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68Y1 - 의류 - Google Patents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668Y1
KR200474668Y1 KR2020140004553U KR20140004553U KR200474668Y1 KR 200474668 Y1 KR200474668 Y1 KR 200474668Y1 KR 2020140004553 U KR2020140004553 U KR 2020140004553U KR 20140004553 U KR20140004553 U KR 20140004553U KR 200474668 Y1 KR200474668 Y1 KR 200474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leg
lining
inlet throttle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근
Original Assignee
최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근 filed Critical 최강근
Priority to KR2020140004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6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6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판과 상기 몸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소매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의 둘레를 따라 겉감과 안감을 재봉하여 복수 개의 충진공간을 구획하는 다운 재봉선을 포함하는 다운 점퍼에 있어서, 상기 다운 재봉선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재봉선과 상기 제1 재봉선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재봉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는 조임끈부를 포함하는 함몰입구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 끝 단까지의 겉감 및 안감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을 제공하여,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의 내부 충진재를 쿠션으로 활용하는 베개로 전용하여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Cloth}
본 고안은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겉감과 안감 사이에 충진재를 포함하는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방한복의 한 형태로 겉감과 안감 사이에 오리털과 같은 방한용 충진재가 충진되는 의류가 있다. 이때, 충진 공간은 겉감과 안감을 재봉하는 재봉선들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충진재들이 어느 한 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의류는 내부의 충진재로 인하여 방한 효과가 뛰어나고 가벼워서 겨울철 의류로서 실용성이 크다.
특히, 충진재가 포함되는 구성은 충진재의 체적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제품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충진재를 이용하는 구성은 의류뿐만 아니라 침낭이나 패드 또는 야외용 방석 등과 같이 휴대성이 중요한 아웃도어 물품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7107호(2013.07.09,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내부에 오리털이나 거위털과 같은 보온재가 충진되는 침낭을 기재하고 있다. 본 문헌의 침낭은 외피를 자루 형태로 구성하고 내측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침낭은 접히거나 말려 부피를 줄인 상태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문헌의 침낭의 상부에는 머리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베개는 별도로 구비하여 휴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야외에서 취침하는 경우에도 쾌적한 수면을 위해서는 베개가 필요하나, 베개를 별도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휴대 장비가 크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7107호(2013.07.09)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몸판과 상기 몸판에 형성되는 소매부 또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둘레를 따라 겉감과 안감을 재봉하여 복수 개의 충진공간을 구획하는 다운 재봉선을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다운 재봉선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재봉선과 상기 제1 재봉선과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2 재봉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는 조임끈부를 포함하는 함몰입구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부의 끝 단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까지의 겉감 및 안감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매부의 끝 단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에는 단부의 개방된 입구를 조이는 조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까지 이어지는 영역에서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퍼부와 상기 지퍼부가 개방되면 확장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에 형성되는 확장커버로 이루어진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끈부의 끈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까지의 겉감 및 안감은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방향으로는 연신 되지 않고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둘레방향으로는 연신 되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운 재봉선 부근에 함몰입구 조임부를 구비하여, 몸판을 소매부 또는 다리부에 집어 넣은 상태에서 함몰입구 조임부를 조임으로써, 의류의 내부 충진재를 쿠션으로 활용하는 베개로 변형하여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매부 또는 다리부를 신장 또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구성하고, 소매부 또는 다리부에 확장부를 구비하여 몸판을 보다 용이하게 소매부 또는 다리부에 집어 넣어 베개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의 몸판이 소매부에 들어 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의 소매부에 형성된 지퍼부와 확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베개로 변형된 의류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의 몸판이 소매에 들어 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는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포함한다.
먼저,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는 몸판(10)과 몸판(10)의 양측에 연결된 소매부(20)로 구분될 수 있다. 몸판(10)과 소매부(20)는 겉감과 안감으로 형성되며, 겉감과 안감 사이에는 오리털이나 거위털과 같은 보온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소매부(20)는 착용자의 팔이 들어갈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데, 이러한 수용공간에 몸판(10)을 압축하여 집어 넣음으로써, 베개를 구현할 수 있다.
소매부(20)에는 둘레를 따라 다운 재봉선(I)이 형성될 수 있다. 다운 재봉선(I)은 소매부(20)의 겉감과 안감을 누벼 보온재가 위치하는 충진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함몰입구 조임부(100)로서, 제1 재봉선(110)은 다운 재봉선(I)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다운 재봉선(I)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재봉선(120)은 제1 재봉선(110)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제1 재봉선(110)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재봉선(110)과 제2 재봉선(120)을 따라 소매부(20)의 겉감과 안감이 재봉되면, 제1 재봉선(110)과 제2 재봉선(120) 사이에 포켓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포켓부(110)는 소매부(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소매부(20)의 겉감과 안감으로 이루어진 터널 형태의 공간을 갖는다. 이 포켓부(110)에는 조임끈부(120)의 끈(121)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끈(121)은 신장 및 신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끈(121)의 단부에는 끈(121)의 길이를 조절하여 조임 정도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소매부(20)에서 포켓부(110)의 위치는 몸판(10)의 체적 및 소매부(20)의 내부 체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부(110)는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이 베개로 변형되었을 때, 베개의 일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끈(121)이 삽입되어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이룬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끈을 이용하는 것으로 예사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크로 타입이나 버튼 결합 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기준으로 소매부(20) 내부에 몸판(10) 및 반대쪽에 위치한 소매를 끼워 넣음으로써, 원통 형태의 베개를 구현할 수 있다. 함몰입구 조임부(100)에서 소매부(20)의 끝 단까지는 베개를 형성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그리고 몸판(10) 및 소매부(20)의 내부에 충진된 보온재는 베개의 쿠션으로 작용한다.
한편, 베개를 형성하는 함몰입구 조임부(100)에서 소매부(20)의 끝 단까지의 영역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몸판(10)이 소매부(20)에 보다 쉽게 수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때, 함몰입구 조임부(100)에서 소매부(20)의 끝 단까지의 영역을 이루는 소재는 소매부(20)의 길이방향으로는 연신 되지 않고 소매부(20)의 둘레 방향으로만 연신 되도록 구성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매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신 되는 경우,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의 착용감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함몰입구 조임부(100)에서 소매부(20) 또는 다리부(도 5의 30)의 끝 단까지의 겉감 및 안감 중, 함몰입구 조임부(100) 및 소매부(20) 끝 단 또는 다리부(30) 끝단 부근의 겉감 및 안감의 탄성이 다른 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소매부(20) 또는 다리부(3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되도록 체적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의류는 원통형의 베개 이외에 대체적으로 육면체 형태의 베개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의 소매에 형성된 지퍼부와 확장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몰입구 조임부(100)에서 소매부(20)의 끝 단까지 이어지는 베개 영역에는 지퍼부(210)와, 확장커버(220)로 이루어지는 확장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지퍼부(210)는 소매부(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확장커버(220)는 소매부(20)의 둘레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형성되며, 지퍼부(21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퍼부(2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함몰입구 조임부(100)로 몸판(10) 및 다른 쪽 소매를 집어 넣는 경우, 확장커버(220)가 확장되어 베개를 형성하는 소매부(20)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퍼부(210) 및 확장커버(220)는 도면에서 소매부(20)의 표면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매부(20)의 내측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확장커버(220)를 이루는 소재는 소매부(20)의 길이방향으로는 연신 되지 않고 소매부(20)의 둘레 방향으로만 연신 되도록 구성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베개로 변형된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소매부(20) 내부로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통해 몸판(10) 및 다른 쪽 소매가 수용된 후,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조이면,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이 베개로 변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야외에서 별도의 베개를 휴대할 필요 없이, 현재 착용하고 있는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을 변형하여 베개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소매부(20)의 끝 단에 입구 조임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조임부(20)는 조임끈(21)이 소매부(20)의 끝 단에 형성된 벨크로 타입의 결합부(2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임부(20)가 끈 또는 버튼 타입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함몰입구 조임부(100)는 몸판(10)에 연결된 다리부(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리부(30) 내부로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통해 몸판(10) 및 다른 쪽 다리부를 수용된 후, 함몰입구 조임부(100)를 조이면, 베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베개로 변형 가능한 의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판
20: 소매부
30: 다리부
100: 함몰입구 조임부
110: 포켓부
111: 제1 재봉선
112: 제2 재봉선
120: 조임끈부
121: 끈
122: 길이조절부
200: 확장부
210: 지퍼부
220: 확장커버

Claims (6)

  1. 몸판과 상기 몸판에 형성되는 소매부 또는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둘레를 따라 겉감과 안감을 재봉하여 복수 개의 충진공간을 구획하는 다운 재봉선을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다운 재봉선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재봉선과 상기 제1 재봉선과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2 재봉선의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부와,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는 조임끈부를 포함하는 함몰입구 조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부의 끝 단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까지의 겉감 및 안감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매부의 끝 단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에는 단부의 개방된 입구를 조이는 조임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까지 이어지는 영역에서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퍼부와 상기 지퍼부가 개방되면 확장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에 형성되는 확장커버로 이루어진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끈부의 끈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까지의 겉감 및 안감은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방향으로는 연신 되지 않고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둘레방향으로는 연신 되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의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에서 상기 소매부 또는 상기 다리부의 끝 단까지의 겉감 및 안감 중, 상기 함몰입구 조임부 및 상기 소매부 끝 단 또는 상기 다리부 끝단 부근의 겉감 및 안감의 탄성이 다른 영역보다 크게 형성되는 의류.
KR2020140004553U 2014-06-17 2014-06-17 의류 KR200474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53U KR200474668Y1 (ko) 2014-06-17 2014-06-17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53U KR200474668Y1 (ko) 2014-06-17 2014-06-17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668Y1 true KR200474668Y1 (ko) 2014-10-06

Family

ID=5200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53U KR200474668Y1 (ko) 2014-06-17 2014-06-17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6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40Y1 (ko) * 2016-06-30 2017-01-02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CN114642283A (zh) * 2022-04-07 2022-06-21 安徽高梵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收纳成颈枕的羽绒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4397A (en) * 1983-08-22 1986-03-11 Dennard David G Article used as garment and sleeping bag
US5642526A (en) * 1996-06-10 1997-07-01 Thompson; Robert E. Convertible garment having a ventilation opening and a storage pouch
EP2705766A1 (en) * 2012-09-06 2014-03-12 Well & David Corp. Multi-function gar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4397A (en) * 1983-08-22 1986-03-11 Dennard David G Article used as garment and sleeping bag
US5642526A (en) * 1996-06-10 1997-07-01 Thompson; Robert E. Convertible garment having a ventilation opening and a storage pouch
EP2705766A1 (en) * 2012-09-06 2014-03-12 Well & David Corp. Multi-function gar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40Y1 (ko) * 2016-06-30 2017-01-02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CN114642283A (zh) * 2022-04-07 2022-06-21 安徽高梵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收纳成颈枕的羽绒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7168096B1 (en) Bikini assembly
US20150250236A1 (en) Leg Padding Device
KR200474668Y1 (ko) 의류
CN204861245U (zh) 一种保护膝盖的裤子
JP3175096U (ja) アウターフラップ付きネックエントリーウエットスーツ
CN104382331A (zh) 改进型自动充气睡垫
JP3175830U (ja) 鞄用持ち手
KR200427046Y1 (ko) 복식호흡용 상의
JP3149976U (ja) 鞄用持ち手および鞄
JP2018061574A (ja) リュックサック
KR200463424Y1 (ko) 휴대용 다용도 담요
KR102606492B1 (ko)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US20160219953A1 (en) Composite jacket and sleeping bag apparatus
KR200463940Y1 (ko) 목둘레 조절이 가능한 셔츠
JP5129601B2 (ja) リフォーム用ファンデーション
JP5081053B2 (ja) ボトム衣類
KR200477111Y1 (ko) 허리보호용 바지덧댐밴드
CN208510104U (zh) 带弹力伸缩袖的西服
JP6950964B2 (ja) 抱き枕
CN206659145U (zh) 一种具有良好透气功能的西服
JP4564101B1 (ja) ランドセル用肩パット
JP3041464U (ja)
JP2008297650A (ja) 着物
JP3175061U (ja) レッグウォー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