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400B1 -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 Google Patents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400B1
KR101311400B1 KR1020120142253A KR20120142253A KR101311400B1 KR 101311400 B1 KR101311400 B1 KR 101311400B1 KR 1020120142253 A KR1020120142253 A KR 1020120142253A KR 20120142253 A KR20120142253 A KR 20120142253A KR 101311400 B1 KR101311400 B1 KR 10131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panel
panel finishing
groove
heat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빈
Original Assignee
(주)쿨테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쿨테이너 filed Critical (주)쿨테이너
Priority to KR1020120142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해 단열패널 마감재의 조립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가 훼손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단열충진부내에 구비되는 보강판으로 인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비틀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농축산물 저장소, 냉동탑차 및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INSULATION PANELS FINISHES AND INSULATION PANELS}
본 발명은 외부충격에 의해 단열패널 마감재의 조립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가 훼손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단열충진부내에 구비되는 보강판으로 인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비틀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농축산물 저장소, 냉동탑차 및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열패널은 상부판 및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발포성형되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다른 단열패널과의 조립을 위해 상기 상부판의 가장자리 및 상기 하부판의 가장자리 사이에는 서로 조립 가능한 단열패널 마감재가 구비된다.
한편, 서로 조립된 상태인 단열패널 마감재는 대게 피스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로 외부충격이 가해질 시 피스 등의 고정부재가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조립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 및 피스 등의 상기 고정부재 주변의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 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06784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해 단열패널 마감재의 조립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가 훼손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단열충진부내에 구비되는 보강판으로 인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비틀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농축산물 저장소, 냉동탑차 및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열패널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단열패널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단열패널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는 마감시트와; 상기 마감시트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충진부와; 상기 단열충진부내에 구비되는 보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마감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보강판은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강판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일측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타측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일측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수용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타측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돌출부의 일측홈과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수용홈의 타측홈에 각각 고정부재가 삽입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돌출부의 일측홈에 삽입고정되는 일측고정부재와;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수용홈의 타측홈에 삽입고정되는 타측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고정부재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돌출부의 일측홈에 타측이 삽입고정되는 일측스크류부재와; 상기 일측스크류부재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일측관통공이 형성되는 일측헤드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고정부재는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의 수용홈의 타측홈에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타측스크류부재와; 상기 타측스크류부재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타측관통공이 형성되는 타측헤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측헤드부재의 일측관통공 및 상기 타측헤드부재의 타측관통공을 수직관통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와;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가 하부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상부판의 하부방향에 구비되고,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가 구비되는 하부판과;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외부충격에 의해 단열패널 마감재의 조립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가 훼손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단열충진부내에 구비되는 보강판으로 인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의 비틀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농축산물 저장소, 냉동탑차 및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단열패널 마감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단열패널 마감재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포물 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돌출부의 일측홈에 고정부재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수용홈의 타측홈에 고정부재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단열패널 마감부재와 다른 단열패널 마감부재가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고정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인 단열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단열패널과 다른 단열패널이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단열패널 마감재(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단열패널 마감재(2)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마감시트(210), 단열충진부(220) 및 보강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패널 마감부재(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마감시트(210)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열충진부(220)는 상기 마감시트(210)의 내부에 충진된다.
상기 단열충진부(220)는 단열성이 우수한 경질의 우레탄발포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판(230)은 상기 단열충진부(220)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단열패널 마감재(2)를 성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포물 성형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를 이루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포물 성형장치(1)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발포물 성형장치(1)는 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회전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치되는 제 1, 2이송장치(11, 12)와;
상기 제 1, 2이송장치(11, 12)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의 케비티(13a)가 구비된 몰드(13)와;
상기 몰드(13)의 케비티(13a)내에 우레탄발포액을 주입하는 주입장치(14)와;
상기 몰드(13)의 케비티(13a)에서 성형되는 우레탄발포성형물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장치(15);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이송장치(11, 12)의 입구측에는 상기 몰드(13)의 케비티(13a)로 공급될 상기 마감시트(210)가 각각 권취된 마감시트공급롤러(11a, 12a)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발포물 성형장치(1)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9085호로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되,
상기 발포물 성형장치(1)는 상기 마감시트공급롤러(11a, 12a)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13)의 케비티(13a)로 공급될 보강판(230)이 권취된 보강판공급롤러(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공급롤러(16)에 상기 보강판(230)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강판(230)은 두께가 얇은 플랙시블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보강판(230)은 합성수지판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판공급롤러(16)에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판(230)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230)을 이루는 상기 합성수지판은 특히 두께가 얇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일측과 타측에는 돌출부(240)와 수용홈(25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50)은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타측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돌출부(2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50)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용홈(250)의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40)의 일측 중심부에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반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일측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50)의 일측 중심부에는 상기 수용홈(250)과 연통되도록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일측홈(241)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타측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돌출부(240)의 일측홈(241)에 고정부재(30)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수용홈(250)의 타측홈(251)에 고정부재(30)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돌출부(240)의 일측홈(241)과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수용홈(250)의 타측홈(251)에 각각 고정부재(30)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일측고정부재(310)와 타측고정부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재(31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돌출부(240)의 일측홈(241)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전측에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부재(32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수용홈(250)의 타측홈(251)에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전측에서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재(3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스크류부재(311)와 일측헤드부재(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스크류부재(311)의 타측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상기 보강판(230)을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일측스크류부재(311)의 타측은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돌출부(240)의 일측홈(241)에 일정깊이로 수평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일측헤드부재(312)는 상기 일측스크류부재(311)의 일측에 판형상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헤드부재(312)의 중심부 내측에는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일측관통공(31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부재(32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스크류부재(321)와 타측헤드부재(3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스크류부재(321)의 일측이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상기 보강판(230)을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타측스크류부재(321)의 일측은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수용홈(250)의 타측홈(251)에 일정깊이로 수평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중심부 내측에는 원형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타측관통공(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스크류부재(311)의 타측 및 상기 타측스크류부재(321)의 일측이 각각 상기 보강판(230)을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일측스크류부재(311)와 상기 타측스크류부재(321)가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로부터 분리될 우려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단열패널 마감부재(20)와 다른 단열패널 마감부재(20)가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수용홈(250)내에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돌출부(240)가 수용되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타측홈(251)과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일측홈(241) 사이에 공기단열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단열공간(S)내의 공기로 인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단열효과가 보다 더욱 우수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관통공(312a)과 상기 타측관통공(322a)이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상기 일측헤드부재(312)의 전면은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후면과 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헤드부재(312)의 일측관통공(312a) 및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타측관통공(322a)을 수직관통하는 고정핀(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핀부재(410)와 헤드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410)는 상기 일측헤드부재(312)의 일측관통공(312a) 및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타측관통공(322a)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공기단열공간(S)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재(420)는 상기 핀부재(410)의 전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전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0)을 통해 상기 일측헤드부재(312)와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결합력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고정부재(3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30)의 일측헤드부재(312)와 상기 고정부재(30)의 타측헤드부재(322)는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일측헤드부재(312)의 중심부 내측에 상기 일측관통공(312a) 형성될 수 있다.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중심부 내측에 상기 타측관통공(32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인 단열패널(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단열패널(10)은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농축산물 저장소, 냉동탑차 및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단열패널(10)은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단열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의 상측이 각각 접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120)은 상기 상부판(110)과 마주보도록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의 하측이 각각 접착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 일측과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 일측 사이 및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 타측과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 타측 사이에 각각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 전측과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 전측 사이 및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 후측과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 후측 사이에도 각각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130)는 단열성이 우수한 연질의 우레탄발포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의 우레탄발포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열재(130)는 공지된 발포주입기를 통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판(110)과 상기 하부판(120)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단열패널(10)과 다른 단열패널(10)이 연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단열패널(10)과 다른 상기 단열패널(10)은 상기 고정부재(30)와 상기 고정핀(40)을 통해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조립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의 조립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가 훼손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단열충진부(220)내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판(230)으로 인해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의 외부충격에 대한 내구성 및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의 비틀림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냉동저장 시설물, 냉장농축산물 저장소, 냉동탑차 및 조립식 건축물의 시공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단열패널, 110; 상부판,
120; 하부판, 20; 단열패널 마감부재,
210; 마감시트, 220; 단열충진부,
230; 보강판.

Claims (8)

  1. 단열패널(10)의 서로 마주보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단열패널 마감부재(20)로 이루어진 단열패널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는 마감시트(210)와;
    상기 마감시트(210)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충진부(220)와;
    상기 단열충진부(220)내에 구비되는 보강판(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일측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타측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수용홈(250)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40)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일측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50)에 상기 수용홈(250)과 연통되도록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되는 타측홈(251)이 형성되고,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돌출부(240)의 일측홈(241)과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수용홈(250)의 타측홈(251)에 각각 고정부재(30)가 삽입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돌출부(240)의 일측홈(241)에 삽입고정되는 일측고정부재(310)와;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수용홈(250)의 타측홈(251)에 삽입고정되는 타측고정부재(320);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고정부재(310)는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돌출부(240)의 일측홈(241)에 타측이 삽입고정되는 일측스크류부재(311)와;
    상기 일측스크류부재(311)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일측관통공(312a)이 형성되는 일측헤드부재(312);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고정부재(320)는 다른 상기 단열패널 마감부재(20)의 수용홈(250)의 타측홈(251)에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타측스크류부재(321)와;
    상기 타측스크류부재(321)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측에 타측관통공(322a)이 형성되는 타측헤드부재(3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30)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마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30)은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마감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30)은 플랙시블한 합성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마감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헤드부재(312)의 일측관통공(312a) 및 상기 타측헤드부재(322)의 타측관통공(322a)을 수직관통하는 고정핀(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마감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단열패널 마감재(2)와;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가 하부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상부판(110)과;
    상기 상부판(110)과 마주보도록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방향에 구비되고, 상부 가장자리에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가 각각 구비되는 하부판(120)과;
    상기 단열패널 마감재(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판(110)과 상기 하부판(120)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패널.
  7. 삭제
  8. 삭제
KR1020120142253A 2012-12-07 2012-12-07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KR10131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53A KR101311400B1 (ko) 2012-12-07 2012-12-07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53A KR101311400B1 (ko) 2012-12-07 2012-12-07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400B1 true KR101311400B1 (ko) 2013-09-25

Family

ID=4945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253A KR101311400B1 (ko) 2012-12-07 2012-12-07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27B1 (ko) 2013-11-28 2015-08-24 주식회사기린산업 조립식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00B1 (ko) * 2007-04-30 2007-07-24 공간산업(주) 흡음 단열 패널
JP2008274707A (ja) * 2007-05-07 2008-11-13 Toyota Motor Corp 断熱材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200B1 (ko) * 2007-04-30 2007-07-24 공간산업(주) 흡음 단열 패널
JP2008274707A (ja) * 2007-05-07 2008-11-13 Toyota Motor Corp 断熱材及びそれを備えた建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27B1 (ko) 2013-11-28 2015-08-24 주식회사기린산업 조립식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3110B1 (en) Refrigerator with vacuum insulating panel
JP5947038B2 (ja) 発泡体で断熱され可撓性の外側スキンを有するユニット
US8336974B2 (en) Door of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383176A (zh) 冰箱和制造冰箱门的方法
KR20110042786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조 방법
KR20170035762A (ko)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셔터의 제조방법
CN102121781B (zh) 填充气囊组件、电冰箱和制冷设备
KR101311400B1 (ko) 단열패널 마감재 및 이를 구비한 단열패널
CN202522000U (zh) 拼装式保湿冰箱、酒柜
CN209410800U (zh) 一种冷链运输用保温箱
KR20110072686A (ko) 진공단열재를 구비한 냉장고
CN207157972U (zh) 一种集装箱保温冷藏柜
KR20130069995A (ko) 발포용 가이드 설치 구조
CN109335326A (zh) 一种冷链运输用保温箱
CN204612330U (zh) 内门体及具有该内门体的冷冻冷藏装置
CN201184717Y (zh) 蓄冷型移动保温箱
CN203279375U (zh) 一种机柜
CN203286842U (zh) 用于制冷设备的箱体和具有其的制冷设备
JP5308101B2 (ja) 断熱パネル
CN207422765U (zh) 一种隔板及制冷设备
KR101327764B1 (ko) 냉장고
JP6482643B2 (ja) 冷蔵庫
CN114212151B (zh) 一种冷链车厢的厢板结构
CN203716314U (zh) 夹芯保温板及使用该夹芯保温板的冷库
KR101582638B1 (ko) 마감캡이 포함된 금속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