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831A -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831A
KR20200060831A KR1020180145888A KR20180145888A KR20200060831A KR 20200060831 A KR20200060831 A KR 20200060831A KR 1020180145888 A KR1020180145888 A KR 1020180145888A KR 20180145888 A KR20180145888 A KR 20180145888A KR 20200060831 A KR20200060831 A KR 20200060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ide
adjustment unit
upper portion
angle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062B1 (ko
Inventor
기형도
정기선
장수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성
Priority to KR1020180145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8Water-chu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6Bearings or like supports allo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높이 조절유닛(110);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20);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수평이동 조절유닛(130);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의 상부에 형성하여 워터 슬라이드(20)와 고정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를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켜 정확한 설치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비틀림 등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를 설치여건에 따라서 설치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Supporting device of water slide}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터 슬라이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 슬라이드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흐르는 물과 함께 미끄러지면서 내려오는 놀이기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워터 슬라이드는 나선형 또는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를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서 받침장치를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받침장치는 워터 슬라이드의 일측면을 볼트 또는 용접 결합하여 기둥 등과 같은 구조물에 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받침장치는 수직하중을 받는 경우에는 무리 없이 지지 및 고정할 수 있으나, 결합위치가 전후, 좌우, 상하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설치작업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워터 슬라이드와 받침대의 결합위치에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작업자는 무리한 힘을 가하여 억지로 결합시키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워터 슬라이드의 뒤틀림 응력 및 변형이 발생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워터 슬라이드와 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해서 설치 현장에서 임의로 개조 및 변경할 경우 설계 기준에서 벗어나므로 안전사고 및 부실시공을 초래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858호(2011.01.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1283호(2013.01.30)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22830호(2014.02.25)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1627호(2014.03.13)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25449호(2015.11.09)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6492호(2017.02.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의 위치를 전후, 좌우, 상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100)는,
구조물(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높이 조절유닛(110);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20);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수평이동 조절유닛(130);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의 상부에 형성하여 워터 슬라이드(20)와 고정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은 구조물(10)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구(111); 상기 고정구(111)의 내부 수직으로 적층하는 다수의 높이 조절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은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 반구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하부 각도 조절구(121); 상기 하부 각도 조절구(121)의 상부에 맞닿도록 형성하되 하부에 반구 형상의 돌출부를 마련하는 상부 각도 조절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은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 이동돌기(131a);를 구비하는 하부 이동구(131); 상기 좌우 이동돌기(131a)와 맞은 상태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좌우 이동홈(132a);를 구비하고 상부에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이동돌기(132b);를 형성하는 중간 이동구(132); 상기 전후 이동돌기(132b)와 맞은 상태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전후 이동홈(133a);을 형성하는 상부 이동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140)는 상부에 워터 슬라이드(20)의 일측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체결공(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를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켜 정확한 설치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비틀림 등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하여 내구성 및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 슬라이드를 설치여건에 따라서 설치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상하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좌우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전후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상하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좌우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를 이용한 전후 조절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높이 조절유닛(110);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20);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수평이동 조절유닛(130);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의 상부에 형성하여 워터 슬라이드(20)와 고정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은 워터 슬라이드(20)의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이의 차이 및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은 구조물(10)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구(111); 상기 고정구(111)의 내부 수직으로 적층하는 다수의 높이 조절구(11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11)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높이 조절구(112)가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구(11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갖도록 다수를 형성하여 워터 슬라이드(20)의 설치과정에 높이가 낮을 경우 하나 이상을 추가하고 반대로 높이가 높을 경우 하나 이상을 분리시켜 전체적인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은 워터 슬라이드(20)의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각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은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 반구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하부 각도 조절구(121); 상기 하부 각도 조절구(121)의 상부에 맞닿도록 형성하되 하부에 반구 형상의 돌출부를 마련하는 상부 각도 조절구(12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부 각도 조절구(121)와 상부 각도 조절구(122)은 서로 맞닿은 부분이 반구 형태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 슬라이드(20)의 위치에 따라서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각도 조절구(121)의 하부에 중심돌기(121a);를 형성하고, 상기 높이 조절구(112)의 상부에 상기 중심돌기(121a)가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112a);를 형성하여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 중앙에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을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은 워터 슬라이드(20)의 설치과정에서 발생하는 전후, 좌우와 같은 수평 위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은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 이동돌기(131a);를 구비하는 하부 이동구(131); 상기 좌우 이동돌기(131a)와 맞은 상태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좌우 이동홈(132a);를 구비하고 상부에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이동돌기(132b);를 형성하는 중간 이동구(132); 상기 전후 이동돌기(132b)와 맞은 상태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전후 이동홈(133a);을 형성하는 상부 이동구(1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 이동구(131)는 상부에 장착하는 상기 중간 이동구(132)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좌우 이동돌기(131a)와 좌우 이동홈(132a)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중간 이동구(132)는 워터 슬라이드(2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상부 이동구(133)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 이동돌기(132b)와 전후 이동홈(133a)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 슬라이드(20)의 위치에 따라서 좌우, 전후로 이동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40)는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워터 슬라이드(20)의 일단을 서로 결합하는 플랜지 부분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140)의 일측에 워터 슬라이드(20)와 체결구(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체결공(14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141)은 워터 슬라이드(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구조물 20: 워터 슬라이드
100: 본 발명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110: 높이 조절유닛 111: 고정구
112: 높이 조절구
120: 각도 조절유닛 121: 하부 각도 조절구
122: 상부 각도 조절구
130: 수평이동 조절유닛 131: 하부 이동구
131a: 좌우 이동돌기 132: 중간 이동구
132a: 좌우 이동홈 132b: 전후 이동돌기
133: 상부 이동구 133a: 전후 이동홈
140: 고정부 141: 체결공

Claims (5)

  1. 구조물(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높이 조절유닛(110);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에 형성하는 각도 조절유닛(120);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형성하는 수평이동 조절유닛(130);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의 상부에 형성하여 워터 슬라이드(20)와 고정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은 구조물(10)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구(111); 상기 고정구(111)의 내부 수직으로 적층하는 다수의 높이 조절구(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은 상기 높이 조절유닛(11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 반구 형상의 삽입홈을 형성하는 하부 각도 조절구(121); 상기 하부 각도 조절구(121)의 상부에 맞닿도록 형성하되 하부에 반구 형상의 돌출부를 마련하는 상부 각도 조절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 조절유닛(130)은 상기 각도 조절유닛(12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좌우 이동돌기(131a);를 구비하는 하부 이동구(131); 상기 좌우 이동돌기(131a)와 맞은 상태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좌우 이동홈(132a);를 구비하고 상부에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이동돌기(132b);를 형성하는 중간 이동구(132); 상기 전후 이동돌기(132b)와 맞은 상태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전후 이동홈(133a);을 형성하는 상부 이동구(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40)는 상부에 워터 슬라이드(20)의 일측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의 체결공(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KR1020180145888A 2018-11-23 2018-11-23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KR10212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88A KR102125062B1 (ko) 2018-11-23 2018-11-23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888A KR102125062B1 (ko) 2018-11-23 2018-11-23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831A true KR20200060831A (ko) 2020-06-02
KR102125062B1 KR102125062B1 (ko) 2020-06-19

Family

ID=7109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888A KR102125062B1 (ko) 2018-11-23 2018-11-23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772A (ko) * 2020-11-12 2022-05-19 에스티산업주식회사 눈썰매장 또는 워터슬라이드를 형성하기 위한 놀이시설용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661A (ja) * 1998-03-10 1999-09-21 Daiei Dream Kk 滑り台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20110000858U (ko) 2009-07-20 2011-01-27 김철우 워터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대 상호 연결 분리 구조
KR20130011283A (ko) 2011-07-21 2013-01-30 박순세 워터제트를 이용한 놀이장치
KR20140022830A (ko) 2011-04-08 2014-02-25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관절식 워터슬라이드
KR200471627Y1 (ko) 2013-09-12 2014-03-13 이재웅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KR20150125449A (ko) 2014-04-30 2015-11-09 정도안 워터 슬라이드
KR20170016492A (ko) 2014-06-13 2017-02-13 프로슬라이드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워터라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661A (ja) * 1998-03-10 1999-09-21 Daiei Dream Kk 滑り台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20110000858U (ko) 2009-07-20 2011-01-27 김철우 워터 슬라이드의 슬라이딩 대 상호 연결 분리 구조
KR20140022830A (ko) 2011-04-08 2014-02-25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관절식 워터슬라이드
KR20130011283A (ko) 2011-07-21 2013-01-30 박순세 워터제트를 이용한 놀이장치
KR200471627Y1 (ko) 2013-09-12 2014-03-13 이재웅 누수 방지 기능을 갖는 워터 슬라이드
KR20150125449A (ko) 2014-04-30 2015-11-09 정도안 워터 슬라이드
KR20170016492A (ko) 2014-06-13 2017-02-13 프로슬라이드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워터라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4772A (ko) * 2020-11-12 2022-05-19 에스티산업주식회사 눈썰매장 또는 워터슬라이드를 형성하기 위한 놀이시설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062B1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686B2 (en) Prefabricated shelf assembly
JP3184365U (ja) 解体し易い太陽電池パネルブラケットの構造
KR102153885B1 (ko)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US20070240748A1 (en) Canopy
WO2014171978A1 (en) Hanger system for suspendible illuminated fixtures
KR102125062B1 (ko) 워터 슬라이드의 받침장치
JP4796578B2 (ja) 受け具
KR200455707Y1 (ko) 이동식 칸막이 구조
KR200465696Y1 (ko) 높이 조절이 편리한 마루틀 시스템
JP6443086B2 (ja) 高耐震性間仕切装置
KR101355149B1 (ko) 램프고정용 클립
US20070103913A1 (en) Lamp
KR100665573B1 (ko) 난간연결구조
KR200482760Y1 (ko) 조립식 선반
CN109826468B (zh) 一种用于舞台边缘的复合板
KR200460110Y1 (ko) 받침대용 사각 발통
KR20180003249U (ko) 평면등용 프레임 설치장치
KR200432757Y1 (ko) 조립식 평상
JP2018164941A (ja) 吊り架台の製造方法
KR102355544B1 (ko) 캣 타워 구조물
CN215450741U (zh) 一种高度可调的脚杯组件以及地砖屏
JP2009114621A (ja) 免震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用スライドパネル及びその設置構造
CN109723361A (zh) 用于无外露拉绳式窗帘的梯绳固定座
KR20130024721A (ko) 펜스용 체결구
JP6554204B1 (ja) 照明装置の吊り下げ構造、照明装置の取付方法及びそれらに用いる調整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