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358B1 -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358B1
KR102015358B1 KR1020180166258A KR20180166258A KR102015358B1 KR 102015358 B1 KR102015358 B1 KR 102015358B1 KR 1020180166258 A KR1020180166258 A KR 1020180166258A KR 20180166258 A KR20180166258 A KR 20180166258A KR 102015358 B1 KR102015358 B1 KR 10201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insulation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규
Original Assignee
한성건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건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성건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3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 E04F21/1844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by applying them one by one
    • E04F21/1861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for setting a plurality of similar elements by applying them one by one for setting insulat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부에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 단열재 부착시 단열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형성하고 우레탄폼이 간극의 내부까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 수축현상을 예방하고 시공성 향상은 물론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인서트부와 분리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단열재를 부착함으로써, 인서트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단열재와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며, 단열재 부착 후 분리부를 제거함으로써, 우레탄폼이 간극 내부에 충분히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 시공 분야, 특히 단열재 시공 분야와 더불어, 결로방지 및 냉난방 에너지 관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Method of insulation construction using insert separate spacer}
본 발명은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부에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 단열재 부착시 단열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형성하고 우레탄폼이 간극의 내부까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 수축현상을 예방하고 시공성 향상은 물론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열재를 규격화하여 공장에서의 생산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단열재 가공에 의한 자재의 로스(Loss)를 최소화함은 물론, 창문과 도어를 포함하는 창호를 시공하기 이전에 단열재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공기)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조의 건물들은 동절기에 외부온도와 실내온도의 차이로 인해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로 발포성 합성수지재의 단열재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단열재는 결로방지와 더불어, 외부와 내부 간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에 사용된 에너지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천장이나 벽면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단열재가 부정형으로 이동하게 되어 단열재 사이에 틈새(간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는 크게 저하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열재 시공시 단열재 사이의 틈새를 우레탄폼 등으로 충진하는 경우도 있으나, 단열재 사이의 틈새가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레탄폼이 안쪽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넓지도 않기 때문에, 대부분 단열재의 외측면만 우레탄폼이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이, 단열재 사이의 내측으로 우레탄폼이 충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 불량시공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255호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은, 단열패널의 상하좌우 가장자리에 소프트폼을 바른 후, 순차적으로 밀착시키면서 시공함으로써, 단열패널 사이에 소프트폼이 충분히 충진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모든 단열제의 가장자리에 소프트폼을 바르는 과정, 소프트폼이 도포된 단열패널들이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도록 조절하는 과정 등과 같이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는 과정들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므로, 단열재의 시공성은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단열재 시공방법은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단열재 부착 후 우레탄폼을 충진하게 되면 불량시공이 발생하게 되며, 불량시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폼(소프트폼) 도포 후 단열재를 부착하게 되면 시공성이 크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4255호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에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 단열재 부착시 단열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형성하고 우레탄폼이 간극의 내부까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단열재 수축현상을 예방하고 시공성 향상은 물론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열재를 규격화하여 공장에서의 생산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단열재 가공에 의한 자재의 로스(Loss)를 최소화함은 물론, 창문과 도어를 포함하는 창호를 시공하기 이전에 단열재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공기)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인서트부와 분리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단열재를 부착함으로써, 인서트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단열재와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며, 단열재 부착 후 분리부를 제거함으로써, 물론 우레탄폼이 간극 내부에 충분히 충진될 수 있도록 한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은, 단열재의 가장자리에, 인서트부와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결합하는 단열재부착준비단계; 상기 인서트부가 대상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해당 단열재를 대상시공면에 부착하는 단열재부착단계; 및 상기 인서트부가 해당 단열재를 지지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부를 제거하는 단열재부착완료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부착준비단계는, 상기 인서트부를 해당 단열재의 후면에 설치하는 인서트부설치과정; 및 상기 분리부가 인서트부에 결합되도록 해당 단열재의 전면에 설치하는 분리부설치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해당 단열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단열재의 간극을 유지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설치과정은, 해당 단열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바길이조절과정; 길이가 조절된 상기 가이드바를 손잡이부에 결합하는 가이드바결합과정; 및 상기 가이드바가 인서트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해당 단열재의 전면에 설치하는 손잡이부설치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일정간격마다 절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구; 상기 인서트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 및 상기 제1 결합구와 제2 결합구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결합구와 제2 결합구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해당 단열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단열재의 간극을 유지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부착완료단계는, 상기 분리부가 인서트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분리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손잡이부 및 인서트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이웃하는 두 단열재 사이의 간극으로 우레탄폼을 주입하는 우레탄폼주입단계; 및 시공된 단열재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마감재부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재부착준비단계 내지 단열재부착완료단계는, 대상시공면에 창호가 형성된 경우, 해당 창호가 설치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 우레탄충진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해당 단열재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폼주입단계는, 상기 우레탄충진공간부에 마감재용스페이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에 단열재를 시공함에 있어, 단열재 부착시 단열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형성하고 우레탄폼이 간극의 내부까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열재 수축현상을 예방하고 실내와 실외 간의 열교환을 충분히 차단함으로써, 시공성 향상은 물론 결로방지 및 단열효과를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단열재 시공의 경우 창문과 도어를 포함하는 창호의 틀을 시공한 후, 단열재를 시공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기가 증가하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창문과 도어를 포함하는 창호를 시공하기 이전에 단열재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시공기간(공기)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창호의 틀을 시공한 후, 현장에서 단열재를 가공하여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규격화된 단열재를 공장에서의 생산하여 시공함으로써,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자재(단열재)의 로스(Loss)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페이서의 인서트부와 분리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단열재를 부착함으로써,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에 의해 단열재가 부정형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대상시공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가 인서트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단열재와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우레탄폼을 충진하는 과정에서도 단열재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단열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 부착 후 분리부를 제거함으로써, 물론 우레탄폼이 간극 내부에 충분히 충진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부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단열재의 크기에 따라 쉽게 대응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다양한 현장에서 다양한 조건의 단열재를 시공하는데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 시공 후 분리부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건축물 시공 분야, 특히 단열재 시공 분야와 더불어, 결로방지 및 냉난방 에너지 관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사용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계'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S12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2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의해 시공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의 단계'S400'에서 사용되는 폼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사용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난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는, 인서트부(100) 및 분리부(200)를 포함한다.
인서트부(100)는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플레이트(121)와, 지지플레이트(121)에서 돌출형성된 지지핀(122), 그리고 분리부(200)와 결합되는 끼움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200)는 인서트부(100)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바(210) 및 손잡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210)는 단열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단열재의 간극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인서트부(100) 및 손잡이부(220)가 결합되는 끼움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20)는 가이드바(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플레이트(221)와, 지지플레이트(221)에서 돌출형성된 지지핀(222), 그리고 가이드바(210)와 결합되는 끼움구(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인서트부(1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20)는 손잡이(224)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224)는 작업자가 단열재 부착 후 분리부(200)를 인서트부(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는, 인서트부(100)와 손잡이부(220)에 형성된 지지핀(122, 222)에 의해 단열재를 지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단열재 부착과정 및 시공 후에도 인서트부(100)의 지지핀(122)에 의해 단열재가 일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01'은 폼충진홈으로서, 인서트부(100)가 단열재 내측에 설치된 후, 우레탄폼을 충진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우레탄폼이 충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은 단열재부착준비단계(S100), 단열재부착단계(S200) 및 단열재부착완료단계(S300)를 포함한다.
단열재부착준비단계(S100)는 단열재를 대상시공면에 부착하기 위해 준비하는 과정으로, 대상시공면에 부착될 단열재의 가장자리에, 도 2에 나타난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를 결합한다.
이때,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의 인서트부(100)가 단열재의 부착면(대상시공면 방향) 측에, 손잡이부(200)가 단열재의 노출면(실내측 방향)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단열재부착단계(S200)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의 인서트부(100)가 대상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해당 단열재를 대상시공면에 부착하는 과정으로, 이웃하는 두 단열재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의 가이드바(210)에 의해 간극이 유지될 수 있다.
단열재부착완료단계(S300)는 인서트부(100)가 해당 단열재를 지지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인서트부(100)로부터 분리부(200)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인서트부(100)가 내부(대상시공면과 단열재 사이)에 매립된 상태로 시공이 진행되며, 분리부(200)는 제거 후 다른 인서트부(100)와 결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단계'S10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열재부착준비단계(S100)는 인서트부설치과정(S110) 및 분리부설치과정(S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의 구성 중, 인서트부(100)를 해당 단열재(I)의 후면에 설치할 수 있다(S110).
이때, 인서트부(100)의 지지핀(122)이 단열재(I)에 삽입되도록, 지지플레이트(121)를 단열재(I)의 후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단열재(I)의 측면이 인서트부(100)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인서트부(100)가 단열재(I)의 후면모서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부(200)의 가이드바(210)가 인서트부(100)에 결합되도록, 단열재(I)의 전면에 분리부(2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또한, 인서트부(100)와 마찬가지로 분리부(200)의 손잡이부(220)가 단열재(I)의 전면모서리 부분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열재(I)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의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의 인서트부(100)가 대상시공면에 부착되도록 하면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열재(I)를 대상시공면(미부호)에 부착할 수 있다(S200).
이후, 작업자가 손잡이부(220)를 당김으로써, 분리부(200)를 인서트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바(210)가 손잡이부(220)와 지속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나, 하기에 설명될 가이드바(21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바(210)와 손잡이부(220)는 홈 및 돌기 구조, 홀 및 결합핀 구조 등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가이드바(210)가 인서트부(100)와 함께 남겨질 필요가 있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바(210)는 손잡이부(200) 및 인서트부(10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바(210)의 양측에 앞서 설명한 홀 및 결합핀 구조를 적용하여, 각각 손잡이부(200) 및 인서트부(100)와 결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현장에서 원하는 측의 결합핀을 제거하면, 해당 구성과 가이드바(21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단계'S12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재(I)의 두께에 대응하여 가이드바(210)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이드바(210)는 도 9 내지 도 11과 같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바(210)에는 다수 개의 절단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홈(212)은 단열재(I)의 규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부(200)를 인서트부(10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먼저 가이드바(210)와 손잡이부(220)를 분리한 후, 절단홈(212)을 이용하여 가이드바(210)의 길이를 조절하며(S121), 길이가 조절된 가이드바(210)를 다시 손잡이부(220)에 결합하고(S122),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부(200)를 인서트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S123).
한편, 절단홈(212)을 이용하여 가이드바(2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도 10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단돌기(213)가 남을 수 있다.
이러한 절단돌기(213)는 가이드바(210)가 인서트부(1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간섭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에, 인서트부(100)에는 절단돌기(2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 10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간섭방지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바(210)는 손잡이부(220)와 결합되는 제1 결합구(215), 인서트부(100)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216), 그리고 제1 결합구(215)와 제2 결합구(216) 사이에 구성되는 길이조절바(21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구(215)와 길이조절바(217), 제2 결합구(216)와 길이조절바(217)는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길이조절바(217)를 회동시키면 제1 결합구(215)와 제2 결합구(216)가 대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결합구(215)와 제2 결합구(216)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5에 의해 시공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8과 같이 단열재(I)의 부착이 완료되면,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에 의해 형성된, 이웃하는 두 단열재(I) 사이의 간극으로 우레탄폼을 주입하여 충진한 후(S400), 시공된 단열재(I)에 마감재를 부착할 수 있다(S500).
한편, 단열재(I)와 마감재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시공대상면에 창호(예를 들어, 창문)가 형성된 경우, 시공 후 사용자가 창문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무게의 창이 창문틀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창문틀에 인접하여 시공된 단열재(I)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창문틀에 인접된 부분에는 단열재(I)를 시공하지 않고 우레탄폼을 충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상시공면(C)에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A)를 이용하여 단열재(I)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창문틀(미부호)과 인접한 부분(창호가 설치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단열재(I)를 부착하지 않고 우레탄충진공간부(미부호)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우레탄충진공간부에 마감재용스페이서(300)를 설치한 후, 우레탄폼(U)을 충진할 수 있다(S400).
이후, 마감재인 마감패널(B)이 마감재용스페이서(300)에 지지되도록 하여, 단열재(I)에 마감패널(B)을 부착할 수 있다.
도 13은 도 5의 단계 'S400'에서 사용되는 폼분사노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폼분사노즐(400)은 노즐몸체(410)와 노즐몸체(410)를 관통하여 종단부에 개방되도록 형성된 폼분사홀(401), 그리고 노즐몸체(410)의 종단부에 한 개 또는 다수 개가 형성되는 측면분사홀(4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1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열재(I) 사이로 노즐몸체(410)를 삽입하여 우레탄폼을 주입하게 되면, 노즐몸체(410)의 종단부는 물론 그 중간부분에서도 우레탄폼이 주입될 수 있다.
한편, 폼분사노즐(400)의 종단부에 폼분사홀(401)만 형성된 경우, 우레탄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주입된 우레탄폼이 단열재(I)와 대상시공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I)의 후면인 대상시공면 측으로 우레탄폼이 과도하게 공급되면, 우레탄품 자체의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단열재(I)에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우레탄폼이 단열재(I) 사이의 중간부분에서 분사되면, 우레탄폼의 낭비를 최소화함은 물론, 단열재(I) 사이에 충분한 우레탄폼이 충진될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단열재(I)에 손상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여건에 따라서 종단부의 폼분사홀(401)을 개방하지 않고 측면 분사홀(402)만을 이용하여 우레탄폼을 충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
100 : 인서트부 121 : 지지플레이트
122 : 지지핀 123 : 끼움구
124 : 간섭방지홈 215 : 제1 결합구
216 : 제2 결합구 217 : 길이조절바
200 : 분리부
210 : 가이드바 211 : 끼움홈
212 : 절단홈 213 : 절단돌기
220 : 손잡이부 221 : 지지플레이트
222 : 지지핀 223 : 끼움구
224 : 손잡이

Claims (10)

  1. 단열재의 가장자리에, 인서트부와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결합하는 단열재부착준비단계;
    상기 인서트부가 대상시공면에 고정되도록, 해당 단열재를 대상시공면에 부착하는 단열재부착단계; 및
    상기 인서트부가 해당 단열재를 지지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부를 제거하는 단열재부착완료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부착준비단계는,
    상기 인서트부를 해당 단열재의 측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단열재의 후면에 설치하는 인서트부설치과정; 및
    상기 분리부가 인서트부에 결합되도록, 해당 단열재의 측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전면에 설치하는 분리부설치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는,
    해당 단열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의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단열재의 측면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하며, 이웃하는 두 단열재의 간극을 유지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부설치과정은,
    해당 단열재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를 조절하는 가이드바길이조절과정;
    길이가 조절된 상기 가이드바를 손잡이부에 결합하는 가이드바결합과정; 및
    상기 가이드바가 인서트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해당 단열재의 전면에 설치하는 손잡이부설치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일정간격마다 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부에는,
    상기 절단홈에 의한 절단 후 상기 가이드바에 남게 되는 절단돌기가 삽입되는 간섭방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제1 결합구;
    상기 인서트부와 결합되는 제2 결합구; 및
    상기 제1 결합구와 제2 결합구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결합구와 제2 결합구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해당 단열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두 단열재의 간극을 유지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부착완료단계는,
    상기 분리부가 인서트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분리부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손잡이부 및 인서트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에 의해 형성된, 이웃하는 두 단열재 사이의 간극으로 우레탄폼을 주입하는 우레탄폼주입단계; 및
    시공된 단열재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마감재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부착준비단계 내지 단열재부착완료단계는,
    대상시공면에 창호가 형성된 경우, 해당 창호가 설치되는 영역의 가장자리에 우레탄충진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해당 단열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폼주입단계는,
    상기 우레탄충진공간부에 마감재용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폼주입단계는,
    폼분사노즐의 노즐몸체 종단부에 형성된 폼분사홀 및 측면분사홀이, 이웃하는 두 단열재 사이의 간극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폼분사홀 및 측면분사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우레탄폼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66258A 2018-12-20 2018-12-20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KR10201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58A KR102015358B1 (ko) 2018-12-20 2018-12-20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58A KR102015358B1 (ko) 2018-12-20 2018-12-20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5358B1 true KR102015358B1 (ko) 2019-08-28

Family

ID=6777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258A KR102015358B1 (ko) 2018-12-20 2018-12-20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3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255A (ko) 2009-04-15 2010-10-25 (주) 코인스이앤씨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KR101386855B1 (ko) * 2013-10-28 2014-04-17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단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472438Y1 (ko) * 2009-09-14 2014-04-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KR101399179B1 (ko) * 2009-12-11 2014-06-03 (주)엘지하우시스 벽체와 창틀의 동시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603744B1 (ko) * 2015-12-11 2016-03-17 (주)휴이스 단열재 충진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장치
KR20180006769A (ko) * 2016-07-11 2018-01-19 이장평 슬라브용 단열재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4255A (ko) 2009-04-15 2010-10-25 (주) 코인스이앤씨 건축물의 단열재 시공방법
KR200472438Y1 (ko) * 2009-09-14 2014-04-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고단열 조이너 시스템
KR101399179B1 (ko) * 2009-12-11 2014-06-03 (주)엘지하우시스 벽체와 창틀의 동시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386855B1 (ko) * 2013-10-28 2014-04-17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단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03744B1 (ko) * 2015-12-11 2016-03-17 (주)휴이스 단열재 충진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장치
KR20180006769A (ko) * 2016-07-11 2018-01-19 이장평 슬라브용 단열재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02291A1 (en) Manufactured building panel assembly
CA2224949C (en) Concrete formwork with backing plates
US7176377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KR101939852B1 (ko) 개선된 윈도우 창틀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20060265988A1 (en) Wall materials bracket and insulating wall structure
KR101550156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15358B1 (ko) 인서트분리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 방법
CA3025069A1 (en) Door system with dual sealing elements
US2592244A (en) Building unit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133938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225529B1 (ko) 건축 샌드위치형 천장패널
KR100661816B1 (ko) 건축물의 벽체(壁體) 시공용 강재 받침대 조립체 및 그것을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KR101855697B1 (ko) 건물 외벽용 조립식 패널의 마감재 설치구조
KR102180397B1 (ko) 문틀 시공장치
US6190490B1 (en) Method of making a closure member for a refrigerated storage enclosure
KR102104428B1 (ko) 외부벽돌벽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단연결용 벽돌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92059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JP2016033282A (ja) 建具用額縁、改装建具及び建具用額縁の施工方法
US4631886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facing of structures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2421686B1 (ko) 탈거방지를 위한 조립식 결로방지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DE102017124111A1 (de) Montagevorrichtung zur Montage einer Lüftungsvorrichtung
KR101654979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07303B1 (ko) 연동도어용 문틀 유격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