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874Y1 -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 Google Patents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874Y1
KR200496874Y1 KR2020220001037U KR20220001037U KR200496874Y1 KR 200496874 Y1 KR200496874 Y1 KR 200496874Y1 KR 2020220001037 U KR2020220001037 U KR 2020220001037U KR 20220001037 U KR20220001037 U KR 20220001037U KR 200496874 Y1 KR200496874 Y1 KR 200496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hood
opening
closing means
form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수
이선화
Original Assignee
더인터맥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인터맥스(주) filed Critical 더인터맥스(주)
Priority to KR2020220001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8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8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에 관한 것이다. 패커블 바람막이는 몸의 상체 부분을 보호하는 몸체(11);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연결되어 머리 부분을 덮는 후드(13); 및 후드(13)의 안쪽 부분에 형성된 개폐 수단(14); 및 개폐 수단(14)에 의하여 개폐되는 쿠션 형성 공간(13a)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A Packable Windbreaker Capable of Being Transformed into a Neck Cushion Using Two layers Fabric}
본 고안은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착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목 쿠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에 관한 것이다.
바람막이(windbreaker)는 스포츠, 등산 또는 레저와 같은 활동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방풍 기능을 가지면서 추가로 방한, 방수, 투습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의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의류 중 후드가 부착된 의류를 아노락(anorak) 또는 야케(wind jacket)라고 명해진다. 바람막이는 주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면서 재질이 얇으면서 경량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바람막이는 착용을 하지 않는 경우 휴대가 편리한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다양한 용도 또는 기능을 가진 의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공개번호 20-1999-0017602는 상의용 모자를 이용한 쿠션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51962는 통상적인 잠바에 탈부착이 되는 후드에 챙을 부설한 후드에 대하여 개시한다. 스포츠, 레저 또는 야외 활동 과정에서 바람막이가 착용할 필요가 없는 상태가 발생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바람막이는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바람막이가 팩 형태로 만들어지면서 쿠션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의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1: 실용신안공개번호 20-1999-0017602(장락기, 1999.05.25. 공개) 상의용 모자를 이용한 쿠션 장치 선행기술2: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51962(김창남, 2001.11. 22. 공고) 챙이 부설된 의류용 후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쿠션으로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으면서 휴대가 편리한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는 몸의 상체 부분을 보호하는 몸체; 몸체의 위쪽 부분에 연결되어 머리 부분을 덮는 후드; 및 후드의 안쪽 부분에 형성된 개폐 수단; 및 개폐 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쿠션 형성 공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쿠션 형성 공간의 안쪽 면이 개폐 수단의 바깥쪽으로 꺼내지면서 형성되는 역 쿠션 형성 공간에 몸체가 수용되면서 목 쿠션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쿠션 형성 공간(13a)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 형성된 결합 끈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는 스포츠용, 레저용, 등산용 또는 이와 유사한 야외 활동 과정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막이는 착용되어 사용되지 않는 경우 후드에 형성된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로 팔 부위 및 몸체를 수용하여 간단하게 휴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쿠션 형성 공간이 목 쿠션 또는 이와 유사한 쿠션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3 및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막이가 목 쿠션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고안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는 몸의 상체 부분을 보호하는 몸체(11);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연결되어 머리 부분을 덮는 후드(13); 및 후드(13)의 안쪽 부분에 형성된 개폐 수단(14); 및 개폐 수단(14)에 의하여 개폐되는 쿠션 형성 공간(13a)을 포함한다.
바람막이는 재킷(11, 12a, 12b)에 후드(13)가 결합된 구조가 될 수 있고, 재킷(11, 12a, 12b)은 상체를 보호하는 몸체(11) 및 한 쌍의 팔 부위(12a, 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1)는 개폐를 위한 지퍼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11)로부터 한 쌍의 팔 부위(12a, 12b)가 연장될 수 있다.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후드(13)가 결합될 수 있고, 후드(13)는 얼굴 부위를 노출시키는 앞쪽 부분이 열린 구 형상이 될 수 있다. 후드(13)는 목 부위를 덮으면서 머리를 덮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후드(13)의 구조에 의하여 본 고안은 제한되지 않는다. 후드(13)는 두 겹 또는 이층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후드(13)의 안쪽 부분에 예를 들어 선형 지프와 같은 개폐 수단(14)이 형성될 수 있다. 후드(13)가 두 겹 또는 이층 구조로 만들어지면서 개폐 수단(14)이 안쪽 겹 또는 접촉 층에 형성되고 후드(13)의 바깥쪽 층과 분리되면서 접촉 층과 연결되어 개폐 수단(14)에 의하여 개폐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쿠션 형성 공간(13a)이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수단(14)은 후드(13)의 안쪽에 형성되면서 목 뒷덜미와 머리의 경계 부근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 수단(14)은 후드(13)의 수평 단면을 기준으로 후드 전체 수평 길이의 1/4 내지 4/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드(13)는 두 겹 또는 이중 층 구조가 될 수 있고, 개폐 수단(14)의 안쪽 부분에 몸체(11)와 동일한 소재 또는 재질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 개폐 수단(1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위쪽 부분의 재봉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하면 아래쪽 부분의 수용 공간이 유지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형성된 개폐 수단(14)의 아래쪽 부분이 쿠션 형성 공간(13a)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쿠션 형성 공간(13a)은 개폐 수단(13a)의 바깥쪽으로 꺼내면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 수단(14)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쿠션 형성 공간(13a)의 내부에 결합 끈(16a, 16b)이 배치될 수 있고, 쿠션 형성 공간(13a)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이 바뀌도록 뒤집는 것에 의하여 결합 끈(16a, 16b)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이 뒤집어져 형성된 뒤집힌 쿠션 형성 공간에 몸체(11) 및 팔 부위(11)를 접거나 또는 구겨서 넣으면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목 쿠션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쿠션 형성 공간(13a)이 뒤집힌 형상을 역 쿠션 형성 공간이라 명해진다. 이와 같이 목 쿠션 형태로 만들어지면 휴대가 편리하면서 목을 받치는 쿠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 후드(13)에 조임을 위한 한 쌍의 조임 끈(17a, 17b)이 형성될 수 있고, 조임 끈(17a, 17b)은 목 쿠션이 만들어진 상태에 역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이 목 쿠션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막이가 제품 형태로 만들어진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3 및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막이가 목 쿠션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3 및 4를 참조하면, 쿠션 형성 공간(13a)의 안쪽 면이 개폐 수단(14)의 바깥쪽으로 꺼내지면서 형성되는 역 쿠션 형성 공간에 몸체(11)가 수용되면서 목 쿠션이 만들어진다. 도 2의 좌측 및 우측은 각각 바람막이의 앞쪽 및 뒤쪽에서 본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몸체(11), 한 쌍의 팔 부위(12a, 12b), 후드(13) 및 조임 끈(17a, 17b)을 포함한다. 후드(13)는 몸체(11)와 동일한 원단을 이루는 바깥층과 바깥층에 대하여 이층 구조를 형성하는 접촉 층(21)으로 이루어지고, 접촉 층(21)에 선형 지퍼와 같은 개폐 수단(14)이 형성될 수 있고, 개폐 수단(14)은 서로 결합되어 쿠션 형성 공간(13a)을 밀폐시키는 제1, 2 개폐 수단(14a, 1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개폐 수단(14)의 아래쪽 부분이 쿠션 형성 공간(13a)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착용 과정에서 목 앞쪽 부위를 가리는 후드 날개(22a, 22b)가 형성될 수 있고, 후드 날개(22a, 22b)가 후드(13)의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이층 구조가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몸체(11)의 안쪽 부분의 일부에 접촉 층(21)과 같은 소재로 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개폐 수단(14)의 아래쪽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 라인(NL)을 따라 쿠션 형성 공간(13a)이 형성될 수 있다. 쿠션 형성 공간(13a)은 제1, 2 개폐 수단(14a, 14b)은 이루어질 수 있고, 접촉 층(21)은 쿠션 형성 공간(13a)의 바깥쪽 층이 될 수 있다. 쿠션 형성 공간(13a)은 분리 층(21a)에 의하여 내부 층이 형성될 수 있고, 분리 층(21a)은 후드(13) 또는 몸체(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4의 좌측 위쪽을 참조하면, 후드 날개(22a, 22b)를 개폐 수단(14)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끌어내면 쿠션 형성 공간(13a)의 분리 층(21a)이 제1, 2 개폐 수단(14a, 14b)의 외부로 꺼내지면서 분리 층(21a)의 안쪽 면이 바깥 면이 되면서 역 쿠션 형성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층(21)은 역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 층이 되고, 쿠션 형성 공간(13a)의 내부에 배치된 결합 끈(16a, 16b)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결합 끈(16a, 16b)의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에서 후드 날개(22a, 22b)가 형성된 적어도 한쪽 끝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 형성 공간의 외부 층은 몸체(1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외부 층의 안쪽 면과 바깥 면이 뒤집어지면서 바깥 면과 안쪽 면으로 바뀌면 몸체(11)가 역 쿠션 형성 공간과 연결되면서 수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접촉 층(21)은 바깥층의 안쪽에 위치하면 안쪽 면과 바깥 면이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몸체(11)가 역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몸체(11)를 접어 접힌 몸체(11a)로 만들 수 있다. 이후 도 4의 좌측 아래쪽에 도시된 것처럼, 접힌 몸체(11a)를 역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수용 몸체(11b)로 만들 수 있다. 수용 몸체(11b)가 역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에 수용되면 개폐 수단(14)을 닫을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도 4의 우측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목 쿠션이 만들어질 수 있다. 목 쿠션의 양쪽 끝이 결합 끈(16a, 16b)이 형성되어 목에 쉽게 착용되어 조여질 수 있고, 팩 형태로 만들어진 상태이므로 간단하게 휴대될 수 있다. 결합 끈(16a, 16b)은 개폐 수단(14)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고, 역 쿠션 형성 공간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면서 양쪽 끝 부분이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쿠션 형성 공간 또는 그에 의한 역 쿠션 형성 공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몸체 12: 팔 부위
13: 후드 14: 개폐 수단
13a: 쿠션 형성 공간 16a, 16b: 결합 끈

Claims (3)

  1. 몸의 상체 부분을 보호하는 몸체(11);
    몸체(11)의 위쪽 부분에 연결되어 머리 부분을 덮는 후드(13); 및
    후드(13)의 안쪽 부분에 형성된 개폐 수단(14); 및
    개폐 수단(14)에 의하여 개폐되는 쿠션 형성 공간(13a)을 포함하고,
    후드(13)는 몸체(11)와 동일한 원단을 이루는 바깥층과 바깥층에 대하여 이층 구조를 형성하는 접촉 층(21)으로 이루어지고, 접촉 층(21)에 개폐 수단(14)이 형성되고, 착용 과정에서 목 앞쪽 부위를 가리는 후드 날개(22a, 22b)가 형성되고개폐 수단(14)의 아래쪽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목 라인(NL)을 따라 쿠션 형성 공간(13a)이 형성되고, 후드 날개(22a, 22b)를 개폐 수단(14)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끌어냄으로써 쿠션 형성 공간(13a)의 안쪽 면에 의해 형성되는 역 쿠션 형성 공간에 몸체(11)가 수용되면서 목 쿠션이 만들어지고,
    쿠션 형성 공간(13a)의 내부에 배치되는 결합 끈(16a, 16b)을 더 포함하고, 쿠션 형성 공간(13a)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이 바뀌도록 뒤집는 것에 의하여 결합 끈(16a, 16b)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2. 삭제
  3. 삭제
KR2020220001037U 2022-04-27 2022-04-27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KR200496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37U KR200496874Y1 (ko) 2022-04-27 2022-04-27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37U KR200496874Y1 (ko) 2022-04-27 2022-04-27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874Y1 true KR200496874Y1 (ko) 2023-05-30

Family

ID=8654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37U KR200496874Y1 (ko) 2022-04-27 2022-04-27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874Y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02U (ko) 1999-01-30 1999-05-25 장락기 상의용모자를이용한쿠션장치
KR200251962Y1 (ko) 2001-08-03 2001-11-22 김창남 챙이 부설된 의류용 후드
US20100043117A1 (en) * 2008-08-19 2010-02-25 Mary Elizabeth Hildebrandt Convertible Head And Neck Supporting Apparel
US20110088135A1 (en) * 2009-10-19 2011-04-21 Wolverine World Wide, Inc. Convertible garment
WO2011047417A1 (en) * 2009-10-19 2011-04-28 Kathryn Dominique Cowle Multi-purpose garment
KR20120006783A (ko) * 2010-07-13 2012-01-19 주식회사화승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US20130152270A1 (en) * 2011-12-20 2013-06-20 Steve A. Neal Hooded garment with integrated pillow
KR200482240Y1 (ko) * 2016-06-30 2017-01-02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US20170224033A1 (en) * 2016-02-10 2017-08-10 Robert S. Latta, JR. Combination Sweatshirt and Travel Pillow
KR20170106195A (ko)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바로서기 여행용 목베개로 사용이 가능한 점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02U (ko) 1999-01-30 1999-05-25 장락기 상의용모자를이용한쿠션장치
KR200251962Y1 (ko) 2001-08-03 2001-11-22 김창남 챙이 부설된 의류용 후드
US20100043117A1 (en) * 2008-08-19 2010-02-25 Mary Elizabeth Hildebrandt Convertible Head And Neck Supporting Apparel
US20110088135A1 (en) * 2009-10-19 2011-04-21 Wolverine World Wide, Inc. Convertible garment
WO2011047417A1 (en) * 2009-10-19 2011-04-28 Kathryn Dominique Cowle Multi-purpose garment
KR20120006783A (ko) * 2010-07-13 2012-01-19 주식회사화승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US20130152270A1 (en) * 2011-12-20 2013-06-20 Steve A. Neal Hooded garment with integrated pillow
US20170224033A1 (en) * 2016-02-10 2017-08-10 Robert S. Latta, JR. Combination Sweatshirt and Travel Pillow
KR20170106195A (ko) * 2016-03-11 2017-09-20 주식회사 바로서기 여행용 목베개로 사용이 가능한 점퍼
KR200482240Y1 (ko) * 2016-06-30 2017-01-02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562B2 (en) Rain garment
CA1139051A (en) Vest with sleeves
US7152252B2 (en) Convertible face and head covering
US6260206B1 (en) Temperature regulating modular hat
US8336116B2 (en) Garment closure system
US4138742A (en) Convertible cushion
JPH0364502A (ja) 外套付き衣服
KR200444200Y1 (ko) 망토형 우의
US2500982A (en) Fligel
US1050310A (en) Cap.
US5781933A (en) Aerodynamic peaked cap
JP6281899B2 (ja) 上着
US20070033707A1 (en) Cap with conforming ear band
US6073268A (en) Expandable jacket
KR200496874Y1 (ko)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CN106072900A (zh) 一种防水跑步衣
JP5183607B2 (ja) 衣服
JPH10168619A (ja) 上下続き防寒防風防塵用衣料
US2436724A (en) Gale hood
KR200497414Y1 (ko) 이중 구조 원단을 이용한 뒤판 안쪽 면 모자 내장형 재킷
KR102569553B1 (ko) 가변형 모자가 구비된 기능성 우의
US20230270188A1 (en) Detachable hood system
CN110962970B (zh) 一种防雨挡风被
NO315256B1 (no) Skjermende skjört, s¶rlig for bruk sammen med motorsykkelhjelm
JP6493820B1 (ja) ライダー用レインウエ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