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663B1 - 예취기용 날 - Google Patents

예취기용 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663B1
KR101531663B1 KR1020140182312A KR20140182312A KR101531663B1 KR 101531663 B1 KR101531663 B1 KR 101531663B1 KR 1020140182312 A KR1020140182312 A KR 1020140182312A KR 20140182312 A KR20140182312 A KR 20140182312A KR 101531663 B1 KR101531663 B1 KR 101531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ssembly
gear case
lower sid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Original Assignee
김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균 filed Critical 김도균
Priority to KR102014018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63B1/ko
Priority to PCT/KR2015/009726 priority patent/WO20160990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3Cutt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취기 날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와, 조립부 우측면부 상의 상측부위에서 연장되며 제1가공부로 구성되는 상측면은 조립부의 상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측면과 대향되는 하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날부와, 조립부 좌측면부 상의 하측부위에서 연장되며 제2가공부로 구성되는 하측면은 조립부의 하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하측면과 대향되는 상측면은 바깥면으로 갈수록 하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날부와, 조립부의 상측면부에서 제1날부를 향하는 제3가공부와 대향된 하향 경사의 절단면 상에 돌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조립부의 좌측면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제5가공부가 구비되고,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보조날부 및 조립부의 하측면부에서 제2날부를 향하는 제4가공부와 대향된 상향 경사의 절단면 상에 돌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조립부의 우측면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제6가공부가 구비되고,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보조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예취기 날에 구비되는 보조날부를 통해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기게 되는 풀을 사전에 절단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예취기용 날{BLADE FOR REAPER}
본 발명은 곡식, 풀, 잡목 등의 초목을 절단하는 예취기용 날에 관한 것이다.
예취기 또는 예초기는 곡식, 풀, 어린 잡목 등의 초목을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사용하는 용도와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예취기의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1345034호를 통해 이미 게재된 바 있다.
일반적인 예취기의 구조를 보면 작업대 하단의 기어케이스에 날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날은 중간부위가 넓고 양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일자형상이면서 회전방향쪽 전면으로 절단부가 형성되고, 중간의 결합부위에는 기어케이스에 내재된 연결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공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예취기를 이용한 풀의 절단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날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풀이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쉽게 감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어케이스의 구동력을 감소 및 정지시키게 되면서 작업이 빈번하게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작업의 연속성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긴 풀을 제거하기 위하여 날을 잡고 제거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예취기를 이용하여 풀을 절단함에 있어서, 날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풀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풀이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쉽게 감긴 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 또한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예취기 날을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구비되고 사각의 형상을 가지는 조립부와, 조립부 우측면부의 상측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제1가공부로 구성되는 상측면은 조립부의 상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측면과 대향되는 하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날부와, 조립부 좌측면부의 하측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제2가공부로 구성되는 하측면은 조립부의 하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하측면과 대향되는 상측면은 바깥면으로 갈수록 하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날부와, 조립부의 상측면부에 형성되며 상측면부에서 제1날부를 향하는 일부는 제3가공부로 형성되고 제2날부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는 하향 경사지는 절단면을 이루다가 그 끝부위에 좌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는 제5가공부가 구비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의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보조날부 및 조립부의 하측면부에 형성되며 하측면부에서 제2날부를 향하는 일부는 제4가공부로 형성되고 제1날부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는 상향 경사지는 절단면을 이루다가 그 끝부위에 우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는 제6가공부가 구비되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의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2보조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구비되고 사각의 형상을 가지는 조립부와, 조립부 우측면부 상의 상측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제1가공부로 구성되는 상측면은 조립부의 상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측면과 대향되는 하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날부와, 조립부 좌측면부 상의 하측부위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제2가공부로 구성되는 하측면은 조립부의 하측면부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하측면과 대향되는 상측면은 바깥면으로 갈수록 하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날부와,
조립부의 상측면부에 형성되며 상측면부에서 제1날부를 향하는 일부는 제3가공부로 형성되고 제2날부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는 하향 경사지는 제1접힘선을 이루며 좌측면부 중 제1접힘선부터 상측면부까지는 제7가공부가 형성되고 제1접힘선을 기준으로 조립부의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3보조날부 및 조립부의 하측면부에 형성되며 하측면부에서 제2날부를 향하는 일부는 제4가공부로 형성되고 제1날부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는 상향 경사지는 제2접힘선을 이루며 우측면부 중 제2접힘선부터 하측면부까지는 제8가공부가 형성되고, 제2접힘선을 기준으로 조립부의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4보조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날부와 제2날부의 끝단인 바깥면 상하 길이는 상기 조립부의 우측면부 및 좌측면부 상하 길이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러한 절반보다 작거나 또는 그러한 절반보다 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날의 중심부위에 형성되며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되는 연결공이 구비되고 사각의 형상을 가지는 조립부와, 조립부 우측면부 상의 상측부위에서 연장되며 조립부의 상측면부와 함께 제9가공부로 구성되는 상측면은 조립부의 상측면부와 수평을 이루고, 상측면과 대향되는 하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3날부와, 조립부 좌측면부 상의 하측부위에서 연장되며 조립부의 하측면부와 함께 제10가공부로 구성되는 하측면은 조립부의 하측면부와 수평을 이루고 하측면과 대향되는 상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측면과 점차 멀어지도록 구성되는 제4날부와, 조립부의 우측면부 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3날부의 하측면을 향하는 측면에는 경사진 제11가공부가 형성되고 조립부의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5보조날부 및 조립부의 좌측면부 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4날부의 상측면을 향하는 측면에는 경사진 제12가공부가 형성되어 조립부의 연결공을 향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6보조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3날부와 제4날부의 끝단인 바깥면 상하 길이는 상기 조립부의 우측면부 및 좌측면부 상하 길이의 절반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러한 절반보다 작거나 또는 그러한 절반보다 크게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립부의 우측면부와 상측면부가 이루는 각 및 조립부의 좌측면부와 하측면부가 이루는 각은 직각 또는 둔각 또는 예각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예취기 날을 구성함에 있어서, 날의 중심부에 보조날부를 구비하여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기게 되는 풀을 사전에 절단해줌에 따라 풀이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기게 되는 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 등이 발생되던 종래의 문제점 또한 해결되어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취기 날의 구성은 크게 작업대의 기어케이스에 연결되는 조립부와, 조립부의 한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1날부와, 조립부의 다른 한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2날부와, 조립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보조날부와, 조립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보조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취기를 구성하는 작업대와 기어케이스는 통상의 구성부품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과 도면의 표시는 생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 구성요소를 도 1 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조립부(100)는 날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기어케이스와 연결되는 부위로서, 예취기의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하는 구동축과의 연결을 위해 조립부(100)의 중심에는 연결공(101)이 형성된다.
조립부(100)는 대략 사각의 형상을 가지며, 수평을 이루는 상측면부(102)와 하측면부(108) 및 그러한 상측면부(102)와 하측면부(108)를 양측에서 서로 연결하는 우측면부(104)와 좌측면부(106)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조립부(100)가 평행사변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로 한정될 필요 없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및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와 상측면부(102)가 이루는 각도(a)와, 좌측면부(106)와 하측면부(108)가 이루는 각도(b)가 서로 동일한 예각으로 구성된 것이며, 각도(a)와, 각도(b)는 동일한 직각 또는 둔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도(a)와, 각도(b)는 서도 다른 각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날부(110)는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 상에서 상측부위에 치우쳐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어 돌출되며, 제1날부(110)의 상측면은 절삭력을 가지는 제1가공부(111)로 구성되어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와 동일 선상의 수평을 이루고, 제1날부(110)에서 상측면과 대향되는 아래쪽 하측면은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에서 멀어지게 되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측면과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제1날부(110)의 바깥쪽 끝단은 상측면 끝부위와 하측면의 끝부위가 바깥면에 의해 수직형태로 연결되며, 이러한 바깥면은 호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날부(110)의 제1가공부(111)는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와 동일 선상의 수평을 이루지 않고, 상측면부(102)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하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날부(120)는 조립부(100)의 좌측면부(106) 상에서 하측부위에 치우쳐 바깥쪽을 향해 연장 돌출되며, 제2날부(120)의 하측면은 절삭력을 가지는 제2가공부(121)로 구성되어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와 동일 선상의 수평을 이루고, 제2날부(120)에서 하측면과 대향되는 위쪽 상측면은 조립부(100)의 좌측면부(106)에서 멀어지게 되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측면과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제2날부(120)의 바깥쪽 끝단 또한 하측면 끝부위와 상측면의 끝부위가 바깥면에 의해 수직형태로 연결되며, 제2날부(120)의 바깥면 또한 수직이 아닌 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날부(120)의 제2가공부(121) 또한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와 동일 선상의 수평을 이루지 않고, 하측면부(108)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상하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날부(110)와 제2날부(120)는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와 좌측면부(106)에서 일자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날부(110)와 제2날부(120)는 일자형태이면서 바깥쪽 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거나 점점 넓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보조날부(130)는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 상에 형성되어 조립부(100)에 근접하는 풀을 제거해준다.
이를 위해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 상에서 제1날부(110)를 향하는 일부분은 절삭력을 가지는 제3가공부(103a)로 구성되어 제1가공부(111)와 연결되고, 상측면부(102) 상에서 제2날부(120)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분은 하향 경사지는 제1절단면(103b)으로 형성되며, 그러한 제1절단면(103b)의 끝부위에는 좌측면부(106)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면서 수평을 이루고 절삭력을 가지는 제5가공부(131)가 측면에 구비되도록 제1보조날부(1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보조날부(13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제5가공부(131)는 좌측면부(106)와 동일 선상의 수평은 물론 좌측면부(106)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우측 또는 좌측방향을 따라 기울어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보조날부(130)는 조립부(100)의 표면과 동일하게 편평한 수평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조립부(100)의 연결공(101)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보조날부(130)는 연결공(101)을 향하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둔각 또는 예각 또는 직각의 형태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으며, 위쪽으로 90도 구부러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보조날부(140)는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 상에 형성되어 조립부(100)에 근접하는 풀을 제거해준다.
이를 위해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 상에서 제2날부(120)를 향하는 일부분은 절삭력을 가지는 제4가공부(109a)로 구성되어 제2가공부(121)와 연결되고, 하측면부(108) 상에서 제1날부(110)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분은 상향 경사지는 제2절단면(109b)으로 형성되며, 그러한 제2절단면(109b)의 끝부위에는 우측면부(104)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면서 수평을 이루고 절삭력을 가지는 제6가공부(141)가 측면에 구비되도록 제2보조날부(14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보조날부(140) 또한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제6가공부(141)는 우측면부(104)와 동일 선상의 수평은 물론 우측면부(104)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우측 또는 좌측방향을 따라 기울어지게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보조날부(140) 또한 조립부(100)의 표면과 동일하게 편평한 수평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조립부(100)의 연결공(101)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보조날부(140) 또한 연결공(101)을 향하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둔각 또는 예각 또는 직각의 형태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으며, 위쪽으로 90도 구부러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보조날부(130)과 제2보조날부(140)는 그 구부러지는 방향과 각도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거나, 대칭이거나, 비대칭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와 제1가공부(111)가 이루는 각(c) 및 조립부(100)의 좌측면부(106)와 제2가공부(121)가 이루는 각(d)은 예시된 도면에서는 둔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직각 또는 예각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날부(110)와 제2날부(120)의 끝단인 바깥면의 상하 길이(D)는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 및 좌측면부(106) 상하 길이(L)의 절반보다는 작거나 또는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취기 날은 다양한 변형 실시 예를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를 예시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예취기 날의 다른 실시 예로,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통해 예시된 제1보조날부(130)와 제2보조날부(140)의 변형 실시 예로서 제3보조날부(130a)와 제4보조날부(140a)를 예시한 것이며, 이러한 제3보조날부(130a)와 제4보조날부(140a)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하여 제3보조날부(130a)와 제4보조날부(140a)를 설명한다.
제3보조날부(130a) 또한 전술한 제1보조날부(130)와 같이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 상에 형성되어 조립부(100)에 근접하는 풀을 제거해준다.
이에 따라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 상에서 제1날부(110)를 향하는 일부가 제3가공부(103a)로 구성되면서 제1가공부(111)와 연결되고, 상측면부(102) 상에서 제2날부(120)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에는 상측면부(102) 한쪽과 좌측면부(106)의 한쪽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하향 경사진 제1접힘선(103c)이 구비된다.
조립부(100)의 좌측면부(106) 상의 제1접힘선(103c)에서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가 만나는 제3보조날부(130a)의 측면은 절삭력을 가지는 제7가공부(131a)로 구성된다.
제3보조날부(130a)는 대략 삼각형이 될 수 있으며, 제7가공부(131a)는 좌측면부(106)와 동일한 수평을 이루지만 좌측면부(106)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제3보조날부(130a)는 조립부(100)의 표면과 동일하게 편평한 상태로 수평을 이루면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연결공(101)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제3보조날부(130a)는 연결공(101)을 향하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둔각 또는 예각 또는 직각의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위쪽으로 90도 구부러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4보조날부(140a) 또한 전술한 제2보조날부(140)와 같이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 상에 형성되어 조립부(100)에 근접하는 풀을 제거해준다.
이에 따라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 상에서 제2날부(120)를 향하는 일부가 제4가공부(109a)로 구성되면서 제2가공부(121)와 연결되고, 하측면부(108) 상에서 제1날부(110)를 향하는 나머지 일부에는 하측면부(108) 한쪽과 우측면부(104)의 한쪽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향 경사진 제2접힘선(109c)이 구비된다.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 상의 제2접힘선(109c)에서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가 만나는 제4보조날부(140a)의 측면은 절삭력을 가지는 제8가공부(141a)로 구성된다.
제4보조날부(140a) 또한 대략 삼각형이 될 수 있으며, 제8가공부(141a)는 우측면부(104)와 동일한 수평을 이루지만 우측면부(104)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제4보조날부(140a) 또한 조립부(100)의 표면과 동일하게 편평한 상태로 수평을 이루면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연결공(101)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제4보조날부(140a) 또한 연결공(101)을 향하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둔각 또는 예각 또는 직각의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위쪽으로 90도 구부러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예취기 날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조립부(100a)와, 제3날부(110a)와, 제4날부(120a)와, 제5보조날부(130b)와, 제6보조날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조립부(10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날의 중심에 위치하여 회전의 중심이 되며, 구동축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공(101)이 중심에 형성되고, 조립부(100a)의 형상은 대략 사각의 형상을 이루며, 서로 대향되어 수평을 이루는 상측면부(102a)와 하측면부(108a) 및 그러한 상측면부(102a)와 하측면부(108a)를 서로 연결하는 우측면부(104a)와 좌측면부(106a)로 구성된다.
조립부(100a)는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립부(100)와 같이 평행사변형은 물론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및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부(100a) 또한 우측면부(104a)와 상측면부(102a)가 이루는 각도(a)와, 좌측면부(106a)와 하측면부(108a)가 이루는 각도(b)가 서로 동일한 예각으로 구성된 것이며, 각도(a)와, 각도(b)는 동일한 직각 또는 둔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도(a)와, 각도(b)는 서도 다른 각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3날부(110a)는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 상에서 상측부위에서 치우쳐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어 돌출되며, 제3날부(110a)의 상측면은 조립부(100a)의 상측면부(102a)와 함께 절삭력을 가지는 제9가공부(111a)로 구성된다.
조립부(100a)의 상측면부(102a)와 제3날부(110a)의 상측면은 동일 선상의 수평을 이루며, 제3날부(110a)의 상측면과 대향되는 아래쪽 하측면은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에서 멀어지게 되는 바깥쪽으로 갈 수록 상측면과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제3날부(110a)의 바깥쪽 끝단은 상측면 끝부위와 하측면의 끝부위가 바깥면에 의해 수직형태로 연결되며, 이러한 바깥면은 호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4날부(120a)는 조립부(100a)의 좌측면부(106a) 상에서 하측부위에서 치우쳐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어 돌출되며, 제4날부(120a)의 하측면은 조립부(100a)의 하측면부(108a)와 함께 절삭력을 가지는 제10가공부(121a)로 구성된다.
조립부(100a)의 하측면부(108a)와 제4날부(120a)의 하측면은 동일 선상의 수평을 이루며, 제4날부(120a)의 하측면과 대향되는 위쪽 상측면은 조립부(100a)의 좌측면부(106a)에서 멀어지게 되는 바깥쪽으로 갈 수록 하측면과의 간격이 점차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제4날부(120a)의 바깥쪽 끝단은 하측면 끝부위와 상측면의 끝부위가 바깥면에 의해 수직형태로 연결되며, 이러한 바깥면은 호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5보조날부(130b)는 전술한 제1보조날부(130) 및 제3보조날부(130a)와 같이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 상에 형성되어 조립부(100a)에 근접하는 풀을 제거해준다.
제5보조날부(130b)는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 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3날부(110a)를 향하는 측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절삭력을 가지는 제11가공부(131b)가 형성되고, 제5보조날부(130b)는 조립부(100a)의 표면과 동일하게 편평한 수평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제5보조날부(130b)는 연결공(101)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제5보조날부(130b)는 연결공(101)을 향하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둔각 또는 예각 또는 직각의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위쪽으로 90도 구부러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6보조날부(140b) 또한 전술한 제2보조날부(140) 및 제4보조날부(140a)와 같이 조립부(100a)의 좌측면부(106a) 상에 형성되어 조립부(100a)에 근접하는 풀을 제거해준다.
제6보조날부(140b)는 조립부(100a)의 좌측면부(106a) 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4날부(120a)를 향하는 측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절삭력을 가지는 제12가공부(141b)가 형성되고, 제6보조날부(140b) 또한 조립부(100a)의 표면과 동일하게 편평한 수평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제6보조날부(140b)는 연결공(101)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제6보조날부(140b) 또한 연결공(101)을 향하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둔각 또는 예각 또는 직각의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위쪽으로 90도 구부러져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5보조날부(130b)와 제6보조날부(140b)는 전술한 제1보조날부(130)과 제3보조날부(130a) 및 제2보조날부(140)과 제4보조날부(140a)에서와 같이 그 구부러지는 방향과 각도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거나, 대칭이거나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와 제9가공부(111a)가 이루는 각(c) 및 조립부(100a)의 좌측면부(106a)와 제10가공부(121a)가 이루는 각(d)은 예시된 도면에서는 둔각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직각 또는 예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3날부(110a)와 제4날부(120a)의 끝단인 바깥면 또한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와 같이 바깥면의 상하 길이(D)는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 및 좌측면부(106a) 상하 길이(L)의 절반보다 작거나 또는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와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에 따른 예취기 날은 제1날부(110)와 제2날부(120) 또는 제3날부(110a)와 제4날부(120a)가 끝단으로 갈수록 중량이 증대되면서 날의 관성모멘트가 증대되어 절삭력이 배가될 수 있으며, 조립부(100)(100a)에 근접되는 풀은 제1보조날부(130)와, 제2보조날부(140) 또는 제3보조날부(130a)와, 제4보조날부(140a) 또는 제5보조날부(130b)와 제6보조날부(140b)의 회전을 통해 절삭됨에 따라 풀이 날과 기어케이스 사이 및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날의 절단성의 향상을 위하여 연결공(101)의 중심을 가로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가로지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그러한 중심선에서 제1가공부(111)와 제2가공부(121) 및 제9가공부(111a)와 제10가공부(121a) 까지의 길이(M) 보다 제1날부(110)와 제2날부(120) 및 제3날부(110a)와 제4날부(120a)의 바깥면 상하길이(D)를 더 길게 형성하여 날의 안정적인 회전과 절단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100a : 조립부 101 : 연결공
102,102a : 상측면부 103a : 제3가공부
103b : 제1절단면 103c : 제1접힘선
104,104a : 우측면부 106,106a : 좌측면부
108,180a : 하측면부 109a : 제4가공부
109b : 제2절단면 109c : 제2접힘선
110 : 제1날부 111 : 제1가공부
110a : 제3날부 111a : 제9가공부
120 : 제2날부 120a : 제4날부
121 : 제2가공부 121a : 제10가공부
130 : 제1보조날부 130a : 제3보조날부
130b : 제5보조날부 131 : 제5가공부
131a : 제7가공부 131b : 제11가공부
140 : 제2보조날부 140a : 제4보조날부
140b : 제6보조날부 141 : 제6가공부
141a : 제8가공부 141b : 제12가공부

Claims (6)

  1. 예취기의 작업대와 연결되는 기어케이스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에 있어서,
    상기 날의 중심부위에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연결공(101)이 구비되는 조립부(100);
    상기 조립부(100) 우측면부(104) 상의 상측부위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제1가공부(111)로 구성되는 상측면은 상기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기 상측면과 대향되는 하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기 상측면과 점차 멀어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날 끝부분의 중량이 증가되면서 관성모멘트의 증대에 따라 절삭력이 배가되게 구성되는 제1날부(110);
    상기 조립부(100) 좌측면부(106) 상의 하측부위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제2가공부(121)로 구성되는 하측면은 상기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기 하측면과 대향되는 상측면은 바깥면으로 갈수록 상기 하측면과 점차 멀어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날 끝부분의 중량이 증가되면서 관성모멘트의 증대에 따라 절삭력이 배가되게 구성되는 제2날부(120);
    상기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에서 상기 제1날부(110)를 향하는 제3가공부(103a)와 대향된 하향 경사의 절단면 상에 돌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조립부(100)의 좌측면부(106)와 수평을 이루도록 제5가공부(131)가 구비되되, 상기 제5가공부(131)는 상기 연결공(101)을 향해 상향 직각으로 구부러지면서 상기 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상기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풀을 절단하는 제1보조날부(130); 및
    상기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에서 상기 제2날부(120)를 향하는 제4가공부(109a)와 대향된 상향 경사의 절단면 상에 돌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와 수평을 이루도록 제6가공부(141)가 구비되되, 상기 제6가공부(141)는 상기 연결공(101)을 향해 상향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상기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풀을 절단하는 제2보조날부(14 0)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날.
  2. 예취기의 작업대와 연결되는 기어케이스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에 있어서,
    상기 날의 중심부위에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연결공(101)이 구비되는 조립부(100);
    상기 조립부(100) 우측면부(104) 상의 상측부위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제1가공부(111)로 구성되는 상측면은 상기 조립부(100)의 상측면부(102)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기 상측면과 대향되는 하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기 상측면과 점차 멀어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날 끝부분의 중량이 증가되면서 관성모멘트의 증대에 따라 절삭력이 배가되게 구성되는 제1날부(110);
    상기 조립부(100) 좌측면부(106) 상의 하측부위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제2가공부(121)로 구성되는 하측면은 상기 조립부(100)의 하측면부(108)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기 하측면과 대향되는 상측면은 바깥면으로 갈수록 상기 하측면과 점차 멀어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날 끝부분의 중량이 증가되면서 관성모멘트의 증대에 따라 절삭력이 배가되게 구성되는 제2날부(120);
    상기 조립부(100)의 상측면부에서 상기 제1날부(110)를 향하는 제3가공부(103a)와 대향되는 하향 경사의 제1접힘선(103c) 위쪽에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조립부(100)의 좌측면부(106)와 수평을 이루도록 제7가공부(131a)가 구비되되, 상기 제7가공부(131a)는 상기 제1접힘선(103c)을 따라 상기 연결공(101)을 향해 상향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상기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풀을 절단하는 제3보조날부(130a); 및
    상기 조립부(100)의 하측면부에서 상기 제2날부(120)를 향하는 제4가공부(109a)와 대향되는 상향 경사의 제2접힘선(109c) 아래쪽에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와 수평을 이루도록 제8가공부(141a)가 구비되되, 상기 제8가공부(141a)는 상기 제2접힘선(109c)을 따라 상기 연결공(101)을 향해 상향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상기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풀을 절단하는 제4보조날부(140a)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있어서,
    상기 제1날부(110)와 제2날부(120)의 끝단인 바깥면은 상기 제1가공부(111)와 제2가공부(121)에 대해 각각 직각을 유지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바깥면의 상하 길이는 상기 조립부(100)의 우측면부(104) 및 좌측면부(106) 상하 길이의 절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날.
  4. 예취기의 작업대와 연결되는 기어케이스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에 있어서,
    상기 날의 중심부위에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어케이스 내에 위치한 구동축과 연결되도록 연결공이 구비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100a) 우측면부(104a) 상의 상측부위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100a)의 상측면부(102a)와 함께 제9가공부(111a)로 구성되는 상측면은 상기 조립부(100a)의 상측면부(102a)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기 상측면과 대향되는 하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측면과 점차 멀어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날 끝부분의 중량이 증가되면서 관성모멘트의 증대에 따라 절삭력이 배가되게 구성되는 제3날부(110a);
    상기 조립부(100a) 좌측면부(106a) 상의 하측부위에서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조립부(100a)의 하측면부(108a)와 함께 제10가공부(121a)로 구성되는 하측면은 상기 조립부(100a)의 하측면부(108a)와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고, 상기 하측면과 대향되는 상측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하측면과 점차 멀어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날 끝부분의 중량이 증가되면서 관성모멘트가 증대에 따라 절삭력이 배가되게 구성되는 제4날부(120a);
    상기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 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날부(110a)의 하측면을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1가공부(131b)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가공부(131b)는 상기 조립부(100a)의 연결공(101)을 향해 상향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풀을 절단하는 제5보조날부; 및
    상기 조립부(100a)의 좌측면부(106a) 상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4날부(120a)의 상측면을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날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12가공부(141b)가 형성되되, 상기 제12가공부(141b)는 상기 조립부(100a)의 연결공(101)을 향해 상향 직각으로 구부러져 상기 기어케이스와 날 사이 또는 기어케이스에 감기는 풀을 절단하는 제6보조날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날부(110a)와 제4날부(120a)의 끝단인 바깥면은 상기 제9가공부(111a)와 제10가공부(121a)에 대해 각각 직각을 유지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바깥면의 상하 길이는 상기 조립부(100a)의 우측면부(104a) 및 좌측면부(106a) 상하 길이의 절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기 날.
















  6. 삭제
KR1020140182312A 2014-12-17 2014-12-17 예취기용 날 KR101531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12A KR101531663B1 (ko) 2014-12-17 2014-12-17 예취기용 날
PCT/KR2015/009726 WO2016099003A1 (ko) 2014-12-17 2015-09-16 예취기용 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312A KR101531663B1 (ko) 2014-12-17 2014-12-17 예취기용 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663B1 true KR101531663B1 (ko) 2015-06-25

Family

ID=5351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312A KR101531663B1 (ko) 2014-12-17 2014-12-17 예취기용 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1663B1 (ko)
WO (1) WO201609900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6152A1 (en) * 2003-11-13 2005-06-16 Scag Power Equipment , Inc. Lawnmower having mulching cutter deck assembly
KR101050682B1 (ko) * 2010-09-13 2011-07-20 권영기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KR20130070372A (ko) * 2011-12-19 2013-06-27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546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4224548B2 (ja) * 2004-06-29 2009-02-18 伊東電機株式会社 刈払機及び刈払機用ガ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6152A1 (en) * 2003-11-13 2005-06-16 Scag Power Equipment , Inc. Lawnmower having mulching cutter deck assembly
KR101050682B1 (ko) * 2010-09-13 2011-07-20 권영기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KR20130070372A (ko) * 2011-12-19 2013-06-27 박학제 예초기의 풀엉킴 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9003A1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961B2 (en) Reciprocating saw blade
US9884380B2 (en) Saw blade with multiple tangs
JP6038594B2 (ja) 突っ切り加工用工具
TWI458616B (zh) 剪切工具
AU2017100173A4 (en) Cutting assembly and lawn mower
CN110023014A (zh) 切削刀具
JP2009011223A (ja) 草刈り刃
KR101531663B1 (ko) 예취기용 날
US20170325401A1 (en) Blade of string trimmer
KR200477278Y1 (ko) 목재 체결용 나사
WO2014007743A1 (en) Saw blade and method of shaping a back edge of a saw blade
KR200475786Y1 (ko) 예취기 날
US11084180B2 (en) Cutting blade for brush cutter
US20210120735A1 (en) Grass cutter blades for preventing grass from winding
WO2015169143A1 (zh) 锯片
US6959495B2 (en) Hedge cutter
KR20140089491A (ko) 콤바인용 예취날
JP3149886U (ja) 草刈り用ナイロンコード
WO2020202463A1 (ja) 手鋸
CN108908415A (zh) 双侧异形理发刀片及理发器
JP3227776U (ja) 草刈刃
JPS6135373Y2 (ko)
KR101584197B1 (ko) 원호형 예초기 날
KR20190003189U (ko) 예초기 칼날
KR20190057912A (ko) 예초기 칼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