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608Y1 -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608Y1
KR200473608Y1 KR2020120007198U KR20120007198U KR200473608Y1 KR 200473608 Y1 KR200473608 Y1 KR 200473608Y1 KR 2020120007198 U KR2020120007198 U KR 2020120007198U KR 20120007198 U KR20120007198 U KR 20120007198U KR 200473608 Y1 KR200473608 Y1 KR 200473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wing
swinging
building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125U (ko
Inventor
황희영
Original Assignee
황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희영 filed Critical 황희영
Priority to KR2020120007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60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1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는 건물 등의 벽체를 이루고 스윙 구조로 개방이 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빔과 좌/우측빔을 갖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벽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스윙이 되는 스윙벽;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스윙벽의 대향하는 좌우측면에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은 고정프레임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스윙벽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스윙벽이 스윙이 되도록 하는 링크; 상기 스윙벽의 링크의 연결부위 아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스윙블록; 상기 스윙블록에 하방 수직으로 결합하여 스윙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결합하여 승강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적인 건물의 벽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열린공간이 되도록 벽 전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 부위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개방 부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외부에서 작용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Swinging open type wall equipment for outer wall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 등의 벽체를 이루고 스윙 구조로 개방이 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를 막는 벽체는 콘크리트 내지 시멘트 벽돌로 이루어진 조적물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벽의 경우 출입을 위한 문 또는 창호 등이 부가된다.
특히, 건물의 1층의 경우는 벽체가 형성되는 전체를 유리로 하여 개방감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벽체 전체를 유리로 하는 경우는 시각적인 개방감은 높일 수 있으나 실제는 유리로 내부와 외부가 분리가 되어 있어 공간적으로 외부와 내부를 완전히 분리시킴으로 인해 실질적인 개방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 10-2009-0022245 '힌지와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병풍식 벽체 및 창호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 종래 병풍식 벽체 및 창호구조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으면 열린 공간이 되고, 펴면 공간과 공간을 나누는 벽체나 창호를 힌지가 부착된 가이드에 장착하여, 가이드레일에 의해 벽체나 창호가 병풍처럼 접었다 펼 수 있도록 하고, 자석을 이용하여 빈틈 벽체나 창호의 연결된 부위를 고정수단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벽체나 창호를 상단 및 하단에 부착된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되, 상기 힌지의 부착된 수평이동수단이 구비된 가이드가 가이드레일을 통해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공간의 개폐, 밀폐, 부분 개방을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공사 및 사무실의 가변적인 공간 구성을 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타입의 병풍식 벽체는 창호와 같은 수준의 것으로 실제 벽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병풍식으로 접어서 열린공간을 형성할 수는 있으나, 벽체나 창호가 접혀진 상태로 건물의 기둥 내지 벽에 위치하고 있어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타입과 병풍식 접힘을 통해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잦은 고장 및 외부에서 작용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일반적인 건물의 벽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열린공간이 되도록 개방이 가능한 개방식 건물 외벽 벽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방 부위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개방식 건물 외벽 벽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개방 부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개방식 건물 외벽 벽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조적으로 외부에서 작용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개방식 건물 외벽 벽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해결하고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는 개방식 건물 외벽 벽체 장치에 있어서,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빔과 좌/우측빔을 갖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벽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스윙이 되는 스윙벽;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스윙벽의 대향하는 좌우측면에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은 고정프레임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스윙벽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링크; 및 상기 스윙벽의 링크의 연결부위 아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스윙블록; 상기 스윙블록에 하방 수직으로 결합하여 스윙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결합하여 승강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윙벽은 금속소재로 틀을 이루는 벽프레임; 및 상기 벽프레임의 개방부위를 마감하는 투명소재의 마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윙벽은 출입을 위한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축은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태의 웜기어 축으로 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웜기어 축에 대응하는 웜 형태로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본 고안은 일반적인 건물의 벽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내부공간을 열린공간이 되도록 벽 전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 부위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 부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외부에서 작용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병풍식 벽체 및 창호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외관 및 설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고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스윙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스윙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2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외관 및 설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10)는 건물의 기둥(1) 사이에 설치되어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며, 스윙이 되는 형태 즉, 회전축인 수평축(x축)이 상방(y축)으로 이동을 하면서 동시에 스윙을 하는 부분(스윙벽/120)이 하부에서 상부로 열리면서 개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110), 스윙벽(120), 링크(130), 스윙블록(140), 승강축(150) 및 승강구동부(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도 4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고정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기둥(1)과 기둥(1)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측빔(110-1)과 좌/우측빔(110-2)을 갖는다.
하측 연결부(110-3)는 연결판 형태이거나 상기 상측빔 및 좌/우측빔과 같이 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측빔(110-1)과 좌/우측빔(110-2)은 'H'빔을 이용하거나, 사각빔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지대 역할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빔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10)은 기둥(1)과 기둥(1) 사이에 결합되어 스윙벽(120)이 스윙이 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틀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윙벽(120)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벽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스윙이 된다.
이와 같은 스윙벽(120)은 본 고안이 건물의 외벽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와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윙벽(120)은 도 5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스윙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소재로 스윙벽(120)의 틀을 이루는 벽프레임(122) 및 상기 벽프레임(122)의 개방부위를 마감하는 투명소재의 마감부(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프레임(122)은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사각 기둥을 용접해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분할 구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부(124)는 유리 또는 투명합성수지판과 같은 투명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윙벽(120)은 출입을 위한 도어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건물의 외벽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출입이 필요한 경우 스윙벽(120) 자체에 도어부(126)를 형성한다. 따라서 스윙벽(120)이 열린 상태에서는 도어부(126)가 스윙벽(120) 자체에 설치되어 있어 함께 스윙이 되고, 스윙벽(120)이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부(126)가 출입을 위한 도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링크(130)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10)과 스윙벽(120)의 대향하는 좌우측면에 사이에 설치된다.
즉, 고정프레임(110)의 좌/우측빔과 대향하는 스윙벽(120)의 측면 사이에 링크(130)가 위치하여 고정프레임(110)과 스윙벽(120)을 연결한다.
따라서, 일측은 고정프레임(110)측의 좌/우측빔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스윙벽(120)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은 링크(130)는 상기 스윙벽(120)을 하방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여 스윙벽(120)이 스윙되도록 한다.
상기 스윙블록(140)은 상기 스윙벽(120)의 링크(130)의 연결부위 아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와 같은 스윙블록(140)은 스윙벽(120)이 회전(스윙)하는 회전축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축(150)은 상기 스윙블록(140)에 하방 수직으로 결합하여 스윙블록(14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승강축(150)은 상기 스윙블록(140)을 상하(수직방향)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축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가 조절되는 축인 유압기의 샤프트, 래크, 웜기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60)는 상기 승강축(150)에 결합하여 승강축(15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유압기, 래크에 대응하는 피니언, 웜기어에 대응하는 웜 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승강축(150)과 승각구동부(160)의 구조는 승강축은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태의 웜기어 축으로 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웜기어 축에 대응하는 웜 형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구동을 시킴과 동시에 스윙벽(120)의 스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링크(130), 스윙블록(140), 승강축(150) 및 승강구동부(160)는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스윙벽(120)이 스윙이 되도록 하는데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윙벽(120) 양쪽 측면에 상기한 구성들이 쌍으로 설치되거나 일부 구성은 한쪽 측면에만 설치되고 다른 쪽 측면은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스윙벽 작동을 설명한다. 도 6 본 고안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의 스윙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60)를 스윙벽(12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을 시키면, 승강축(150)이 상승(y축 방향)을 하게 되고, 상기 승강축(150)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블록(140)이 상승을 하게 된다.
승강블록(140)이 상승을 하게 되면, 승강블록(140)과 링크(130)의 고정프레임(110) 연결지점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링크(130)의 스윙벽(120) 연결지점은 상승(y축)과 동시에 전진(z축)을 하면서 스윙벽(120)을 스윙시킨다.
즉, 스윙벽(120)은 승강블록(140)의 상승으로 링크(130)에 의해 눌려 스윙이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기둥
10 :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110 : 고정프레임
120 : 스윙벽
122 : 벽프레임
124 : 마감부
126 : 도어부
130 : 링크
140 : 스윙블록
150 : 승강축
160 : 승강구동부

Claims (4)

  1. 개방식 건물 외벽 벽체 장치에 있어서,
    'H'빔으로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되며, 상측빔과 좌/우측빔으로 이루어진 고정프레임;
    금속소재로 틀을 이루는 벽프레임과 상기 벽프레임의 개방부위를 마감하는 투명소재의 마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벽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스윙되는 스윙벽;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스윙벽의 대향하는 좌우측면에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은 고정프레임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스윙벽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스윙벽이 상하로 스윙되도록 하는 링크;
    상기 스윙벽의 링크 연결부위 아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스윙블록;
    상기 스윙블록에 하방 수직으로 결합하여 상기 스윙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축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태의 웜기어 축; 및
    상기 웜기어 축에 대응하는 웜 형태로 상기 웜기어 축과 결합하여 상기 웜기어 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벽은
    출입을 위한 도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4. 삭제
KR2020120007198U 2012-08-13 2012-08-13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KR200473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98U KR200473608Y1 (ko) 2012-08-13 2012-08-13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198U KR200473608Y1 (ko) 2012-08-13 2012-08-13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25U KR20140001125U (ko) 2014-02-21
KR200473608Y1 true KR200473608Y1 (ko) 2014-07-17

Family

ID=5199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198U KR200473608Y1 (ko) 2012-08-13 2012-08-13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6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3779B (zh) * 2019-01-24 2023-08-22 重庆大学 一种含摇摆柱和摇摆墙的全摇摆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84U (ko) * 1997-12-26 1999-07-26 츠카모토 미키오 화장실 부스용 회전슬라이드 도어
KR20050021671A (ko) * 2003-08-25 2005-03-07 이대영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100099634A (ko) * 2009-03-03 2010-09-13 오준혁 프로젝트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암플레이트
KR20110101839A (ko) * 2010-03-10 2011-09-16 추원경 창틀의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984U (ko) * 1997-12-26 1999-07-26 츠카모토 미키오 화장실 부스용 회전슬라이드 도어
KR20050021671A (ko) * 2003-08-25 2005-03-07 이대영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100099634A (ko) * 2009-03-03 2010-09-13 오준혁 프로젝트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암플레이트
KR20110101839A (ko) * 2010-03-10 2011-09-16 추원경 창틀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25U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99937Y (zh) 吊物口安全护栏装置
KR20180006703A (ko) 접이식 도어 장치
KR200473608Y1 (ko)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CN101503927A (zh) 悬浮式平移门机构
JP6486123B2 (ja) 昇降式ホーム安全柵
KR20090084190A (ko) 이동식 작업장
KR20160062513A (ko) 투명 난간 중간 매입형 이중창호구조
KR20170001691A (ko) 바닥면을 철거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한 폴딩도어
EP1873342A1 (en) Counterframe for a concealed sliding door with self-closing device
KR20180109830A (ko) 바닥면 무철거 폴딩도어 시공방법
JP2009138401A (ja) 伸縮門扉
WO2020045170A1 (ja) 複層ガラス及びこれを備える建具
CN111628419A (zh) 一种智慧用电变电柜
JPH0737027Y2 (ja) 上げ下げ窓
JPH0734129Y2 (ja) 通風扉
JP2002115447A (ja) 建物の窓構造
CN216157468U (zh) 一种装配式框架门
JPH0737028Y2 (ja) 上げ下げ窓
JP7305221B1 (ja) 手摺
KR101524193B1 (ko) 방범벽 겸용 데크
KR200315694Y1 (ko) 상방향 접기식 대문
KR102602236B1 (ko) 환기창을 구비한 창호
CN201416361Y (zh) 悬浮式平移门机构
CN210482581U (zh) 一种铁制可调节转角构件
KR200322820Y1 (ko) 대문을 활용한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