31)를 지니는 파지수단(30); 및
    상기 링크(22)와 그리퍼(31)의 운동을 유발하여 전선(10)에 포설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링크(22)는 일방향 운동시에만 전선(10)과 동반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링크(22)의 연결을 위한 힌지축(23)은 분할핀, 스냅링, 나사, 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개재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와 링크(22)는 전후진 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25)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30)의 그리퍼(31)는 선재, 벨트, U자봉, 일방향롤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31)가 선재인 경우 와이어로프, 체인, 섬유,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31)는 전선(1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블록, 나선, 맞물림 요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30)은 그리퍼(31)의 착탈을 위한 잠금체(35)를 더 구비하고, 잠금체(35)는 포켓, 브라켓, 나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30)의 그리퍼(31)는 전선(1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에어호스, 비닐, 가죽, 섬유, 고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피복재(3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전기 엑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전선포설을 위한 구동수단(40)의 왕복운동을 설정된 주기로 발생하는 제어회로부(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부(45)는 유공압 방식의 경우 유량제어와 시간지연 기능의 밸브를 개재하는 임의적 작동 주기로 포설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10)의 포설시 마찰저항을 축소하도록 롤러를 기반으로 하는 보조수단(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10)의 포설시 케이블 트레이(12) 사이즈와 폭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브라켓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트레이 클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KR1020130114512A 2013-07-16 2013-09-26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KR10145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512A KR101451949B1 (ko) 2013-09-26 2013-09-26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PCT/KR2014/002780 WO2015026039A1 (ko) 2013-08-21 2014-04-01 전선 포설용 공압장치 및 그 제어방법
SG11201600273TA SG11201600273TA (en) 2013-07-16 2014-04-01 Gripper device for wire laying
PCT/KR2014/002777 WO2015026037A1 (ko) 2013-08-21 2014-04-01 그리퍼 방식의 전선 포설장치
PCT/KR2014/002775 WO2015026036A1 (ko) 2013-08-21 2014-04-01 전선 포설용 이송장치
PCT/KR2014/002778 WO2015008923A1 (ko) 2013-07-16 2014-04-01 전선 포설용 그리퍼 장치
SG11201600796WA SG11201600796WA (en) 2013-08-21 2014-04-01 Transport device for laying power lines
SG11201600903TA SG11201600903TA (en) 2013-08-21 2014-04-01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line-laying robots
SG11201600797RA SG11201600797RA (en) 2013-08-21 2014-04-01 Device for laying power lines using gripper technique
PCT/KR2014/002779 WO2015026038A1 (ko) 2013-08-21 2014-04-01 전선 포설 로봇의 제어 시스템
SG11201600850XA SG11201600850XA (en) 2013-08-21 2014-04-01 Pneumatic pressure device for laying power lin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410144109.2A CN104300437B (zh) 2013-07-16 2014-04-11 电线敷设用夹钳装置
CN201410144123.2A CN104426091B (zh) 2013-08-21 2014-04-11 夹钳方式的电线敷设装置
CN201410144104.XA CN104416567B (zh) 2013-08-21 2014-04-11 电线敷设机器人用气压装置及其控制方法
CN201410145594.5A CN104426092B (zh) 2013-08-21 2014-04-11 电线敷设用输送装置
CN201410144106.9A CN104416573B (zh) 2013-08-21 2014-04-11 电线敷设机器人的控制系统
JP2014082956A JP5873889B2 (ja) 2013-08-21 2014-04-14 電線布設ロボット用空圧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082938A JP5921593B2 (ja) 2013-08-21 2014-04-14 グリッパ方式の電線布設装置
JP2014082936A JP5937133B2 (ja) 2013-08-21 2014-04-14 電線布設装置
JP2014082949A JP5873888B2 (ja) 2013-08-21 2014-04-14 電線布設ロボットの制御システム
JP2014082944A JP5832577B2 (ja) 2013-07-16 2014-04-14 電線布設用グリッパ装置
JP2016032684A JP2016146742A (ja) 2013-08-21 2016-02-24 グリッパ方式の電線布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512A KR101451949B1 (ko) 2013-09-26 2013-09-26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949B1 true KR101451949B1 (ko) 2014-10-22

Family

ID=5199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512A KR101451949B1 (ko) 2013-07-16 2013-09-26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9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351A (ko) * 2013-09-30 2015-04-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와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전선포설용 그립퍼
KR200478594Y1 (ko) * 2014-01-21 2015-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그리퍼
KR20160001635U (ko) * 2014-11-07 2016-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너클형 그리퍼 기구
CN114069542A (zh) * 2022-01-18 2022-02-18 山西古县西山登福康煤业有限公司 一种采煤机拖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33B1 (ko)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KR200454764Y1 (ko)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205921B1 (ko) 2010-12-08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33B1 (ko)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KR200454764Y1 (ko)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205921B1 (ko) 2010-12-08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351A (ko) * 2013-09-30 2015-04-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와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전선포설용 그립퍼
KR101701274B1 (ko) 2013-09-30 2017-0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와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전선포설용 그립퍼
KR200478594Y1 (ko) * 2014-01-21 2015-10-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그리퍼
KR20160001635U (ko) * 2014-11-07 2016-05-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너클형 그리퍼 기구
KR200482414Y1 (ko) 2014-11-07 2017-01-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너클형 그리퍼 기구
CN114069542A (zh) * 2022-01-18 2022-02-18 山西古县西山登福康煤业有限公司 一种采煤机拖缆装置
CN114069542B (zh) * 2022-01-18 2022-04-08 山西古县西山登福康煤业有限公司 一种采煤机拖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949B1 (ko) 그리핑 방식의 전선포설 장치
JP5937133B2 (ja) 電線布設装置
CN100493855C (zh) 两件式远程操作臂
JP5921593B2 (ja) グリッパ方式の電線布設装置
JP5873888B2 (ja) 電線布設ロボットの制御システム
CN207994481U (zh) 滑动可调式电缆敷设装置
KR101664802B1 (ko) 세선 그리퍼를 이용한 전선포설장치
CN107910818B (zh) 一种线缆用剥线工具
KR200482414Y1 (ko) 전선포설용 너클형 그리퍼 기구
CN210224803U (zh) 一种自动穿线机
KR102227886B1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3070B1 (ko) 케이블 포설 로봇
KR101597569B1 (ko) 트레이 주행형 케이블 포설 로봇장치 및 주행 제어방법
KR101707406B1 (ko) 견인식 다중케이블 포설기구
CN203883389U (zh) 一种剥线机的拉线装置
KR20150022123A (ko) 자동 전선 포설용 그리퍼 장치
CN104051989B (zh) 一种剥线机的拉线装置
KR101658946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전선포설 장치
CN215942949U (zh) 一种全自动涂油机器人
KR101545620B1 (ko) 토크제한기를 포함하는 전선포설 장치
KR101701274B1 (ko) 일방향 클러치와 타이밍 벨트를 이용한 전선포설용 그립퍼
KR101538929B1 (ko) 편심 당김 구조의 케이블 그리퍼
KR101587481B1 (ko) 공압 근육을 적용한 케이블 포설장치
KR20150087044A (ko) 전선 포설 로봇의 제어 시스템
KR20150022042A (ko) 케이블 포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