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351Y1 -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351Y1
KR200473351Y1 KR2020090015674U KR20090015674U KR200473351Y1 KR 200473351 Y1 KR200473351 Y1 KR 200473351Y1 KR 2020090015674 U KR2020090015674 U KR 2020090015674U KR 20090015674 U KR20090015674 U KR 20090015674U KR 200473351 Y1 KR200473351 Y1 KR 200473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portions
receiv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725U (ko
Inventor
조수형
최재문
정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90015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35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3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3415Drop filling proc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헤드장치는, 지지조립체; 상기 지지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노즐을 구비한 실린더조립체; 및 센서블록과, 상기 센서블록에 설치된 제1발광부들과 제1수광부들과 제2발광부들과 제2수광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한다.
본 고안을 사용하면, 실린더조립체가 지지조립체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토출구멍이 움직이는 영역 하측으로,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로 방출되는 빛이 많이 지나간다. 따라서,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빛을 통과하는 경우의 수가 늘어나, 센서유닛이 액정방울을 잘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HEAD APPARATUS OF LIQIUD CRYSTAL DISPENSER}
본 고안은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는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 컬러필터(Color Filter)층이 구비된 마더기판,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가 구비된 마더기판, 마더기판들 사이에 구비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LCD는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분자를 구동소자로 구동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마더기판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단위패널영역들이 정의된다. 단위패널영역은 액정방울들이 토출되는 영역이다.
액정디스펜서는, 단위패널영역으로 액정방울을 토출하는 헤드장치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장치에 구비된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조립체, 지지조립체에 결합된 센서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조립체가 지지조립체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오 차에 따라 토출구멍이 움직이는 영역과, 그 영역의 하측으로 지나가는 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선화살표는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로 방출되는 빛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헤드장치는, 지지조립체(5), 실린더조립체(6), 센서유닛(7)으로 구성된다.
지지조립체(5)의 하면에는 제1로드(5a)와 제2로드(5b)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1로드(5a)의 끝부분과 제2로드(5b)의 끝부분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로드(5a)의 끝부분에는 제1너트(5c)가 결합되고, 제2로드(5b)의 끝부분에는 제2너트(5d)가 결합된다.
실린더조립체(6)의 후면에는 제1로드(5a)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착탈홈(6a)과, 제2로드(5b)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착탈홈(6b)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실린더조립체(6)의 내부에는 펌핑홀(미도시)이 구비되고, 펌핑홀에는 피스톤(미도시)이 삽입된다.
실린더조립체(6)의 하면 중심부에는 펌핑홀과 연결된 노즐(6c)이 구비된다.
노즐(6c)에는 액정방울이 토출되는 토출구멍(6d)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유닛(7)은, 센서블록(7a), 발광부(7b)들, 수광부(7c)들로 구성된다. 센서블록(7a)은, 지지조립체(5)에 고정 설치된다.
발광부(7b)는, 센서블록(7a)의 좌측에 5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빛을 방출한다.
수광부(7c)는, 발광부(7b)들과 각각 직선으로 마주보도록 센서블록(7a)의 우측에 5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마주보는 발광부(7b)들로부터 방출된 빛을 각각 받는다.
발광부(7b)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수광부(7c)들 각각으로 빛이 방출될 때, 발광부(7b)와 수광부(7c) 사이로 액정방울이 통과하면, 수광부(7c)가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빛이 액정방울을 통과하지 않을 때보다 줄어든다. 이때, 센서유닛(7)은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보낸다. 센서유닛(7)으로부터 신호가 오면 제어부는 액정방울 1개를 인식한다.
한편, 액정방울 1개의 양이 얼마냐에 따라, 실린더조립체(6)의 규격(펌핑홀의 내경, 피스톤의 외경등)이 달라진다.
따라서, 액정방울 1개의 양을 변경하고자 하면, 현재 사용중인 실린더조립체(6)를, 변경하고자 하는 액정방울 1개의 양에 맞는 실린더조립체(6)로 교체하여야 한다. 교체작업은, 현재 사용중인 실린더조립체(6)를 지지조립체(5)로부터 분리시킨 다음에, 변경하고자 하는 액정방울 1개의 양에 맞는 실린더조립체(6)를 지지조립체(5)에 결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현재 사용중인 실린더조립체(6)를 지지조립체(5)로부터 분리시키려면, 제1너트(5c)와 제2너트(5d)를 푼다. 그리고, 제1착탈홈(6a)과 제2착탈홈(6b)으로부터 제1로드(5a)와 제2로드(5b)를 빼내면 된다.
변경하고자 하는 액정방울 1개의 양에 맞는 실린더조립체(6)를 지지조립체(5)에 결합시키려면, 제1착탈홈(6a)에 제1로드(5a)를, 제2착탈홈(6b)에 제2로 드(5b)를 길이방향으로 각각 삽입된다. 그리고, 제1너트(5c)와 제2너트(5d)를 조이면 된다.
한편, 실린더조립체(6)마다 지지조립체(5)에 결합하는 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조립체(6)가 지지조립체(5)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토출구멍(6d)이 움직이는 영역을 도면부호 R로 나타내었다.
영역(R)내를 움직이는 토출구멍(6d)이, 발광부(7b)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수광부(7c)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 상측에 위치하면, 토출구멍(6d)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빛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유닛(7)은, 토출구멍(6d)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영역(R)내를 움직이는 토출구멍(6d)이, 발광부(7b)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수광부(7c)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 상측에 위치하지 않으면, 토출구멍(6d)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빛을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센서유닛(7)은, 토출구멍(6d)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감지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실린더조립체가 지지조립체에 결합하는 데 오차가 발생하여 토출구멍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을 통과하는 경우의 수를 늘리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헤드장치는, 지지조립체; 상기 지지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노즐을 구비한 실린더조립체; 및 센서블록과, 상기 센서블록에 설치된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와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액정방울을 토출하는 헤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장치는, 지지조립체; 상기 지지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노즐을 구비한 실린더조립체; 및 센서블록과, 상기 센서블록에 설치된 제1발광부들과 제1수광부들과 제2발광부들과 제2수광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액정디스펜서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을 사용하면, 실린더조립체가 지지조립체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토출구멍이 움직이는 영역 하측으로, 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이 많이 지나간다. 따라서,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빛을 통과하는 경우의 수가 늘어나, 센서유닛이 액정방울을 잘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는, 프레임(11), 스테이지(13), 제1구동유닛(14)들, 헤드장치지지대(15)들, 제2구동유닛(16), 헤드장치(100)들로 구성된다.
스테이지(13)는 프레임(1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스테이지(13)가 프레임(11)의 상부에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스테이지(13) 상면에는 마더기판(Mother substrate, M)이 놓여진다.
제1구동유닛(14)은 1개씩 스테이지(1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구동유닛(14)의 일단은 프레임(11)에 결합되고, 타단은 헤드장치지지대(15)에 결합된다. 제1구동유닛(14)은 헤드장치지지대(15)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구동유닛(14)은 리니어모터임이 바람직하다.
헤드장치지지대(15)는 스테이지(13) 상측을 가로지른다.
제2구동유닛(16)의 일단은 헤드장치지지대(15)에 결합되고, 타단은 헤드장치(100)에 결합된다. 제2구동유닛(16)은 헤드장치(1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구동유닛(16)은 리니어모터임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헤드장치의 아래 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 헤드장치 를 구성하는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조립체, 지지조립체에 결합된 센서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블록, 제1발광부들, 제1수광부들, 제2발광부들, 제2수광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장치(100)는, 지지조립체(110), 실린더조립체(120), 센서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지지조립체(110)의 하면에는 제1로드(111)와 제2로드(112)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제1로드(111)의 끝부분과 제2로드(112)의 끝부분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로드(111)의 끝부분에는 제1너트(113)가 결합되고, 제2로드(112)의 끝부분에는 제2너트(114)가 결합된다.
실린더조립체(120)의 내부에는, 펌핑홀(미도시)이 구비되고, 펌핑홀에는 피스톤(미도시)이 삽입된다.
실린더조립체(120)의 후면(120a)에는, 제1로드(111)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착탈홈(121)과, 제2로드(112)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착탈홈(122)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실린더조립체(120)의 하면 중심부에는 펌핑홀과 연결된 노즐(125)이 구비된다. 노즐(125)에는 액정방울이 토출되는 토출구멍(125a)이 구비된다.
센서유닛(200)은, 센서블록(210), 제1발광부(221)들, 제1수광부(222)들, 제2 발광부(231)들, 제2수광부(232)들로 구성된다.
센서블록(210)은, 제1블록(211), 제2블록(212)으로 구성된다.
제1블록(211)의 전면 윗부분은, 지지조립체(110)의 후면에 결합된다.
제2블록(212)의 후면은, 제1블록(211)의 전면 아랫부분에 결합된다.
제2블록(212)의 전면에는, 홈(212a)이 구비된다.
토출구멍(125a)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은, 홈(212a)을 통과한다.
제1발광부(221)는, 제2블록(212)에 5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빛을 방출한다. 제1수광부(222)는, 제1발광부(221)들과 각각 직선으로 마주보도록 제2블록(212)에 5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마주보는 제1발광부(221)로부터 방출된 빛을 각각 받는다.
제2발광부(231)는, 제2블록(212)에 5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빛을 방출한다. 제2수광부(232)는, 제2발광부(231)들과 각각 직선으로 마주보도록 제2블록(212)에 5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마주보는 제2발광부(231)로부터 방출된 빛을 각각 받는다.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제1발광부(221)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윗부분에 설치되며, 제1수광부(222)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제2발광부(231)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제2수광부(232)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윗부분에 설치된다.
물론,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제1발광부(221)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제1수광부(222)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윗부분에 설치되며, 제2발광부(231)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윗부분에 설치되며, 제2수광부(232)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아랫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제1발광부(221)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윗부분에 설치되며, 제1수광부(222)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제2발광부(231)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제2수광부(232)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윗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제1발광부(221)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제1수광부(222)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윗부분에 설치되며, 제2발광부(231)들은, 제2블록(212)의 좌측 아랫부분에 설치되며, 제2수광부(232)들은, 제2블록(212)의 우측 윗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 로 방출된 빛들이 높이 차를 가지도록, 제1발광부(221)들과 제1수광부(222)들과 제2발광부(231)들과 제2수광부(232)들을 제2블록(212)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은, 위에서 보면 서로 교차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제2발광부들과 제2수광부들 보다 제1발광부들과 제1수광부들이 제2블록에 높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발광부(231)들과 제2수광부(232)들 보다, 제1발광부(221)들과 제1수광부(222)들이 높게 설치되기 위하여, 제2블록(212)에는 제1발광부(221)들이 설치되는 제1단(212b)이 구비되고, 제1수광부(222)들이 설치되는 제2단(212c)이 구비된다. 제1단((212b)의 높이와 제2단(212c)의 높이는 같다.
상술한 구성으로, 토출구멍(125a)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을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더라도,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은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유닛(200)이 토출구멍(125a)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놓치지 않고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제1발광부(221)들과 제1수광부(222)들 보다, 제2발광부(231)들과 제2수광부(232)들이 제2블록(212)에 높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 사이로,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을, 위에서 보면 평행하게 지나가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제1발광부들 위에 제2발광부를 겹쳐서 설치하고, 제1수광부들 위에 제2발광부들을 겹쳐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 사이로,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이, 위에서 보았을 때 평행하게 지나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은 실선화살표로 나타내었고,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은 점선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로 방출되는 빛들 사이로,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이 평행하게 지나간다.
상술한 구성으로, 토출구멍(125a)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제1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을 통과하지 않고 지나가더라도,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은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유닛(200)이 토출구멍(125a)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놓치지 않고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실린더조립체가 지지조립체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토출구멍이 움직이는 영역과, 그 영역의 하측으로 지나가는 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선화살표는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들 각각 으로 방출되는 빛과,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발광부(221)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22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제2발광부(231)들 각각으로부터 제2수광부(232)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이 교차하면서 영역(R) 하측을 지나간다.
이로 인해, 종래 보다 영역(R) 하측을 지나가는 빛의 수가 2배가 되어, 토출구멍(125a)으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이 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을 통과하는 경우의 수가 2배 늘어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장치에 구비된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조립체, 지지조립체에 결합된 센서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린더조립체가 지지조립체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토출구멍이 움직이는 영역과, 그 영역의 하측으로 지나가는 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디스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헤드장치의 아래 부분을 나타낸 도면으로, 헤드장치를 구성하는 지지조립체와, 지지조립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실린더조립체, 지지조립체에 결합된 센서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센서블록, 제1발광부들, 제1수광부들, 제2발광부들, 제2수광부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발광부들과 제2수광부들 보다 제1발광부들과 제1수광부들이 제2블록에 높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발광부들 위에 제2발광부를 겹쳐서 설치하고, 제1수광부들 위에 제2발광부들을 겹쳐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 사이로,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되는 빛들이, 위에서 보았을 때 평행하게 지나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실린더조립체가 지지조립체에 결합할 때 발생하는 오차에 따라 토출구멍이 움직이는 영역과, 그 영역의 하측으로 지나가는 빛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1)

  1. 액정디스펜서에 구비되어 액정방울을 토출하는 헤드장치에 있어서,
    지지조립체;
    상기 지지조립체에 설치되며, 노즐을 구비한 실린더조립체; 및
    센서블록과, 상기 센서블록에 설치된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 및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토출된 액정방울을 감지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발광부와 제1수광부 및 상기 제2발광부와 제2수광부 각각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제1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상기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은, 높이차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제1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상기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은, 위에서 보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들은 제1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1수광부들은 제2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발광부들과 상기 제1수광부들은 상기 제2발광부들과 상기 제2수광부들과 높이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제1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과, 상기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은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위에서 보면, 상기 제1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제1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 사이로, 상기 제2발광부들 각각으로부터 마주보는 상기 제2수광부들 각각으로 방출된 빛들이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들 위에 상기 제2발광부들이 겹쳐서 설치되고, 상기 제1수광부들 위에 상기 제2수광부들이 겹쳐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20090015674U 2009-12-03 2009-12-03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 KR200473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74U KR200473351Y1 (ko) 2009-12-03 2009-12-03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74U KR200473351Y1 (ko) 2009-12-03 2009-12-03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25U KR20110005725U (ko) 2011-06-10
KR200473351Y1 true KR200473351Y1 (ko) 2014-08-07

Family

ID=4929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74U KR200473351Y1 (ko) 2009-12-03 2009-12-03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35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452A (ja) * 2001-10-12 2003-04-23 Olympus Optical Co Ltd 液体分注装置
KR100750939B1 (ko) * 2006-10-27 2007-08-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적하장치
KR20090010046A (ko) * 2007-02-05 2009-01-28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공급 장치
KR20090082738A (ko) * 2008-01-28 2009-07-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적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452A (ja) * 2001-10-12 2003-04-23 Olympus Optical Co Ltd 液体分注装置
KR100750939B1 (ko) * 2006-10-27 2007-08-2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적하장치
KR20090010046A (ko) * 2007-02-05 2009-01-28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공급 장치
KR20090082738A (ko) * 2008-01-28 2009-07-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 적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25U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62707B (zh) 液滴喷出装置、电光学装置的制造方法
CN1762708B (zh) 液滴喷出装置、电光学装置的制造方法、电光学装置及电子设备
KR100957085B1 (ko) 액정 공급 장치
TW200638069A (en) A droplet ejection apparatu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el from a bas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TW200624270A (en) A head unit, a droplet ejection apparatu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el from a bas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8231205B2 (en) Fluid ejecting head and fluid ejecting apparatus
JP2007029946A (ja) 液滴吐出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473351Y1 (ko) 액정디스펜서의 헤드장치
KR100828541B1 (ko) 액적 토출 방법, 액적 토출 장치, 및 전기 광학 패널의제조 방법
KR101644834B1 (ko)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KR100964949B1 (ko) 액정방울수 카운팅 방법
KR101675102B1 (ko)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JP2007241245A (ja) 液滴吐出装置、機能膜形成方法、液晶配向膜形成装置、液晶表示装置の液晶配向膜形成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011777B1 (ko) 노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토출 장치
KR101949121B1 (ko) 액정적하장치 및 액정적하장치의 이상 토출 감지 방법
JP556493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
JP2007105599A (ja) ヘッドキャップの管理方法、吸引ユニットおよび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93043B2 (ja) 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描画方法および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CN100435979C (zh) 液滴喷出方法、电光学装置及电子设备
JPWO2006087776A1 (ja) スペーサの配置方法
KR101742465B1 (ko) 디스펜싱 헤드유닛
JP2011116139A (ja) フルライン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0743815B1 (ko) 패턴 형성 방법, 액적 토출 헤드, 패턴 형성 장치, 컬러필터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전기 광학 장치 및 그의제조 방법
CN114536973A (zh) 一种喷墨打印装置
KR101949122B1 (ko) 액정 공급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액정 적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