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193B1 - 방범벽 겸용 데크 - Google Patents
방범벽 겸용 데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4193B1 KR101524193B1 KR1020140135154A KR20140135154A KR101524193B1 KR 101524193 B1 KR101524193 B1 KR 101524193B1 KR 1020140135154 A KR1020140135154 A KR 1020140135154A KR 20140135154 A KR20140135154 A KR 20140135154A KR 101524193 B1 KR101524193 B1 KR 101524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oupled
- pair
- motor
- elevat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벽 겸용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 승강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양측으로 길이방향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의 각각에 길이방향 타단이 각각 연결된 구동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프레임은 상기 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되는 링크암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결합된 한 쌍의 서포트블록과, 상기 레일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서포트블록에 결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딩블록과, 상기 기어박스 및 상부에 위치된 서포트 블록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 수직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범벽 겸용 데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가나 주택의 창문 및 문에 설치되어 방범 역할을 하다가 필요시 개방시켜 데크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범벽 겸용 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가나 주택에는 야간에 창문을 깨거나 문을 강제로 열고 침입하는 도둑을 막기 위해 방범창이나 방범문이 설치된다.
통상적인 방범창이나 방범문은 창문이나 문에 덧씌우는 형태로 설치되는게 일반적이다.
방범창이나 방범문은 낮에는 그 기능을 요하지 않음에도 상시 창문이나 문의 일부를 가려서 보기 흉하고, 밤에는 방범 기능이 필요함에도 창문이나 문을 완전히 가리지 못하여 방범성이 완전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예로, 공개특허 제10-2009-0022245호 "힌지와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병풍식 벽체 및 창호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문헌은 접으면 열린 공간이 되고, 펴면 공간과 공간을 나누는 벽체나 창호를 힌지가 부착된 가이드에 장착하여, 가이드레일에 의해 벽체나 창호가 병풍처럼 접었다 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빈틈 벽체나 창호의 연결된 부위를 고정수단으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벽체나 창호를 상단 및 하단에 부착된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되, 힌지의 부착된 수평이동수단이 구비된 가이드가 가이드레일을 통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공간의 개폐, 밀폐, 부분 개방을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아파트의 발코니 확장공사 및 사무실의 가변적인 공간 구성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전술한 문헌은 슬라이딩 타입과 병풍식 접힘을 통해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잦은 고장 및 외부에서 작용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 내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을 이용해 일측방향으로 스윙되어 개방되는 방범창이나 방범문이 제작되기도 한다.
하지만 와이어를 이용한 스윙타입은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의 잦은 반복으로 인한 와이어 길이의 편차 등의 문제들이 발생되어 스윙 개방시 기울어짐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안전 동작이 지속되면 와이어 끊김 또는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어 안전사고 발생 및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수작업의 번거로움과 경비의 발생이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방범 기능을 요하지 않는 낮에는 문이나 창문을 가리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밤에는 문이나 창문을 완전히 가려 방범성이 우수한 방범벽 겸용 데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낮에는 활용가능한 공간을 넓혀주는 데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방범벽 겸용 데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 승강수단,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양측으로 길이방향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의 각각에 길이방향 타단이 각각 연결된 구동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프레임은 상기 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되는 링크암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결합된 한 쌍의 서로프블록과, 상기 레일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서포트블록에 결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딩블록과, 상기 기어박스 및 상부에 위치된 서포트 블록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 수직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벽 겸용 데크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 한 쌍의 서포트블록은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내측면에 충격방지를 위한 부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커플링을 통해 상기 모터와 상기 기어박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승강수단의 각각에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프레임은 개방되어 지면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회동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는, 방범 기능을 요하지 않는 낮에는 문이나 창문을 가리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밤에는 문이나 창문을 완전히 가려 방범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낮에는 활용가능한 공간을 넓혀주는 데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범벽의 개방시 방범벽의 양쪽을 동일한 각도로 이동시키므로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편중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장시 방범벽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가 개방되어 데크의 기능을 할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가 닫혀져 방범벽 기능을 할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가 닫혀져 방범벽 기능을 할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가 개방되어 데크의 기능을 할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가 닫혀져 방범벽 기능을 할 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100)는, 프레임(110), 승강수단(120), 모터(130), 구동수단(140) 및, 회동프레임(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1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114)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프레임(11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114)이 상호 결합되어 "ㅁ"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프레임(110)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는 방범벽 겸용 데크(100)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승강수단(12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다.
승강수단(120)은 레일(122),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 스크류(126), 로딩블록(128), 수직샤프트(129)로 이루어진다.
레일(122)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의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레일(122)은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어 프레임(110)의 기둥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며,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에 결합되는 위치와 높이 또한 동일하게 마련된다.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은 레일(122)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의 각각에 결합된다.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의 각각에 한 쌍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구름베어링(미도시) 등이 마련되어 후술되는 스크류(126)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은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내측면에 충격방지를 위한 부싱(124a)이 마련된다. 이 부싱(124a)은 후술되는 로딩블록(128)이 상하로 이동되다가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스크류(126)는 레일(122)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에 결합된다.
스크류(126)는 외주연에 나사산(126a)이 형성된 봉상으로 마련되며, 길이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상부에 위치된 서포트블록(124)과 하부에 위치된 서포트블록(124)에 각각 결합되어 레일(122)의 외측에서 레일(122)의 길이방향에 평행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마련된다.
로딩블록(128)은 스크류(126)에 결합되어 링크암(152)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로딩블록(128)의 내부에는 TM너트(미도시)가 마련되어 스크류(126)의 나사산(126a)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되며, 외부의 일측면에는 링크암(152)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수직샤프트(129)는 봉상으로 마련되어, 기어박스(116) 및 상부에 위치된 서포트블록(124)에 길이방향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다.
수직샤프트(129)는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길이방향 일단이 기어박스(116)의 하부를 관통해 기어박스(116) 내부에 마련된 기어(미도시)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이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 중 레일(122)의 상부에 위치된 서포트블록(124)을 통해 스크류(126)의 상부 단부에 결합된다.
모터(13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된 수평프레임(114)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한다. 이 모터(130)는 기어비를 이용해서 RPM과 토크 제어가 가능한 감속기가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수단(140)은 모터(130)의 양측으로 길이방향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수평프레임(114)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기어박스(116)를 통해 승강수단(120)의 각각에 길이방향 타단이 각각 연결된다.
구동수단(140)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커플링(142)을 통해 모터(130)와 기어박스(116)에 각각 결합되어 모터(130)의 회전력을 승강수단(120)의 각각에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즉, 구동수단(140)은 봉상의 두개의 축이 직선을 이루도록 모터(1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모터(130)의 동력에 의해 각각 회전되며, 이 회전은 각각의 단부에 결합된 기어박스(116)를 통해 승강수단(120)이 좌우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로딩블록(128)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회동프레임(150)은 프레임(1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수평프레임(11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결합되는 위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14) 중 프레임(110)의 하부에 위치된 수평프레임(114)에 복수개의 경첩(154) 등을 통한 힌지결합으로 결합된다.
회동프레임(150)은 승강수단(120)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되는 링크암(152)에 연결되어 상부가 개방되어 회동된다.
즉, 회동프레임(150)의 양측면에는 힌지결합을 통해 링크암(152)의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링크암(152)의 연장된 타단이 로딩블록(128)의 각각에 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로딩블록(128)이 스크류(126)를 따라 상하이동되어 회동프레임(150)은 상부가 개방되게 된다. 즉, 프레임(110)으로부터 회동프레임(150)의 개폐가 가능해진다.
회동프레임(150)은 개방되어 지면을 향하는 일측면에 지지프레임(156)이 결합되는데, 이 지지프레임(156)은 회동프레임(150)이 완전히 개방되어 데크로 사용될 때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회동프레임(150)의 하중을 용이하게 지탱하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방범벽 겸용 데크의 작동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위치부(미도시)를 사용해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130)가 작동된다.
다음, 모터(130)의 동력에 의해 모터(130)의 양측에 위치한 구동수단(140)이 각각 회전하게되고, 기어박스(116)를 통해 각각의 구동수단(140)에 연결된 각각의 수직샤프트(129)가 동시에 회전된다.
이후, 각각의 수직샤프트(129)의 회전으로 한 쌍의 수직프레임(112)에 결합된 각각의 스크류(126)가 동시에 회전됨과 동시에 각각의 로딩블록(128)이 하강되게되어 회동프레임(150)의 상부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여기서, 회동프레임(150)은 스크류(126)의 동일한 회전을 통해 양측면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되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후, 로딩블록(128)의 하강이 완료되면 회동프레임(150)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 위치되어 데크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데크의 사용이 완료되어 모터(130)를 역회전시키면 전술된 구동수단(140), 수직샤프트(129) 및 스크류(126)가 역회전되어 로딩블록(128)을 승강시킴으로써 회동프레임(150)이 방범벽 기능을 하는 원위치로 회동되어 복귀된다.
만약, 장치의 작동중 고장이 발생되면 회동프레임(150)은 링크암(152)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방지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는 설명하진 않았지만 장치의 동작제어를 위해 프레임(110)과 회동프레임(150), 한 쌍의 서포트블록(124)의 각각에 내측면 등에는 센서스위치(미도시), 리밋스위치(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범벽 겸용 데크는 방범 기능을 요하지 않는 낮에는 문이나 창문을 가리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밤에는 문이나 창문을 완전히 가려 방범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낮에는 활용가능한 공간을 넓혀주는 데크의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범벽의 개방시 방범벽의 양쪽을 동일한 각도로 이동시키므로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편중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장시 방범벽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방범벽 겸용 데크 110: 프레임
112: 한 쌍의 수직프레임 114: 한 쌍의 수평프레임
116: 기어박스 120: 승강수단
122: 레일 124: 한 쌍의 서포트블록
124a: 부싱 126: 스크류
126a: 나사산 128: 로딩블록
129: 수직샤프트 130: 모터
140: 구동수단 142: 커플링
150: 회동프레임 152: 링크암
154: 경첩 156: 지지프레임
112: 한 쌍의 수직프레임 114: 한 쌍의 수평프레임
116: 기어박스 120: 승강수단
122: 레일 124: 한 쌍의 서포트블록
124a: 부싱 126: 스크류
126a: 나사산 128: 로딩블록
129: 수직샤프트 130: 모터
140: 구동수단 142: 커플링
150: 회동프레임 152: 링크암
154: 경첩 156: 지지프레임
Claims (5)
-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이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호 대칭되게 마련된 승강수단;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상기 수평프레임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양측으로 길이방향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기어박스를 통해 상기 승강수단의 각각에 길이방향 타단이 각각 연결된 구동수단;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프레임은 상기 승강수단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되는 링크암에 연결되어 회동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각각에 결합된 한 쌍의 서포트블록과, 상기 레일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서포트블록에 결합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링크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딩블록과, 상기 기어박스 및 상부에 위치된 서포트 블록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 수직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벽 겸용 데크.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포트블록은 상호 마주하는 각각의 내측면에 충격방지를 위한 부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벽 겸용 데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길이방향 양단부가 커플링을 통해 상기 모터와 상기 기어박스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승강수단의 각각에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벽 겸용 데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은 개방되어 지면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회동프레임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벽 겸용 데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154A KR101524193B1 (ko) | 2014-10-07 | 2014-10-07 | 방범벽 겸용 데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5154A KR101524193B1 (ko) | 2014-10-07 | 2014-10-07 | 방범벽 겸용 데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4193B1 true KR101524193B1 (ko) | 2015-06-10 |
Family
ID=5350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5154A KR101524193B1 (ko) | 2014-10-07 | 2014-10-07 | 방범벽 겸용 데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419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209B1 (ko) * | 2013-11-23 | 2014-05-28 | 송종운 | 이동식 컨테이너 하우스 |
-
2014
- 2014-10-07 KR KR1020140135154A patent/KR1015241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209B1 (ko) * | 2013-11-23 | 2014-05-28 | 송종운 | 이동식 컨테이너 하우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4013B1 (ko) | 접이식 도어 장치 | |
CN109538070B (zh) | 具有自动锁死功能的开关弧形自动门 | |
CN105705717A (zh) | 使用驱动辊的自动窗打开和关闭设备以及包括其的窗 | |
US9567789B2 (en) | Hydraulically operated overhead tilt-up door | |
CN204186243U (zh) | 一种折叠平开门 | |
US9631418B2 (en) | Hydraulically operated overhead tilt-up door with stabilizer | |
CN104563766A (zh) | 一种移轴式自动平开门 | |
US8162027B2 (en) | Multi-fold door | |
KR101524193B1 (ko) | 방범벽 겸용 데크 | |
JP4766715B2 (ja) | 防水扉装置 | |
US2681699A (en) | Garage door | |
CN204199997U (zh) | 电动双折门 | |
KR102015902B1 (ko) |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 |
CN204457301U (zh) | 一种移轴式自动平开门 | |
JP3257726B2 (ja) | 辷り出し窓開閉装置 | |
CN103321509A (zh) | 多功能窗开闭装置 | |
JP6958897B2 (ja) | 横引きゲート | |
ES2072078T3 (es) | Mecanismo de apertura para puertas de avion. | |
IT201900000301A1 (it) | Sistema di movimentazione per una struttura di chiusura con movimentazione a libro | |
KR101488344B1 (ko) | 창문 리프트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철도차량 | |
KR20150104694A (ko) |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창짝 자동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
RU86644U1 (ru) | Ворота подъемно-складные | |
KR200473608Y1 (ko) | 건물 외벽용 스윙 개방식 벽체 장치 | |
KR101504313B1 (ko) | 금형반전 및 개폐기 | |
CN100476156C (zh) | 窗或门用的配件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