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124Y1 -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 Google Patents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124Y1
KR200449124Y1 KR2020090004739U KR20090004739U KR200449124Y1 KR 200449124 Y1 KR200449124 Y1 KR 200449124Y1 KR 2020090004739 U KR2020090004739 U KR 2020090004739U KR 20090004739 U KR20090004739 U KR 20090004739U KR 200449124 Y1 KR200449124 Y1 KR 200449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emale
assembly
mal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정 filed Critical 김현정
Priority to KR2020090004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1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사각판 형상을 이루되 단면이 ‘ㄷ’자 형태인 한 쌍의 판과, 상기 판의 상·하부 모서리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부 틀부재 및 하부 틀부재와, 상기 한 쌍의 판과 상·하부 틀부재에 끼워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판 양 측면 모서리에 끼워 패널 몸체를 형성하는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판, 상·하부 틀부재, 암 조립부, 수 조립부, 결합부

Description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Synthetic Resin Using The Insulating Panel}
본 고안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발포성 재질의 단열부재를 충진시켜 냉장, 냉동고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 냉동고용 및 건축용으로 단열재는 목재를 사용한 합판, 유리섬유를 사용한 섬유판(Fiber Board), 발포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EPS 패널,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사용한 우레탄 패널 등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우레탄 패널은 타 소재와 비교하여 뛰어난 단열 효과와 사용되는 기초원료가 고체가 아닌 액체이기 때문에 복잡한 모형을 갖는 제품들의 생산성과 가공성 측면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우레탄 패널은 제조 시 분진발생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며, 우레탄 패널로 시공된 건축물은 뛰어난 단열성능 외에 방음, 방수, 방습 등의 효과가 있어 공장 건축물,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 농축산물 저장소, 냉 동탑차 등에 널리 사용된다.
종래 우레탄 패널은 건축물의 내면과 외면을 이루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내판 및 외판과,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 설치되는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우레탄과, 상기 내판과 외판의 사방 모서리 사이에 조립되는 복수의 결속 부재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우레탄 패널은 결속 부재가 최소 8개로 조립하므로 부품 수가 많아 생산성이 낮다.
또한, 상기 패널 사이에 주입되는 발포우레탄은 주입 시 가운데 이외의 구석 부분은 우레탄의 발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단열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발포우레탄을 상기 패널의 내부 밀폐공간에서 발포 시 내부 가스가 외부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 외관에 융기 발생 및 평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의 부품 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고, 상기 패널 내부에 단열부재를 고르게 주입 발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열성을 높이며, 상기 패널의 상·하부 결속 부재를 마지막에 조립함으로써 단열 부재 발포 시 발생하는 가스의 외부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평활성을 높이는 데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사각판 형상을 이루되 단면이 'ㄷ' 형태인 한 쌍의 판과; 상기 판 양 측면 모서리에 끼워 패널 몸체를 형성하는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와; 상기 판과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에 끼워 연결하고, 한쌍의 판 상·하부 모서리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판 사이 수직 높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부 틀부재 및 하부 틀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는 양 측면에 상기 판의 좌·우측 절곡된 모서리부분에 판을 기준하여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틀부재 및 하부 틀부재는 상기 판의 상·하부의 모서리 부분과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는 양쪽 끝부분에 상기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와 결속하기 위해 상기 수평부와 수직으로 형성하는 암 수직부 및 수 수직부로 구성하며, 상기 암 수직부 및 수 수직부는 암·수 조립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판의 상·하부 모서리부분에 판을 기준하여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제3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을 적용 시에는 부품 수를 줄여 생산성을 높이고, 상기 패널 내부에 단열 부재를 고르게 주입하여 발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패널의 상·하부 결속 부재를 마지막에 조립함으로써 단열 부재 발포 시 발생하는 가스의 외부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평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 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 틀부재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재 및 체결홈 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의 구조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사각판 형상을 이루되 단면이 ‘ㄷ’자 형태인 한 쌍의 판(10, 20)과, 상기 판(10, 20)의 상·하부의 모서리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판(10, 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한 쌍의 상부 틀부재(30) 및 하부 틀부재(30)와, 상기 한 쌍의 판(10, 20)과 상·하부 틀부재(30)에 끼워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판(10, 20) 양 측면 모서리에 끼워 패널 몸체를 형성하는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10, 20)과 상·하부 틀부재(30)와 암·수 조립부(40, 5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패널 몸체는 내부에 발포성 재질의 단열부재를 충진시켜 단열층(60)을 형성하고, 한쪽 면에는 암 조립부(40)가 형성되며,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암 조립부(40)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 조립부(50)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단열층(60)은 내부로 주입된 발포 우레탄으로 단열층(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층(60)은 페놀, 우레탄, 비닐, 아크릴 및 에폭시 계열의 합성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단열 패널은 판(10, 20)과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가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에 단열부재가 발포된다.
상기 단열부재의 발포가 완료된 후 상기 판(10, 20)의 상·하부에 상·하부 틀부재(30)를 끼움 조립하여 단열 패널을 구성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의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판(10, 20)과, 상·하부 틀부재(30)와, 암·수 조립부(40, 50) 및 상기 판(10, 2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단열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10, 20)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부 틀부재(30)는 판(10, 20)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판(10, 20)이 세워져 설치될 때에 위쪽과 아래쪽에 해당되는 양쪽 모서리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하부 틀부재(30)는 판(10, 20)의 폭 방향(길이가 짧은 쪽 방향)을 구성하는 양쪽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상·하부 틀부재(30)는 상기 판(10, 20)의 모서리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제2결합홈(35) 및 제3결합홈(3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판(10, 20)의 좌·우측 절곡된 모서리부분에 끼워져 결합하도록 제1결합홈(41, 5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하부 틀부재(30)의 제2결합홈(35) 및 제3결합홈(34)은 상기 판(10, 20)의 상·하부 및 상기 상·하부의 좌·우측 모서리 부분과 결합되며, 상 기 판(10, 20)의 양 측면을 끼워 연결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암 수직부(33) 및 수 수직부(32)의 제2결합홈(35)은 상기 판(10, 20)을 기준하여 수직으로 결합하며, 상기 판(10, 20)의 상하 양측을 끼워 연결 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기 수평부(31)의 제3결합홈(34)은 상기 판(10, 20)을 기준하여 수평으로 결합한다.
또한,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의 제1결합홈(41, 51)은 상기 판(10, 20)의 좌·우측 모서리 부분과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모서리 부분과 결합되는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의 제1결합홈(41, 51)은 상기 판(10, 20)을 기준하여 수직으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틀부재(30)와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는 사출성형 등을 통하여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 틀부재(30)와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는 상기 판(10, 2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판(10, 20)의 모서리를 상·하부 틀부재(30)와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를 제1·2·3결합홈(34, 35, 41, 51)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연결 조립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 몸체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하부 틀부재(30)는 조립과정 시 상기 판(10, 20)의 상·하부 모서리에 끼움 조립도 가능하다.
상기 상·하부 틀부재(30)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부(31)의 한쪽 끝에는 암 조립부(40)와 같은 형상으로 된 암 수직부(33)가 형성되고, 다른 쪽 끝에는 상기 암 조립부(40)에 대응되는 수 조립부(50)와 같은 형상으 로 수 수직부(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암 수직부(33) 및 수 수직부(32) 중 암 수직부(33)는 암 조립부(40)와 결합되고, 수 수직부(32)는 수 조립부(50)와 결합된다.
또한, 암 수직부(33) 및 수 수직부(32)는 상기 제3결합홈의 단과 차등되도록 단을 형성하여 상기 암·수 조립부가 끼움 조립되는 단차부(3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차부(36)는 상기 판(10, 20)과 상·하부 틀부재(30)가 끼움 조립될 때 상기 암·수 조립부(40, 50)와 상·하부 틀부재(30)가 조립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36)는 상기 암·수 조립부(40, 50)와 조립 형성되는 범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3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결합홈의 단과 5~10㎜ 범위 내에서 차등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7㎜로 형성한다.
상기 수평부(31)의 일 측면에는 다수의 배기공(70)이 타공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부(31)의 일 측면에 타공된 배기공(70)은 상기 패널 몸체에 발포성 단열부재가 주입될 경우 상기 패널 몸체와 단열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층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면, 상기 패널 몸체에 주입된 발포우레탄(단열부재)이 부풀어오를 경우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이 상기 수평부(31)에 형성된 배기공(70)으로부터 배출되므로, 패널 몸체 공간 내부에 발포우레탄이 높은 밀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밀폐되어 패널의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부(31) 이외에도 폴리우레탄을 주입할 때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공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암·수 수직부(33, 32) 중 암 수직부(33)에는 체결부재(80)가 설치되고, 상기 수 수직부(32)에는 상기 체결부재(80)가 삽입 결합하는 체결홈(9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80)가 체결홈(90)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패널과 연이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체결부재(80)는 돌기부(81)와, 체결홈(90)과 결합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82)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의 한쪽 면에는 암 조립부(40)가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암 조립부(40)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 조립부(50)가 각각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패널 몸체의 암 조립부(40) 및 수 조립부(50)는 서로 연속하여 좌, 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패널 몸체의 수 조립부(50)가 이웃하는 패널의 암 조립부(40)에 수용되면서 서로 겹쳐지게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 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 틀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하부 틀부재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재 및 체결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20 : 판 30 : 상·하부틀부재
31 : 수평부 32 : 수 수직부
33 : 암 수직부 34 : 제3결합홈
35 : 제2결합홈 41, 51 : 제1결합홈
36 : 단차부 40 : 암 조립부
50 : 수 조립부 60 : 단열층
70 : 배기공 80 : 체결부재
81 : 돌기부 82 : 걸림턱
90 : 체결홈

Claims (3)

  1. 내부에 발포성 재질의 단열부재를 충진시켜 냉장, 냉동고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단열 패널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사각판 형상을 이루되 단면이 'ㄷ' 형태인 한 쌍의 판과;
    상기 판 양 측면 모서리에 끼워 패널 몸체를 형성하는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와;
    상기 판과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에 끼워 연결하고, 한쌍의 판 상·하부 모서리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판 사이 수직 높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부 틀부재 및 하부 틀부재;로 구성하되,
    상기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는 양 측면에 상기 판의 좌·우측 절곡된 모서리부분에 판을 기준하여 수직으로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틀부재 및 하부 틀부재는 상기 판의 상·하부의 모서리 부분과 수평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는 양쪽 끝부분에 상기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와 결속하기 위해 상기 수평부와 수직으로 형성하는 암 수직부 및 수 수직부로 구성하며,
    상기 암 수직부 및 수 수직부는 암·수 조립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판의 상·하부 모서리부분에 판을 기준하여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하기 위한 제3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4739U 2009-04-21 2009-04-21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KR200449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39U KR200449124Y1 (ko) 2009-04-21 2009-04-21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739U KR200449124Y1 (ko) 2009-04-21 2009-04-21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124Y1 true KR200449124Y1 (ko) 2010-06-17

Family

ID=4424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739U KR200449124Y1 (ko) 2009-04-21 2009-04-21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1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03B1 (ko) 2012-10-05 2014-04-07 김현정 단열 패널
KR102165673B1 (ko) * 2019-08-14 2020-10-14 (주)이화폴리텍 냉동냉장창고용 단열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513A (ja) * 1984-08-03 1986-02-27 Sanyo Electric Co Ltd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338081A (ja) * 1995-06-15 1996-12-24 Touzai Kogyo Kk 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32657Y1 (ko) 2003-08-26 2003-11-07 곽인학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100870553B1 (ko) 2006-10-04 2008-11-27 주식회사 승주 우레탄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1513A (ja) * 1984-08-03 1986-02-27 Sanyo Electric Co Ltd 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H08338081A (ja) * 1995-06-15 1996-12-24 Touzai Kogyo Kk 断熱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32657Y1 (ko) 2003-08-26 2003-11-07 곽인학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100870553B1 (ko) 2006-10-04 2008-11-27 주식회사 승주 우레탄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03B1 (ko) 2012-10-05 2014-04-07 김현정 단열 패널
KR102165673B1 (ko) * 2019-08-14 2020-10-14 (주)이화폴리텍 냉동냉장창고용 단열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2500B1 (en) Structural insulated panel system
KR20140109910A (ko) 벽 단열 패널 시리즈
KR101808504B1 (ko) 커튼월의 수직바 연결재
KR200449124Y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KR101306968B1 (ko) 지지블럭의 조립에 의한 압출성형 내부칸막이 벽체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00300B1 (ko) 우레탄패널
KR100751548B1 (ko) 도어 및 도어세트
KR102133938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0870553B1 (ko) 우레탄 패널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US11230845B2 (en) Building exterior panel and assembly structure thereof
JP2013217093A (ja) 断熱パネル
JP405356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外断熱壁構造
KR101382303B1 (ko) 단열 패널
KR101309734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위한 문틀프레임
CN210086580U (zh) 一种空腔聚苯墙体模块
KR100762170B1 (ko) 우레탄패널
CN209261038U (zh) 一种具有盖板的墙体模块
CN105569254B (zh) 一体型阻燃保温砌块及其制造方法
KR100800299B1 (ko) 우레탄패널
CN209620323U (zh) 一种拐角eps保温墙体
CN2485369Y (zh) 复合型保温砌块
KR100877405B1 (ko) 우레탄패널 마감재
KR100922117B1 (ko) 우레탄패널
CN109881840B (zh) 轻体复合墙板及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