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492B1 -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 Google Patents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492B1
KR102606492B1 KR1020220072365A KR20220072365A KR102606492B1 KR 102606492 B1 KR102606492 B1 KR 102606492B1 KR 1020220072365 A KR1020220072365 A KR 1020220072365A KR 20220072365 A KR20220072365 A KR 20220072365A KR 102606492 B1 KR102606492 B1 KR 102606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leeping bag
sewn
skin
partit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주)광진침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침낭 filed Critical (주)광진침낭
Priority to KR102022007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피와 내피에 표시되는 봉제선이 가로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봉제선마다 고무줄 원사가 봉제됨으로써, 침낭 자체가 좌,우로 신축성있게 늘어나 체격이 큰 사람 또는 두꺼운 옷을 입은 사람도 넓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평소에는 수축된 상태이기에 사용자가 들어가면 몸을 감싸주도록 수축되어 내부 공간이 작아져서 열손실이 적어지며. 이에 따른 실용성과 효율성이 증가하고, 상기 고무줄 원사가 봉제된 부위를 말아 접은 뒤, 상기 접은 부위에 격벽용 원단을 봉제하고, 동일위치에 외피의 격벽용 원단과 내피의 격벽용 원단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격벽용 원단 사이마다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보온용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상기 보온용 충진재가 격벽용 원단에 막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충진재의 빠짐이 덜하고, 상기 보온용 충진재가 각각 독립되게 위치하기에 보온력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Sleeping bag manufacturing method and sleeping bag manufactured through same}
본 발명은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피와 내피에 표시되는 봉제선이 가로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봉제선마다 고무줄 원사가 봉제됨으로써, 침낭 자체가 좌,우로 신축성있게 늘어나 체격이 큰 사람 또는 두꺼운 옷을 입은 사람도 넓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평소에는 수축된 상태이기에 사용자가 들어가면 몸을 감싸주도록 수축되어 내부 공간이 작아져서 열손실이 적어지며. 이에 따른 실용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는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낭은 야영 등을 할 때 사용자의 신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바람을 막아줄 수 있는 텐트의 내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텐트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침낭은 부피 조절이 용이하여, 이불이나 매트 등과 같은 다른 침구류에 비해 휴대 및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보온 효과가 우수하여 야영 등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침낭은 일반인에게도 매우 유용하지만 작전시나 전투시 야외에서의 취침이 필요한 군인에게는 더욱 유용하다.
도 1은 종래 침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침낭(A')은 측면에 설치된 지퍼(3')에 의해 개폐되며, 솜이나 새털과 같은 보온재가 충진된 주머니 형상의 본체(2')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 침낭은 본체외에도 외부의 습기가 침투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방수재질의 외피와, 내부의 보온효과를 높이기 위해 얇은 직물로 제작한 내피와, 침낭을 접어서 보관하기 위한 보관가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 침낭의 사용법은 침낭 내부에 내피를 부착하고, 침낭 외부에 외피를 부착한 후 사용자가 침낭 내부에 들어간 다음 지퍼를 끌어올려 닫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머리부에는 숨쉬기 용이하도록 얼굴을 내놓을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침낭은 신축성이 없이 내부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두꺼운 패딩 등의 옷을 입고 들어가면 공간이 좁아 불편하고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326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피와 내피에 표시되는 봉제선이 가로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봉제선마다 고무줄 원사가 봉제됨으로써, 침낭 자체가 좌,우로 신축성있게 늘어나 체격이 큰 사람 또는 두꺼운 옷을 입은 사람도 넓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평소에는 수축된 상태이기에 사용자가 들어가면 몸을 감싸주도록 수축되어 내부 공간이 작아져서 열손실이 적어지며. 이에 따른 실용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는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고무줄 원사가 봉제된 부위를 말아 접은 뒤, 상기 접은 부위에 격벽용 원단을 봉제하고, 동일위치에 외피의 격벽용 원단과 내피의 격벽용 원단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격벽용 원단 사이마다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보온용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상기 보온용 충진재가 격벽용 원단에 막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충진재의 빠짐이 덜하고, 상기 보온용 충진재가 각각 독립되게 위치하기에 보온력이 향상되는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침낭 제작방법에 있어서,
침낭의 외피와 내피에 동일하게 봉제선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봉제선에 고무줄 원사를 봉제하는 단계;
상기 고무줄 원사가 봉제된 부위를 말아 접은 뒤, 상기 접은 부위에 격벽용 원단을 봉제하는 단계;
상기 외피와 내피를 합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봉제선은 외피와 내피에 가로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봉제선마다 고무줄 원사와 격벽용 원단이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와 내피의 합봉시, 양측부에는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방수지퍼가 봉제되고, 상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머리 덮개부가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와 내피의 합봉시, 동일위치에 외피의 격벽용 원단과 내피의 격벽용 원단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격벽용 원단 사이마다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보온용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기 보온용 충진재는 격벽용 원단에 막혀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 독립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낭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침낭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은 외피와 내피에 표시되는 봉제선이 가로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봉제선마다 고무줄 원사가 봉제됨으로써, 침낭 자체가 좌,우로 신축성있게 늘어나 체격이 큰 사람 또는 두꺼운 옷을 입은 사람도 넓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평소에는 수축된 상태이기에 사용자가 들어가면 몸을 감싸주도록 수축되어 내부 공간이 작아져서 열손실이 적어지며. 이에 따른 실용성과 효율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무줄 원사가 봉제된 부위를 말아 접은 뒤, 상기 접은 부위에 격벽용 원단을 봉제하고, 동일위치에 외피의 격벽용 원단과 내피의 격벽용 원단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격벽용 원단 사이마다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보온용 충진재가 충진됨으로써, 상기 보온용 충진재가 격벽용 원단에 막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충진재의 빠짐이 덜하고, 상기 보온용 충진재가 각각 독립되게 위치하기에 보온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침낭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 또는 내피에 봉제선 표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 또는 내피 봉제선에 고무줄 원사의 봉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줄 원사 부위에 격벽용 원단의 봉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격벽용 원단 봉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와 내피의 합봉을 나타낸 사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침낭을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낭의 신축성을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낭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 또는 내피에 봉제선 표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 또는 내피 봉제선에 고무줄 원사의 봉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줄 원사 부위에 격벽용 원단의 봉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격벽용 원단 봉제를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피와 내피의 합봉을 나타낸 사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성된 침낭을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낭의 신축성을 나타낸 사진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낭 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낭은 외피(겉감이라고도 함)와 내피(안감이라고도 함)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0)와 머리 덮개부(200)로 구분되는데, 상기 본체부(100)의 외피(10)와 내피(20)는 동일한 방수소재의 직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피(10)는 방수와 투습이 되는 퍼텍스사의 퀀텀프로 20d를 사용하여 야외 사용시 결로에 대한 저항력이 높으며, 내피(20) 역시 방수 재질+실리콘 코팅으로 봉제선 외에는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다.
상기 본체부(100)의 외피(10)와 내피(20)에는 도 2에서처럼, 가로로 고무줄 원사(30)가 봉제되고, 상기 고무줄 원사(30)는 도 9에서처럼, 일반 원사가 아닌 탄력성이 있는 원사로써, 좌,우로 신축성있게 탄력적으로 줄어들고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줄 원사(30)는 외피(10)와 내피(20)에 각각 봉제되는데 상호 동일한 위치에 봉제되고, 상기 고무줄 원사(30)는 외피(10)와 내피(2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봉제됨으로써, 사용자의 발부위까지 좌,우로 탄력적으로 늘어나고 줄어든다.
또한, 상기 고무줄 원사(30)가 봉제된 부위는 도 4 내지 도 5에서처럼, 접듯이 말아서 격벽용 원단(40)이 봉제되고, 상기 격벽용 원단(40)은 고무줄 원사(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고무줄 원사(30)마다 봉제되며, 상기 격벽용 원단(40)은 외피(10)와 내피(20)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10)의 격벽용 원단(40)은 메쉬 형태의 원단이고, 상기 내피(20)의 격벽용 원단(40)은 나일론 원단으로 형성되거나 반대로 상기 외피(10)의 격벽용 원단(40)은 나일론 원단으로 상기 내피(20)의 격벽용 원단(40)은 메쉬 형태의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의 외피(10)와 내피(20)는 도 6 내지 도 7에서처럼, 합봉을 하는데, 상기 외피(10)와 내피(20)에 각각 봉제된 격벽용 원단(40)이 상호 대응된 상태(마주보는 상태)로 합봉되고, 상기 외피(10)와 내피(20)에 형성된 격벽용 원단(40)은 상호 간에 끝단부가 연결되어 격벽용 원단(40)과 격벽용 원단(40) 사이에 보온용 충진재가 채워지는 공간부(50)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온용 충진재는 필파워 800FP의 시베리아 구스 다운으로 충전한다.
여기서, 상기 외피(10)와 내피(20)가 합봉된 본체부(100)는 도 8에서처럼, 사람의 형태를 띤 미이라 형태로 말아져서 양측면이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양측면 중 일부에는 방수지퍼(미도시)가 설치되어 상호 간에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이렇게, 상기 본체부(100)가 미이라 형태로 말아지게 형성되면 상측와 하측가 관통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에는 사용자의 발이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바닥용 원단이 봉제되어 내부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은 별도의 바닥용 원단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고 합봉된 외피(10)와 내피(20)가 길게 형성되어 합봉시 밀폐되게 봉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에는 도 8에서처럼,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머리 덮개부(200)가 봉제되는데, 상기 머리 덮개부(200)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방수지퍼에 의해 본체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덮개부(200)는 본체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보온용 충진제가 충진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여기서, 상기 머리 덮개부(200)는 도 8에서처럼, 사용자의 전면 얼굴부위가 노출되는데,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머리 덮개부(200)의 전면부에 길이조절부재(미도시)가 더 형성되거나 방수지퍼가 설치되어 노출되는 전면부를 완전히 닫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에서 기술된 방수지퍼는 지퍼손잡이가 외측과 내측에 각각 형성되어 침낭의 안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침낭에 대한 제작방법을 기술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침낭 제작방법은 침낭의 외피(10)와 내피(20)에 동일하게 봉제선(1)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봉제선(1)에 고무줄 원사(30)를 봉제하는 단계와; 상기 고무줄 원사(30)가 봉제된 부위를 말아 접은 뒤, 상기 접은 부위에 격벽용 원단(40)을 봉제하는 단계 및 상기 외피(10)와 내피(20)를 합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침낭의 외피(10)와 내피(20)에 동일하게 봉제선(1)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봉제선(1)은 외피(10)와 내피(20)에 가로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봉제선(1)마다 고무줄 원사(30)와 격벽용 원단(40)이 봉제된다.
상기 고무줄 원사(30)가 봉제된 부위를 말아 접은 뒤, 상기 접은 부위에 격벽용 원단(40)을 봉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격벽용 원단(40)은 고무줄 원사(30)에 의해 접은 부위에 봉제된다.
상기 외피(10)와 내피(20)를 합봉하는 단계에서 외피(10)와 내피(20)가 합봉된 양측부에는 양측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방수지퍼가 봉제되고, 합봉된 외피(10)와 내피(2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머리 덮개부(200)가 봉제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10)와 내피(20)를 합봉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피(10)와 내피(20)의 합봉시, 동일위치에 외피(10)의 격벽용 원단(40)과 내피(20)의 격벽용 원단(40)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격벽용 원단(40) 사이마다 공간부(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50)에 보온용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기 보온용 충진재는 격벽용 원단(40)에 막혀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 독립되게 위치된다.
10 : 외피 20 : 내피
30 : 고무줄 원사 40 : 격벽용 원단
50 : 공간부 100 : 본체부
200 : 머리 덮개부

Claims (5)

  1. 침낭 제작방법에 있어서,
    침낭의 외피(10)와 내피(20)에 동일하게 봉제선(1)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봉제선(1)에 고무줄 원사(30)를 봉제하는 단계;
    상기 고무줄 원사(30)가 봉제된 부위를 말아 접은 뒤, 상기 접은 부위에 격벽용 원단(40)을 봉제하는 단계;
    상기 외피(10)와 내피(20)를 합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봉제선(1)은 외피(10)와 내피(20)에 가로로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봉제선(1)마다 고무줄 원사(30)와 격벽용 원단(40)이 봉제되며,
    상기 격벽용 원단(40)은 외피(10)와 내피(20)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외피(10)의 격벽용 원단(40)은 메쉬 형태의 원단 또는 나일론 원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피(20)의 격벽용 원단(40)은 외피(10)의 격벽용 원단(40)과 반대인 메쉬 형태의 원단 또는 나일론 원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10)와 내피(20)의 합봉시, 동일위치에 외피(10)의 격벽용 원단(40)과 내피(20)의 격벽용 원단(40)의 끝단부가 상호 간에 연결되어 격벽용 원단(40) 사이마다 공간부(50)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50)에 보온용 충진재가 충진되며, 상기 보온용 충진재는 격벽용 원단(40)에 막혀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 독립되게 위치되고,
    상기 외피(10)와 내피(20)의 합봉시, 양측부에는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방수지퍼가 봉제되고, 상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머리 덮개부(200)가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낭 제작방법.
  2. 제 1항에 기재된 침낭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침낭.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72365A 2022-06-14 2022-06-14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KR102606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65A KR102606492B1 (ko) 2022-06-14 2022-06-14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65A KR102606492B1 (ko) 2022-06-14 2022-06-14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6492B1 true KR102606492B1 (ko) 2023-11-29

Family

ID=8896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65A KR102606492B1 (ko) 2022-06-14 2022-06-14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4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205A (ja) * 1999-08-10 2001-02-20 Monberu:Kk 寝 袋
KR100743266B1 (ko) 2007-03-28 2007-08-01 임찬희 다목적 방수 침낭
KR101156327B1 (ko) * 2011-07-29 2012-06-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운 의류 및 그 봉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6205A (ja) * 1999-08-10 2001-02-20 Monberu:Kk 寝 袋
KR100743266B1 (ko) 2007-03-28 2007-08-01 임찬희 다목적 방수 침낭
KR101156327B1 (ko) * 2011-07-29 2012-06-1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다운 의류 및 그 봉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2395A1 (en) Convertible multifunction covering
US9486095B2 (en) Shell with arm ports
US9615610B2 (en) Outdoor convertible garment
US9763485B1 (en) Waterproof stadium blanket convertible to a fitted bodywrap hoodie
US20110258749A1 (en) Blanket
US3924273A (en) Sleep-walker bag
US20070136946A1 (en) Multipurpose sleeping bag
US11426015B2 (en) Sleeping bag with top flap
US20070061966A1 (en) Multiple-Entry/Egress Sleeping Bag For Adjustable Body Coverage
US20170105556A1 (en) Magnetic sleeping bag
US20140345051A1 (en) Sleeping bag temperature range extender insert
CN111936015A (zh) 具有一体式被子的睡袋
US4240159A (en) Filled body robe
KR102606492B1 (ko) 침낭 제작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침낭
US7900301B2 (en) Woven fabric product
US20070261169A1 (en) Blanket pants
CN217309216U (zh) 一种新式分区保暖防寒服
KR100979962B1 (ko) 침낭
CN113243582A (zh) 一种新式分区保暖防寒服
KR200474668Y1 (ko) 의류
KR200463424Y1 (ko) 휴대용 다용도 담요
KR101790473B1 (ko) 낚시용 신체 보온커버
KR200446523Y1 (ko) 유아용 침낭
US20020095710A1 (en) Convertible article of clothing
US20230292853A1 (en) Adult Swad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