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38Y1 -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38Y1
KR200472438Y1 KR2020090012053U KR20090012053U KR200472438Y1 KR 200472438 Y1 KR200472438 Y1 KR 200472438Y1 KR 2020090012053 U KR2020090012053 U KR 2020090012053U KR 20090012053 U KR20090012053 U KR 20090012053U KR 200472438 Y1 KR200472438 Y1 KR 200472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gasket
protrusion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826U (ko
Inventor
김양규
한희갑
임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090012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3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clamping, e.g. friction, means on latera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이너 시스템에 있어서, 플레이트,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지지부, 및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 1 지지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단열 프레임; 제 1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제 1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 1 가스켓; 및 제 2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제 2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 2 가스켓을 포함하되, 플레이트, 제 1 지지부 및 제 1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 1 단열재가 위치되고, 플레이트, 제 2 지지부 및 제 2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 2 단열재가 위치되어,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교, 단열재, 조인트, 조이너, 폼충진, 가스켓, 기밀, 고단열

Description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JOINER SYSTEM FOR IMPROVING THE INSULATING ABILITY}
본 고안은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가의 지속적인 상승과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는 각 산업부분별 에너지 효율화의 지속적 강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또한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은 경제적 관점에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건축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열 시스템은 단열재 연결부위에서 발생되는 틈새에 대한 보완처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모서리 부분에서 단열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조이너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10)은 하부 조이너(12)와 상부 조이너(13)를 포함한다.
하부 조이너(12)는 하부 플레이트(12a) 및 하부 플레이트(12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중앙지지대(12b)를 포함한다. 중앙지지대(12b)의 내부에는 수용홈(12c)이 형성된다.
상부 조이너(13)는 상부 플레이트(13a) 및 상부 플레이트(13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13b)를 포함한다. 돌기부(13b)는 수용홈(12c)으로 삽입되어 중앙지지대(12b)와 결합된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12a), 중앙지지대(12b)의 일측 및 상부 플레이트(13a)에 의해 형성된 공간(15a)으로 제 1 단열재(11a)가 위치되고, 하부 플레이트(12a), 중앙지지대(12b)의 타측 및 상부 플레이트(13a)에 의해 형성된 공간(15b)으로 제 2 단열재(11b)가 위치되어, 제 1 단열재(11a)와 제 2 단열재(11b)가 상호 연결된다.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10)은 상부 플레이트(13a), 하부 플레이트(12a), 중앙지지대(12b) 및 제 1 단열재(11a)에 의해 형성된 공간(15a), 및 상부 플레이트(13a), 하부 플레이트(12a), 중앙지지대(12b) 및 제 2 단열재(11b)에 의해 형성된 공간(15b)이 빈 공간이어서, 고온측의 열에너지가 중앙지지대(12b)를 통해 저온측으로 쉽게 전달된다.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10)을 사용하여 제 1 단열재(11a)와 제 2 단열재(11b)를 연결하는 경우에 열교 현상이 효율적으로 방지되지 않아, 에너지 손실이 커지고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며,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금속 재질의 상부 조이너(13)가 하부 조이너(12)와 결합되어, 제 1 단열 재(11a)와 제 2 단열재(11b)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공간(15a, 15b)을 메우기 위한 폼 충진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보완시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우레탄 폼이 충진될 수 있는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단열재의 일종인 우레탄 폼 층을 통해 고온측으로부터 저온측으로의 열에너지 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이너 시스템에 있어서, 플레이트,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지지부, 및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 1 지지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단열 프레임; 제 1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제 1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 1 가스켓; 및 제 2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제 2 지지부와 결합되는 제 2 가스켓을 포함하되, 플레이트, 제 1 지지부 및 제 1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 1 단열재가 위치되고, 플레이트, 제 2 지지부 및 제 2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제 2 단열재가 위치되어,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지지부의 종단에는 제 1 돌기부가 형성되고, 제 2 지지부의 종단에는 제 2 돌기부가 형성되며, 제 1 홈의 내면에는 제 1 돌기부에 대응되는 제 1 오목부가 형성되고, 제 2 홈의 내면에는 제 2 돌기부에 대응되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어, 제 1 돌기부는 제 1 오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 2 돌기부는 제 2 오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및 제 2 가스켓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제 1 지지부는 제 1 지지부와 결합되고, 제 2 지지부는 제 2 지지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은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우레탄 폼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지지부에는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가스켓은 연질 가스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가스켓은 반원 단면을 가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제 1 효과는,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효과는, 우레탄 폼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효과는, 단열재의 일종인 우레탄 폼 층을 통해 고온측으로부터 저온측으로의 열에너지 전달을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우레탄 폼 층이 구비된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은 단열 프레임(120), 제 1 가스켓(131) 및 제 2 가스켓(132)을 포함한다. 본 고안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은 제 1 단열재(111)와 제 2 단열재(112)를 연결하고, 제 1 단열재(111)와 제 2 단열재(112) 사이에서 발생되는 열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이다. 열교 현상이란 건축물의 외벽(20), 바닥 또는 지붕 등에서 단열이 연속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때 또는 건물 외벽(20)의 모서리부분, 구조체의 일부분에 열전도율이 큰 부분이 있을 때, 이러한 부분으로 열이 집중적으로 흐르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프레임(120)은 플레이트(120a),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121)는 플레이트(120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지지부(121)의 종단에는 제 1 돌기부(121a)가 형성된다. 제 1 돌기부(121a)의 형상은 톱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지지부(121)에는 복수 개의 개구(125)들이 형성된다. 개구(125)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개구(125)들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지지부(122)는 플레이트(120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2 지지부(122)는 제 1 지지부(121)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다.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의 사이의 간격은 폼 주입기(19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지지부(122)의 종단에는 제 2 돌기부(122a)가 형성된다. 제 2 돌기부(122a)는 톱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지지부(122)에는 복수 개의 개구(125)들이 형성된다.
제 1 가스켓(131)은 제 1 지지부(121)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 1 가스켓(131)은 하부에 제 1 홈(133)이 형성된다. 제 1 홈(133)의 내면에는 제 1 돌기부(121a)에 대응되는 제 1 오목부(135)가 형성된다.
제 1 오목부(135)는 제 1 돌기부(12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오목부(135)에는 제 1 돌기부(121a)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 1 오목부(135)와 제 1 돌기부(121a)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결합된 후에는 이탈이 방지되어, 시공성이 우수하다.
제 2 가스켓(132)은 제 2 지지부(122)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 2 가스켓(132)은 하부에 제 2 홈(134)이 형성된다. 제 2 홈(134)의 내면에는 제 2 돌기부(122a)에 대응되는 제 2 오목부(136)가 형성된다.
제 2 오목부(136)는 제 2 돌기부(122a)의 형상에 대응되는 톱니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오목부(136)에는 제 2 돌기부(122a)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 2 오목부(136)와 제 2 돌기부(122a)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결합된 후에는 이탈이 방지되어, 시공성이 우수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가스켓(131, 132)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제 1 및 제 2 지지부(121, 122)와 결합되어, 제 1, 제 2 및 제 3 공간(161, 162, 163)을 형성한다. 제 1 공간(161)은 플레이트(120a), 제 1 지지부(121) 및 제 1 가스켓(131)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제 2 공간(162)은 제 1 및 제 2 가스켓(131, 132)과 제 1 및 제 2 지지부(121, 12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제 3 공간(163)은 플레이트(120a), 제 2 지지부(122) 및 제 2 가스켓(1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다. 제 1 공간(161)에는 제 1 단열재(111)가 위치되고, 제 3 공간(163)에는 제 2 단열재(112)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가스켓(131, 132)은 연질 가스켓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가스켓(131, 132)은 반원 단면을 가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원 단면을 가진 제 1 가스켓(131)은 제 1 단열재(111)에 밀착적으로 결합하여, 제 1 단열재(111)의 제 1 공간(16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반원 단면을 가진 제 2 가스켓(132)은 제 2 단열재(112)에 밀착적으로 결합하여, 제 2 단열재(112)의 제 3 공간(163)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은 제 1 지지부(121)와 제 2 지지부(122) 사이에 충진된 우레탄 폼 층(165)을 포함한다. 우레탄 폼 층(165)은 단열재의 일종이다. 우레탄 폼 층(165)은 폼 주입기(190)에 의해 우레탄 폼이 제 2 공간(162)에 충진되어 형성된다. 폼 주입기(190)는 연질의 제 1 및 제 2 가스켓(131, 132)을 통해 제 2 공간(162)으로 삽입된다.
제 2 공간(162)에서 충진되기 시작한 우레탄 폼은 제 1 지지부(121) 및 제 2 지지부(122)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125)들을 통해 제 1 단열재(111)가 위치된 제 1 공간(161) 및 제 2 단열재(112)가 위치된 제 3 공간(163)으로 흘러들어가, 제 2 공간(162)뿐 아니라 제 1 공간(161) 및 제 3 공간(163)에서도 충진되어 우레탄 폼 층(165)을 형성한다. 한편, 우레탄 폼의 외부로의 흘러내림은 제 1 및 제 2 가스켓(131, 132)에 의해 차단된다.
이하에서는 표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10)과 본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의 열관류값을 비교하여 단열 성능을 비교한다. 표 1의 열관류값은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과 본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이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된 결과값이다. 한편, 열관류란 고체벽 양쪽의 기체나 액체의 온도가 다를 때, 고체벽을 통해 고온측에서 저온측으로 열이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구분 열관류값(W/m2K)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도 2 참조) 0.83
본 실시예에 따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도 6 참조) 0.30
표 1에 의하면, 우레탄 폼 층이 없는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10)의 열관류값은 0.83 W/m2K인 반면, 우레탄 폼 층(165)이 구비된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의 열관류값이 0.30 W/m2K이다.
표 1을 통해, 본 고안인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은 내부 공간(161, 162, 163)에 우레탄 폼을 충진하여 단열재의 일종인 우레탄 폼 층(165)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10)에 비해 고온측의 열에너지가 저온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100)이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10)에 비해 단열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고안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조이너 시스템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너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이너 시스템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조이너 시스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우레탄 폼 층이 구비된 조이너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Claims (7)

  1.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이너 시스템에 있어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며,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된 제 1 지지부,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지지부와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단열 프레임;
    상기 제 1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제 1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와 결합되는 연질의 제 1 가스켓; 및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제 2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지지부와 결합되는 연질의 제 2 가스켓을 포함하되,
    상기 플레이트, 상기 제 1 지지부 및 상기 제 1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제 1 단열재가 위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상기 제 2 지지부 및 상기 제 2 가스켓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제 2 단열재가 위치되어, 상기 제 1 단열재와 상기 제 2 단열재가 상호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스켓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제 1 홈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제 2 홈에 결합되고, 연질의 상기 제 1 및 제 2 가스켓 사이로 우레탄 폼 층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의 종단에는 제 1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부의 종단에는 제 2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 1 돌기부에 대응되는 제 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 2 돌기부에 대응되는 제 2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돌기부는 상기 제 1 오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 2 돌기부는 상기 제 2 오목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스켓은 반원 단면을 가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KR2020090012053U 2009-09-14 2009-09-14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KR200472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53U KR200472438Y1 (ko) 2009-09-14 2009-09-14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053U KR200472438Y1 (ko) 2009-09-14 2009-09-14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26U KR20110002826U (ko) 2011-03-22
KR200472438Y1 true KR200472438Y1 (ko) 2014-04-29

Family

ID=4420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053U KR200472438Y1 (ko) 2009-09-14 2009-09-14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4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58B1 (ko) * 2018-12-20 2019-08-28 한성건업 주식회사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KR102300510B1 (ko) * 2021-04-15 2021-09-09 주식회사 주안 방수 패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86Y1 (ko) * 2012-10-19 2014-04-24 천영균 단열부재 고정용 조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056A (ja) * 1995-09-04 1997-03-18 Nishikawa Rubber Co Ltd 集熱装置のガラス支持部材
JP2000104362A (ja) * 1998-09-30 2000-04-11 Fukuvi Chem Ind Co Ltd 建築物の外壁における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具及び外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2056A (ja) * 1995-09-04 1997-03-18 Nishikawa Rubber Co Ltd 集熱装置のガラス支持部材
JP2000104362A (ja) * 1998-09-30 2000-04-11 Fukuvi Chem Ind Co Ltd 建築物の外壁における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具及び外壁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358B1 (ko) * 2018-12-20 2019-08-28 한성건업 주식회사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KR102300510B1 (ko) * 2021-04-15 2021-09-09 주식회사 주안 방수 패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826U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4664B (zh) 用於液態天然氣(lng)之多邊形槽
KR200472438Y1 (ko)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CN106661912A (zh) 用于真空绝缘玻璃单元的窗框系统
RU2498150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и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резервуар, встроенный в несущ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9797186B2 (en) Plug connector
KR20150025554A (ko) 누수방지형 건축용 pc벽체구조물
KR101165444B1 (ko) 배관 작업이 용이한 온돌 바닥패널
KR20230065197A (ko)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743980B1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20758B1 (ko) 공동주택 기초부에 설치되는 외단열패널
US20080202051A1 (en) Concrete block system
CN211036687U (zh) 一种用于桥梁的伸缩缝结构
CN211171596U (zh) 一种具有双层止水带结构的桥梁伸缩缝
KR20220035652A (ko) 냉동 창고의 단열 벽체 구조물
KR100590409B1 (ko) 조립식 건축용 바닥패널
KR200449124Y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KR101344030B1 (ko)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KR20100097386A (ko) 배수판 조립체
KR200414413Y1 (ko) 보강돌기를 가지는 지하구조물용 방습팔레트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JP5217495B2 (ja) 円筒タンクの横滑り防止装置
KR101467535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220056709A (ko) 방수 패널 조립체
JP2006257783A (ja) 屋根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