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303B1 - 단열 패널 - Google Patents

단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303B1
KR101382303B1 KR1020120110709A KR20120110709A KR101382303B1 KR 101382303 B1 KR101382303 B1 KR 101382303B1 KR 1020120110709 A KR1020120110709 A KR 1020120110709A KR 20120110709 A KR20120110709 A KR 20120110709A KR 101382303 B1 KR101382303 B1 KR 101382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lower frame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정 filed Critical 김현정
Priority to KR102012011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판과 외판; 상기 내판과 외판의 양측단에서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암 조립부와 수 조립부; 상기 내판, 외판,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진 제1 발포성 단열재; 상기 내판과 외판의 상하단에서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상기 상부 틀부재와 제1 발포성 단열재 사이, 및 상기 하부 틀부재와 제1 발포성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발포 성형되어 채워진 제2 발포성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와 밀봉 결합하는 밀봉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 패널{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단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발포성 단열재가 포함되는 단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 냉동고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단열부재는 목재를 사용한 합판, 유리섬유를 사용한 섬유판(FiberBoard), 발포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EPS 패널,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을 사용한 우레탄 단열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우레탄 단열 패널은 타 소재와 비교하여 뛰어난 단열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초원료가 고체가 아닌 액체이기 때문에 복잡한 모형을 갖는 제품에 적용하기 용이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
더욱이, 우레탄 패널은 제조시 분진발생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며, 우레탄 패널로 시공된 건축물은 뛰어난 단열성능 외에 방음, 방수, 방습 등의 효과가 있어 공장 건축물,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 농축산물 저장소, 냉동탑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우레탄 단열 패널은 건축물의 내면과 외면을 이루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내판 및 외판,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 설치되는 발포우레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우레탄과, 상기 내판과 외판의 사방 측면에 조립되는 복수의 결속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우레탄 단열 패널은 결속 부재가 많을 뿐만 아니라, 내판과 외판 및 결속 부재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우레탄 발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속공정에 의해 자동화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에 우레탄이 주입되는 경우, 중앙부는 충실히 발포가 이루어지나 모서리나 구석 부분은 우레탄의 발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단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주입시 열에 의한 구조의 변형에 의해 발포 우레탄이 새어나오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밀봉부재가 추가되어야 했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원가가 올라가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70553호: 우레탄 패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발포 우레탄의 주입시 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 패널의 내부를 발포 우레탄으로 밀도가 높게 채울 수 있는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패널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판과 외판;
상기 내판과 외판의 양측단에서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암 조립부와 수 조립부;
상기 내판, 외판,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진 제1 발포성 단열재;
상기 내판과 외판의 상하단에서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상기 상부 틀부재와 제1 발포성 단열재 사이, 및 상기 하부 틀부재와 제1 발포성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발포 성형되어 채워진 제2 발포성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내판과 외판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차단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암 조립부 또는 수 조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내판, 외판,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안쪽에 형성되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밀봉부재는 수지, 고무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 각각의 단부는 차단벽 부재의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재가 형성된 상기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홈부와, 상기 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설치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부의 내면 양측에는 중앙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재가 형성된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측면에는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부재가 형성된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밀봉부재의 추가로 발포 우레탄의 주입시 누설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패널에서 내판, 외판,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제1 발포성 단열재로 채운 후,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에 대응하는 제2 발포성 단열재를 내부를 발포 우레탄으로 발포 성형함으로써 한층 밀도가 높은 발포 성형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상부 틀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의 몸체(B)를 제조하기 위해 절단하기 전 단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패널(10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판(11)과 외판(12), 상기 내판(11)과 외판(12)의 양측단에서 상기 내판(11)과 외판(12)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암 조립부(20)와 수 조립부(30), 상기 내판(11), 외판(12), 암 조립부(20) 및 수 조립부(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진 제1 발포성 단열재(40), 상기 내판(11)과 외판(12)의 상하단에서 상기 내판(11)과 외판(12)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상부 틀부재(50)와 하부 틀부재(60), 상기 상부 틀부재(5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 및 상기 하부 틀부재(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발포 성형되어 채워진 제2 발포성 단열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 내판(11)과 외판(12)은 판부재(10)로, 상부 틀부재(50)와 하부 틀부재(60)는 틀부재(50)(60)로 포괄적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 패널(100)은 제2 발포성 단열재(70)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재(80)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밀봉부재(80)는 상기 상부 틀부재(50)와 하부 틀부재(60)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를 밀봉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80)는, 상기 내판(11)과 외판(12)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되는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81), 및 상기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8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차단벽 부재(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밀봉부재(81)는 수지,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탄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접촉한 상태에서 압축력을 받을 때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와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여 밀봉효과를 높이게 된다.
상기 탄성 밀봉부재(81)는 얇게 형성된 상기 내판(11) 및 외판(12)과도 동시에 밀봉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차단벽 부재(82)는 상기 틀부재(50)(60)로부터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의 소재(폴리우레탄 등) 특성상 외력에 의해 끝이 비교적 날카로운 물체가 용이하게 파고들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벽 부재(82)가 상기 틀부재(50)(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경계 근방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상기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81) 각각의 일단들은 상기 일단쪽에 배치된 차단벽 부재(82)의 양단과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81) 각각의 타단들은 상기 타단쪽에 배치된 차단벽 부재(82)의 양단과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2 발포성 단열재(70)의 발포 성형시 상기 탄성 밀봉부재(81)와 차단벽 부재(82)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틀부재(50)(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틀부재(50)(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공간에 제2 발포성 단열재(70)를 각각 발포 성형하면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제1 발포성 단열재(40)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도 2에는 하부 틀부재(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에 형성된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 틀부재(5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에도 동일하게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와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결합된 후에는 서로 융착되어 상호 간의 경계는 거의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와 제2 발포성 단열재(70)는 마치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형상과 성질을 갖는다.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발포 성형되는 동안, 상기 탄성 밀봉부재(81)와 차단벽 부재(82)에 의해 상기 내판(11)과 외판(12)을 구성하는 판부재(10)와 틀부재(50)(60) 사이로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누설되는 것이 확실히 차단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80)가 형성된 상기 상부 틀부재(50)와 하부 틀부재(60)는, 각각 홈부(51)(61)와, 상기 홈부(51)(61)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설치면부(52)(6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홈부(51)(61)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에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발포 성형된다.
이 경우, 상기 홈부(51)(61)의 내면 양측에는 중앙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턱부(53)(63)가 형성되도록 하여,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발포 성형된 후 상기 틀부재(50)(60)의 턱부(53)(63)가 제2 발포성 단열재(70)에 걸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의 원료를 상기 틀부재(50)(60)의 홈부(51)(61)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하기 위해 상기 틀부재(50)(60)의 단부 측면에는 주입공(54)(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틀부재(50)(60)에 배기공(55)(65)이 형성하여,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발포 성형되는 동안 상기 틀부재(50)(60)의 홈부(51)(61)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어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치밀한 조직으로 발포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밀봉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재(80')는, 상기 암 조립부(20) 또는 수 조립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내판(11), 외판(12), 암 조립부(20) 및 수 조립부(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안쪽에 형성되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차단벽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벽 부재로 이루어진 밀봉부재(80')는 틀부재(50)(60)로부터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의 소재(폴리우레탄 등) 특성상 외력에 의해 끝이 비교적 얇은 물체가 용이하게 파고들어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단벽 부재가 상기 판부재(1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경계 근방에 삽입되는 것이 좋다.
상기 틀부재(50)(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가 상기 밀봉부재(80')에 의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틀부재(50)(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공간에 제2 발포성 단열재(70)를 각각 발포 성형하여 제1 발포성 단열재(40)와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단열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판(11)과 외판(12), 상기 내판(11)과 외판(12)의 양측단에서 상기 내판(11)과 외판(12)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암 조립부(20)와 수 조립부(30), 및 상기 내판(11), 외판(12), 암 조립부(20) 및 수 조립부(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진 제1 발포성 단열재(40)가 하나의 몸체(B)가 형성되도록 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조립부(20) 및 수 조립부(30)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암 조립부 재료(20a)와 수 조립부 재료(30a)의 양측면에 끼움홈(21)(31)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암 조립부 재료(20a)와 수 조립부(30a)를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21)(31)에 내판(11) 및 외판(12)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내판 재료(11a)와 외판 재료(12a)를 각각 삽입한다.
이로써 상기 단열 패널(100)의 두께에 해당하는 사각 단면의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암 조립부 재료(20a)와 수 조립부 재료(30a)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압출이나 사출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내판 재료(11a)와 외판 재료(12a)는 스틸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사각 단면의 공간(S) 내에 폴리 우레탄 등의 단열소재로 발포 성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단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내판 재료(11a)와 외판 재료(12a), 암 조립부 재료(20a)와 수 조립부 재료(30a), 및 발포성 단열재를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하여 상기 몸체(B)를 형성한다.
즉, 상하면이 평면상으로 절단되어, 내판(11)과 외판(12), 상기 내판(11)과 외판(12)의 양측단에서 상기 내판(11)과 외판(12)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암 조립부(20)와 수 조립부(30), 및 상기 내판(11), 외판(12), 암 조립부(20) 및 수 조립부(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진 제1 발포성 단열재(40)로 이루어진 몸체(B)가 제조된다.
다음, 상기 몸체(B)의 상하면에 상기 상부 틀부재(50)와 하부 틀부재(60)를 밀봉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B)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틀부재(50)와 하부 틀부재(60)를 상기 몸체(B) 쪽을 향해 밀어서 상기 차단벽 부재(82)가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탄성 밀봉부재(81)가 제1 발포성 단열재(4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외력을 일정하게 작용시키기 위해, 소정의 지그(미도시)에 상기 몸체(B)와 상부 틀부재(50) 및 하부 틀부재(60)를 설치한 후 유압 또는 모터를 이용하는 외력 또는 이송나사 등을 이용하는 수동으로 누르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틀부재(50) 및 하부 틀부재(60)에 각각 형성된 주입공(54)(64)을 통해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의 원료를 상기 틀부재(50)(60)와 제1 발포성 단열재(40)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하여 제2 발포성 단열재(70)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70)의 원료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발포성 단열재(40)와 제2 발포성 단열재(7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 틀부재(50)와 하부 틀부재(60)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압출이나 사출 등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열 패널(100)의 상하부 결합에 모두 밀봉부재를 채택하였으나 상부와 하부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컨대, 제1 발포성 단열재(40)와 제2 발포성 단열재(70)의 소재로 채택된 폴리 우레탄 외에도 발포성의 단열성이 우수한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10... 판부재
11... 내판
12... 외판
20... 암 조립부
30... 수 조립부
40... 제1 발포성 단열재
50... 상부 틀부재
51... 상부 틀부재의 홈부
52... 상부 틀부재의 설치면부
53... 상부 틀부재의 턱부
54... 상부 틀부재의 주입공
55... 상부 틀부재의 배기공
60... 하부 틀부재
61... 하부 틀부재의 홈부
62... 하부 틀부재의 설치면부
63... 하부 틀부재의 턱부
64... 하부 틀부재의 주입공
65... 하부 틀부재의 배기공
70... 제2 발포성 단열재
80, 80'... 밀봉부재
81... 탄성 밀봉부재
82... 차단벽 부재
100... 단열 패널

Claims (8)

  1.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판과 외판;
    상기 내판과 외판의 양측단에서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암 조립부와 수 조립부;
    상기 내판, 외판,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채워진 제1 발포성 단열재;
    상기 내판과 외판의 상하단에서 상기 내판과 외판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각각 마감하는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상기 상부 틀부재와 제1 발포성 단열재 사이, 및 상기 하부 틀부재와 제1 발포성 단열재 사이의 공간에 각각 발포 성형되어 채워진 제2 발포성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발포성 단열재를 밀봉하는 밀봉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내판과 외판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차단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암 조립부 또는 수 조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내판, 외판, 암 조립부 및 수 조립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안쪽에 형성되는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차단벽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밀봉부재는 수지, 고무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 밀봉부재 각각의 단부는 차단벽 부재의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형성된 상기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홈부와, 상기 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설치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부의 내면 양측에는 중앙을 향해 각각 돌출되는 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형성된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측면에는 주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가 형성된 상부 틀부재와 하부 틀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패널.
KR1020120110709A 2012-10-05 2012-10-05 단열 패널 KR10138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709A KR101382303B1 (ko) 2012-10-05 2012-10-05 단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709A KR101382303B1 (ko) 2012-10-05 2012-10-05 단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303B1 true KR101382303B1 (ko) 2014-04-07

Family

ID=5065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709A KR101382303B1 (ko) 2012-10-05 2012-10-05 단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474A (ko) * 2015-04-15 2016-10-26 (주)이화폴리텍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CN115230757A (zh) * 2022-06-30 2022-10-25 青岛中车四方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车体板梁结构封闭壳体及制造方法
KR102641373B1 (ko) * 2023-04-24 2024-02-28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방화성능이 부여된 내화칸막이 구조체용 벽체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855A (ja) * 1994-05-30 1995-12-12 Tokai Kogyo Kk 断熱パネル
JPH10183803A (ja) * 1996-12-25 1998-07-14 Showa Alum Corp 断熱パネル形成用中空パネル
KR200449124Y1 (ko) 2009-04-21 2010-06-17 김현정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855A (ja) * 1994-05-30 1995-12-12 Tokai Kogyo Kk 断熱パネル
JPH10183803A (ja) * 1996-12-25 1998-07-14 Showa Alum Corp 断熱パネル形成用中空パネル
KR200449124Y1 (ko) 2009-04-21 2010-06-17 김현정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474A (ko) * 2015-04-15 2016-10-26 (주)이화폴리텍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KR101709707B1 (ko) * 2015-04-15 2017-03-09 (주)이화폴리텍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CN115230757A (zh) * 2022-06-30 2022-10-25 青岛中车四方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车体板梁结构封闭壳体及制造方法
KR102641373B1 (ko) * 2023-04-24 2024-02-28 광건티앤씨 주식회사 방화성능이 부여된 내화칸막이 구조체용 벽체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27902A1 (en) Structural pan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382303B1 (ko) 단열 패널
JP6616730B2 (ja) 合成樹脂発泡体からなる長尺部品
KR20140109910A (ko) 벽 단열 패널 시리즈
JP6212322B2 (ja) 断熱パネル
CN210004667U (zh) 一种密封性能好的冰箱饰条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JP4405842B2 (ja)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JP405356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外断熱壁構造
JP2006023423A (ja) 吸音性衝撃吸収体
JP5057470B2 (ja) 断熱壁構造
KR101514778B1 (ko) 폼블록 성형틀 및 이를 이용한 폼블록 성형방법
KR200449124Y1 (ko) 합성수지를 이용한 단열 패널
KR102189261B1 (ko) 수직 단열라인이 일치되는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CN201763132U (zh) 新型塑钢门
EP3339549B1 (en) Under window filling profile of adjustable width
KR101686647B1 (ko) 목재도어
JP2008006700A (ja) ウエザストリップの成形方法とその成形用金型
KR101311400B1 (ko)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EP3130257B1 (en) A rest mattress structure
JP6980429B2 (ja) 断熱パネル
CN217711195U (zh) 一种防水效果好的保温挤塑板
RU198379U1 (ru) Изотермический кузов-фургон
KR101191730B1 (ko) 모서리목 및 모서리목의 제조방법
CN218541017U (zh) 一种装饰保温板材无缝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