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40Y1 -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 Google Patents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40Y1
KR200482240Y1 KR2020160003810U KR20160003810U KR200482240Y1 KR 200482240 Y1 KR200482240 Y1 KR 200482240Y1 KR 2020160003810 U KR2020160003810 U KR 2020160003810U KR 20160003810 U KR20160003810 U KR 20160003810U KR 200482240 Y1 KR200482240 Y1 KR 200482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pillow
inner space
down jacket
nec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Priority to KR2020160003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Abstract

제1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옷깃과 소매가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옷깃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옷깃의 외측이 개방되면, 외부로 인출되어 목베개로 사용되도록 마련되는 목베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다운자켓이 접어지면서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경우, 다운자켓의 부피가 절감되면서 다운자켓이 목베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가 다운자켓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가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의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Down jacket which is transformed into a neck pillow}
본 고안은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운자켓의 내부에 목베개가 수용되어 다운자켓이 목베개로 변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등록특허 제10-1011224호나 등록실용신안 제20-0296007호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과 형태의 자켓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 방풍 및 방수성이 뛰어난 아웃도어용 다운자켓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웃도어용 다운자켓은 날이 흐리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맑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날에는 매우 덥게 느껴져 벗어서 가방에 넣거나 들고 다녀야 하는데, 아웃도어용 다운자켓을 그대로 가방에 넣을 경우에는 가방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가방에 넣기 위해서는 가방에 넓은 여유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 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일자목이나 목디스크와 같은 목 부위 관련 질환이 증가하면서 이와 같이 마련된 목베개 사용자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목 질환 관련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는 물론 여행도중 자동차나 비행기 내에서도 경추를 본래의 형태로 받칠 수 있도록 목베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최근 여행자들 중에 목베개를 휴대하고 다니는 여행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목베개는 일반 여행자가 여행시 휴대하게 되는 다른 물건에 비하여 과도하게 부피가 크기 때문에, 여행시 목베개를 휴대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경우 큰 사이즈의 여행용 가방을 준비해야 하는 등 목베개의 휴대에 따른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운자켓의 부피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다운자켓과 목베개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운자켓과 목베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선행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312호 선행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707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접혀진 상태의 다운자켓이 목배게의 내부공간에 수용됨으로써, 다운자켓의 부피가 절감되면서 다운자켓이 목배게로 활용될 수 있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다운자켓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의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은, 제1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옷깃과 소매가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옷깃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옷깃의 외측이 개방되면, 외부로 인출되어 목베개로 사용되도록 마련되는 목베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목베개부는, 제2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가 외부로 인출되되, 상기 제2 내부공간이 개방되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소매의 끝단에 복수의 제1 단추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소매가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되면, 상기 소매의 끝단이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단추부재가 결속되는 복수의 제2 단추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의 외측이 결속되어 형태가 변형되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의 외측에 제3 단추부재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과 다른 하나의 끝단의 외측에 상기 제3 단추부재와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단추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단추부재의 결속에 의해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수용된 상기 소매가 일단의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의 내주면에 원형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공간부에 사용자의 목이 인입되도록 하여 목베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되어도 형태가 변형되도록 신축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운자켓이 접어지면서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경우, 다운자켓의 부피가 절감되면서 다운자켓이 목베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가 다운자켓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가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의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몸체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몸체부가 목베개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외형이 변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옷깃과 소매가 구비되는 다운자켓 형상의 몸체부(100)와 옷깃에 연결된 상태로 옷깃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옷깃의 외측이 개방되면 옷깃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어 목베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목베개부(200)로 구성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옷깃은 통상의 지퍼를 통해 개폐되는 방식으로 마련되고, 이에 목베개부(200)는 옷깃의 내부공간으로부터 후면부의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형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후술하도록 하겠다.
또한, 목베개부(200)가 몸체부(100)의 후면부의 방향으로 인출되고, 목베개부(200)의 외측이 개방되면, 몸체부(100)는 접혀진 후에 목베개부(2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목베개부(200)의 형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해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몸체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다운자켓의 형상에 따라 몸체(110), 옷깃(120) 및 소매(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00)는 외피, 내피 및 외피와 내피 사이의 보온층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몸체(110), 옷깃(120) 및 소매(130)도 전체적으로 외피, 내피 및 외피와 내피 사이의 보온층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110)는 겉감과 보온성이 뛰어남은 물론 쿠션을 제공하기 적합한 오리털이나 일반 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는 패딩 또는 겉감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내피와 외피 사이에 직접 오리털 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사용자가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몸통을 가리는 역할을 수행하고, 몸체(110)를 착용한 사용자로부터 몸체(110)의 착용이 해제되도록 몸체(110)의 전면부에는 몸체 지퍼(111)와 몸체 지퍼 손잡이(112)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 지퍼(111)와 몸체 지퍼 손잡이(112)는 통상의 지퍼 및 지퍼 손잡이와 동일하게 구비되고, 몸체(110)는 몸체 지퍼(111)와 몸체 지퍼 손잡이(112)에 의해 전면부가 개폐될 수 있다.
옷깃(120)은 몸체(110)와 마찬가지로, 겉감과 보온성이 뛰어남은 물론 쿠션을 제공하기 적합한 오리털이나 일반 솜 등으로 마련되는 패딩 또는 겉감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로 마련될 수 있고, 내피와 외피 사이에 직접 오리털 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옷깃(120)은 목베개부(200)가 내부공간에 수용되거나, 목베개부(20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옷깃 지퍼(121)와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옷깃 지퍼 손잡이(122)가 마련될 수 있다.
옷깃 지퍼(121)와 옷깃 지퍼 손잡이(122)는 통상의 지퍼 및 지퍼 손잡이와 동일하게 구비되고, 옷깃(120)은 옷깃 지퍼(121) 및 옷깃 지퍼 손잡이(122)를 통해 목베개부(200)가 수용되는 목베개부(200)의 내부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소매(130)는 몸체(110)와 옷깃(120)과 마찬가지로, 겉감과 보온성이 뛰어남은 물론 쿠션을 제공하기 적합한 오리털이나 일반 솜 등으로 마련되는 패딩 또는 겉감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로 마련될 수 있고, 내피와 외피 사이에 직접 오리털 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소매(130)는 사용자가 몸체(110)를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양팔을 덮게 되고, 사용자의 양팔을 덮기 위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소매(130)는 사용자가 몸체(110)의 착용을 해제하게 되면, 목베개부(200)의 내부공간에 복수로 마련되는 후술될 제2 단추부재(220)와 결속되어 목베개부(2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목베개부(2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도록 제1 단추부재(131,132)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몸체부가 목베개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외형이 변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목베개부(200)는 목베개(210), 제2 단추부재(220), 제3 단추부재(230) 및 끼움부재(240)로 구성된다.
목베개(210)는 구부러진 형상의 일단이 옷깃(12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연결부재(123)와 연결되고, 접혀진 상태의 몸체부(100)가 목베개(210)의 일단으로부터 인입되어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목베개(210)의 일단에 제1 목베개 지퍼(211)와 제1 목베개 지퍼 손잡이(212)가 마련될 수 있다.
목베개(210)는 통상의 지퍼 및 지퍼 손잡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제1 목베개 지퍼(211)와 제1 목베개 지퍼 손잡이(212)에 의해 목베개(210)의 일단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목베개(210)는 목베개(210)의 일단으로부터 U자형의 형상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마련되고, 이러한 휘어진 형상의 내주면에는 원형공간부(20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목베개(210)는 원형공간부(201)에 의해 사용자의 목이 인입됨으로써, 일단이 사용자의 목의 후면부를 받치게 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목베개(210)는 몸체부(100)가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경우에 사용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토록 신축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단추부재(220)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되,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내장된 형태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2 단추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130)의 끝단에 마련되는 제1 단추부재(131,132)와 결속되면, 몸체부(100)가 접혀지면서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추부재(131,132)와 제2 단추부재(220)는 서로 간의 결속을 통해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접혀진 상태의 몸체부(100)가 수용되는 도중에 펼쳐지더라도 몸체부(100)가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추부재(131,132)와 제2 단추부재(220)의 결속에 의해 몸체(110)와 옷깃(120)은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의 일단에 수용되고, 소매(130)는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추부재(131,132)와 제2 단추부재(220)의 결속에 의해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소매(130)가 고정됨으로써, 목베개(210)는 소매(130)가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의 양끝단으로부터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의 일단으로 치우치게 되는 형태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몸체(110)는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기 위해 접혀지는 경우에, 보다 접힘이 용이하도록 몸체(110)의 전면부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대칭으로 교차되어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결속이 가능한 복수의 단추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몸체(110)의 접힘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제3 단추부재(230)는 목베개(210)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의 외측에 내주면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끼움부재(240)는 목베개(210)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과 다른 하나의 끝단의 외측에 내주면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3 단추부재(230)와 끼움부재(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베개(210)의 양끝단에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3 단추부재(230)와 끼움부재(240)가 끼움결합되면, 목베개(210)의 양끝단의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목베개(2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원형공간부(201)를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3 단추부재(230)와 끼움부재(240)에 의해 목베개(210)의 양끝단의 형태가 변형되면, 사용자는 목베개(210)를 원형공간부(201)에 사용자의 목을 인입하는 목베개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목베개(210)로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일반적인 머리배게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목베개부(200)는 외측에 복수로 제4 단추부재(2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4 단추부재(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베개(210)의 양끝단의 외측에는 제4 단추부재(251,252)가 마련되고, 목베개(210)의 일단의 외측에는 제4 단추부재(253,254)가 마련되며, 목베개(210)의 일단과 목베개(210)의 양끝단 사이의 외측에는 제4 단추부재(255,25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4 단추부재(250)는 목베개(210)의 외측에 상하좌우 대칭으로 교차되어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서로 간의 결속이 가능할 수 있고, 목베개(210)는 제4 단추부재(250)간의 결속에 의해 변형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베개(210)는 제4 단추부재(251,252)가 마련된 목베개(210)의 양끝단이 목베개(210)의 일단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변형되어 제4 단추부재(253,254)와 결속되면, 목베개(210)의 형태가 상승하면서 사용자의 머리를 높게 잡아줄 수 있고, 목베개의 용도로 사용될 때보다 훨씬 더 편안하고 안정감이 있어 성능이 향상된 머리베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목베개(210)는 제4 단추부재(251,253,255)가 마련된 목베개(210)의 좌측부가 우측부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형태로 변형되어 제4 단추부재(252,254,256)와 결속되면, 목베개(210)의 형태가 상승하면서 편안하고 안정감이 있어 성능이 향상된 머리 베개의 용도 또는 팔 베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의 목베개부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목베개부(200)는 목베개(210)의 양끝단에 각각 물건이 수납되도록 개폐되는 복수의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목베개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베개(210)의 양끝단의 외측에는 제2 목베개 지퍼(261), 제2 목베개 지퍼 손잡이(262), 제1 수납공간(263), 제3 목베개 지퍼(264), 제3 목베개 지퍼 손잡이(265) 및 제2 수납공간(266)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 목베개 지퍼(261)와 제2 목베개 지퍼 손잡이(262)는 통상의 지퍼 및 지퍼 손잡이와 동일하게 구비되고, 이에 제1 수납공간(263)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제3 목베개 지퍼(264)와 제3 목베개 지퍼 손잡이(265)도 마찬가지로 통상의 지퍼 및 지퍼 손잡이와 동일하게 구비되고, 이에 제2 수납공간(266)이 개폐될 수 있다.
제1 수납공간(263)과 제2 수납공간(266)은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로 마련되어 인입되는 물체에 따라 일정 길이만큼 신축될 수 있다.
첨언하면, 제1 수납공간(263)과 제2 수납공간(266)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납공간(263)과 제2 수납공간(266)은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몸체부(100)가 수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수납공간(263)과 제2 수납공간(266) 중에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에 휴대용 단말기를 인입시키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가 인입된 수납공간이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을 향해 신축되되,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몸체부(100)의 형태도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신축됨으로써, 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가 목베개(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몸체부(100)에 외측에 끼워지는 형태가 되어 수납공간으로부터 거치될 수 있다.
목베개부(2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베개(210)의 일단에 물건이 수납될 수 있는 제4 목베개 지퍼(267), 제4 목베개 지퍼 손잡이(268) 및 제3 수납공간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4 목베개 지퍼(267)와 제4 목베개 지퍼 손잡이(268)는 통상의 지퍼 및 지퍼 손잡이와 동일하게 구비되고, 이에 제3 수납공간(269)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수납공간(269)은 제1 수납공간(263), 제2 수납공간(266)과 마찬가지로 휴대폰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제3 수납공간은(269)은 제1 수납공간(263) 및 제2 수납공간(266)과 다르게 목베개(210)의 일단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제3 단추부재(230)과 끼움부재(240)가 끼움결합된 상태의 목베개(210)의 양끝단에 턱을 받친 상태로 편리하게 제3 수납공간(269)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운자켓이 접어지면서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경우, 다운자켓의 부피가 절감되면서 다운자켓이 목베개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가 다운자켓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되, 목베개의 내부공간에 결합됨으로써, 목베개가 다운자켓이 목베개의 내부공간의 한 쪽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몸체부 110: 몸체
111: 몸체 지퍼 120: 옷깃
121: 옷깃 지퍼 122: 옷깃 지퍼 손잡이
123: 연결부재 130: 소매
131,132: 제1 단추부재 200: 목베개부
201: 원형공간부 210: 목베개
211: 제1 목베개 지퍼 212: 제1 목베개 지퍼 손잡이
220: 제2 단추부재 230: 제3 단추부재
240: 끼움부재 250: 제4 단추부재
261: 제2 목베개 지퍼 262: 제2 목베개 지퍼 손잡이
263: 제1 수납공간 264: 제3 목베개 지퍼
265: 제3 목베개 지퍼 손잡이 266: 제2 수납공간
267: 제4 목베개 지퍼 268: 제4 목베개 지퍼 손잡이
269: 제3 수납공간

Claims (7)

  1. 제1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옷깃과 소매가 구비되는 몸체부; 및
    일단이 상기 옷깃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옷깃의 외측이 개방되면, 외부로 인출되어 목베개로 사용되도록 마련되는 목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목베개부는,
    제2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가 외부로 인출되되, 상기 제2 내부공간이 개방되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로 변형되며,
    상기 몸체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소매의 끝단에 복수의 제1 단추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소매가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되면, 상기 소매의 끝단이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각각 상기 복수의 제1 단추부재가 결속되는 복수의 제2 단추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의 외측이 결속되어 형태가 변형되도록,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의 외측에 제3 단추부재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의 끝단과 다른 하나의 끝단의 외측에 상기 제3 단추부재와 끼움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단추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단추부재의 결속에 의해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에 수용된 상기 소매가 일단의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양끝단의 내주면에 원형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공간부에 사용자의 목이 인입되도록 하여 목베개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베개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2 내부공간에 수용되어도 형태가 변형되도록 신축성 소재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KR2020160003810U 2016-06-30 2016-06-30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KR200482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10U KR200482240Y1 (ko) 2016-06-30 2016-06-30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10U KR200482240Y1 (ko) 2016-06-30 2016-06-30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240Y1 true KR200482240Y1 (ko) 2017-01-02

Family

ID=5779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810U KR200482240Y1 (ko) 2016-06-30 2016-06-30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4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275B1 (ko) 2017-03-30 2017-09-13 김윤희 목베개 겸용 체온유지용 우의
KR20200001147U (ko) 2018-11-26 2020-06-03 더인터맥스(주) 휴대성을 가지는 의류
KR20200001459U (ko) 2020-06-25 2020-07-01 더인터맥스(주) 휴대성을 가지는 의류
KR20210000764U (ko) 2021-03-22 2021-04-06 더인터맥스(주) 휴대성을 가지는 의류
KR102320157B1 (ko) * 2020-07-21 2021-11-01 박해영 목 베개 양압 헤드 쉴드
KR200496874Y1 (ko) * 2022-04-27 2023-05-30 더인터맥스(주)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477A (en) * 1982-04-14 1984-08-28 Degennaro Alfred A Foldable wearing apparel
KR200173097Y1 (ko) * 1999-09-22 2000-03-15 손근배 베개 기능을 겸비한 상의
KR101177079B1 (ko) 2010-07-13 2012-08-24 주식회사화승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KR200462312Y1 (ko) 2012-06-11 2012-09-05 배정완 상의
KR20140046936A (ko) * 2012-10-11 2014-04-21 홍성우 목베개 기능을 가지는 점퍼
KR200474668Y1 (ko) * 2014-06-17 2014-10-06 최강근 의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7477A (en) * 1982-04-14 1984-08-28 Degennaro Alfred A Foldable wearing apparel
KR200173097Y1 (ko) * 1999-09-22 2000-03-15 손근배 베개 기능을 겸비한 상의
KR101177079B1 (ko) 2010-07-13 2012-08-24 주식회사화승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KR200462312Y1 (ko) 2012-06-11 2012-09-05 배정완 상의
KR20140046936A (ko) * 2012-10-11 2014-04-21 홍성우 목베개 기능을 가지는 점퍼
KR200474668Y1 (ko) * 2014-06-17 2014-10-06 최강근 의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275B1 (ko) 2017-03-30 2017-09-13 김윤희 목베개 겸용 체온유지용 우의
KR20200001147U (ko) 2018-11-26 2020-06-03 더인터맥스(주) 휴대성을 가지는 의류
KR20200001459U (ko) 2020-06-25 2020-07-01 더인터맥스(주) 휴대성을 가지는 의류
KR102320157B1 (ko) * 2020-07-21 2021-11-01 박해영 목 베개 양압 헤드 쉴드
KR20210000764U (ko) 2021-03-22 2021-04-06 더인터맥스(주) 휴대성을 가지는 의류
KR20220000375U (ko) 2021-03-22 2022-02-11 더인터맥스(주) 휴대성을 가지는 의류
KR200496874Y1 (ko) * 2022-04-27 2023-05-30 더인터맥스(주)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2240Y1 (ko)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CN203662415U (zh) 便携式颈枕
US20200237123A1 (en) Rollable Pillow and Furling Method Thereof
US6957462B1 (en) Pillow with slidable strap through it
CN108618518B (zh) 便携式枕头及毯子套件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07756A1 (en) Contoured Travel Pillow
US20190231100A1 (en) Neck pillow with storage capability
US6776318B2 (en) Mobile phone holder
KR101672972B1 (ko) 액체가 주입되는 목 베개
KR101177079B1 (ko)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KR20200000890U (ko) 작고 가벼운 폴더블 메모리폼 여행 목베개
KR101404242B1 (ko) 튜브형 목 받침부를 갖는 모자
US20140110444A1 (en) Device carrying pouch
CN111700318A (zh) 一种可携带婴儿的羽绒服
KR101400350B1 (ko) 목베개 기능을 가지는 점퍼
CN108354400A (zh) 一种可变形多功能u型枕
US9867484B2 (en) Pillow curler case
KR200463424Y1 (ko) 휴대용 다용도 담요
CN211379705U (zh) 一种新型带有充气枕头的外套
US11844452B1 (en) Multifunctional pillow
KR20180106895A (ko) 휴대용 베개 및 담요 키트
CN216438934U (zh) 一种多用途颈枕
KR200466710Y1 (ko) 방석 기능이 구비된 가방
US20220354281A1 (en) Multi-purpose infinity travel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