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27Y1 -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27Y1
KR200471627Y1 KR2020130007674U KR20130007674U KR200471627Y1 KR 200471627 Y1 KR200471627 Y1 KR 200471627Y1 KR 2020130007674 U KR2020130007674 U KR 2020130007674U KR 20130007674 U KR20130007674 U KR 20130007674U KR 200471627 Y1 KR200471627 Y1 KR 200471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water
unit pipes
leakag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이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웅 filed Critical 이재웅
Priority to KR2020130007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8Water-chu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출발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 비직선형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연결되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가 맞대어져 결합되며,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단위 파이프; 및 상호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파이프의 플랜지들 간의 결합부위가 누수되지 않도록 상호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파이프의 플랜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볼트 결합되는 다수의 누수 방지용 보강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Water slide having with water leakage prevention function}
본 고안은,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 관한 것이다.
소위, 물 미끄럼틀이라고도 불리는 워터 슬라이드(water slide)는 물놀이 기구의 일종으로서 워터 파크(water park) 등의 물놀이 장소에 설치된다.
워터 슬라이드는 통상의 미끄럼틀과 같이 상단의 출발부에서 하단의 도착부까지 경사를 두고 설치되며, 표면에는 사용자 간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고 원활한 미끄러짐을 위하여 물이 흐르고 있다.
이러한 워터 슬라이드의 구조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직선 형태, 구불구불한 형태 또는 비틀림 형태 등 다양한데, 그 형태와 길이 그리고 경사도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워터 슬라이드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라 불리는 합성수지의 사출로 제조된 단위 파이프를 볼트로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작된다. 이때, 단위 파이프 간의 결합부위는 누수 방지를 위해 실리콘 처리된다.
한편, 종전처럼 워터 슬라이드를 FRP 재질로 제작할 경우에는 단위 파이프들 간의 결합부위를 실리콘 처리하면 간편하기 때문에 이곳에서의 누수 걱정은 없다.
하지만, 워터 슬라이드를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재질로 변경될 경우, 기존의 실리콘만으로는 누수 방지의 효과가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복잡한 구조를 통해 누수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것은 비용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점을 두루 고려한 새롭고 진보적인 구조 보완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0942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3214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2892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9384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출발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 비직선형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연결되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가 맞대어져 결합되며,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단위 파이프; 및 상호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파이프의 플랜지들 간의 결합부위가 누수되지 않도록 상호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파이프의 플랜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볼트 결합되는 다수의 누수 방지용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는 상기 플랜지의 둘레 방향 일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플랜지의 둘레 방향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가 부분적으로 자리 배치되는 보강재 자리홈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에는 볼트의 머리가 배치되는 머리 배치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가 인서트(insert)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단위 파이프들 간의 결합부위로 물이 새지 않기 때문에 워터 슬라이드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누수에 의한 균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결합부위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결합부위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결합부위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결합부위 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1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레임 바디(110), 다수의 단위 파이프(120~140), 그리고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110)는 본 실시예의 워터 슬라이드(100)가 설치되기 위한 장소에 고정되는 구조체로서, 단위 파이프(120~140)들을 지지한다.
도면에 보면 프레임 바디(110)가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프레임 바디(110)가 반드시 사각형 형상일 필요는 없다.
단위 파이프(120~140)들은 비직선형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110)에 연결되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50)가 맞대어져 결합되는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단위 파이프(120~140)가 비직선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단위 파이프(120~140)는 2개 혹은 4개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그리고 단위 파이프(120~140)에 대해서는 참조부호를 달리 부여하고 있으나 편의를 위하여 플랜지(150)들에 대해서는 위치와 무관하게 모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플랜지(150)들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통공(H)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 파이프(120~140)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재질에 의해 사출 혹은 압출 형성된다.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중합으로 생기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이다. 중합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생성되는데, 밀도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별된다.
이 중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각종 병이나 냉장고의 제빙용 상자 등의 원료로 쓰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으로 단위 파이프(120~140)를 제조하여 플랜지(150)들을 맞대어 두고 단순히 볼트(160)로 체결한 후, 실리콘 처리를 하게 되면 누수 현상을 제대로 방지하기 어렵다.
이는 재질적인 특징으로 인해 플랜지(150)들을 강하게 조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다수의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가 마련되는 것이다.
다수의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는 상호 이웃된 한 쌍의 단위 파이프(120,130)의 플랜지(150)들 간의 결합부위가 누수되지 않도록 상호 이웃된 한 쌍의 단위 파이프(120,130)의 플랜지(150)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볼트(160)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처럼 플랜지(150)들의 양측에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를 각각 배치해두고 바깥쪽에서 볼트(160)로 체결할 경우, 볼트(160)의 체결력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150)들의 결합부위로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는 플랜지(150)의 둘레 방향 일부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는 아크(arc) 형상의 링 구조로 마련되는데, 플랜지(150)의 둘레 방향 일부 특히, 플랜지(150)의 둘레 방향 아래쪽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볼트(160)로 체결된다. 실제, 누수는 플랜지(150)의 둘레 방향 아래쪽 일부 영역에서 집중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경우, 이곳에만 제한적으로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를 덧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랜지(150)들의 통공(H)이 서로 일치하도록 플랜지(150)들을 맞대어 배치한 후, 플랜지(150)들의 양측 하부 영역에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를 배치하고, 볼트(160)와 너트(161)로 조임으로써,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방법으로 누수 방지용 보강재(170)를 설치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120~140)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위 파이프(120~140)들 간의 결합부위로 물이 새지 않기 때문에 워터 슬라이드(100)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누수에 의한 균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결합부위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200) 역시, 다수의 단위 파이프(220,230)와 누수 방지용 보강재(270)를 포함한다.
이때, 누수 방지용 보강재(27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플랜지(250)의 둘레 방향 전체 영역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누수 방지용 보강재(270)는 원형의 링 구조로 제작된다.
이에, 단위 파이프(220,230)들에 형성되는 플랜지(250)들의 통공(H)이 서로 일치하도록 플랜지(250)들을 맞대어 배치한 후, 플랜지(250)들의 양측에 누수 방지용 보강재(270)를 배치하고, 볼트(260)와 너트(261)로 조임으로써, 누수 방지용 보강재(27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방법으로 누수 방지용 보강재(270)를 설치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220,230)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위 파이프(220,230)들 간의 결합부위로 물이 새지 않기 때문에 워터 슬라이드(200)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누수에 의한 균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결합부위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300) 역시, 다수의 단위 파이프(320,330)와 누수 방지용 보강재(3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누수 방지용 보강재(370)는 제1 실시예처럼 플랜지(350)들의 양측 하부 영역에 일부분만 배치된다.
하지만, 도면과 달리 누수 방지용 보강재(370)가 플랜지(350)들의 둘레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350)에는 누수 방지용 보강재(370)가 부분적으로 자리 배치되는 보강재 자리홈(351)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처럼 플랜지(350)에 보강재 자리홈(351)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이곳에 누수 방지용 보강재(370)가 부분적으로 자리 배치될 경우, 누수 방지용 보강재(370)의 조립 위치를 잡기에 아주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320,330)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위 파이프(320,330)들 간의 결합부위로 물이 새지 않기 때문에 워터 슬라이드(300)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누수에 의한 균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400) 역시, 다수의 단위 파이프(420,430)와 누수 방지용 보강재(4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누수 방지용 보강재(470)는 제1 실시예처럼 플랜지(450)들의 양측 하부 영역에 일부분만 배치된다.
하지만, 도면과 달리 누수 방지용 보강재(470)가 플랜지(450)들의 둘레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누수 방지용 보강재(470)에는 볼트(460)의 머리(460a)가 배치되는 머리 배치홈부(471)가 더 형성된다. 이처럼 누수 방지용 보강재(470)에 머리 배치홈부(471)가 더 형성되면 볼트(460) 작업을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420,430)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위 파이프(420,430)들 간의 결합부위로 물이 새지 않기 때문에 워터 슬라이드(400)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누수에 의한 균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에서 한 쌍의 단위 파이프 간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500) 역시, 다수의 단위 파이프(520,530)와 누수 방지용 보강재(5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누수 방지용 보강재(570)는 제1 실시예처럼 플랜지(550)들의 양측 하부 영역에 일부분만 배치된다.
하지만, 도면과 달리 누수 방지용 보강재(570)가 플랜지(550)들의 둘레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누수 방지용 보강재(570)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571)가 인서트(insert)되어 마련된다. 이처럼 보강 플레이트(571)가 누수 방지용 보강재(570)의 내부에 인서트되어 마련될 경우, 플랜지(550)들의 조임력을 좀 더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단위 파이프(520,530)들 간의 결합부위에 대한 누수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단위 파이프(520,530)들 간의 결합부위로 물이 새지 않기 때문에 워터 슬라이드(500)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누수에 의한 균열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워터 슬라이드 110 : 프레임 바디
120~140 : 단위 파이프 150 : 플랜지
160 : 볼트 170 : 누수 방지용 보강재

Claims (5)

  1. 출발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바디;
    비직선형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바디에 연결되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가 맞대어져 결합되며,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는 다수의 단위 파이프; 및
    상호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파이프의 플랜지들 간의 결합부위가 누수되지 않도록 상호 이웃된 한 쌍의 상기 단위 파이프의 플랜지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볼트 결합되는 다수의 누수 방지용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는 상기 플랜지의 둘레 방향 일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플랜지의 둘레 방향 전체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가 부분적으로 자리 배치되는 보강재 자리홈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에는 볼트의 머리가 배치되는 머리 배치홈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가 인서트(insert)되어 마련되고,
    상기 누수 방지용 보강재는 아크 형상 또는 원형의 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07674U 2013-09-12 2013-09-12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KR200471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74U KR200471627Y1 (ko) 2013-09-12 2013-09-12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74U KR200471627Y1 (ko) 2013-09-12 2013-09-12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627Y1 true KR200471627Y1 (ko) 2014-03-13

Family

ID=5148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74U KR200471627Y1 (ko) 2013-09-12 2013-09-12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2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2091A1 (de) * 2014-05-09 2015-11-11 Klarer Freizeitanlagen AG Wasserrutsche
KR101835062B1 (ko) * 2016-06-17 2018-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코밍 장치
KR101975367B1 (ko) * 2019-02-28 2019-05-07 주식회사 이지데코 워터 슬라이드 설치 구조물의 위치 적응형 완충 클램프
KR102024343B1 (ko) 2018-09-06 2019-09-23 기형도 워터 슬라이드의 내부 조명장치
KR20200060831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기성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KR102204129B1 (ko) * 2020-07-16 2021-01-18 (주)스페이스엔지니어링 안전연결장치를 구비한 미끄럼틀 및 그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048B1 (ko) 1996-09-30 1999-08-02 양재신 자동차의 가스누설 방지장치
KR200443553Y1 (ko) * 2008-11-10 2009-02-25 손덕상 원통형 미끄럼대용 원통관유닛의 연결구조
KR200444191Y1 (ko) * 2008-04-04 2009-04-17 비엔지 주식회사 조립식 미끄럼틀의 결합부재
KR20090082325A (ko) * 2009-07-03 2009-07-30 (주)두리철강 파이프 연결용 분리형 플랜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048B1 (ko) 1996-09-30 1999-08-02 양재신 자동차의 가스누설 방지장치
KR200444191Y1 (ko) * 2008-04-04 2009-04-17 비엔지 주식회사 조립식 미끄럼틀의 결합부재
KR200443553Y1 (ko) * 2008-11-10 2009-02-25 손덕상 원통형 미끄럼대용 원통관유닛의 연결구조
KR20090082325A (ko) * 2009-07-03 2009-07-30 (주)두리철강 파이프 연결용 분리형 플랜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2091A1 (de) * 2014-05-09 2015-11-11 Klarer Freizeitanlagen AG Wasserrutsche
KR101835062B1 (ko) * 2016-06-17 2018-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코밍 장치
KR102024343B1 (ko) 2018-09-06 2019-09-23 기형도 워터 슬라이드의 내부 조명장치
KR20200060831A (ko)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기성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KR101975367B1 (ko) * 2019-02-28 2019-05-07 주식회사 이지데코 워터 슬라이드 설치 구조물의 위치 적응형 완충 클램프
KR102204129B1 (ko) * 2020-07-16 2021-01-18 (주)스페이스엔지니어링 안전연결장치를 구비한 미끄럼틀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627Y1 (ko)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US9291295B2 (en) Segment for a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10781950B2 (en) Device for connecting tubular pipe elements
FI110139B (fi) Jakotukki
US10190721B2 (en)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on pipe using such
US20160238183A1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US9052052B2 (en) Segment for a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4549268B2 (ja) 既設管の補修構造
KR100891149B1 (ko)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하수관 연결 조립체
JP4503489B2 (ja) 既設管の補修構造
US9518692B2 (en) Pipe rehabilitation method
KR101702881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파이프 연결구조
KR100930209B1 (ko)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US9068686B2 (en)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5746443B2 (ja) 管の内層構造及びそれに使用する連結部材
JP4541946B2 (ja) 既設管路の補修構造
KR200440337Y1 (ko) 개구부 둘레에 리브가 형성된 관연결구 고정 홀더
KR102276835B1 (ko)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102276831B1 (ko) 결합력이 향상된 하수도관용 플랜지구조
KR200480413Y1 (ko) 배관의 이음구조
KR102508996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의 메인몸체 사출금형
KR102247270B1 (ko) 상수도관용 플랜지구조
US11248733B2 (en) Method for linking segments for rehabilitation pipe and linking tool
KR20040052722A (ko)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