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682B1 -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 Google Patents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682B1
KR101050682B1 KR1020100089629A KR20100089629A KR101050682B1 KR 101050682 B1 KR101050682 B1 KR 101050682B1 KR 1020100089629 A KR1020100089629 A KR 1020100089629A KR 20100089629 A KR20100089629 A KR 20100089629A KR 101050682 B1 KR101050682 B1 KR 101050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ent
respect
cutting blade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두
Original Assignee
권영기
권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기, 권영두 filed Critical 권영기
Priority to KR102010008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682B1/ko
Priority to JP2011168067A priority patent/JP536777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 A01D34/733Cutting-blade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A01D75/185Avoiding collisions with obs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기용 회전 절단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성을 갖는 잡목의 작업시 튕김을 줄여 절단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지면이나 장애물에 칼날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형광도료가 도포된 홈을 구비하여 칼날의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잘려진 잡초가 칼날과 예초기의 결합 부위에 엉키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예초기용 회전 절단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초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결합공이 구비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반경날부가 구비된 예초기용 절단날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도록 일측단에 반경날부가 구비되는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반경날부의 일단부로부터 회전방향의 역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반경날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향절곡 또는 하향절곡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A weeder mower blade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예초기용 회전 절단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성을 갖는 잡목의 작업시 튕김을 줄여 절단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지면이나 장애물에 칼날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잘려진 잡초가 칼날과 예초기의 결합 부위에 엉키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예초기용 회전 절단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기용 칼날(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이 일자형이나 십자형의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중앙영역에 결합공(20)이 구비되어 예초기에 결합된 후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일자형이나 십자형으로 구비되는 칼날부분에는 칼날이 회전되는 방향측에 반경날부(15)가 구비되어 칼날이 회전되는 회전력에 의해 풀 등을 베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예초기용 칼날(10)은 예초 작업시 칼날이 아카시아 나무와 같은 강성을 갖는 잡목에 직각으로 부딪히게 되면 나무를 베어내지 못하고 부딪히는 충격에 의해 나무가 튕겨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예초기용 칼날(10)과 연결된 예초기 역시 강한 충격을 받게 되어 기기의 손상을 유발하는 한편, 상기 나무에서 비산되는 나무조각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예초기용 칼날은 예초 작업시 칼날과 인접한 잡초들이 칼날의 중앙영역으로 기울어지면서 예초기와 칼날이 결합된 부분에 엉키거나 꼬이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동중인 예초기를 세워놓고 잡초들을 제거하거나, 예초기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잡초들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대단히 위험할 뿐더러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예초기와 칼날이 결합된 부분에 잡초가 엉키거나 꼬이는 현상으로 인해 칼날의 원활한 회전이 저해되어 예초작업 효율이 저감될 뿐 아니라, 구동모터의 과부하로 모터가 손상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연료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경날부가 구비되는 몸체의 단부측에 칼날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가 구비됨으로써 칼날이 강성을 갖는 장애물에 부딪히더라도 튕겨지지 않고 베어낼 수 있도록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절곡되거나 하향절곡되는 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지면 및 장애물에 충돌되는 것을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예초기를 사용할 수 있고 잘려진 풀이 칼날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에 도료를 도포하여 회전되는 절단날의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예초기용 칼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예초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결합공이 구비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반경날부가 구비된 예초기용 절단날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도록 일측단에 반경날부가 구비되는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반경날부의 일단부로부터 회전방향의 역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반경날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향절곡 또는 하향절곡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날부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양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향절곡되는 것과 지면과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하향절곡되는 것이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길이 중간이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잘려진 잡초가 상기 결합공 주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에 색상을 갖는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초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결합공이 구비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반경날부가 구비된 예초기용 절단날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도록 일측단에 반경날부가 구비되는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반경날부의 일단부로부터 회전방향의 역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향절곡 또는 하향절곡되도록 상기 관통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날부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양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향절곡되는 것과 지면과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하향절곡되는 것이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길이 중간이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잘려진 잡초가 상기 결합공 주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예초기용 절단날의 단부측에 절단날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를 구비하여 절단날이 강성을 갖는 잡목에 부딪히더라도 튕겨지지 않고 잘 베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단날 및 예초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예초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를 일정각도로 상향절곡시키거나 하향절곡시켜 지면 및 돌, 철 구조물 등과 같은 장애물에 충돌되는 것을 작업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예초기를 사용할 수 있고 잘려진 잡초가 절단날과 예초기의 결합 부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절단날 및 예초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칼날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에 도료를 도포하여 회전되는 칼날의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예초기용 칼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예초기용 칼날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예초기용 절단날(100,200,300)은 일자형이나 십자형, 또는 3면날과 같이 복수 개의 칼날부가 구비된 도 1의 공지의 예초기용 칼날(10)에서 몸체(110,210,310)의 일단에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122,222,322)가 구비되어 강성을 갖는 물체에 부딪치더라도 튕기지 않고 벨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몸체(110,210,310), 연장부(120,220,320) 및 절곡부(130a,130b,230a,230b,330a,330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210,310)는 도 1에 도시된 일자형이나 십자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공지의 칼날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판 상의 부재로, 예초기에 결합되어 예초기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는 결합공(114,214,314)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14,214,314)을 중심으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는 측단에는 각각 반경날부(112,212,312)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110,210,310)의 회전시 상기 반경날부(112,212,312)에 의해 잡초나 잡목과 같은 대상물을 벨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반경날부(112,212,312)는 상기 몸체(110)의 측단에서 회전방향에 위치되는 측단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회전운동에 의해 대상물을 벨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210,310)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몸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색상을 갖는 도료가 도포되어 사용자가 예초기의 사용시 상기 예초기용 칼날(100,200,3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형광(야광)색을 갖는 도료가 도포되어 야간이나 우천시 주위가 어두울 때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홈부(116,216)가 관통형성된 후 상기 홈부(116,216)를 포함하여 몸체의 표면에 도료가 동시에 도포되도록 함으로써 몸체(110,210)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료가 홈부(116,216)에 의해 오래도록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홈부(116,216)의 내부면에 도료가 도포되도록 하여 잡초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예초기용 칼날(100,200)을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예초 작업시 도료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부(116,216)는 압입 또는 절삭을 통하여 상기 몸체(110,210)에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홈부(116,216)가 몸체(110,210)에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몸체(110,210)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깊이 함몰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연장부(120,220,320)는 일정 면적을 갖추어 상기 몸체(110,210,310)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와 수평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연장부(120,220,320)에는 상기 반경날부(112,212,312)의 일단부로부터 회전방향의 역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서서히 경사지도록 주변날부(122,222,322)가 구비된다.
즉, 상기 주변날부(122,222,322)는 상기 반경날부(112,212,312)와 연결되어 절단날이 상기 몸체(110,210,310)의 테두리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10,210,310)의 단부에 연장부(120,220,320)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20,220,320)에 주변날부(122,222,322)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갈수록 회전반경이 커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주변날부(122,222,322)가 강성을 갖는 장애물에 부딪히더라도 튕겨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베어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주변날부(122,222,322)가 상기 반경날부(112,212,31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반경날부와 더불어 절단날을 형성함으로써 대상물이 반경날부(112,212,312)에 의해 절단되는 것은 물론 대상물이 주변날부(122,222,322)를 따라서 접촉되어 연속적으로 베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성을 갖는 대상물이라 할지라도 튕겨지지 않고 주변날부(122,222,322)에 의해 베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는 주변날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몸체(110)의 측단에 구비되는 반경날부(11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주변날부(122)가 도 1 및 도 2의 도면을 기준으로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회전방향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가 도 2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주변날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날부(112)의 끝단과 상기 결합공(114)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A)이 둔각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100~120°로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날부(222,322)가 곡선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도 4 및 도 5의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주변날부(222,322)가 아래쪽에서 윗쪽으로 갈수록, 즉 칼날의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갈수록 서서히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공지의 예초기용 칼날에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경사지도록 주변날부(122,222,322)를 구비하여 칼날이 강성을 갖는 장애물에 부딪히더라도 튕겨지지 않고 베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칼날 및 예초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예초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절곡부(130a,130b,230a,230b)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210)의 일측 - 더욱 자세하게는 반경날부(112,212)가 형성되지 않은 측단에 상기 몸체(110,210)의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절곡 또는 하향절곡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절곡부(130a,130b,230a,230b)는 상기 반경날부(112,212)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곡부 중에서 상기 결합공(114,214)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절곡부(130a,230a)는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절곡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14,214)과 먼 위치에 배치되는 절곡부(130b,230b)는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절곡되도록 구비된다.(도 3b, 도 4b 참조)
이로 인해, 상기 몸체(110,210)의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절곡된 절곡부(130b,230b)는 작업시 절단날이 지면에 너무 가까워져 지면에 충돌될 우려가 있는 경우 절곡부(130b,230b)의 일부가 지면에 미리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칼날과 지면이 가깝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미리 알려줌으로써 작업자가 칼날과 지면과의 거리를 인식하면서 안전하게 예초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210)의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절곡된 절곡부(130a,230a)는 절단날의 회전 작업시 상향 절곡된 부분을 통해 양력을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양력에 의해 무게를 경감시켜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10,210)의 일측에 각각 절곡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곡부(130a,130b,230a,230b)는 길이 중간이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도록 절곡형성될 수도 있다.(도 3c, 도 4c 참조)
통상적으로 절단날의 회전 작업시 잘려진 잡초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결합공(114,214) 측으로 이동되어 감기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초기용 절단날(100,200)은 상기 절곡부(130a,130b,230a,230b)가 상기 결합공(114,214)의 외측으로 절곡형성됨으로써 잘려진 잡초가 상기 절곡부의 절곡된 부분을 통해 차단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이로 인해 예초작업시 잘려진 잡초 등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결합공 주위에 감겨서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초기용 칼날(300)은 몸체(310)의 내부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부(318)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310)에 대하여 상향절곡 또는 하향절곡되도록 상기 관통부(318)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도록 절곡부(330a,33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부(318)에 각각 구비되는 절곡부(330a,330b) 중에서 상기 결합공(314)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절곡부(330a)는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절곡되고, 상기 결합공(314)과 먼 위치에 배치되는 절곡부(330b)는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절곡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몸체(310)의 수평면에 대하여 하향절곡된 절곡부(330b)는 작업시 작업자가 칼날과 지면과의 거리를 인식하여 안전하게 예초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310)의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절곡된 절곡부(330a)는 절단날의 회전 작업시 상향 절곡된 부분을 통해 양력을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양력에 의해 무게를 경감시켜 작업자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330a,330b)가 상기 관통부(318)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절곡부(130a,130b)의 길이 중간이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도록 절곡형성될 수도 있다.(도 5c 참조)
이는, 상기 절곡부(330a,330b)가 상기 결합공(314)의 외측으로 절곡형성됨으로써 잘려진 잡초가 상기 절곡부(330a,330b)의 절곡된 부분을 통해 차단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예초기용 절단날(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결합공(414)이 구비되고 테두리를 따라 반경날부(412)가 형성된 몸체(4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반경날부(412)가 형성되지 않는 몸체(410)의 측단에 내측으로 절개형성되는 절개홈(418)을 복수개 형성한 후 이웃하는 절개홈(418)을 서로 연결하여 절곡부(430a,430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430a, 430b) 중에서 상기 결합공(414)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절곡부(430a)는 상향절곡시키고, 상기 결합공(414)과 먼 위치에 배치되는 절곡부(430b)는 하향절곡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예초기용 절단날의 단부측에 절단날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를 구비하여 절단날이 강성을 갖는 잡목에 부딪히더라도 튕겨지지 않고 잘 베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단날 및 예초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예초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절곡부를 일정각도로 상향절곡시키거나 하향절곡시켜 지면 및 돌, 철 구조물 등과 같은 장애물에 충돌되는 것을 작업자가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예초기를 사용할 수 있고 잘려진 잡초가 절단날과 예초기의 결합 부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절단날 및 예초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칼날에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에 도료를 도포하여 회전되는 칼날의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에 의한 균등물, 변형물 및 등가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 : 예초기용 칼날 15 : 칼날부
100,200,300,400 : 휴대용 예초기용 절단날
110,210,310,410 : 몸체 112,212,312,412 : 반경날부
114,214,314,414 : 결합공 116,216 : 홈부
318 : 관통부
120,220,320 : 연장부 122,222,322 :주변날부
130a,130b,230a,230b,330a,330b,430a,430b : 절곡부
418 : 절개홈

Claims (9)

  1. 예초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결합공이 구비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반경날부가 구비된 예초기용 절단날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도록 일측단에 반경날부가 구비되는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반경날부의 일단부로부터 회전방향의 역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반경날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향절곡 또는 하향절곡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날부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양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향절곡되는 것과 지면과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하향절곡되는 것이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길이 중간이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잘려진 잡초가 상기 결합공 주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에 색상을 갖는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6. 예초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결합공이 구비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반경날부가 구비된 예초기용 절단날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서로 대각방향에 배치되도록 일측단에 반경날부가 구비되는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반경날부의 일단부로부터 회전방향의 역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서서히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변날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몸체의 내측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향절곡 또는 하향절곡되도록 상기 관통부로부터 각각 연장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날부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양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상향절곡되는 것과 지면과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하향절곡되는 것이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길이 중간이 상기 몸체의 수평면에 대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하도록 절곡형성되어 잘려진 잡초가 상기 결합공 주위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용 절단날.
KR1020100089629A 2010-08-05 2010-09-13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KR101050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29A KR101050682B1 (ko) 2010-09-13 2010-09-13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JP2011168067A JP5367775B2 (ja) 2010-08-05 2011-08-01 携帯用動力草刈機用多機能回転切断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629A KR101050682B1 (ko) 2010-09-13 2010-09-13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192 Division 2010-08-05 2010-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682B1 true KR101050682B1 (ko) 2011-07-20

Family

ID=4492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629A KR101050682B1 (ko) 2010-08-05 2010-09-13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68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26Y1 (ko) 2012-06-29 2013-04-03 박정규 예취기용 디스크장치
KR101296491B1 (ko) * 2011-12-19 2013-08-13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JP2015043725A (ja) * 2013-08-28 2015-03-12 有限会社曽田農機設計事務所 刈取作業機
KR101531663B1 (ko) * 2014-12-17 2015-06-25 김도균 예취기용 날
KR101734411B1 (ko) * 2016-10-14 2017-05-24 정태근 예초기용 커터날
KR101757868B1 (ko) 2016-10-13 2017-07-14 (주)민성테크 예초기용 칼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546U (ko) * 1998-08-06 2000-03-06 김남식 예초기용 칼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546U (ko) * 1998-08-06 2000-03-06 김남식 예초기용 칼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491B1 (ko) * 2011-12-19 2013-08-13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KR200466126Y1 (ko) 2012-06-29 2013-04-03 박정규 예취기용 디스크장치
JP2015043725A (ja) * 2013-08-28 2015-03-12 有限会社曽田農機設計事務所 刈取作業機
KR101531663B1 (ko) * 2014-12-17 2015-06-25 김도균 예취기용 날
WO2016099003A1 (ko) * 2014-12-17 2016-06-23 김도균 예취기용 날
KR101757868B1 (ko) 2016-10-13 2017-07-14 (주)민성테크 예초기용 칼날
KR101734411B1 (ko) * 2016-10-14 2017-05-24 정태근 예초기용 커터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682B1 (ko)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US11464164B2 (en) High-efficiency cutting system
EP3110242B1 (en) Cutting blade
KR101583805B1 (ko) 충격 방지 기능을 갖는 예초기용 커터 구조
KR101618734B1 (ko) 안전커버를 일체로 구성한 예초기용 칼날세트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689855B1 (ko) 다목적 제초장치
JP5367775B2 (ja) 携帯用動力草刈機用多機能回転切断刃
KR101374398B1 (ko) 예초기용 커터
KR101658165B1 (ko) 예초기용 절첩칼날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JP2010178751A (ja) 刈払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刈払機
KR101929668B1 (ko) 예초기 커터
KR101864945B1 (ko) 가이드블레이드를 구비한 예초기 칼날
KR102510421B1 (ko) 개량식 예초기 날 구조
CN102369810B (zh) 便携式割灌机的金属刀片
KR200403471Y1 (ko) 예초기칼날보호구
KR20190057912A (ko) 예초기 칼날
JP5097969B1 (ja) 草刈刃および草刈機
KR20110085359A (ko) 예초날
US20190069481A1 (en) Attachment plate for supporting walk behind trimmers with third wheel
KR200354210Y1 (ko) 예취기용 칼날
KR200256445Y1 (ko) 예취기
KR101374399B1 (ko) 예초기용 지지롤러
KR101270059B1 (ko) 예초기용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