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236B1 -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 Google Patents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236B1
KR101329236B1 KR1020120096693A KR20120096693A KR101329236B1 KR 101329236 B1 KR101329236 B1 KR 101329236B1 KR 1020120096693 A KR1020120096693 A KR 1020120096693A KR 20120096693 A KR20120096693 A KR 20120096693A KR 101329236 B1 KR101329236 B1 KR 101329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illow
pocket
outer shell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금숙
Original Assignee
윤금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금숙 filed Critical 윤금숙
Priority to KR102012009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방석으로 사용하다가 누워 휴식 또는 취침을 하거나 또는 허리받침구로 사용하고자 때에는 방석을 접어 베개 또는 허리받침구로 사용하되, 상기 베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방석에 마련된 포켓을 뒤집어 베개부를 씌워 사용함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외피(41)의 내부에 쿠션부재(42)를 충입하여 방석(40)을 마련하고, 그 방석(40)은 일부를 접어 사람의 목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베개부(43)와, 그 베개부(43)를 형성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연장부(44)로 구분 형성시키며,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하는 일측 가장자리와 그 가장자리가 만나는 방석(40)의 외피(41) 표면에는 방석(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한 후 그 베개부(43)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결합되는 결합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방석(40)을 형성하는 외피(41)의 이면에는 상기 베개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뒤집어씌울 수 있는 포켓(46)을 형성시켜 된 것이다.

Description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Cushion functionl pillow}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방석으로 사용하다가 누워 휴식 또는 취침을 하거나 또는 허리받침구로 사용하고자 때에는 방석을 접어 베개 또는 허리받침구로 사용하되, 상기 베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방석에 마련된 포켓을 뒤집어 베개부를 씌워 사용함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깔고 앉을 때 안락감과 편안함을 누리기 위하여 만든 자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석은 그 내부에 쿠션부재가 충입된 4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석은 깔고 앉을 때 안락감과 편안함을 누리기 위한 용도의 자리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그 이외의 베개나 허리받침구로는 사용할 수 없는 구조적인 단조로움이 있다.
그러나 일상생활 즉 거실이나 방 등에서 방석을 깔고 사용하다 보면 베개로 사용하고자 할 필요성과 허비받침구로 사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느껴지게 되고 그 때에는 방석을 원통형으로 말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원통형의 말아진 후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풀려 사용상의 불편함이 느끼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제공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00809호의 베개 겸용 쑥 방석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쑥의 잎과 줄기를 분쇄한 충진물(15)을 천연직물로 된 자루 형태의 외피(11)로 감싸면서 밀봉하고 충진물(15)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자 형태로 침선한 쿠션부(10)와; 상기 쿠션부(10)를 롤 형태로 말은 상태에서 형태를 유지하도록 쿠션부(10)의 양측 끝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제1,2지퍼(31,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10)는 제1,2지퍼(31,32)중 어느 일 측에 쿠션부(10)의 일면을 커버하는 크기로 천연직물로 된 덮개(20)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며, 이 덮개(20)의 일측 끝에는 제1,2지퍼(31,32)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3지퍼(31)가 구비되는 것임.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베개 겸용 쑥 방석은 베개로 사용하고자 말았을 때 원통형이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한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없으며, 허리받침구의 용도로 사용했을 때에도 원통형이 가지는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하여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석으로 사용할 때는 일반적인 방석의 기능과 유사하나, 그 방석을 접어 베개로 사용할 때는 사용상의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고, 또 허리받침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석으로 사용하다가 베개나 허리받침구로 사용할 때에는 방석으로 사용하는 면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베개부 전체를 포켓으로 뒤집어씌움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하도록 한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의 구성은, 외피(41)의 내부에 쿠션부재(42)를 충입하여 방석(40)을 마련하고, 그 방석(40)은 일부를 접어 사람의 목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베개부(43)와, 그 베개부(43)를 형성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연장부(44)로 구분 형성시키며,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하는 일측 가장자리와 그 가장자리가 만나는 방석(40)의 외피(41) 표면에는 방석(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한 후 그 베개부(43)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결합되는 결합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방석(40)을 형성하는 외피(41)의 이면에는 상기 베개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뒤집어씌울 수 있는 포켓(46)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피(41)의 일 측에는, 쿠션부재(42)를 외피내부로 충입하거나 또는 외피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개폐부(47)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46)은, 방석(40)의 이면에 포켓부재(46a)를 접어 중첩되게 한 후 양측 가장자리는 방석의 양 측면 가장자리와 일체가 되게 봉재하고, 입구는 상기 연장부(44)의 끝단 가장자리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시키며, 상기 포켓(46)의 입구는 개폐 가능하게 지퍼, 벨크로테이프, 후크단추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결합부(45)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후크단추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방석(40)의 내부 또는 포켓(46) 중 어느 일 측에는 허브향 팩을 내재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은, 방석으로 사용도중 베개나 허리받침구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방석의 일부를 접어 그 접은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고정하고, 또 방석으로 사용하는 외피 면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기 베개부를 방석으로 사용하는 면이 아닌 새로운 면으로 뒤집어 씌워 사용할 수 있도록 포켓을 형성시킴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한 상태에서 베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다시 방석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다시 베개부를 해체하고 펼친 다음 상기 뒤집어진 포켓을 다시 뒤집어 원래 방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베개겸용 방석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의 평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베개부를 형성하기 위해 방석의 일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베개부를 포켓으로 뒤집어씌운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베개부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허리받침구의 사용상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베개부를 형성하기 위해 방석의 일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베개부를 포켓으로 뒤집어씌운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베개부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에서 허리받침구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피(41)의 내부에 쿠션부재(42)를 충입하여 방석(40)을 마련하고, 그 방석(40)은 일부를 접어 사람의 목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베개부(43)와, 그 베개부(43)를 형성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연장부(44)로 구분 형성시키며,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하는 일측 가장자리와 그 가장자리가 만나는 방석(40)의 외피(41) 표면에는 방석(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한 후 그 베개부(43)의 형상이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결합되는 결합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방석(40)을 형성하는 외피(41)의 이면에는 상기 베개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뒤집어씌울 수 있는 포켓(46)이 형성된다.
상기 방석(40)의 형상은 4각형으로 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외피(41)의 재질은 섬유재로 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 피혁재로도 할 수 있다.
상기 방석(40)에는 베개를 형성하기 위하여 방석(40)의 일부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어 사람의 목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베개부(43)와 그 베개부(43)를 형성하고 남은 나머지는 연장부(44)로 구분 형성시키며,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하는 일측 가장자리와 그 가장자리가 만나는 방석(40)의 외피(41) 표면에는 방석(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한 후 그 베개부(43)의 형상이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결합부(45)를 형성시켰는데, 그 결합부(45)는 지퍼로 함이 바람지하나, 필요에 딸서는 후크단추 또는 벨크로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결합부(45)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베개부(43)를 형성하고자 방석의 일부를 접었을 때에 그 접인 베개부의 형상이 풀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베게부(43)가 형성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켓(46)의 입구를 뒤집어 포켓(46)의 내면이 베게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감싸도록 하였다. 그 이유는 여러 사람이 깔로 사용하던 방석(40)의 외피(41) 면은 비위생적임으로 그 비위생적인 면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람의 머리로 베기가 꺼려짐으로 상기 비위생적인 면을 사용하지 않고 청결한 면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개의 용도 외에도 허리받침용도로도 사용하여 안락감과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게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 포켓(46)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석(40)의 이면에 포켓부재(46a)를 접어 중첩되게 한 후 그 중첩된 양측 가장자리는 방석(40)의 양 측면 가장자리와 일체가 되게 봉재하고, 상기 포켓(46)의 입구는 상기 연장부(44)의 끝단 가장자리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시킨다.
상기 포켓(46)의 입구를 상기 연장부(44)의 끝단 가장자리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베게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감싸도록 포켓을 뒤집어씌울 때에 용이하게 뒤집어씌우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포켓(46)의 길이 즉 크기는 베게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감쌀 수 있는 크기면 되고, 상기 포켓의 입구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후크단추 중 어느 하나를 형성시켜 개폐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피(41)의 일 측에는, 쿠션부재(42)를 외피내부로 충입하거나 또는 외피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개폐부(47)를 형성시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석(40)의 내부 또는 포켓(46) 중 어느 일 측에는 허브향 팩을 내재시켜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적 편안함과 안전감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방석으로 사용할 때는 일반적인 방석의 기능과 유사하나, 그 방석을 접어 베개로 사용할 때는 사용상의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고, 또 허리받침구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방석으로 사용하다가 베개나 허리받침구로 사용할 때에는 방석으로 사용하는 면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베개부와 연장부 전체를 포켓으로 뒤집어씌움으로써 청결함을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0 : 방석 41 : 외피
42 : 쿠션부재 43 : 베개부
44 : 연장부 45 : 결합부
46 : 포켓 46a : 포켓부재
47 : 개폐부

Claims (6)

  1. 외피(41)의 내부에 쿠션부재(42)를 충입하여 방석(40)을 마련하고, 그 방석(40)은 일부를 접어 사람의 목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베개부(43)와, 그 베개부(43)를 형성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연장부(44)로 구분 형성시키며,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하는 일측 가장자리와 그 가장자리가 만나는 방석(40)의 외피(41) 표면에는 방석(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개부(43)를 형성한 후 그 베개부(43)의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결합되는 결합부(45)가 형성되고, 상기 방석(40)을 형성하는 외피(41)의 이면에는 상기 베개부(43)와 연장부(44)를 모두 뒤집어씌울 수 있는 포켓(46)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41)의 일 측에는, 쿠션부재(42)를 외피내부로 충입하거나 또는 외피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개폐부(4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46)은, 방석(40)의 이면에 포켓부재(46a)를 접어 중첩되게 한 후 양측 가장자리는 방석의 양 측면 가장자리와 일체가 되게 봉재하고, 입구(46b)는 상기 연장부(44)의 끝단 가장자리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게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46)의 입구(46b)는 개폐 가능하게 지퍼, 벨크로테이프, 후크단추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5)는, 지퍼, 벨크로테이프, 후크단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40)의 내부 또는 포켓(46) 중 어느 일 측에는 허브향 팩을 내재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KR1020120096693A 2012-08-31 2012-08-31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KR101329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693A KR101329236B1 (ko) 2012-08-31 2012-08-31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693A KR101329236B1 (ko) 2012-08-31 2012-08-31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236B1 true KR101329236B1 (ko) 2013-11-20

Family

ID=4985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693A KR101329236B1 (ko) 2012-08-31 2012-08-31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776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히템 명상용 방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857U (ko) * 1980-02-09 1981-09-09
KR200362905Y1 (ko) 2004-07-02 2004-09-22 이한터 의자용 방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857U (ko) * 1980-02-09 1981-09-09
KR200362905Y1 (ko) 2004-07-02 2004-09-22 이한터 의자용 방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776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히템 명상용 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014B1 (en) Pillow apparatus and method
CN109527878A (zh) 带有3d空间的婴儿背带
US8990986B2 (en) Baby changing pad with pocket for wipes
KR101177079B1 (ko) 목베게 전환용 주머니부재 및 이를 갖춘 방한복
CA2806799A1 (en) Organic pillow with internal adjustable neck support
CN207220454U (zh) 用于婴幼儿坐躺的一体化多功能出行包
KR101329236B1 (ko) 베개와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방석
KR20090113414A (ko) 침낭
US20060255648A1 (en) Breast/storage cavity 1
KR100872558B1 (ko) 유아침구용 가방
CN202051363U (zh) 御风被子
CN206979267U (zh) 一种颈椎保护枕
KR200476071Y1 (ko) 접이식 매트리스
JP2015150158A (ja) 携帯用枕
CN218738237U (zh) 一种可快捷拆装的枕套
CN204617137U (zh) 多功能羽绒披肩
JP5973628B2 (ja) 携帯用枕
JP3240921U (ja) ハンモック用ベッドクッション
JP3232897U (ja)
KR100517903B1 (ko) 다기능 유아용 포대기
CN214127909U (zh) 一种多功能便携床单
CN204091535U (zh) 保暖睡袋
KR200471520Y1 (ko) 가방 겸용 유아매트
KR101808156B1 (ko) 여행용 베개 및 그 보관방법
CN211459563U (zh) 便携式婴儿床中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