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86Y1 - 예취기 날 - Google Patents

예취기 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86Y1
KR200475786Y1 KR2020140006628U KR20140006628U KR200475786Y1 KR 200475786 Y1 KR200475786 Y1 KR 200475786Y1 KR 2020140006628 U KR2020140006628 U KR 2020140006628U KR 20140006628 U KR20140006628 U KR 20140006628U KR 200475786 Y1 KR200475786 Y1 KR 200475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olding line
assembly
cutt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2020140006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86Y1/ko
Priority to PCT/KR2015/009288 priority patent/WO201603615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9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supported by an ai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취기의 날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와, 조립부를 중심으로 대향된 양쪽 선단부에 바깥쪽을 향해 호형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해주며 바깥면을 따라 제1가공부가 형성되는 전방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해주는 후방부와,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조립부의 뒤쪽 바깥면의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1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후방부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접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날의 회전에 따른 부양력을 통해 예취기의 무게를 줄여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바닥의 돌 등에 쉽게 부딪혀 날이 파손되거나 돌 등이 튀어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날의 회전에 따라 하향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절단된 대상물의 청소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다리부위를 시원하게 해주어 보다 쾌적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예취기 날{BLADE OF REAPER}
본 고안은 곡식, 풀, 잡목 등을 절단하는 예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날의 회전에 따른 부양력을 통해 작업의 편의성과 이용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예취기 날에 관한 것이다.
예취기 또는 예초기는 곡식, 풀, 어린 잡목 등의 초목을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하는 용도와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예취기의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1345034호를 통해 이미 게재된 바 있다.
일반적인 예취기의 구조를 보면 작업대 하단의 기어케이스에 날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날은 중간부위가 넓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지는 일자형상이면서 회전방향쪽 전면으로 절단부가 형성되고, 중간의 결합부위에는 기어케이스에 내재된 연결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예취기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일자형상으로 구성된 예취기의 날이 지면에 쉽게 닿아 흙이나 돌에 쉽게 부딪혀 날이 파손되거나 돌 등이 튀어올라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주변물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엔진이나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이 연결되는 기어케이스가 작업대의 하단에 설치됨에 따라 가중되는 작업대의 무게로 인하여 작업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면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함께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예취기 날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부양력을 통해 작업대의 무게가 감소됨에 따라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날과 지면과의 부딪힘을 줄여 날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예취기의 날을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예취기의 날은,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와, 조립부를 중심으로 대향된 양쪽 선단부에 바깥쪽을 향해 호형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해주며 바깥면을 따라 제1가공부가 형성되는 전방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해주는 후방부와,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조립부의 뒤쪽 바깥면의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1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후방부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접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후방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3가공부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양 측단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2가공부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제1접힘부에는 제1접힘선으로부터 이격되며,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2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제1접힘부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린 제2접힘부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조립부의 대향된 양측에 전방부와 후방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날의 양측을 소정각도 위쪽으로 구부린 제3접힘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예취기의 날은,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와, 조립부를 중심으로 대향된 양측 선단부에 바깥쪽을 향해 호형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해주며 바깥면을 따라 제1가공부가 형성되는 전방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해주는 후방부와,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조립부의 앞쪽 바깥면의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4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날의 양측이 위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4접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제4접힘부에는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제4접힘선과 만나지 않는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5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제4접힘부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제5접힘부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제4접힘부에는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6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제4접힘부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제6접힘부가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예취기의 날은,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와, 조립부를 중심으로 대향된 양쪽 선단부에 바깥쪽을 향해 호형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해주며 바깥면을 따라 제1가공부가 형성되는 전방부와,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해주는 후방부와,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7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후방부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7접힘부와, 조립부의 대향된 양측에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제8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날의 양측을 소정각도 위쪽으로 구부려 형성되는 제8접힘부와, 제8접힘선에서 양 측단부를 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고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제9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날의 양측을 아래쪽으로 구부려 수평상태가 되는 제9접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양 측단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2가공부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후방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3가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은, 제8접힘부의 앞쪽 바깥면에는 제4가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예취기의 날은 날에 구비되는 꺽임부를 통해 부양력을 제공함으로써, 날과 기어케이스를 통해 결합된 작업대의 무게를 줄여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예취기의 방향 전환이 용이하면서 바닥면에 쉽게 닿지 않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면에 날이 쉽게 부딪혀 날이 파손되거나 날과 부딪힌 돌 등의 튐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날의 회전에 따라 부양력이 발생되면서 하향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절단된 대상물의 청소가 가능해지며, 바람이 작업자의 다리부위를 시원하게 해주어 보다 쾌적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고안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고안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의 날은 크게 작업대의 기어케이스에 연결되는 조립부와, 날의 대향된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양 측단부와, 날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앞쪽에 위치하는 전방부와, 날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뒤쪽에 위치하는 후방부와, 양 측단부와 조립부의 뒤쪽 바깥면을 연결하는 제1접힘선에 의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접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예취기를 구성하는 작업대(500)와 기어케이스(600)는 통상의 구성부품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기어케이스에 연결되는 날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도 1 을 통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립부(100)는,
날의 중앙에 위치하여 회전의 중심이 되는 부위로서, 예취기의 기어케이스(600) 내에 위치하는 구동축(도면중 미도시)에 연결되며, 구동축과의 연결을 위하여 조립부(100)에는 연결공(110)이 구비된다.
양 측단부(200)는,
전술한 조립부(100)를 중심으로 날의 양끝 선단부에 위치하며, 선단부의 형상은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양 측단부(200)의 형상은 호형으로 한정될 필요없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바깥쪽을 향하여 다각을 이루면서 돌출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양 측단부(200)의 돌출되는 정도 또한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전방부(300)와 후방부(400)의 외측 끝단에서 5mm 이상 더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전방부(300)는,
전술한 조립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날의 진행방향에 대해 날의 앞쪽에 위치하고, 전술한 조립부(100)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조립부(100)와 양 측단부(200)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시켜주며, 이러한 전방부(300)의 바깥면에는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회전에 의해 절단력을 가지는 제1가공부(310)가 형성된다.
전방부(300)는 직선형 또는 돌출형 또는 함몰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방부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제1가공부(310)는 바깥면에 일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가공부(310)는 절단력이 감소되지 않는 범위에서 직선형, 곡선형, 웨이브형, 요철형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후방부(400)는,
전술한 전방부(300)와 대향되어 전술한 조립부(10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날의 진행방향에 대해 뒤쪽에 위치하며, 전술한 조립부(100)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조립부(100)와 양 측단부(200)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시켜준다.
후방부(400) 또한 전술한 전방부(300)와 같이 직선형 또는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전방부(300)와 이러한 후방부(400)는 대칭 또는 비대칭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접힘부(410)는,
날이 회전될 때 지면으로부터 부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날의 후방부(400)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형성한 것이다.
제1접힘부(410)의 구부러지는 각도는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부양력을 만들 수 있는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평의 조립부(100)로부터 제1접힘부(410)의 각도는 대략 3도~90도 범위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접힘부(410)의 제1접힘선(411) 위치는 어느 하나의 위치로 정해질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접힘선(411)의 한쪽은 양 측단부(2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연결되고, 제1접힘선(411)의 반대쪽은 조립부(100)의 뒤쪽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제1접힘선(411)을 기준으로 후방부(400)의 일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려지면서 제1접힘부(410)가 구성된다.
제1접힘선(411)은 한쪽이 양 측단부(200)가 아닌 전방부(300)의 바깥면 중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접힘선(411)의 반대쪽 또한 조립부(100)의 뒤쪽 바깥면이 아닌 후방부(400)의 바깥면 중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날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를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 예로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날의 전방부(300)에 형성되는 제1가공부(310)를 포함하면서 날의 후방부(400)의 바깥면에도 회전에 의한 절단력을 가질 수 있는 제3가공부(420)가 더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전방부(300)의 제1가공부(310)가 마모 또는 파손되어 절단력이 저하될 경우 날의 뒤집어 날의 진행방향 앞쪽으로 후방부(400)의 제3가공부(420)가 위치되도록 하면 날의 사용기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 에서와 같이 날의 양 측단부(200)의 바깥면을 따라서도 제2가공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양 측단부(200)의 경우 호형의 바깥면을 따라 제2가공부(210) 또한 호형으로 형성되면서 절단 대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절단 대상물이 날의 전방부(300)에 위치한 제1가공부(310)에 닿기 전에 양 측단부(200)의 제2가공부(210)에 먼저 닿아 절단되면서 연속된 2단의 절단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절단 대상물이 아닌 돌이나 장애물인 경우 호형의 제2가공부(210)가 먼저 닿게 되어 양 측단부(200)가 충격를 완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돌이나 장애물로 인해 제1가공부(310)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 에서와 같이 제1접힘부(410)에는 제1접힘선(411)과 겹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양 측단부(2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후방부(4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소정 각도 기울여 서로 연결하는 제2접힘선(431)이 형성되고, 그러한 제2접힘선(431)을 기준으로 제1접힘부(410)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제1접힘부(410)와 함께 제2접힘부(430)가 2단으로 연속하여 구부러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2단의 구부러짐은 날의 회전에 따른 부양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접힘부(410)와 제2접힘부(430)의 구부러지는 각도는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없이 필요로 하는 부양력을 만들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일 예로 수평의 조립부(100)로부터 제2접힘부(430)의 구부러지는 각도는 대략 3도~90도 범위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 에서와 같이 조립부(100)의 대향된 양측에는 전방부(300)와 후방부(400)를 수직 또는 기울여 연결하는 한 쌍의 제3접힘선(12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그러한 제3접힘선(121)을 기준으로 날의 양측을 위쪽으로 구부려 대향된 제3접힘부(12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3접힘부(12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3접힘부(120)의 기울어지는 각도는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하게 조립부(10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대략 3도~60도 사이가 될 수 있다.
제3접힘선(121)의 위치는 조립부(100)쪽 제1가공부(310)와 제2가공부(210)가 형성되는 시작 지점이 될 수도 있지만 제1가공부(310)와 제2가공부(210)의 선상 어느 한 지점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의 날은 도 6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조립부(100)와, 양 측단부(200)와, 제1가공부(310)가 형성된 전방부(300)와, 후방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면서 날의 후방부(4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조립부(100)의 앞쪽 바깥면의 어느 한 지점을 소정각도 기울여 연결하는 제4접힘선(441)을 형성하고, 그러한 제4접힘선(441)을 기준으로 날의 양측을 위쪽으로 구부려 제4접힘부(4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4접힘부(440)는 조립부(100)의 수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3도~60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4접힘선(441)은 양 측단부(200)의 어느 한 지점과 전방부(3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 또는 양 측단부(200)의 어느 한 지점과 조립부(100)의 앞쪽 바깥면 또는 후방부(400)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전방부(3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후방부(4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조립부(100)의 앞쪽 바깥면을 연결하는 제4접힘선(441)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구부러지는 제4접힘부(440)에는 양 측단부(2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제4접힘선(441)이 겹치지 않는 범위에서 후방부(4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5접힘선(451)이 더 구비되고, 그러한 제5접힘선(451)을 기준으로 제4접힘부(440)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제5접힘부(45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도 7 에서와 같이 제4접힘부(440)에는 제5접힘선(451) 및 제5접힘부(450)를 구성하지 않고, 제4접힘선(441)과 겹치지 않으면서 양 측단부(2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전방부(3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6접힘선(321)을 구성한 후 그러한 제6접힘선(321)을 기준으로 제4접힘부(440)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대략 수평이 되도록 제6접힘부(320)가 구성함으로써, 제4접힘부(440)와 함께 제6접힘부(320)가 2단으로 연속하여 구부러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의 날은 도 8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조립부(100)와, 양 측단부(200)와, 제1가공부(310)가 형성된 전방부(300)와, 후방부(400)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며, 날에는 양 측단부(2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후방부(400)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7접힘선(461)이 형성되고, 그러한 제7접힘선(461)을 기준으로 후방부(400)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제7접힘부(460)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조립부(100)의 대향된 양측에는 전방부(300)의 바깥면과 후방부(400)의 바깥면을 수직 또는 기울여 연결하는 제8접힘선(131)이 형성되고, 그러한 제8접힘선(131)을 기준으로 날의 양측이 소정각도 상측으로 구부려지면서 제8접힘부(130)가 구비된 것이다.
또한, 제8접힘선(131)으로부터 양 측단부(200)쪽을 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전방부(300)의 바깥면과 후방부(400)의 바깥면을 수직 또는 기울여 연결하는 제9접힘선(141)이 형성되고, 그러한 제9접힘선(141)을 기준으로 날의 양측을 다시 아래쪽으로 구부려 조립부(100)와 같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제9접힘부(140)가 형성된 것이다.
제8접힘선(131)과 제9접힘선(141)은 서로 이격되어 평형이면서 전방부(300)와 후방부(400)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제8접힘선(131)과 제9접힘선(141)은 서로 이격되어 평형이 아닌 어느 하나는 전방부(300)와 후방부(400)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제8접힘선(131)과 제9접힘선(141)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두개 모두 전방부(300)와 후방부(400)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8접힘선(131)과 제9접힘선(141)은 연이어 형성되고, 그러한 제8접힘선(131)과 제9접힘선(141)을 기준으로 제8접힘부(130)와 제9접힘부(140)가 2단으로 구부러지면 조립부(100)는 대략 ∪ 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 형태의 조립부(100)로 인하여 도 9 에서와 같이 날의 제1가공부(310)가 지면으로부터 높게 위치될 수 있어 제1가공부(310)가 지면의 돌이나 장애물과의 접촉에 따라 파손되거나, 제1가공부(310)에 부딪쳐 튀어 오르는 돌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 형태의 조립부(100)는 기어케이스(600)의 커버(610)를 감싸게 되면서 기어케이스(6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또 다른 실시 예에서도 날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날의 전방부(300)에 형성되는 제1가공부(310)를 포함하면서 날의 후방부(400) 바깥면에도 제3가공부(420)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날의 양 측단부(200)의 바깥면에도 제2가공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 위치하는 제8접힘부(130)의 앞쪽 바깥면에도 제4가공부(132)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8접힘부(130)의 바깥면에 제4가공부(132)가 형성되면 절단 대상물의 절단과정에서 절단 대상물이 기어케이스(600)의 커버(610) 안쪽으로 감겨 들어가 기어케이스(600)의 커버(610) 내부에서 감기게 되려고 할 때 제4가공부(132)가 기어케이스(600)의 내부로 감겨 들어가려는 절단 대상물을 사전에 절단해줄 수 있어 기어케이스(60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조립부 110 : 연결공
120 : 제3접힘부 121 : 제3접힘선
130 : 제8접힘부 131 : 제8접힘선
132 : 제4가공부 140 : 제9접힘부
141 : 제9접힘선 200 : 양 측단부
210 : 제2가공부 300 : 전방부
310 : 제1가공부 320 : 제6접힘부
321 : 제6접힘선 400 : 후방부
410 : 제1접힘부 411 : 제1접힘선
420 : 제3가공부 430 : 제2접힘부
431 : 제2접힘선 440 : 제4접힘부
441 : 제4접힘선 450 : 제5접힘부
451 : 제5접힘선 460 : 제7접힘부
461 : 제7접힘선 500 : 작업대
600 : 기어케이스 610 : 커버

Claims (12)

  1. 예취기의 작업대와 연결되는 기어케이스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에 있어서,
    상기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를 중심으로 대향된 양쪽 선단부에 바깥쪽을 향해 호형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부;
    상기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해주며, 바깥면을 따라 제1가공부가 형성되는 전방부;
    상기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해주는 후방부; 및
    상기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상기 조립부의 뒤쪽 바깥면의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1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상기 후방부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접힘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1접힘부에는 제1접힘선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2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제1접힘부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러지는 제2접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3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단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2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의 대향된 양측에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날의 양측을 소정각도 위쪽으로 구부린 제3접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예취기의 날.
  6. 예취기의 작업대와 연결되는 기어케이스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에 있어서,
    상기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를 중심으로 대향된 양쪽 선단부에 바깥쪽을 향해 호형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부;
    상기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해주며, 바깥면을 따라 제1가공부가 형성되는 전방부;
    상기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해주는 후방부; 및
    상기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상기 조립부의 앞쪽 바깥면의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4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상기 날의 양측이 위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4접힘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접힘부에는 상기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상기 제4접힘선과 만나지 않는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5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상기 제4접힘부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제5접힘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접힘부에는 상기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상기 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6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제4접힘부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구부려 제6접힘부가 구비되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9. 예취기의 작업대와 연결되는 기어케이스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에 있어서,
    상기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를 중심으로 대향된 양쪽 선단부에 바깥쪽을 향해 호형으로 돌출되는 양 측단부;
    상기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앞쪽에서 연결해주며, 바깥면을 따라 제1가공부가 형성되는 전방부;
    상기 조립부와 양 측단부를 날의 진행방향 뒤쪽에서 연결해주는 후방부;
    상기 양 측단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과 상기 후방부의 바깥면 어느 한 지점을 연결하는 제7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상기 후방부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7접힘부;
    상기 조립부의 대향된 양측에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제8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날의 양측을 소정각도 위쪽으로 구부려 형성되는 제8접힘부; 및
    상기 제8접힘선에서 양 측단부를 향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제9접힘선이 기준이 되어 날의 양측을 아래쪽으로 구부려 수평상태가 되는 제9접힘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단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2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의 바깥면을 따라 제3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8접힘부의 앞쪽 바깥면에는 제4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의 날.



KR2020140006628U 2014-09-05 2014-09-05 예취기 날 KR200475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628U KR200475786Y1 (ko) 2014-09-05 2014-09-05 예취기 날
PCT/KR2015/009288 WO2016036159A2 (ko) 2014-09-05 2015-09-03 예취기 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628U KR200475786Y1 (ko) 2014-09-05 2014-09-05 예취기 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786Y1 true KR200475786Y1 (ko) 2015-01-02

Family

ID=5258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628U KR200475786Y1 (ko) 2014-09-05 2014-09-05 예취기 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5786Y1 (ko)
WO (1) WO201603615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668B1 (ko) * 2017-06-19 2018-12-14 김혁중 예초기 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316B1 (ko) * 2018-03-12 2020-03-19 백덕흠 부양력을 갖춘 예초기 절단날
CN110506486A (zh) * 2019-08-11 2019-11-29 广州锐尔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割草机上的悬浮式刀片及其实现悬浮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710Y1 (ko) * 2001-11-29 2002-03-06 예종락 예초기용 칼날
KR20020085323A (ko) * 2001-05-08 2002-11-16 주식회사삼광기계 예초기용 칼날
KR200334759Y1 (ko) 2003-08-25 2003-12-03 이상칠 예초기용 커터날
KR20140099664A (ko) * 2013-02-04 2014-08-13 김두용 부양력을 갖는 예초기 회전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4809A (ja) * 1993-04-01 1994-10-11 Hirotaka Aoki 草刈機用回転切断刃およびそれを備えた草刈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5323A (ko) * 2001-05-08 2002-11-16 주식회사삼광기계 예초기용 칼날
KR200266710Y1 (ko) * 2001-11-29 2002-03-06 예종락 예초기용 칼날
KR200334759Y1 (ko) 2003-08-25 2003-12-03 이상칠 예초기용 커터날
KR20140099664A (ko) * 2013-02-04 2014-08-13 김두용 부양력을 갖는 예초기 회전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9668B1 (ko) * 2017-06-19 2018-12-14 김혁중 예초기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6159A2 (ko) 2016-03-10
WO2016036159A3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786Y1 (ko) 예취기 날
JP6310646B2 (ja) 刈払い機の草切断ブレード
WO2005077144A1 (en) A knife protect cover of weed cuter
JP2018102235A (ja) カッタブレード及び芝刈機
JP2018102234A (ja) カッタブレード及び芝刈機
KR101050682B1 (ko)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KR200493100Y1 (ko) 예초기 안전 관절날
JP3793178B2 (ja) 草刈機用保護カバーと草刈機
KR102510421B1 (ko)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JP5367775B2 (ja) 携帯用動力草刈機用多機能回転切断刃
KR20150135677A (ko) 접철 가능한 절단칼이 구비된 예초기용 절단부
KR100702851B1 (ko) 예취기용 칼날
JP6382520B2 (ja) 耕耘爪および農作業機
JP6495646B2 (ja) 耕耘爪
KR100543672B1 (ko) 예초기 부착형 잔디깎기 및 예초 안전망
JP5097969B1 (ja) 草刈刃および草刈機
JP7352938B2 (ja) 草刈機用カバー
JP3143570U (ja) 刈払機にセットする除草用回転刃
KR20190003189U (ko) 예초기 칼날
KR200355077Y1 (ko) 예초기 칼날
KR101634222B1 (ko) 예취기
KR20150107489A (ko) 회전내장식 칼날을 구비한 예초기
KR101188667B1 (ko) 예초기용 칼날
KR20130094909A (ko) 예초기용 안전 칼날
JP3117704U (ja) 草刈機における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