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40Y1 -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 Google Patents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540Y1
KR200476540Y1 KR2020140004249U KR20140004249U KR200476540Y1 KR 200476540 Y1 KR200476540 Y1 KR 200476540Y1 KR 2020140004249 U KR2020140004249 U KR 2020140004249U KR 20140004249 U KR20140004249 U KR 20140004249U KR 200476540 Y1 KR200476540 Y1 KR 200476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reference shape
paper
pictur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다현
Original Assignee
이다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현 filed Critical 이다현
Priority to KR2020140004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5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10Teaching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는 상부에 연필 또는 색연필 등의 표시수단으로 그림을 그리기 위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이 그려진 상기 기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부재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기준부재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1 기준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2 기준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그림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도 용이하게 대상 그림의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미술 재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 그림의 종류나 크기에 제한이 없이 누구든지 용이하게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미술에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그림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면분할의 개념 및 미분과 적분의 원리를 알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의 숫자 개념 및 공간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KIT FOR PRACTICING DRAWING USING DIFFERENTIATION AND INTEGRAL CALCULUS}
본 고안은 미술 연습 도구에 관한 고안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에 격자 형상의 기준형상을 형성시켜 미분의 원리로써 대상 그림을 면분할 하고, 그림을 그리기 위한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격자무늬 형상에 면분할된 그림을 격자 단위로 모사하도록 함으로써, 그림 그리기에 익숙하지 않은 아동들도 그림 그리기의 기본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에 관한 고안이다.
유치원 아동 또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들이 정서 함양 또는 교양의 습득을 목적으로 그림을 그린다.
미술을 처음 접하는 아동들의 경우, 대부분 특정 이미지를 보고 그 이미지를 그대로 모사하는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므로, 이때 그림의 수준은 그림을 그리는 어린이의 타고난 재능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기초적인 미술 교육을 위해서는 선긋기, 구도 포착 등의 연습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학교 또는 유치원 등의 교육기관에서 그림을 전문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선생님들을 통해 모든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미술 교육을 가르치기에는 시간적 경제적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특정 그림을 제시한 상태에서 아동들이 그 그림을 그대로 모사하도록 하는 정도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그림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도 용이하게 대상 그림의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미술 재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 그림의 종류나 크기에 제한이 없이 누구든지 용이하게 모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림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면분할의 개념 및 미분과 적분의 원리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들의 숫자 개념 및 공간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는 상부에 연필 또는 색연필 등의 표시수단으로 그림을 그리기 위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이 그려진 상기 기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부재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기준부재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1 기준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2 기준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은 서로 다른 가로 및 세로 방향 간격을 가지거나 또는 가공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가로 및 세로 방향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은 가공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가로 및 세로 방향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의 가로 방향 폭은 1 mm 내지 5 cm 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의 세로 방향 폭은 1 mm 내지 5 cm 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기준부재에서 상기 기준형상에는 상기 가로 및 세로 방향 직선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숫자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기준부재는 하나의 동일한 종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준형상은 상기 종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준형상은 상기 종이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그림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도 용이하게 대상 그림의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미술 재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상 그림의 종류나 크기에 제한이 없이 누구든지 용이하게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미술에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그림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면분할의 개념 및 미분과 적분의 원리를 알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의 숫자 개념 및 공간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기준부재와 베이스부재가 함께 제본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에 포함되는 베이스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미술 연습 도구에 포함되는 기준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그림을 그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기준부재와 베이스부재가 함께 제본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에 포함되는 베이스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상기 미술 연습 도구에 포함되는 기준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그림을 그린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4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는 상부에 연필 또는 색연필 등의 표시수단으로 그림을 그리기 위한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이 그려진 상기 기준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부재(20)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기준부재(20)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1 기준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2 기준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연필, 색연필, 물감 등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기 위한 종이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통상적인 단일의 사각형 종이 또는 스케치북, 책 등에 포함되는 종이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예를 들어 1 mm 내지 5 cm 와 같은 폭(w1, h1) 간격으로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직선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로와 세로 방향 직선들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0) 상에는 다수의 격자들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격자들을 제 2 기준형상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10) 상에 형성되는 제 2 기준형상의 각 격자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와 세로 방향 직선에 1 부터 n 까지의 번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부재(20)는 종일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기준부재(20) 상에도 상기 베이스부재(10)에서와 같은 다수의 격자들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부재(2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자들을 제 1 기준형상이라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부재(2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가 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기준부재(20) 역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준부재(20)의 격자들도 예를 들어 1 mm 내지 5 cm 와 같은 폭(w2, h2) 간격으로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부재(20) 상에 형성되는 제 1 기준형상에서 각 격자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가로와 세로 방향 직선에 1 부터 n 까지의 번호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은 서로 다른 가로 및 세로 방향 간격을 가질 수도 있으나,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은 인쇄 가공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가로 및 세로 방향 간격을 갖는 격자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기준형상(격자)이 형성된 상기 기준부재(20) 상의 대상 그림(100)은 상기 기준부재(20)의 각 격자들에 의해 면 분할되어 표현된다.
이러한 상태는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강아지, 100)이 1-1 격자부터 n-n 격자까지 면 분할된 상태가 되며, 따라서 각 격자별로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100, 강아지)의 선들이 표현되는 상태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서 가로방향 4 번째, 세로방향10 번째 격자(26) 부분에서는 상기 그리고자 하는 강아지 그림 중의 일부가 격자 26 의 중간부분을 위 아래로 가로지르는 완만한 선으로 표현된다.
상기와 같이 각 격자별로 그리고자 하는 대상 강아지 그림이 표현된 상태를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동일한 위치 격자에 표현함으로써, 그리고자 하는 대상 강아지 그림을 상기 베이스부재(10) 상에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부재(20)에서 가로방향 4 번째, 세로방향 10 번째 격자(26)에 표현된 부분을 상기 베이스부재(10)의 가로방향 4 번째, 세로방향 10 번째 격자에 동일하게 표현하며, 나머지 상기 기준부재(20) 상에 표현된 격자 내의 선들을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형성된 동일 위치의 격자에 표현함으로써, 전체 그림을 그리게 된다.
즉, 상기 격자무늬가 형성된 상기 기준부재(20)의 대상 강아지 그림을 다수의 격자 상에 표현함으로써, 상기 강아지 그림(100)을 면 분할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을 다수의 소 격자별로 미분하는 개념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할된 대상 그림(100)을 상기 베이스부재(10)에 형성된 다수의 격자에 각 격자별로 그리게 되는데, 이는 개개 격자별로 그림을 그려 전체 그림을 완성하는 적분의 개념에 해당된다.
그림을 그리는 것에 익숙치 않은 유아 또는 청소년들에게 일정한 기준이 없이 대상 그림을 그리도록 할 경우에는, 대상 그림에 대한 대략적인 눈 대중 파악에 의해 종이 위에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그림 그리기에 재능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부분의 경우 대상 그림의 전체적인 비례가 적절히 균형을 잡지 못하는 상태로 종이 위해 표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에 격자를 형성하여 각 격자별로 대상 그림의 선들이 표현되는 모양을 파악하여 베이스부재(10) 상에 각 격자별로 상기 선들을 표현한다면, 그림 그리기에 익숙치 않은 유아 또는 청소년들도 대상 그림의 모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준부재(20)와 베이스부재(10)를 이용하여 그림의 모사를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대상 그림을 복수의 면으로 분할하여 종이 위에 그리는 방식을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상기 기준부재(20)에 형성된 격자의 식별을 위한 숫자를 읽게 되고, 또한 베이스부재(10) 상의 격자 식별을 위해 표시된 숫자를 찾게 되므로, 유아들의 숫자 및 공간 개념의 발달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의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 폭은 해상도에 해당되며, 상기 가로방향 폭 및 세로방향 폭이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록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의 면 분할이 보다 상세하게 되며, 베이스부재(10) 상에도 보다 정밀한 그림의 표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견지에서 상기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 폭은 1 mm 내지 5 c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 폭이 1 mm 미만일 경우에는, 대상 그림의 면 분할 수가 지나치게 많아져 전체 그림의 완성에 많은 수고가 요구되며,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그림을 그리는 도중 흥미를 잃기 쉽게 된다,
한편, 상기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 폭이 5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 그림에 대한 면 분할 수가 작아지고, 각 격자의 크기가 커져 그림의 표현이 정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견지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 방향 폭 및 세로 방향 폭이 2 mm 내지 3 c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재(10)와 기준부재(20)는 각각 하나의 종이 일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종이 전면에 상기 제 1 기준형상을 인쇄하여 형성하고, 그 뒷면에 상기 제 2 기준형상을 인쇄 형성하여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본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베이스부재
20: 기준부재
100: 대상 그림

Claims (7)

  1. 상부에 연필 또는 색연필 등의 표시수단으로 그림을 그리기 위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그리고자 하는 대상 그림이 그려진 기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부재는 종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기준부재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1 기준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에 따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2 기준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기준부재에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1 기준형상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숫자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제 2 기준형상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숫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은 서로 다른 가로 및 세로 방향 간격을 가지거나 또는 가공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가로 및 세로 방향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와 기준부재는 하나의 종이에 양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기준형상은 상기 종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준형상은 상기 종이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와 기준부재가 형성되는 종이는 복수의 장으로 구성되되 그 측부가 제본 결합됨으로써 책과 같이 형성되며,
    상기 책을 펼치는 때에 제본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종이가 펼쳐지며,
    상기 양측으로 펼쳐진 종이에서 일측에는 기준부재가 표시되며, 타측에는 베이스부재가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의 가로 방향 폭은 1 mm 내지 5 c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형상과 제 2 기준형상의 세로 방향 폭은 1 mm 내지 5 c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40004249U 2014-06-04 2014-06-04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KR200476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49U KR200476540Y1 (ko) 2014-06-04 2014-06-04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249U KR200476540Y1 (ko) 2014-06-04 2014-06-04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540Y1 true KR200476540Y1 (ko) 2015-03-12

Family

ID=5304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249U KR200476540Y1 (ko) 2014-06-04 2014-06-04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5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9298A (zh) * 2016-12-02 2018-07-31 博梯环球有限公司 填色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090A (ja) * 1997-05-23 1998-12-08 Minoru Haketa 模写用治具
KR20090032851A (ko) * 2007-09-28 2009-04-01 이원구 어린이용 그림 찾기 및 그리기 놀이 교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4090A (ja) * 1997-05-23 1998-12-08 Minoru Haketa 模写用治具
KR20090032851A (ko) * 2007-09-28 2009-04-01 이원구 어린이용 그림 찾기 및 그리기 놀이 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9298A (zh) * 2016-12-02 2018-07-31 博梯环球有限公司 填色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6096B2 (en) Tactile spelling totems
KR101598428B1 (ko) 수학교습도구
KR200476540Y1 (ko) 미분과 적분 원리를 이용한 미술 연습 도구
CN210011518U (zh) 能够进行立体游戏的学习用尺
KR200485339Y1 (ko) 도형이동 교육용 학습교구
KR100832606B1 (ko) 어린이용 수학 교구
CN105196753A (zh) 一种智力开发绘图板及题目编制工艺
EP2947639A1 (en) Double-sided, front-to-back-aligned, tactile learning aid
Ashbrook The STEM of inquiry
KR20180001684U (ko) 놀이학습교구
Ferrington Pattern, the password to mathematics: Cracking the code with Year 2
KR200232077Y1 (ko) 학습용 블럭 세트, 및 학습용 교재 세트
KR200260820Y1 (ko) 그림학습교재
Butler Classroom Literacy Games: Fun-packed activities for ages 7-13
Skoumpourdi Patterns for kindergartners: a developmental framework
KR200485714Y1 (ko) 구구단 교육용 학습교구
Thangarajah Strengthening Mathematics Courses for Elementary Education
Stansell et al. Reflections on Being New to Digital Fabrication
CN201862251U (zh) 160拼板
JP2005212275A (ja) 文字または図形の書き方練習用教材、および、書き方練習用教材セット
CZ2019110A3 (cs) Pomůcka pro výuku čtení výškopisných čárových a plošných značek v kartografii
CN202410119U (zh) 330拼板
KR101092705B1 (ko) 학습도구
CN201156311Y (zh) 多边形面积推导磁性演示器
WO2017141421A1 (ja) 数と図形の学習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