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030B1 -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 Google Patents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030B1
KR101344030B1 KR1020130056913A KR20130056913A KR101344030B1 KR 101344030 B1 KR101344030 B1 KR 101344030B1 KR 1020130056913 A KR1020130056913 A KR 1020130056913A KR 20130056913 A KR20130056913 A KR 20130056913A KR 101344030 B1 KR101344030 B1 KR 10134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llecting
low temperature
warehouse build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연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이에스건축사사무소
이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이에스건축사사무소, 이중연 filed Critical (주)제이에이에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5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7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dehumidifying, dewatering or dra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 기저부;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저부 상에 도포된 보호몰탈; 상기 보호몰탈 상에 마련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무근 콘크리트; 상기 무근 콘크리트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온판; 및 상기 보온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표면 강화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냉동 저온 창고와 단열재 밖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상기 배수판 설치로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만들어서 결로 또는 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로의 동상, 구조체의 균열, 누수 및 저온 창고의 열교현상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COLD STORAGE LOW TEMPERATURE WAREHOUSE BUILDING}
본 발명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바닥 쪽에서 결로 또는 동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판을 구비한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을 제공한다.
통상 냉동 또는 냉장 창고 등의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건물)은 농산물 또는 수산물의 취급소나 대형 식품점, 대형 음식점 등과 같이 대량의 농산물 또는 수산물 등의 식품을 장기간 보관이 필요한 곳에서 주로 설치 사용되며, 그 설치 제작방법은 조립식 판넬로 제작 설치된다.
또한, 냉동 창고 또는 냉장 창고 등의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독립적인 구조물로서의 냉동 창고 또는 저온 냉장창고의 벽체 및 천장과 바닥은 외기 특히 여름철의 더운 공기를 차단하여 실내의 기온과 습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켜야 한다.
냉동 창고 또는 저온냉장창고의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며, 이를 위해서 단열재 등을 바닥 또는 측벽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동 창고 또는 저온냉장창고와 단열재 밖의 온도 차이로 인해 냉동 창고 또는 저온냉장창고의 바닥에 습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발생한 습기 또는 수분(결로)은 창고 내부의 저온으로 인해 얼어 붙을 수 있다. 즉, 결로수가 발생하거나 결로의 동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 기능이 있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에서는 창고 내부와 단열재 밖의 온도 차이로 인해 결로 또는 동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창고의 바닥 쪽에 결로 또는 동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저온 창고의 바닥에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결로 또는 동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로수를 창고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 기저부;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저부 상부에 도포된 보호몰탈; 상기 보호몰탈 상부에 마련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무근 콘크리트; 상기 무근 콘크리트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온판; 및 상기 보온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표면 강화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 기저부;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저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방수층; 상기 방수층 위에 놓이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무근 콘크리트; 상기 무근 콘크리트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동단열재; 및 상기 냉동단열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강화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판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바닥 쪽에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냉동 저온 창고와 단열재 밖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상기 배수판 설치로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만들어서 결로 또는 동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로의 동상, 구조체의 균열, 누수 및 저온 창고의 열교현상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배수판은 판상부 및 상기 판상부에서 음각으로 함몰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판상부 상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판상부에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판상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저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면부에는 상기 포집부에 존재하는 결로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표면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포집부를 서로 연결하는 포집부 연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집부 연결로는 이웃하는 상기 포집부 중 가장 가까운 포집부끼리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로 및 서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상기 포집부끼리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표면에는 상기 포집부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포집부와 상기 판상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연결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가장 자리에는 배수판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상부의 가장 자리에는 상기 연결돌기와 형합하는 돌기홈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돌기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에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체결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창고의 바닥 쪽에 발생한 결로수를 증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창고의 동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저온 창고의 바닥에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형성하여 결로 또는 동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결로수를 창고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결로수가 창고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얼어 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은 결로의 동상, 구조체의 균열, 누수 및 저온 창고의 열교현상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E"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에 사용되는 배수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에 사용되는 배수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E"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에 사용되는 배수판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에 사용되는 배수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은 지상 5층(1F~5F), 지하 1층(BF)의 대형 건축물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은 각 층 마다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온고(101)가 마련될 수 있다.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의 바닥 쪽 즉, 지하층(BF)의 바닥은 지중에 존재하게 되는데, 건축물(100)의 바닥 쪽에는 단열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는 저온고(101)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저온고(101)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지하층(BF)의 경우에는 지열로 인해서 저온고(101)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층(BF)의 바닥에는 필수적으로 단열재가 설치되어야 한다.
창고 건축물(100)의 바닥에 단열재가 설치됨으로 인해서 저온고(101)의 외부와 내부 간에 온도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온도 차이로 인해서 저온고(101)의 바닥에는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한 수분은 저온고(101) 내부의 낮은 온도로 인해서 결빙될 수 있다.
얼어 붙은 결로수를 녹이거나,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한 결로수를 증발시켜 제거하거나 동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은 바닥 여러 곳(도 1의 A, B, C 및 D 참조)에 배수판(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배수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 상기 철근콘트리트 기저부(120) 상부에 도포되는 보호몰탈(131); 상기 보호몰탈(131) 상부에 마련되되, 보호몰탈(131)의 윗면과 저면이 접촉되는 판상부(141)와, 상기 판상부(141)에서 음각으로 함몰지게 형성되어 상기 보호몰탈(131)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포집부(142)를 포함하는 배수판(140); 상기 배수판(140)의 판상부(141)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판(140)의 상부를 차폐하는 무근 콘크리트(133); 상기 무근 콘크리트(133)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온판(135); 및 상기 보온판(135)의 상부에 마련되는 표면 강화재(1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냉동 저온 창고와 단열재 밖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상기 배수판 설치로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만들어서 결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로의 동상, 구조체의 균열, 누수 및 저온 창고의 열교현상을 방지하여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의 바닥 쪽 중에서 엘리베이터가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핏(102, elevator pit)의 바닥 쪽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바닥의 가장 하부 즉, 지중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의 양측 외면에는 버림 콘크리트(122)로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의 양측 외면에 버림 콘크리트(122)를 채움으로써 버려지는 재료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 중에서 엘리베이터 핏(102)이 형성되는 공간의 상면에는 액체 방수층(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 중에서 엘리베이터 핏(102)의 양측 부분에 있는 철근콘크리트 기저부(120)의 상부 또는 상면에는 보호몰탈(131)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몰탈(131)은 탄성도막위 보호몰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몰탈(131) 위에는 배수판(140)이 마련되는데, 이때, 상기 배수판(140)은 상기 보호몰탈(131)이 경화되면 상기 보호몰탈(131)에 고정되어 유동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배수판(140)이 보호몰탈(131) 위에 마련될 때, 상기 배수판(140)의 판상부(141)는 경화되기 전의 보호몰탈(131) 상부에 놓여지고, 이때, 상기 배수판(140)의 복수개의 포집부(142)는 경화되기 전의 보호몰탈(131)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배수판(140)의 판상부(141) 하부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포집부(142)와 포집부(14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보호몰탈(131)이 충진되어 경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140)은 상기 포집부(142)를 이용하여 결로수를 포집하여 증발시키거나 공기층 또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배수판(140)의 위쪽에는 무근 콘크리트(133)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무근 콘크리트(133)를 이용하여 배수판(140)의 위쪽을 차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배수판(140)의 판상부(141)는 상기 무근 콘크리트(133)의 저면과 상기 보호몰탈(131)의 윗면 사이에 배치된다.
무근 콘크리트(133)의 상부에는 보온판(135)이 마련될 수 있다. 보온판(135)은 배수판(140)의 포집부(142)에 포집된 녹은 결로수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동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온판(135)은 압출 방식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수판(140)은 높이가 200mm 정도이고, 배수판(140)의 위에 마련되는 무근 콘크리트(133)의 두께는 130mm 정도로 배수판(140)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온판(135)의 두께는 50mm 정도로서 무근 콘크리트(133)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온판(135)의 상부에는 표면 강화재(139)가 마련될 수 있다. 표면 강화재(139)는 침투성 표면 강화재로서,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의 바닥을 강화하기 위해서 최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온판(135)과 표면 강화재(139) 사이에 철근 콘크리트(137)가 형성될 수도 있다. 철근 콘크리트(137)는 기계고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137)의 두께는 120mm 정도로서, 무근 콘크리트(133)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10"은 엘리베이터 핏(102)의 측벽이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의 다른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은 도 1에 도시된 창고 건축물(100) 보다는 층수가 낮은 구조이며, 3개의 지상층(1F~3F)을 구비한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이다. 각 층에는 다수개의 저온고(2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지상기준선(GL)에 대해서 별도의 지하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별도의 지하층이 없는 창고 건축물(200)의 경우에는 지면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1층(1F) 바닥 쪽에 배수판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창고 건축물(200)의 바닥 쪽 중에서 일측 하부 쪽(도 3의 E 참조) 구조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 기저부(220), 철근콘크리트 기저부(220)의 상부 또는 상면에 형성되는 방수층(231), 방수층(231) 위에 놓이는 배수판(240), 배수판(240)의 상부에 마련되는 무근 콘크리트(232), 무근 콘크리트(232)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동단열재(233) 및 냉동단열재(233)의 상부에 마련되는 강화재(235)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의 1층(1F)에 마련되는 저온고(201)의 측벽은 이중 판넬(211,212)로 형성될 수 있고, 이중 판넬(211,212)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1층(1F) 저온고(201)의 상부에는 저온고(201)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습기(213)가 형성된 부분의 상면에는 우레탄 스프레이(214)가 도포된 판넬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2층의 바닥에는 시멘트 몰탈(209)이 도포될 수 있고, 2층(2F)의 저온고(201) 사이에는 작업자가 다닐 수 있는 복도(208)가 형성된다.
1층의 바닥은 지중에 타설될 수 있다.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는 잡석다짐층(223)이 형성될 수 있다. 잡석다짐층(223)은 20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잡석다짐층(223) 위에는 PE필름층(Polyethylene film, 222)이 형성되는데, PE필름층(222)의 두께는 0.03mm 정도이다. 이 때, PE필름층(222)은 2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PE필름층(222) 위에는 버림콘크리트층(221)이 5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면 상에 버림콘크리트층(221), PE필름층(222) 및 잡석다짐층(223)을 차례로 적층 형성함으로써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200)의 바닥에는 버림콘크리트층(221)과 인접하는 철근콘크리트 기저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기저부(220)는 철근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기저부(220)의 상면에는 침투성 액체 방수층(231)이 형성될 수 있다. 방수층(231)으로 인해서 수분 등이 철근콘크리트 기저부(220)로 스며드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방수층(231)의 위에는 배수판(240)이 마련되는데, 배수판(240)에는 다수개의 요철부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240)의 두께(또는 높이)는 120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240)의 상부에는 무근 콘크리트(232)가 형성되어, 배수판(240)으로 인해서 건축물(200) 바닥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근 콘크리트(232)는 약 15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무근 콘크리트(232)의 상부에 마련되는 냉동단열재(233)는 저온고(201) 내부의 온도가 저온고(201) 외부온도에 영향 받는 것을 방지한다. 냉동단열재(233)의 두께는 약 200mm 정도이다.
냉동단열재(233)의 상부에는 강화재(235)가 마련되는데, 강화재(235)는 침투성 표면 강화재이다. 냉동단열재(233)와 강화재(235) 사이에는 고강도 콘크리트(234)가 형성될 수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234)는 약 25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30N/mm2 정도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200)은 지면과 접하는 바닥 쪽에 배수판(140,240)을 구비함으로써, 저온고(101,201) 내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해 바닥에 발생한 결로수가 결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200)의 배수판(140,240)은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200)의 바닥 쪽에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생성하여 결로 또는 동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배수판에 대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100)에 사용되는 배수판(140)의 사시도(도 5의 (a) 참조) 및 단면도(도 5의 (b) 참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수판(140)은 판상부(141) 및 판상부(141)에서 음각으로 함몰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포집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집부(142)를 요철부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배수판(140)은 대략 사각형 모양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집부(142)는 판상부(141) 상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판상부(141)에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전체 부분에 걸쳐서 음각 또는 요철모양의 포집부(142)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포집부(142)는 판상부(141)에서부터 아래쪽으로 음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집부(142)는 판상부(141)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모양 및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포집부(142)가 일정하게 형성됨으로써, 배수판(140) 상에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도 균일하게 될 수 있고, 포집부(142) 내에 모이는 결로수의 양도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포집부(142)는 판상부(141)에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43) 및 경사면(143)의 일단에 연결되고 판상부(141)와 평행하게 형성된 저면부(144)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집부(142)는 상기 경사면(143)과 저면부(144) 및 상기 무근 콘크리트의 저부에 의해 구획되어 결로수가 포집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43)은 판상부(141)를 흐르는 결로수가 포집부(141)의 공간 내로 잘 모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이다.
저면부(144)에는 포집부(144)에 존재하는 결로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배수공의 하부에는 결로수를 창고 건축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배수판(140)은 포집부(142) 내의 공간으로 인해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에 의해 포집부(142)에 모인 결로수를 증발시킬 수 있다. 또한, 포집부(142) 내에 있는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에 의해 결로수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포집부(142)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에 의해 포집부(142)에 모인 결로수가 증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142)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복수개의 포집부(142)에 각각 형성된 공간으로 유통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로(346, 347)가 배수판(140)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로(346, 347)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배수판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배수판(340)은, 판상부(341)의 표면에는 서로 이웃하는 포집부(342)를 서로 연결하는 포집부 연결로(346,34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집부 연결로(346,347)는 서로 이웃하는 포집부(342) 중 가장 가까운 포집부(342)끼리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로(346) 및 서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포집부(342)끼리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로(3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로(346)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포집부(342)끼리 연결하고, 제2 연결로(347)는 사선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포집부(342)끼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판상부(341)의 표면에는 포집부(342)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포집부(342)와 판상부(341)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연결로(345)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340)이 복수개 설치될 경우, 이웃하는 배수판(340)의 포집부(342)끼리는 제3 연결로(345)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상부(341)의 표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포집부 연결로(345,346,347)를 구비함으로써, 배수판(340)의 표면을 따라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고, 포집부(342) 내의 공기가 다른 포집부(342)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포집부 연결로(345,346,347)는 결로수를 포집부(342) 안으로 유도하는 유로의 기능도 할 수 있다.
한편,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바닥 면적이 크기 때문에 여러 개의 배수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이 때 설치의 편의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판(440)의 판상부(441)의 가장 자리에는 배수판(440)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44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배수판(440)이 사각형상의 판상인 경우에 연결돌기(448)는 판상부(441)의 4개의 가장 자리 중에서 이웃하는 2개의 가장 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돌기(448)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2개의 가장 자리에는 연결돌기(448)와 형합하는 돌기홈(449)이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러 개의 배수판(440)을 설치할 때 배수판(440)의 연결돌기(448)가 이웃하는 배수판(440)의 돌기홈(449)과 형합하도록 설치하면, 이웃하는 배수판의 제3 연결로(도 6의 345 참조)끼리 정확히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연결돌기(448)에는 체결공(448a)이 형성되고, 돌기홈(449)에는 체결공(448a)에 끼워지는 체결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449)에 체결돌기(448)를 형합할 때, 체결돌기(448)에 형성된 체결공(448a)에 체결홈(449)의 체결핀이 끼워지게 연결하면, 이웃하는 배수판(440)끼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448)는 판상부(441)의 상면 보다 음각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돌기(448)의 상면과 판상부(441)의 상면은 동일한 표면을 형성하되, 체결돌기(448)의 두께가 판상부(441)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체결돌기(448)의 하면이 판상부(441)의 하면에서부터 음각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체결돌기(448)의 두께가 판상부(441)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체결돌기(448)가 체결홈(449)에 놓인 상태에서 체결돌기(448)의 상면이 판상부(441)의 상면 보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포집부가 균일하게 형성된 배수판을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흐름 또는 공기층을 만들어 주어, 창고와 단열재 밖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수의 결빙을 방지하거나 결로수를 증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결로의 동상, 구조체의 균열, 누수 및 창고의 열교현상을 방지하고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200: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101,201: 저온고
140,240,340,440: 배수판
141,341,441: 판상부
142,342,442: 포집부
143: 경사면
144: 저면부
345,346,347: 포집부 연결로
448: 체결돌기
449: 체결홈

Claims (13)

  1.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의 철근콘크리트 기저부;
    상기 철근콘크리트 기저부 상에 도포된 보호몰탈;
    상기 보호몰탈의 윗면과 저면이 접촉되는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에서 음각으로 함몰지게 형성되어 상기 보호몰탈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포집부를 포함하는 배수판;
    상기 배수판의 판상부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판의 상부를 차폐하는 무근 콘크리트;
    상기 무근 콘크리트의 상부에 마련되는 보온판; 및
    상기 보온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표면 강화재;를 포함하되,
    상기 포집부는, 상기 판상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판상부와 평행하게 형성된 저면부 및 상기 무근 콘크리트의 저부에 의해 구획되어 결로수가 포집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판상부의 표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포집부에 형성된 공간을 서로 유통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개의 포집부 연결로가 형성되어 상기 포집부의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이 상기 포집부 연결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에는 상기 포집부에 존재하는 결로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 연결로는 이웃하는 상기 포집부 중 가장 가까운 포집부끼리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로 및 서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상기 포집부끼리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의 표면에는 상기 포집부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포집부와 상기 판상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연결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의 가장 자리에는 배수판끼리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의 가장 자리에는 상기 연결돌기와 형합하는 돌기홈이 음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홈에는 상기 체결공에 끼워지는 체결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KR1020130056913A 2013-05-21 2013-05-21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KR10134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13A KR101344030B1 (ko) 2013-05-21 2013-05-21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13A KR101344030B1 (ko) 2013-05-21 2013-05-21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030B1 true KR101344030B1 (ko) 2013-12-24

Family

ID=4998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913A KR101344030B1 (ko) 2013-05-21 2013-05-21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274B1 (ko) 2014-09-16 2015-01-08 성일기계공업 (주) 물탱크용 단위 패널 제조방법
KR102568264B1 (ko) 2022-08-12 2023-08-21 홍종화 단열배수판과 이를 이용한 냉동 저온창고 바닥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250B1 (ko) * 2010-03-08 2010-12-24 박정희 방습, 보온을 위한 복층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250B1 (ko) * 2010-03-08 2010-12-24 박정희 방습, 보온을 위한 복층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274B1 (ko) 2014-09-16 2015-01-08 성일기계공업 (주) 물탱크용 단위 패널 제조방법
KR102568264B1 (ko) 2022-08-12 2023-08-21 홍종화 단열배수판과 이를 이용한 냉동 저온창고 바닥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860B1 (ko) 방습 및 냉해방지를 위한 냉동 저온창고
Straube et al. Interior insulation retrofits of load-bearing masonry walls in cold climates
EP1065326B1 (en) A de-humidification system of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and a method for de-humidification thereby
WO2008097444A1 (en) Basement wall and floor system
KR101344030B1 (ko)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KR100647908B1 (ko) 다중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소음 저감형 건식 바닥 시스템
KR100784241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CN105121755A (zh) 建筑物的隔热方法
KR102201208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용 루프드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96382B1 (ko) 급속 냉각설비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6386968B2 (ja) 建物の断熱構造
US4793146A (en) Cold storage structure
KR101151612B1 (ko) 냉동 칸막이 판넬의 하부 받침용 단열패드 및 냉동 칸막이 판넬의 단열 시공방법
KR100432563B1 (ko) 저온 냉장창고 또는 냉동창고의 시공방법
KR101328586B1 (ko)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CN110011241B (zh) 一种用于铁路路基的电缆槽
JP4953402B1 (ja) 冷蔵施設および冷凍施設の少なくとも一方を備える建造物の床下構造
CN211923098U (zh) 保温墙体结构
CN111219000A (zh) 保温墙体结构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20080035962A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CN217580636U (zh) 一种带有聚氨酯保温层的用于冷库地面的保温结构
CN208870453U (zh) 一种混合结构冷藏库
CN215926403U (zh) 冷库保温隔墙与地面的连接结构
CN217998772U (zh) 一种用于冷库地面的保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