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079B1 -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 Google Patents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079B1
KR101177079B1 KR1020100067437A KR20100067437A KR101177079B1 KR 101177079 B1 KR101177079 B1 KR 101177079B1 KR 1020100067437 A KR1020100067437 A KR 1020100067437A KR 20100067437 A KR20100067437 A KR 20100067437A KR 101177079 B1 KR101177079 B1 KR 101177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neck pillow
weare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783A (ko
Inventor
강석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승
Priority to KR102010006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0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41D27/202Pocket closures with flap-sealed slid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edding Item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된 보온층과, 상기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보온층이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기 위한 주머니 형태의 주머니부재를 일체로 구비하여 목베게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방한복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winter clothes}
본 발명은 방한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한복과 일체로 마련되거나 방한복과 별게로 마련되어 방한복을 목베게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베게는 목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U"자나 ”C"자 또는 “ㄷ"자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통상 외피와, 외피 내부에 채워지는 쿠션물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이러한 목베게로 목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바닥이나 의자 등받이의 지지면에 목을 기대게 되면, 목베게를 통해 이용자의 경추가 본래의 굴곡진 안전한 상태로 지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이때는 쿠션물은 이용자의 목이 압박받는 것을 방지는 쿠션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쿠션물은 일반 패딩점퍼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충진되는 오리털이나 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 사용량의 증가로 인해 일자목이나 목디스크와 같은 목 부위 관련 질환이 증가하면서 이와 같이 마련된 목베게 이용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목 질환 관련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는 물론 여행도중 자동차나 비행기 내에서도 경추를 본래의 형태로 받칠 수 있도록 목베게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최근 여행자 중에는 목베게를 휴대하고 다니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목베게의 경우 세면도구나 속옷 등과 같이 일반 여행자가 여행시 휴대하게 되는 다른 물건에 비하여 과도하게 부피가 크기 때문에, 여행시 목베게를 휴대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경우 큰 사이즈의 여행용 가방을 준비해야 하는 등 목베게 휴대에 따른 불편함이 많았다.
또 목베게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목베게 사이즈를 작게 하거나 쿠션물의 충진량을 줄이게 되는 경우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때는 쿠션물에 의한 쿠션효과가 저하되면서 목베게의 쿠션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한복을 필요에 따라 목둘레를 감싸는 목베게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별도의 목베게를 휴대함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한복을 통해 형성된 목베게가 높은 쿠션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련된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한복은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된 보온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피에는 상기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보온층이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기 위한 주머니 형태의 주머니부재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머니부재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피에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주머니부재와 내피는 상기 개구 둘레가 상기 절개부 둘레에 박음질되어 상호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한복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한복은 착용자의 몸통을 가리도록 마련된 몸통부 및 착용자의 팔을 덮도록 마련된 팔가림부를 구비하는 상의(上衣)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착용자 몸통의 후면을 덮도록 마련된 후면커버부와, 착용자 몸통의 전면을 나란히 덮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전면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은 상기 한 쌍의 전면커버부 사이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주머니부재는 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가 상기 후면커버부 중앙의 내피 쪽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한복은 착용자의 몸통을 가리도록 마련된 몸통부 및 착용자의 팔을 덮도록 마련된 팔가림부를 구비하는 상의(上衣)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착용자 몸통의 후면을 덮도록 마련된 후면커버부와, 착용자 몸통의 전면을 나란히 덮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전면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은 상기 한 쌍의 전면커버부 사이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주머니부재는 상기 개폐장치 양측의 전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내피 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머니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천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한복은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된 보온층과, 상기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보온층이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기 위한 주머니 형태의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는 개구 및 상기 개구의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내피와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된 보온층을 구비하는 방한복이 상기 개구를 통해 내부에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 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머니부재를 통해 목베게로의 변헝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본 발명의 방한복은 이용자가 별도의 목베게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요시 목베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용도가 다양화 된다. 또 본 발명의 방한복은 방한복의 착용이 곧 목베게를 휴대한 것이 되므로, 목베게를 휴대하고자 하는 여행자가 이러한 방한복을 이용하게 될 경우 이용자는 여행중 목베게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겪을 필요가 없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방한복은 내피와 외피 및 보온층 전체가 주머니부재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베게를 형성하게 되고, 이때 보온층은 오리털이나 솜털과 같이 보온작용은 물론 쿠션작용이 뛰어한 소재를 통해 구성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이 변형되어 마련된 목베게는 쿠션기능에 있어서도 일반 목베게 이상으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방한복과 별도로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의 경우에도 휴대가 간편하고 방한복을 이용하여 목베게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도록 마련되므로, 이러한 주머니부재를 방한복과 함께 휴대할 경우에도 이용자는 주머니부재 일체형 방한복을 이용했을 때에 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주머니부재가 내피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을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써, 주머니부재 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주머니부재가 내피 외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을 절취선 B-B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써, 주머니부재 쪽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 방한복의 내피 및 외피와 보온층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에 있어서 내피 및 외피와 보온층이 주머니부재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주머니부재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를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주머니부재가 내피 내부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주머니부재가 내피 외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한복의 구조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복(1)은 통상의 오리털 파카나 패딩 점퍼와 같이 방한복 중 상의(上衣) 외투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부위별로 보면 착용자의 몸통을 가리도록 마련된 몸통부(2)와, 착용자의 팔을 덮도록 몸통부(2) 양측으로 마련된 한 쌍의 팔가림부(3,4)를 구비한다. 몸통부(2)는 다시 착용자 몸통의 후면을 덮도록 마련된 후면커버부(5)와, 착용자 몸통의 전면을 나란히 덮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전면커버부(6,7)로 구분되며, 한 쌍의 전면커버부(6,7) 사이에는 몸통부(2) 전면을 개폐하도록 개폐장치(8)가 마련된다. 개폐장치(8)는 통상의 지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커버부(5)와, 한 쌍의 전면커버부(6,7)와, 한 쌍의 팔가림부(3,4)는 각각 내피(9) 및 외피(10)와, 내피(9)와 외피(10) 사이에 마련되는 보온층(11)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방한의류 역시 전체적으로는 내피(9) 및 외피(10)와, 내피(9)와 외피(10) 사이의 보온층(11)으로 구성된다. 후면커버부(5)와 한 쌍의 전면커버부(6,7)와, 한 쌍의 팔가림부(3,4)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박음질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보온층(11)은 패딩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패딩은 겉감(11a)과, 보온성이 뛰어남은 물론 쿠션을 제공하기 적합한 오리털이나 일반 솜 등으로 마련되어 겉감(11a)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11b)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이와 달리 보온층(11)은 내피(9)와 외피(10) 사이에 직접 오리털 등을 주입함으로써 형성되도록 할 수도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복(1)에 있어서, 상기 내피(9)에는 내피(9) 및 외피(10)와 보온층(11)이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기 위한 주머니 형태의 주머니부재(20)가 일체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주머니부재(20)를 일체로 구비하여 목베게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방한복(1)은 이용자가 별도의 목베게를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요시 목베게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방한복(1)의 용도가 보다 다양해지도록 한다. 또 이러한 방한복(1)은 방한복(1)의 착용이 곧 목베게를 휴대한 것이 되므로, 목베게를 휴대하고자 하는 여행자가 이러한 방한복(1)을 이용하게 될 경우 이용자는 여행중 목베게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겪을 필요가 없게 된다.
또 본 방한복(1)은 내피(9)와 외피(10) 및 보온층(11) 전체가 주머니부재(20)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베게를 형성하게 되고, 이때 보온층(11)은 오리털이나 솜털과 같이 보온작용은 물론 쿠션작용이 뛰어한 소재를 통해 구성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복(1)이 변형되어 마련된 목베게는 쿠션기능에 있어서도 일반 목베게 이상으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방한복(1)을 목베게로 전환시키기 위해 내피(9)와 외피(10) 및 보온층(11) 전체를 주머니부재(20) 내부로 압축하여 삽입하는 과정에서 주머니부재(2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머니부재(20)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천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머니부재(20)는 일면은 스판소재와 같이 신축성이 뛰어난 천재질을 통해 신축이 가능한 신축가능면(21)을 형성하고, 주머니부재(20)의 타면은 목베게의 형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하도록 나일론과 같이 변형이 적은 천재질을 통해 형태유지면(22)을 형성하게 된다.
또 주머니부재(20)는 상기 신축가능면(21)과 형태유지면(22)이 상호 박음질되어 일측에 개구(23)가 구비되며 펼쳤을 때 “C"자 나 ”ㄷ"자 또는 “U"자 모양의 주머니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된다. 상기 개구(23)에는 개구(23)를 개폐하도록 개폐장치(30)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장치(30)는 통상의 지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머니부재(20)가 상기 내피(9)에 일체화되도록 상기 내피(9)에는 절개부(9a)가 형성되고, 주머니부재(20)와 내피(9)는 상기 개구(23) 둘레가 상기 절개부(9a) 둘레에 박음질되어 상호 일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이용자가 방한복(1)을 착용한 상태에서 주머니부재(20)는 절개부(9a)를 통해 내피(9) 안쪽에 위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주머니부재(20)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게 되며, 이상태에서 개폐장치(30)는 주머니부재(20) 내부의 물건이 유출되지 않도록 닫혀질 수 있다.
그리고 착용하고 있던 방한복(1)을 목베게로 전환하여 이용하고자 할 경우 이용자는 먼저 도 1 및 도 2의 상태에서 개폐장치(30)를 통해 개구(23)를 개방하고, 이 상태로 내피(9) 안쪽에 위치되어 있던 주머니부재(20)를 절개부(9a)를 통해 내피(9) 외부로 인출하면서 뒤집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이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다음으로 이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피(9)와 외피(10) 및 보온층(11)을 주머니부재(20) 안쪽으로 집어넣기 용이한 상태가 되도록 접게 된다. 이렇게 접혀진 내피(9)와 외피(10)와 보온층(11)은 도 6과 같이 상기 개구(23)를 통해 주머니부재(20) 안쪽으로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어 주머니부재(20) 내부공간을 채우게 되며, 방한복(1)은 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상기 개폐장치(30)를 닫아 개구(23)를 폐쇄시킴에 따라 완전한 목베게로 전환된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복(1)의 경우 주머니부재(20)는 상기 개구(23)가 후면커버부(5) 중앙의 내피(9) 쪽에 위치되도록 후면커버부(5)에 일체로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주머니부재(20)의 배치구조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방한복(1)은 상기 개구(23)의 위치가 방한복(1)의 중심에 가깝게 마련되고, 이에 따라 방한복(1)을 목베게로 전환하기 위해 내피(9) 및 외피(10)와 보온층(11)을 주머니부재(20)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내피(9) 및 외피(10)와 보온재(11) 전 부분이 주머니부재(20) 내부에 고르게 채워질 수 있게 되면서 목베게가 전체적으로 고른 부피를 유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한복(1′)의 구조가 도시된 도 8 및 도 9와 같이, 주머니부재(20)는 한 쌍의 전면커버부(6,7) 중 어느 하나의 내피(9) 쪽에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때는 방한복(1′)을 목베게로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게 되면서도 상기 주머니부재(20)가 통상의 점퍼에 마련되는 속주머니의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전면커버부(6,7)의 내피(9) 쪽에 별도의 속주머니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이용자는 방한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주머니부재(20)를 속주머니처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머니부재(20)와 개폐장치(30)의 배치에 있어서만 차별될 뿐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참고로 전술한 내용에서는 방한복(1,1′)이 상의(上衣)를 형성한 경우와 주머니부재(20)가 내피(9)에 일체로 마련된 경우에 관해서만 기재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 상기 방한복은 하의(下衣)를 포함하고, 상기 주머니부재(20)는 방한복의 외피를 통해 설치되거나 방한복의 내피 또는 외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는 방한복과 별도로 마련되며 내부에 방한복이 채워지기 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20)의 구조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방한복과 별도로 마련된 주머니부재(20)의 경우에도 부피가 적어 휴대가 간편하고 방한복을 이용하여 목베게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도록 마련되므로, 이러한 주머니부재(20)를 방한복과 함께 휴대할 경우에도 이용자는 주머니부재(20) 일체형 방한복을 이용했을 때에 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주머니부재(20)의 경우 방한복과 일체로 마련된 전술한 주머니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5: 후면커버부 6,7: 전면커버부
9: 내피 9a: 절개부
10: 외피 11: 보온층
20: 주머니부재 21: 신축가능면
22: 형태유지면 30: 개폐장치

Claims (8)

  1.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된 보온층을 구비하는 방한복에 있어서,
    상기 내피에는 상기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보온층이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기 위한 주머니 형태의 주머니부재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재는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피에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주머니부재와 내피는 상기 개구 둘레가 상기 절개부 둘레에 박음질되어 상호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한복은 착용자의 몸통을 가리도록 마련된 몸통부 및 착용자의 팔을 덮도록 마련된 팔가림부를 구비하는 상의(上衣)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착용자 몸통의 후면을 덮도록 마련된 후면커버부와, 착용자 몸통의 전면을 나란히 덮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전면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은 상기 한 쌍의 전면커버부 사이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주머니부재는 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가 상기 후면커버부 중앙의 내피 쪽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한복은 착용자의 몸통을 가리도록 마련된 몸통부 및 착용자의 팔을 덮도록 마련된 팔가림부를 구비하는 상의(上衣)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착용자 몸통의 후면을 덮도록 마련된 후면커버부와, 착용자 몸통의 전면을 나란히 덮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전면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은 상기 한 쌍의 전면커버부 사이에 마련된 개폐장치를 통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주머니부재는 상기 개폐장치 양측의 전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의 내피 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신축 가능한 천재질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복.
  7.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된 보온층과, 상기 내피 및 외피와 상기 보온층이 내부로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기 위한 주머니 형태의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복.
  8. 개구 및 상기 개구의 개폐를 위한 개폐장치를 구비하여 내피와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마련된 보온층을 구비하는 방한복이 상기 개구를 통해 내부에 압축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목 둘레를 감쌀 수 있는 목베게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KR1020100067437A 2010-07-13 2010-07-13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KR10117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37A KR101177079B1 (ko) 2010-07-13 2010-07-13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437A KR101177079B1 (ko) 2010-07-13 2010-07-13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83A KR20120006783A (ko) 2012-01-19
KR101177079B1 true KR101177079B1 (ko) 2012-08-24

Family

ID=4561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437A KR101177079B1 (ko) 2010-07-13 2010-07-13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40Y1 (ko) 2016-06-30 2017-01-02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KR101778275B1 (ko) 2017-03-30 2017-09-13 김윤희 목베개 겸용 체온유지용 우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1901B2 (en) 2015-07-08 2018-08-21 Dpi Imports, Inc. Jacket convertible to a neck pillow
CN108354245A (zh) * 2017-01-26 2018-08-03 彭弘光 衣服收纳结构
KR200496874Y1 (ko) * 2022-04-27 2023-05-30 더인터맥스(주) 이층 구조 원단을 이용한 목 쿠션으로 변형 가능한 패커블 바람막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48Y1 (ko) 1999-07-26 2000-02-15 서찬석 냉방부재가 부설된 의복
KR100735132B1 (ko) 2006-01-24 2007-07-03 김선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방한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48Y1 (ko) 1999-07-26 2000-02-15 서찬석 냉방부재가 부설된 의복
KR100735132B1 (ko) 2006-01-24 2007-07-03 김선호 공기주머니를 구비한 방한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240Y1 (ko) 2016-06-30 2017-01-02 주식회사 예성디앤에프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KR101778275B1 (ko) 2017-03-30 2017-09-13 김윤희 목베개 겸용 체온유지용 우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83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421B2 (en) Apparel with inflatable neck cushion
US9155409B2 (en) Support pillow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KR200482240Y1 (ko) 목베개로 변형되는 다운자켓
KR101177079B1 (ko)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US7001239B2 (en) Cleavage anti-wrinkle device
EP2866614A2 (en) Support pillow
WO2020150849A1 (zh) 一种背包两用衣包底及背包两用衣
CN104970626A (zh) 腰凳携带装置
CN101874653A (zh) 护颈式休闲旅行服
CN207220454U (zh) 用于婴幼儿坐躺的一体化多功能出行包
US20060255648A1 (en) Breast/storage cavity 1
KR20130002301A (ko) 튜브형 목 받침부를 갖는 모자
CN201662789U (zh) 一种保健鼠标腕垫
KR102021740B1 (ko) 가방형 목베개
KR200433802Y1 (ko) 유아용 포대기
CN208354632U (zh) 一种衣服套装
KR101329236B1 (ko)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KR200191936Y1 (ko) 등받이를 방석으로 사용토록 한 배낭
CN207306496U (zh) 一种u型枕
CN210353226U (zh) 一种由亲肤材料制成的拼接衣服
CN209610664U (zh) 一种内填毛毯的弯月型颈枕
CN210581949U (zh) 一种多功能头颈罩
JP2000201735A (ja) ザック
CN103099337A (zh) 身体保健羽绒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